KR20030076995A -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 Google Patents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995A
KR20030076995A KR10-2003-7008477A KR20037008477A KR20030076995A KR 20030076995 A KR20030076995 A KR 20030076995A KR 20037008477 A KR20037008477 A KR 20037008477A KR 20030076995 A KR20030076995 A KR 20030076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sinus
user
vacuum chamber
nostr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 제이. 호퍼
Original Assignee
윌리엄 제이. 호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제이. 호퍼 filed Critical 윌리엄 제이. 호퍼
Publication of KR2003007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9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4Containers with integrated suction means
    • A61M1/68Containers incorporating a flexible member creating suction
    • A61M1/684Containers incorporating a flexible member creating suction bellows-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2Membrane pumps, e.g. bul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81Sinus (maxillar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경량의 휴대용 비삽입식 장치는 특히 부비동공과 중이 사이 및 비공과 비인강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고 효과적으로 균등하게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부비동공내에서의 압력의 경감은 차례로 이 같은 상태와 통상적으로 관련된 통증을 경감한다. 본 발명의 압력 균등 조립체는 외측으로 이격된 관계로 코 및 콧구멍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치수를 가지고 외주부에 배치된 밀봉체를 가진 얼굴 마스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밀봉체는 사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비공 및 비인강을 효과적으로 격리하고 진공 챔버와 직접적인 유체 연통을 한정하며 압력 조절 조립체는 비공 및 비인강 내에 초기 부압을 형성하도록 한다. 점액, 액체 및/또는 공기의 형성인 유체는 강대적인 고압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부비동공으로부터 전달되어 압력이 압력 조절 조립체의 선택적인 조작을 통하여 부비동공, 중이, 비공 및 비인강 사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중이 압력 및 관련된 증세를 경감하도록 하면서 부비동통을 즉시 경감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A NON-INVASIVE SINUS PAIN RELIEVING ASSEMBLY}
처방전 없이 일반 대중이 이용할 수 있는, 기계적으로 그러나 비-삽입식으로 부비동 및 중이 압력을 경감하는 상용의 휴대용 제품 또는 장치가 아직까지는 없다. 현재의 부비동통 치료 방법은 다양한 맥관수축 국소 작용제 또는 처방약과 같이 화학적으로 관련된 것이다. 사실상, 사용되는 많은 수의 맥관수축제로 인한 화학적 의존성은 매우 만연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맥관수축 화학약품의 적절하지 못한 그리고 과다한 사용으로 인한 세포 손상은 종종 성형 수술을 수반하는 교정 수술을 초래할 수도 있다. 물론, 상악동 및 비공내의 수술은 민감한 박막뿐만 아니라 상기 상악동 및 비공들을 형성하는 뼈에도 전염 물질이 퍼질수 있게 한다.
특히, 각 상악동은 코 및 목구멍의 점액질 박막과 연속적인 점액질 박막으로 덮여져 있다. 코 및 비공이 충분한 점액질을 생성하지 못한다면, 부비동은 과잉보상하게 되고 변화를 만들게 된다. 일반적으로, 부비동으로부터의 점액질은 두개의 영역을 연결하는 작은 구멍을 통해 비공내로 배출된다. 그러나, 부적절한 하이드레이션(hydration)으로 인해 부비동 돌기의 점액질 박막 또는 점액질이 두꺼워진다면, 배출이 방해될 것이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상악동 내부의 압력이 막히게 된다. 이는 배출 차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감각 신경을 누르고 상당한 두통 또는 치통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를 압력외상(barotrauma)이라 부른다. 또한, 하강하는 비행기, 차량 또는 놀이기구에서와 같이 고도가 변화할 때 또는 일반적인 기후 변화로 인해 외측 대기압이 증가하는 경우, 상태는 더욱 나빠질 것이다. 중이내의 압력을 평형상태로 만드는 것을 제한하는 유체로 인해 유스타키오관의 연골이 방해된다면 동일한 상태가 중이내에 발생될 것이고, 이는 기압성 중이염으로 지칭된다.
이러한 상태들이 발생했을 때, 부비동 및/또는 중이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부터 상기 상황이 일어난다. 비공과 연통하는 외부 압력의 증가 및 비인강는 통상의 배출 구멍을 통해 저압 부비동 또는 중이내로 가압할 것이며, 이는 점액의 유동을 역전시킨다. 이러한 것이 발생되면, 저압의 부비동 및/또는 중이 영역으로부터 고압의 비공 및 비인강 영역으로의 유체 전달에 의해 압력이 효과적으로 평형이 될 수 없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유체는 고압 영역으로부터 저압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가질 것이다.
몸체상의 대기압의 약간의 증가는 부풀어 오른 부비동 조직내의 혈액과 상악동 내부의 저압 사이의 보다 큰 차압을 유발할 것이다. 따라서, 부비동 조직내에서 추가적인 부풀어 오름이 발생할 것이다. 중이에서, 고막은 높은 외부 압력에 의해 가압된다. 이러한 압력차는 내이로의 혈류를 증대시키고 그 내이의 변형을 유발할 것이다. 이러한 내이 영역내의 감각 신경이 영향을 받을 것이고, 통증이나 일시적인 청각 장애를 유발할 수도 있다. 물론 인체에 미치는 실제적인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압력차의 크기 및 그러한 압력차가 연속되는 지속시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민감한 박막에 미치는 스트레스는 박테리아 감염 경로를 제공하며 여러 가지 잘 알려진 합병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통로 또는 점액질 및 그에 따른 부비동의 압력의 배출을 허용하는 작은 개구에 의해 비공의 내측벽내로 모든 부비동이 개방된다는 생리학적 사실의 이점을 취함으로써, 상악동 및 중이내의 압력을 신속히 경감하여 그 영역들내의 압력이 평형이 되게 하는 기계적 작동식 비-삽입식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있어 왔다. 유사하게, 중이는 유스타키오관에 의해 비인강와 연통되어 유체를 배출하고 비인강와의 압력 균형을 유지한다. 압력의 평형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기계적 작동 장치는 비공을 대기압 조건으로부터 격리시키며 비공내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신속히 작용하고 용이 조작가능한 압력 조정 구조와 비인강 사이의 유체 연통을 설정할 것이고, 그에 따라 상악동 및/또는 중이의 고압 영역으로부터 유체가 전달되게 하여 원하는 압력 평형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비공(nasal cavities)과 비인강(nasopharynx)를 격리시킴으로써 상악동(sinus cavities) 및 중이 사이의 압력을 같게 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고 이러한 영역이 부압을 받게 하여 일상적인 부비동통을 즉각적으로 완화시키고 중이 압력의 경감를 돕는 비-삽입성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비공, 비인강 및 부비동공, 및 본 발명의 작동 동안의 이들의 효과적인 압력화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사용자의 작동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있는 조립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의 분리되고 분해된 단면도이다.
도 5는 사용자의 얼굴의 작동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6a는 마스크를 분리하기 위해 외주변 나사부를 포함하는 도 5의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한 상세 단면도이다.
도 7은 압력 조절체가 팽창된 위치로 도시된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의 소정의 구조적 부품을 보여주는 상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9는 상이한 작동 위치에서 도 8의 실시예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이한 작동 위치에서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이한 작동 위치에서 도 8,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이한 작동 위치에서 도 8 내지 도 11의 실시예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하이드레이터 조립체에 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6의 구조적 실시예에 부착된 도 13의 하이드레이터 조립체를 부분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비공 및/또는 비인강와 상악동 사이의 압력들의 평형을 통해 부비동통을 완화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휴대용의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에 관한것이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모든 바람직한 실시예는 중공의 내부를 가지는 몸체부와 마스크의 외측 둘레 주위로 연장하는 연속적인 밀봉 구조부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이용한다. 어떠한 형태의 콧구멍을 통한 비공의 삽입도 피할 수 있도록, 상기 밀봉체는 사용자의 코와 콧구멍 주위 및 그 외측를 둘러싼 상태로 사용자의 얼굴과 밀봉결합되도록 특별히 구성되고 배치된다. 특히 연구개(soft palate)의 구개수(uvula) 단부가 비인강의 후방부와 결합하도록 후방으로 회전되어 비인강 및 비공의 별도의 압력 챔버를 형성할 때, 본 발명의 둘레 밀봉체를 설정함으로써, 비공 및 관련 비인강는 대기압으로부터 격리된다. 전술한 방식에 따른 구개수의 이동은 얼굴 마스크가 전술한 작동 위치에서 밀봉 결합상태에 있는 동안 환자가 숨을 들이쉼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수축(collapsed) 위치와 팽창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진공 챔버를 포함하는 압력 조절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진공 챔버는, 전술한 마스크의 밀봉체가 비공을 밀봉 결합 상태로 둘러싸고 그 비공을 효과적으로 격리할 때, 얼굴 마스크의 신체 부분의 내측 단부와 직접적으로 유체 연통하고 그에 따라 비인강 및 비공의 내부와 직접적으로 연통하도록 연결된다. 압력 조절 조립체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되어 진공 챔버 및 관련 부품들이 전술한 수축 위치와 팽창 위치 사이에서 위치될 수 있게 추가로 구성된다. 수축 위치에서, 진공 챔버내에는 최소량의 공기가 존재한다. 반대로, 팽창 위치에서, 진공 챔버의 내부 체적이 증대되어 마스크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유동하게 강제하며, 결과적으로 비공으로부터 진공 챔버 내부로 공기가 유동하게 강제한다. 결과적으로, 연구개가 비인강의 후방부와 맞닿도록 강제되어 비공 및 비인강를 격리시켰을 때, 비공 및 비인강내에 부압이 초기에 생성된다. 고압 영역으로부터 저압 영역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자연적인 현상으로 인해, 비공내의 부압의 초기 생성은 일반적으로 상악동과 비공을 상호연결하는 통로를 통해 점액질 및 공기가 유체 유동하도록 강제할 것이다. 중이의 공동들과 비인강 사이에 유사한 유체 유동이 초래될 것이다. 그러한 진행 결과는 압력의 평형화 그리고 전술한 중이 및/또는 상악동내의 고압의 존재 및 들숨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의 즉각적인 완화일 것이다.
상기 결과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본원 발명은 압력 조절체가 전술한 외측 팽창 위치와 내측 수축 위치 사이에서 위치될 수 있고 중공의 내부를 가지는 가요성 물질 벨로우즈를 포함하는 제 1 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고려한다. 벨로우즈를 구성하는 고유의 가요성(flexibility)은 벨로우즈를 외측 팽창 위치로 편향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벨로우즈의 외측 단부상에 작용하는 내측을 향하는 힘 또는 압력은 그 벨로우즈가 수축 위치가 되게 할 것이다. 이는 벨로우즈의 중공 내부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 챔버내의 공기의 대부분을 배기시킬 것이다. 마스크상의 전술한 둘레 밀봉체가 환자의 코 및 콧구멍과 관련하여 둘러싸고 밀봉 결합되었을 때, 벨로우즈의 내측 또는 기부(proximal) 단부는 마스크의 중공 내부와 직접 유체 연통되고 그에 따라 비공과 직접 유체 연통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벨로우즈를 놓으면 전술한 벨로우즈의 고유 가요성으로 인해 그 벨로우즈는 자동적으로 외측 팽창 위치가 된다. 이것은 마스크의 밀봉된 내부로부터 그리고 그에 따라 비공 자체로부터 벨로우즈 내부의 진공 챔버내로 공기가 유동하게 할 것이다. 초기 부압은 비공 내부가 상악동 및 중이의 고압 영역으로부터 연결 통로 및 구멍을 통해 비공 및 비인강의 저압 영역으로 임의 유체(점액, 액체 및/또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에 따라, 비공 및/또는 중이내의 압력은 비공 및 비인강내의 압력과 유효하게 동일해질 것이고, 결과적으로 비공 및 중이내의 증대된 압력에 의해 유발된 어떠한 통증도 완화시킬 것이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다소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벨로우즈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그 벨로우즈가 전술한 팽창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허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상이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있다. 또한, 위치선정 부재가 벨로우즈의 외측 단부 또는 말단부에 부착되고, 그 위치선정 부재는 벨로우즈를 외측 팽창 위치로부터 내측 수축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힘을 가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접촉한다.
하우징은 그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고 위치선정 부재에 부분적으로 장착된 로크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로크 조립체의 협력 부품들은 그 로크 조립체의 부품들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벨로우즈를 수축 위치에서 분리가능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위치선정 부재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의 코와 콧구멍 주위에서 얼굴 마스크가 밀봉 결합 배치되기에 앞서서 벨로우즈는 수축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크 조립체의 부품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벨로우즈가 수축 위치에서 유지되면, 얼굴 마스크는 원하는 위치에서 밀봉될 것이다. 밀봉이 완료되었을 때, 로크 조립체의 부품을 분리 또는 해제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벨로우즈가 자동적으로 외측 팽창 위치로 이동하게 만드는 해제 조립체가 작동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술한 부압은 비공내에서 초기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내부가 진공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에 의해 형성되는 압력 조절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피스톤은 외측으로 연장한 팽창 위치와 내측에 배치된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피스톤은 진공 챔버내에 위치되고 편향을 위해 구성되고 배치된 편향 스프링에 의해 외측의 팽창된 위치로 편향된다. 위치 결정 부재는 피스톤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내에 형성된 특정 경로 또는 트랙(track)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그렇게 이동하여 피스톤을 외측의 팽창된 위치에서 내측의 수축된 위치로 가압한다. 피스톤 이동과 관련한 하우징 및 위치선정 부재의 추가적인 구조적 특징은 위치선정 부재가 내측 행정의 실질적인 바닥에 도달하면 피스톤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 경우, 피스톤은 수축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팽창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비공내에 전술한 초기 부압을 달성한다. 그 후, 위치선정 부재는 수축 위치내로 피스톤을 반복적으로 위치결정하기 위해 피스톤과 다시 결합되도록 외측 팽창 위치에 배치된다. 수축 위치와 팽창 위치 사이에서의 피스톤의 이동은 얼굴 마스크가 사용자 얼굴의 코 및 콧구멍 주위로 밀봉 결합되었을 때 이루어져야 한다. 배기 조립체가 본체에 형성되고 피스톤이 외측 팽창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진공 챔버로부터 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허용하게 특별히 구성된 밸브 구조물과 관련된다. 물론, 진공 챔버는 마스크의 본체의 내부와 직접 유체 연통되어 마스크의 중공 내부를 통해 비공으로부터 진공 챔버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하며,그에 따라 비공에 초기 부압을 형성할 수 있다.
상악동내에서 통증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술한 요소들은, 비공 및 기타 영향을 받는 영역에서의 적절한 하이드레이션의 부족으로 인해, 쉽게 복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 및 상악동 및 중이내의 저압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에 앞서서 주변 조건하에서 비공 및 비인강를 스팀 또는 가열된 수증기 또는 염 용액이 "예비-가습"할 수 있게 허용하는 전술것 외의 기타 구조적 부품들을 부착한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하이드레이터(hydrator) 조립체는 하이드레이션 공정을 위해 가열된 물 또는 염 용액이 내부에 위치되는 중공의 내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이드레이터 하우징의 상단부는 얼굴 마스크의 내부와 밀봉 결합될 수 있는 개구부 및 둘레 장착부를 포함하며 하이드레이터 하우징의 내부와 얼굴 마스크 본체의 내부가 직접 유체 연통될 수 있게 한다. 수동 조작 밸브 구조물이 하이드레이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하이드레이터 하우징의 내부와 마스크 내부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연통을 설정하거나 또는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작동중에, 하이드레이터 하우징 내부내의 가열된 물로부터의 가열된 수증기 또는 스팀은 상기 밸브 구조물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상방으로 상승된다. 수증기는 마스크의 내부를 거쳐 결국 비공 및 비인강내로 들어간다. 전술한 "예비-하이드레이션" 공정은 얼굴 마스크가 사용자의 코와 콧구멍 둘레에 밀봉되고 압력 조절체가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일어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하고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일반적인 부비동통의 주요 원인을 해결함으로써 매우 효과적인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를 제공하는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비동통 완화를 위한 어떠한 화학 성분도 필요로 하지 않는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체의 작동시에 코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자의 얼굴과 결합된 작동시의 수축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된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삽입형 방식으로 작동되면서도 매우 효과적인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도면부호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에서 병기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도면의 몇몇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10"으로 전체적으로 표시되고 도 1 및 도 2에서 작동 위치가 도시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가지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체(10)의 사용자 또는 환자의 다양한 효과적인 공동이 설명의 목적을 위해 도시되어 있다. 조립체(10)는 "16"에서와 같은 중공형 내부를 구비한 몸체부(14)를 갖는, "12"로 전체적으로 표시되는, 바람직하게는 작은 마스크를 포함한다. 몸체부(14)의 외측 단부는 사용자(200)의 얼굴에 밀봉체를 형성하기 위해 설계된 "20"으로 표시된 연속 주변 밀봉체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 밀봉체는 코(210)를 둘러싸서 형성되고 콧구멍(220)에 대해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구조인데, 이 구조는 조립체(10)의 작동 뿐만 아니라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콧구멍(220)을 통하여 자체적으로 비공으로 삽입되지 않는 비 삽입식이다. 더욱이, 소정의 바람직하게는 탄성 재료 밀봉체(20)는 사용자의 얼굴 및 코에 정합하는 일반적인 기밀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밀봉체(20)는 하이드로-플라스틱과 같은 자체 컨포밍 재료(self conforming material)로 형성된다. 특히, 전체 마스크(12) 또는 단순히 전체 마스크의 밀봉체는 이러한 자체 컨포밍 재료로 제조될 수 있어, 사용자는 얼굴의 외형에 밀봉체를 컨포밍시키고 유체 불삽입성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 같은 몰딩은 사용자의 얼굴에 마스크(12)를 배치함으로써 또는 다른 재료로 컨포밍되도록 재료를 가열 또는 다른 처리를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같은 일 실시예는 장치가 각가 자체의 분리할 수 있는 마스크(12)를 가지는 다수의 개인들에 의해 사용될 때 특히 적절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24"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는 연구개의 단부에서 결합되어 위치되고 일반적으로 "27"로서 비인강의 후방에 대해 다소 밀봉하는 구개수(25)의 후방 회전을 표시한다. 또한, 비공(28) 뿐만 아니라 표시된 부비동공(29 및 30)은 식도(32)의 하부로부터 격리되고 입 및 구강과 콧구멍(220)을 통하는 외부 대기압으로부터 격리된다. 이러한 격리는 비인강(27)의 후방과 결합되어 있는 구개수(25)의 후방 회전 및 사용자(200)의 코(210) 및 콧구멍(220)이 이격되고 둘러싸는 주변 밀봉체(20)의 밀봉 결합의 존재에 의해 발생된다.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부비동통 경감 조절체는 벨로우즈(33)의 형태인 압력 조절체를 포함한다. 벨로우즈(33)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래 외측으로 팽창된 위치로 되도록 편향되는 가요성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고, 탄성 재료 벌브 또는 피스톤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5"와 같은 나사형 커넥터 구조물은 몸체부(14)의 내측 단부에서 벨로우즈(33)의 내측 또는 근접 단부를 경감가능하게 그리고 마스크(12)의 몸체부(14)의 중공형 내부(16)와 직접 유체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손가락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도 2 참조), 벨로우즈(33)의 외측 또는 말단부(34)에 사용자(200)에 의한 내향 압력의 배치는 최대 공기 양이 벨로우즈(33)의 내부에 한정된 진공 챔버(36)내에 포함되는 외측 팽창 위치로부터 최소 공기 양이 진공 챔버(36) 내에 포함되는 내향 수축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수축 위치는 조립체(10)가 사용자의 얼굴을 밀봉하기 전에이루어진다. 벨로우즈(33)가 수축 위치에 위치될 때, 그리고 밀봉체(20)가 사용자(200)의 코(210) 및 콧구멍(220)에 대한 밀봉 결합 상태에 있으며, 환자는 숨을 들이쉼으로써 하부 식도(32)의 격리를 용이하게 한다. 숨을 들이쉼으로써, 방향 표시 화살표(24)에 따라, 비인강(27)와 결합되어 있는 연구개(25)의 단부의 후방 회전을 일으킨다. 실제로, 코를 둘러싸도록 사용자를 밀봉하면, 부비동공 및 비인강 내부가 저압 상태에 있게 되고 조립체(10)내로 액체를 이동시키기에 불충분한 공기 이동이 있게 된다. 벨로우즈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팽창 위치로 이동할 때, 네가티브 텐션(negstive tension) 하에 있는 공기 유동은 비공(28)의 내부로부터 몸체부(14)의 중공형 내부(16)로 이동시켜 결국 벨로우즈(33)의 진공 챔버(36)의 내부로 이동한다. 이는 초기에 비공(28) 및 비인강(27)내에 부압을 발생시킨다. 보통 부비동공(29 및 30)과 비공(28) 사이에 존재하는 통공 및 통로가 존재하기 때문에, 비공(28)내의 초기 부압은 부비동공(29 및 30)내에 있는 현재 존재하는 고압 영역일 수 있는 것으로부터 상술된 상호 연결된 통로 및 통공을 통하여 비공(28)의 현재 저압 영역으로 유체(점액, 액체, 공기)의 유동을 일으킨다. 압력은 비공(28) 및 부비동공(29 및 30) 사이에서 동일화된다. 공개의 목적을 위해 도 1에 존재하는 소정의 사선 해칭은 진공 챔버(36) 및 벨로우즈가 수축 위치에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팽창 위치로 팽창될 때, 부비동공(29 및 30)에 효과적으로 그리고 비공(28)에 가해지는 초기 부압을 나타낸다. 개인에 의한 사용 후, 조립체가 부압 상태에 있을 때, 조립체(10)는 단순히 숨을 들이쉼으로써 작동 위치로부터 경감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암형으로 한정된, 커넥터(21), 몸체부(14)의 일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및 바람직하게는 벨로우즈(33)의 내부 또는 근접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외부 나사 수형 부재(18)에 경감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특별히 구조화된 내부 나사형 칼라(17)를 더 포함한다. "19"에서와 같은 통로는 몸체부(14)의 중공형 내부(16)와 벨로우즈(33)의 내부에 형성된 진공 챔버(36) 사이의 직접적인 유체 연통을 형성하도록 수형 부재(18) 내에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21)는 경감가능하게 연결되어 암형 칼라(17)로부터 수형 부재(18)의 분리 및 작동 위치로부터 도시된 바와 같이 벨로우즈(33)가 몸체부(14)의 중공형 내부(16)에 배치되고 경감가능하게 고정된 저장위치로 허용한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 10' "로서 표시된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10)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10')의 실시예는 압력 조절체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팽창 위치로 외측으로 편향되는 플라스틱 또는 유사한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팽창가능한 벨로우즈(33')에 의해 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술된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10)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진공 챔버(36')는 벨로우즈(33')의 중공형 내부에 형성되고 벨로우즈(33')는 진공 챔버(36')로부터 대부분의 공기를 경감하도록 도 7의 팽창 위치로부터 도 6의 축소 위치로 선택적으로 가동된다. 이와 같이 경감되면, 밀봉체(20)는 밀봉 관계로 결합되고 코(210)에 대한 배치를 둘러싸고 사용자의 콧구멍(220)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관계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10')의 부가적인 구조적 특징은 "40"으로서 일반적으로 표시된 하우징의 존재를 포함하고 도 7의 팽창 위치 또는 도 6의 수축 위치에 있을 때, 벨로우즈(33')를 둘러싸고 폐쇄하게 배치되는 슬리브형 구조체(42)를 포함한다. 또한,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10')는 벨로우즈(33')의 " 34' "와 같은 외측 또는 말단부에 고정되는 위치선정 부재(44)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6a에서와 같이 필요하지 않지만, 도 5의 "37"과 같이 일제로 형성된 돌출부는 원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위치선정 부재(44)는 벨로우즈(33')에 연결되어 벨로우즈와 함께 이동하고 도 7의 팽창 위치로부터 도 5 및 도 6의 축소 위치로 벨로우즈(33')의 선택적인 위치를 선정한다. 이 같은 배치는 사용자의 하나의 손가락이 위치선정 부재(44)의 외부에 위치선정될 수 있고 내향력이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45)에 따라 위치선정 부재에 인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0의 배치와 유사하게 달성된다.
또한 로크 조립체에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부비동통(sinus pain) 경감 조립체(10')가 포함된다. 로크 조립체는 위치 결정 부재(44)에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그와 함께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 1 로킹 부재(46)를 포함한다. 제 2 로킹 부재는 위치 결정 부재(44)의 제 1 로킹 부재(46)의 이동 경로 내로 연장하는 도면 부호 48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내향 쇼율더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치 결정 부재(44)에 가해진 내향힘은 제 2 로킹 부재(48)가 도시된 것처럼 위치 결정 부재의 제 1 로킹 부재(46)를 탈착식으로 결합시킬 때까지 위치 결정 부재를 위치시키도록 작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벨로우즈(33')가 수축 위치 내에 유지되어야 함이 명백하다. 밀봉체(20)는 그 후 얼굴과 밀봉 결합되고 사용자(200)의 코(210)와 콧구멍(220) 주위를 둘러싼다. 적절하게 밀봉되고 몸체부(14)의 중공형 내부(16)와 진공 챔버(36')가 서로 직접 유체 연통될 때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52로 표시된 해체 메카니즘이 작동된다. 이러한 작동은 사용자(200)의 적절히 위치된 손가락(55, 56)에 의해 해체 부재(54)에 가해진 내향힘에 의해 일어난다. 방향 화살표(57)에 따른 이러한 내향힘에 의해 부재(54)에 부착된 손가락(58)은 위치 결정 부재(44)에 있는 제 1 로킹 부재(46)와 결합한다. 이로 인해 제 1 로킹 부재(46)는 내부로 수축하게 되어 이들 로킹 부재(46)가 제 2 로킹 부재(48)와 분리된다. 벨로우즈(33')의 고유한 유연성 및 구조적 경향으로 인해 벨로우즈는 도 7에 도시된 팽창 위치로 외측으로 이동할 것이다. 공기가 비공(28, nasal cavity)으로부터 몸체부(14)의 중공형 내부(16) 및 통로(19)를 통해 진공 챔버(36')의 내부로 흐를 때 부압이 비공(28) 내에 형성될 것이다. 해체 조립체(52)의 작동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해체 부재(54)를 일반적으로 가장 먼 위치에 위치시키는 도면 부호 60의 편향(biasing)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된다. 하우징 몸체(42)에 바람직하게 일체식으로 형성된 돌출부(62)는 전술한 것처럼 해체 부재(54)를 적절하게 향하게 하고 위치시키기 위해 해체 부재(54) 내에 일체식으로 형성된 트랙 또는 그루브 내에서 이동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70으로 도시된 하나 이상의 블록 부재는 하우징 몸체(42)에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명확하게 설명된 것처럼 제 1 로킹 부재(46)와의 결합을 통해 위치 결정 부재(44)의 최외각 연장을 제한한다.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10")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작동 위치가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10")는 진공 챔버(82)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편향 스프링(84)에 의해 정상적으로 외부 팽창된 위치로 편향된 가동 진공 피스톤(80)을 포함한다. 피스톤(80)의 이동은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것처럼 피스톤(80)의 말단부에 초기에 연결된 위치 결정 부재(86)의 조작에 의해 수행된다. 압력 조절 조립체는 진공 챔버(82)를 한정하고 피스톤(80)이 내부에서 전술된 도 8의 팽창 위치와 도 11의 수축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중공형 내부를 갖는 몸체(88)를 포함한다. 통풍 조립체(90)는 압력 조절 조립체의 하우징(88)에 형성되고 통풍 구멍(94)을 정상적으로 밀봉시키는 바람직하게 플랩 밸브 형태의 밸브 부재(92)를 포함한다. 그러나, 피스톤(80)이 진공 챔버(82)로 내측으로 향하게 될때 피스톤은 수축 위치에 있게 된다(도 11 참조). 진공 챔버(82) 내의 공기는 정상적으로 플랩 밸브(92)가 내부의 공기 압력을 해제하도록 외부로 힘을 받을 때 통풍 구멍(94)을 통해 배출될 것이다. 위치 결정 부재(86)는 물론 사용자의 적절한 손가락에 의해 조작되어 방향 화살표(85)로 표시된 것처럼 힘을 받는다. 유사하게, 도면 부호 95로 표시된 진공 통로는 밀봉체(20, 도시 않음)가 사용자의 얼굴과 전술한 밀봉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 비공(28) 뿐만 아니라 진공 챔버(82)와 몸체부(14')의 중공형 내부(16') 사이에 직접 유체 연통을 형성한다. 조절 스크류가 진공 통로(95)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배치되고 구성된다.
추가적인 실시예인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10")의 다른 구조적 특징으로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고 위치 결정 부재(86)에 일체식으로 부착되며 도면 부호 97로표시된 연장 아암 형태의 로크 및 언로크 부재를 포함한다. 게다가, 도면 부호 99로 표시된 피스톤 결합 탱(tang)이 또한 로크 및 언로크 아암(97)에 일체식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를 이동한다. 도 8에 도시된 위치에서 이들 탱(99)은 피스톤(80)의 최외각 단부와 결합하여 피스톤을 도 8의 연장 위치에서 도 11의 수축 위치로 아래로 향하게 힘을 가한다. 이러한 탱(99)은 스트로크 중 왕복 이동 중에 위치 결정 부재(86)의 안내를 위해 압력 조절 조립체의 하우징(88) 내에 형성된 피스톤 결합 탱 슬롯(100) 내에서 이동한다.
또한 도면 부호 101로 표시된 언로킹 쇼율더가 하우징(88)에 포함되고 일체식으로 형성되며 피스톤 결합 탱(99)의 하부 이동을 방해하도록 배열된다. 쇼울더(101)가 탱(99)과 결합하면 로크 및 언로크 아암(97)은 외측으로 힘을 받아(도 11 참조) 위치 결정 부재(86)를 피스톤으로부터 해체시키고 위치 결정 부재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피스톤(80)의 초기 상방향 이동을 야기한다. 피스톤(80)의 팽창 위치에서 상방향 이동은 편향 스프링(84)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야기될 것이다.
위치 결정 부재(86)에 형성된 업 로크(102)는 하우징(88)에 형성된 업 로크 그루브(104)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며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것처럼 위치 결정 부재(86)의 외부 연장을 제한한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다양한 작동 위치의 철저한 조사에 의해 위치 결정 부재(86)에 가해지는 하방향 힘(85)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피스톤(80)을 수축 위치로 아래로 이동시킴을 알 수 있다. 위치 결정 부재(86)의 계속된 하방향 이동으로 언로킹 쇼울더(101)와 로킹 및 언로킹 아암(97)의 탱(99)이 교대로 결합할 것이다. 그러므로 위치 결정 부재(86)는 피스톤으로부터 분리되어 편향 스프링(84)에 의해 가해진 힘과 위치 결정 부재(86)의 영구 상방향 이동으로 인해 피스톤(80)의 상방향 이동을 허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며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50으로 표시된 하이드레이터 조립체는 중공형 내부(153, 도 14 참조)를 갖는 하이드레이터 하우징(152)을 포함한다. 하우징(152)의 상단부는 결합 또는 연결 칼라(156)에 의해 둘러싸인 도면 부호 155로 표시된 개구를 갖는다. 개스킷 또는 밀봉 구조물(158)은 연결 칼라(156)의 주변에 배치되고 밀봉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마스크의 몸체부(14')의 외측 표면과 결합하도록 특별히 형성된다. 상부 개구 또는 구멍(155)은 연결 또는 결합 칼라(156)가 몸체부(14')에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도면 부호 160으로 표시된 특별히 치수 결정되고 구성된 개구를 통과한다는 점에서 몸체부(14')의 중공형 내부(16)와 직접 연통한다. 하이드레이터 조립체(150)가 사용되지 않거나 몸체부(14')에 탈착되어 배치될 때, 플러그와 같은 밀폐 부재(명확함을 위해 도시 않음)가 몸체부(14')의 개구(160)를 밀폐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레이터 조립체(150)는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자 또는 환자의 손에 의해 개방 및 밀폐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는 외부 조작 가능 손잡이(164)를 갖는 밸브 조립체(162)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밸브 구조물(162)은 하이드레이터 몸체(152)의 내부(153)와 상단부에 있는 개구(155) 사이에 유체 연통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일체식으로 내부에형성된 통로(166)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몸체부(14')가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코 및 콧구멍에 적절히 위치되고 밀봉되면 몸체부(14')의 중공형 내부(16) 또한 비공과 비인강와 직접 유체 연통을 형성한다.
작동 중에, 하이드레이터 몸체(152)를 몸체부(14')에 끼워맞춤하기 전에, 하이드레이터 몸체(152)는 도면 부호 170으로 표시된 고온수 또는 식염수로 채워지고, 밸브 구조물(162)은 개방 위치에 있게 된다. 하이드레이터 몸체가 채워지면, 밸브 구조물은 밸브 구조물(162)의 도면 부호 169로 표시된 고체부가 하이드레이터의 내부(153)와 개구(155) 사이의 연통을 막도록 밀폐 위치로 이동된다. 밸브가 밀폐된 위치에 있을 경우, 개구(155)는 개구(160)를 통한 연결 칼라(156)의 삽입 및 전술한 개스킷 또는 밀봉 구조물(158)의 제공으로 인해 몸체부(14')의 외부와 밀봉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몸체부(14')의 중공형 내부(16)와 직접 연통하게 위치된다. 압력 조절 조립체는 그 후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수축 위치에 위치된다. 수축 위치에 위치되면, 밸브 구조물(162)은 도 14에 도시된 위치에서 개방되고 수증기 또는 증기가 몸체부(14')의 중공형 내부로 위로 통과하도록 허용된다. 적절한 비공 및/또는 비인강 예비 하이드레이션이 완성될 때, 밸브 구조물(162)은 다시 밀폐 위치에 배치된다. 예비 하이드레이션 후에, 환자 또는 사용자는 빨아들이고 벨로우즈(33')는 팽창 위치로 해제되어 비공 및 비인강 내에 초기 부압을 생성시킨다.
소형 진공 펌프와 같은 많은 수정, 변경 및 변화가 본 발명의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 있는 모든 사항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단지 설명의 목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54)

  1.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로서,
    사용자의 얼굴에 경감가능하게 장착되며 실질적으로 중공형인 내측부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외측 단부 및 내측 단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갖춘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외측 단부에 배열되어 상기 외측 단부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연속되게 연장하는 밀봉체, 및
    일반적으로 상기 몸체부의 외측 단부에 협력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에 유체 연통되게 배열되는 진공 챔버를 가지는 압력 조절체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체는 사용자의 얼굴과 밀봉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사용자의 콧구멍에 대해 외측으로 이격되게 사용자의 코를 감싸도록 상기 마스크의 몸체부에 상응하는 치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 조절체는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감소된 체적으로 정의되는 수축 위치와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증가된 체적으로 정의되는 팽창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정상적으로는 상기 팽창 위치쪽으로 편향되며,
    상기 마스크와 진공 챔버는 사용자의 얼굴과 밀봉 결합을 형성하는 상기 밀봉체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 작동 위치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진공 챔버와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는 사용자의 비공 및 비인강과 유체 연통되게 동시 배열되어서 사용자의 비공과 비인강 사이 및 중이와 부비동공 사이의 압력을 평형화시킴으로써 부비동통과 중이의 압력을 경감시키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숨을 들이쉬는 동안 상기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의 상기 압력 조절체의 배치는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로부터 상기 진공 챔버로의 공기 흐름을 한정하고 상기 비공과 비인강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체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는 벨로우즈와 내측에 형성되는 진공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수축 위치와 팽창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구성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마스크 몸체부에 대해 외측으로 접근가능한 위치에서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과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상기 팽창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 확실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 단부와 경감가능하게 결합되고 저장 위치로 선택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저장 위치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 단부쪽으로 내측으로 연장하는 벨로우즈에 의해 정의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6.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로서,
    사용자의 얼굴에 경감가능하게 장착되며 실질적으로 중공형인 내측부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외측 단부 및 내측 단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갖춘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외측 단부에 배열되어 상기 외측 단부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연속되게 연장하는 밀봉체와,
    일반적으로 상기 몸체부의 외측 단부에 협력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에 유체 연통되게 배열되는 진공 챔버를 가지는 압력 조절체, 및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로부터 상기 진공 챔버로의 공기 흐름을 한정하고 상기 비공과 비인강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사용자가 숨을 들이쉬는 동안 상기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의 상기 압력 조절체의 배치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체는 사용자의 얼굴과 밀봉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사용자의 콧구멍에 대해 외측으로 이격되게 사용자의 코를 감싸도록 상기 마스크의 몸체부에 상응하는 치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 조절체는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감소된 체적으로 정의되는 수축 위치와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증가된 체적으로 정의되는 팽창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와 진공 챔버는 사용자의 얼굴과 밀봉 결합을 형성하는 상기 밀봉체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 작동 위치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진공 챔버와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는 사용자의 비공 및 비인강과 유체 연통되게 동시 배열되어서 사용자의 비공과 비인강 사이 및 중이와 부비동공 사이의 압력을 평형화시킴으로써 부비동통과 중이의 압력을 경감시키며,
    상기 압력 조절체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는 벨로우즈와 내측에 형성되는 진공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수축 위치와 팽창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 단부와 경감가능하게 결합되고 저장 위치로 선택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저장 위치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 단부쪽으로 내측으로 연장하는 벨로우즈에 의해 정의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체는 상기 벨로우즈와 협력되게 배열되고 상기 수축 위치와 팽창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선정 부재는 상기 벨로우즈의 외측 단부와 협력되게 결합되고 내측으로의 힘이 사용자에 의해 위치선정 부재에 가해질 때 상기 하우징 내에서 함께 이동될 수 있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선정 부재와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로크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크 조립체는 충분한 내측으로의 힘이 사용자에 의해 위치선정 부재에 가해질 때 상기 수축 위치에 벨로우즈를 경감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조립체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위치는 위치선정 부재 상에 형성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부분과 로킹가능한 결합 관계로 상기 하우징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은 서로 로킹 및 로킹 해제되도록 선택적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벨로우즈를 상기 수축 위치에 경감가능하게 고정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부분에 대한 상기 제 1 부분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 1 부분과 결합 또는 제 1 부분과 해제되게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해제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조립체는 외측 연장 위치와 내측 연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측으로 접근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해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해제 부재는 정상적으로 상기 외측 연장 위치로 평향되어 있고 사용자의 손에 의해 상기 위치선정 부재에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외측 연장 위치 및 상기 로크 조립체의 제 1 부분과의 변위 결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13. 제 9 항에 있어서,
    외측으로 접근가능한 해제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제 조립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해제 조립체에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수축 위치로부터 상기 벨로우즈를 변위시키기 위해 상기 로크 조립체와 변위 결합되게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체는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수축 위치와 팽창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을 상기 팽창 위치에 결합하고 정상적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스프링을 포함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통풍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풍 조립체는 상기 수축 위치와 팽창 위치 사이의 상기 진공 챔버 내에서 상기 피스톤이 이동할 때 상기 하우징의 외측부와 상기 진공 챔버 사이에서의 유체 흐름을 조절하도록 배치되고 구성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조립체는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밸브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구조물은 상기 피스톤이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진공 챔버로의 공기 흐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팽창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진공 챔버로부터 하우징의 외측으로의 공기 흐름을 촉진하도록 구성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체는 상기 피스톤과 결합하는 피스톤 부재를 더 포함하며, 내측 방향으로의 힘이 사용자의 손에 의해 상기 위치선정 부재에 가해지고 편향력이 상기 편향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피스톤에 가해질 때 상기 팽창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함께 이동될 수 있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선정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해제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제 조립체는 상기 수축 위치로부터 상기 팽창 위치로의 상기 위치선정 부재에 대한 피스톤의 이동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19.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로서,
    사용자의 얼굴에 경감가능하게 장착되며 실질적으로 중공형인 내측부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외측 단부 및 내측 단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갖춘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외측 단부에 배열되어 상기 외측 단부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연속되게 연장하는 밀봉체와,
    일반적으로 상기 몸체부의 외측 단부에 협력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에 유체 연통되게 배열되는 진공 챔버를 가지는 압력 조절체, 및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와 직접적으로 유체 연통되게 경감가능하게 연결된 하이드레이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체는 사용자의 얼굴과 밀봉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사용자의 콧구멍에 대해 외측으로 이격되게 사용자의 코를 감싸도록 상기 마스크의 몸체부에 상응하는 치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 조절체는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감소된 체적으로 정의되는 수축 위치와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증가된 체적으로 정의되는 팽창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와 진공 챔버는 사용자의 얼굴과 밀봉 결합을 형성하는 상기 밀봉체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 작동 위치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진공 챔버와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는 사용자의 비공 및 비인강과 유체 연통되게 동시 배열되어서 사용자의 비공과 비인강 사이 및 중이와 부비동공 사이의 압력을 평형화시킴으로써 부비동통과 중이의 압력을 경감시키며,
    상기 하이드레이터 조립체는 내부에 가열된 액체를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내측 챔버를 갖춘 하이드레이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드레이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와 연통되게 배열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레이터 조립체는 상기 하이드레이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밸브 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구조물은 상기 내측 챔버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로의 유체 흐름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레이터 조립체는 상기 하이드레이터 하우징의 외측부에 있는 개구에 대해 실질적으로 감쌀 수 있게 위치되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외측면과 밀봉 결합되도록 배치 및 구성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22.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로서,
    사용자의 얼굴에 경감가능하게 장착되며 실질적으로 중공형인 내측부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외측 단부 및 내측 단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갖춘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외측 단부에 배열되어 상기 외측 단부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연속되게 연장하는 밀봉체, 및
    일반적으로 상기 몸체부의 외측 단부에 협력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에 유체 연통되게 배열되는 진공 챔버를 가지는 압력 조절체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체는 사용자의 얼굴과 밀봉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상용자의 코 및 콧구멍을 감싸도록 상기 몸체부에 상응하는 치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 조절체는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감소된 체적으로 정의되는 수축 위치와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증가된 체적으로 정의되는 팽창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와 진공 챔버는 사용자의 얼굴과 밀봉 결합을 형성하는 상기 밀봉체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 작동 위치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진공 챔버와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는 비공 및 비인강과 유체 연통되게 동시 배열되어서, 부비동통과 중이의 압력을 경감시키며,
    상기 압력 조절체는 상기 압력 조절체의 외측 단부와 결합되는 위치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내향력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위치선정 부재에 적용될 때 상기 위치선정 부재는 상기 팽창 위치와 상기 수축 위치 사이에서 가동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합치하도록 구성된 성형 재료로 형성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재료는 하이드로-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25.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로서,
    사용자의 얼굴에 경감가능하게 장착되며 실질적으로 중공형인 내측부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외측 단부 및 내측 단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갖춘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외측 단부에 배열되어 상기 외측 단부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연속되게 연장하는 밀봉체, 및
    일반적으로 상기 몸체부의 외측 단부에 협력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에 유체 연통되게 배열되는 진공 챔버를 가지는 압력 조절체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체는 사용자의 얼굴과 밀봉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사용자의 콧구멍에 대해 외측으로 이격되게 사용자의 코를 감싸도록 상기 마스크의 몸체부에 상응하는 치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 조절체는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감소된 체적으로 정의되는 수축 위치와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증가된 체적으로 정의되는 팽창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와 진공 챔버는 사용자의 얼굴과 밀봉 결합을 형성하는 상기 밀봉체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 작동 위치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진공 챔버와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는 사용자의 비공 및 비인강과 유체 연통되게 동시 배열되어서 사용자의 비공과 비인강 사이 및 중이와 부비동공 사이의 압력을 평형화시킴으로써 부비동통과 중이의 압력을 경감시키며,
    사용자가 숨을 들이쉬는 동안 상기 수축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의 상기 압력 조절체의 배치는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측부로부터 상기 진공 챔버로의 공기 흐름을 한정하고 상기 비공과 비인강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며,
    상기 압력 조절체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 단부와 결합되고 저장 위치로 선택가능하게 위치가능하고, 상기 저장 위치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내측 단부에 부칙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중공형 내부로 연장되는 상기 압력 조절체에 의해 한정되는,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26.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으로서,
    비공을 외부 대기압으로부터 격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비공을 식도와 연통되는 유체로부터 격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비공 내부에 예정된 부압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비동공으로부터 상기 비공으로 유체를 이송시키기에 적어도 충분하게 되는 예정된 부압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을 격리시키는 단계는, 인간의 코 및 콧구멍을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을 격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코 및 상기 콧구멍에 대해 실질적으로 유체 타이트 밀봉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실질적인 유체 타이트 밀봉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외측으로 이격하여 인간의 코 및 콧구멍에 대해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30. 제 27 항에 있어서,
    인간의 코 및 콧구멍을 둘러싸는 격리 폐쇄부의 내부 사이에 유체 연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폐쇄부의 내부에 부압을 포함하고 인간의 콧구멍을 통하여 비공으로 부압을 연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구개수와 상기 비인강의 후방부의 결합부를 밀봉함으로써 상기 비공을 식도와 격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사람이 숨을 들이쉼으로써 상기 구개수와 상기 비인강의 후방부의 결합부를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 내에 부압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비공을 적어도 최소한으로 하이드레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을 외부 대기압으로부터 격리하는 단계 및 상기 격리 폐쇄부의 내부와 상기 비공 사이에 유체 연통을 형성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격리 폐쇄부의 내부로 증기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인간의 콧구멍을 통하여 상기 비공을 하이드레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을 하이드레이팅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비공내에 예정된 부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폐쇄부의 내부 내에 부압을 형성하고 인간의 콧구멍을 통하여 상기 비공으로 부압을 연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3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 내에 부압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비공을 적어도 최소한으로 하이드레이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인간의 콧구멍을 통하여 상기 비공을 하이드레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의 하이드레이션에 후속하여 상기 비공 내에 예정된 부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4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개수와 상기 비인강의 후방부의 연결부를 밀봉하여 상기 식도로부터 상기 비공을 격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인간이 숨을 들이쉼으로써 상기 비인강의 후방부와 상기 구개수와의 밀봉 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44.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으로서,
    외부 대기압 및 식도와 연통되는 유체로부터 비공 및 비인강를 격리하는 단계와,
    상기 비공 및 상기 비인강의 격리에 후속하고 격리하는 동안 상기 비공 및 상기 비인강 내에 적어도 예정된 최소 부압을 형성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부비동공으로부터 상기 비공으로 유체 이송을 강제하기에 충분한 예정된 최소 부압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인강의 후방부와 상기 구개수와의 결합부를 밀봉하여 상기 식도로부터 상기 비공을 격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인간이 숨을 들이쉼으로써 상기 비인강의 후방부와 상기 구개수와의 결합 밀봉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47.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으로서,
    외부 대기 상태로부터 코 및 콧구멍을 격리하는 단계와,
    인간의 적어도 코 및 콧구멍에 대해 둘러싸는 실질적인 유체 타이트 밀봉체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압력으로부터 비공 및 비인강를 격리하는 단계와,
    상기 구개수와 상기 비인강의 후방부 사이의 밀봉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비공 및 비인강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한하는 단계와,
    상기 비공 및 비인강 및 부압 공급원 사이의 유체 연통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부비동공으로부터 상기 비공으로 유체 흐름을 강제하도록 충분한 부압을 상기 비공 및 비인강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48. 제 47 항에 있어서,
    대기압으로부터 상기 비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대기 상태로부터 코 및 콧구멍을 분리하도록 인간의 얼굴을 감싸는, 실질적으로 밀봉하는 결합부와, 인간의 코 및 콧구멍을 덮는 폐쇄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49. 제 48 항에 있어서,
    외부 대기압으로부터 상기 비공 및 비인강를 격리하도록 동시에 식도를 구비한 비인강와 상기 비공의 유체 연통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인간이 숨을 들이쉼으로써 상기 구개수와 상기 비인강의 후방부의 밀봉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식도와 유체 연통되는 것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 및 비인강가 외부 대기압 및 상기 식도의 유체 연통으로부터 격리되는 동안, 상기 부압 공급원 및 상기 비공 및 비인강 사이의 직접적인 유체 연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 및 비인강 및 식도 사이의 유체 연통을 설정함으로써 인간의 얼굴과의 실질적인 밀봉 결합부로부터 폐쇄부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인강의 후방부와의 밀봉 결합부로부터 상기 구개수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비인강와 상기 비공 사이의 유체 연통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54. 제 53 항에 있어서,
    인간이 숨을 들이쉼으로써 상기 비인강의 후방부와의 결합 관계로부터 상기 상기 구개수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부비동통을 경감하기 위한 비삽입식 방법.
KR10-2003-7008477A 2000-12-22 2000-12-22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KR200300769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0/035142 WO2002051298A2 (en) 2000-12-22 2000-12-22 A non-invasive sinus pain relieving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995A true KR20030076995A (ko) 2003-09-29

Family

ID=21742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477A KR20030076995A (ko) 2000-12-22 2000-12-22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345659A4 (ko)
JP (1) JP2004516091A (ko)
KR (1) KR20030076995A (ko)
AU (1) AU2001225951A1 (ko)
WO (1) WO200205129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097A (ko) * 2018-07-26 2020-02-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상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상대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7185B2 (ja) * 2010-10-22 2016-10-12 アビゴ メディカル エービー 中耳内の圧力の等化を行うための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294A (en) * 1903-06-19 1903-11-03 Vernon Knowles Anesthetic apparatus.
USRE24193E (en) * 1945-02-17 1956-08-07 Pressure resuscitator
US2485184A (en) * 1948-05-07 1949-10-18 Premo Pharmaceutical Lab Inc Nebulizer
US2737177A (en) * 1951-08-28 1956-03-06 Laubscher & Co A G Life-restoring apparatus
US3667463A (en) * 1969-11-14 1972-06-06 David L Barnes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
US3991762A (en) * 1974-09-30 1976-11-16 Radford F Richard Aspirating device for patient ventilation apparatus
US4403611A (en) * 1980-07-17 1983-09-13 Babbitt Gerald J Sinus evacuator apparatus
US4498472A (en) * 1983-01-27 1985-02-12 Tanaka John S Smoke mask
DK156028C (da) * 1986-05-16 1989-11-06 Testa Lab A S Aspirator
AU604028B2 (en) * 1986-06-18 1990-12-06 Allan Samuel Garfiel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US5067487A (en) * 1986-07-07 1991-11-26 Jack Bauman Resuscitator
US4817626A (en) * 1987-04-27 1989-04-04 Hal Blaine Nasal exhaler and method
US4934359A (en) * 1987-09-03 1990-06-19 Hal Blaine Nasal exhaler and method
US5062835A (en) * 1988-01-15 1991-11-05 Maitz Carlos A Aspirator device for body fluids
US4995386A (en) * 1988-11-18 1991-02-26 Ng Raymond C Neonstal mucus extractor
US5114415A (en) * 1989-06-14 1992-05-19 Susan Shedlock Apparatus for suctioning secretions from upper airways
GB2245833A (en) * 1990-06-26 1992-01-15 Femcare Ltd Mucus extractor
US5527275A (en) * 1991-01-22 1996-06-18 Ginsberg; Irwin A. Automated ear cleansing device
SE9100791D0 (sv) * 1991-03-15 1991-03-15 Abigo Medical Ab Anordning foer tryckutjaemning i mellanoerat
US5098386A (en) * 1991-05-17 1992-03-24 Smith Ina L Infant nasal suction apparatus
FR2706775A1 (en) * 1993-06-23 1994-12-30 Achard Michel Tip intended for an apparatus for dispensing and/or sampling a fluid substance, in particular in the medical field, and apparatus allowing its implementation
US5599332A (en) * 1995-12-22 1997-02-04 Cashel; Karen A. Portable receptacle for receiving and containing emesis
US5944013A (en) * 1998-12-11 1999-08-31 Burch; John M. Resuscit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097A (ko) * 2018-07-26 2020-02-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상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비상대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51298A2 (en) 2002-07-04
EP1345659A4 (en) 2009-06-03
EP1345659A2 (en) 2003-09-24
JP2004516091A (ja) 2004-06-03
AU2001225951A1 (en) 2002-07-08
WO2002051298A3 (en) 200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3445B1 (en) Non-invasive sinus pain relieving assembly and method
JP4166582B2 (ja) 酸素マスクの補助なく行う人工呼吸用のヘルメット
US4328797A (en) Naso-gastric oxygen mask
US6062219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is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4627433A (en) Tracheostomy device
US4596248A (en) Tracheostomy device
EP3108919B1 (en) System for delivery of pressurized gases
US5584288A (en) Multi-stage mouth-to-mouth resuscitator valve
US5060644A (en) Hyperbaric chamber apparatus
WO2018013893A1 (en) Nasal interface for cpap device
JPH02168965A (ja) 使い捨て蘇生器
JP6007185B2 (ja) 中耳内の圧力の等化を行うためのデバイス
GB1414523A (en) Voice prosthesis
US20050267386A1 (en) Breast tissue expanding device
EP0898485B1 (en) Cpr device having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duration and magnitude of negative intra-thoracic pressure
US20020078952A1 (en) Non-invasive sinus pain relieving assembly and method
KR20030076995A (ko) 비삽입식 부비동통 경감 조립체
US20180161527A1 (en) Eustachian tube dilation device
CN107157652A (zh) 可视调压鼓膜微振仪
US20200238034A1 (en) Laryngeal mask airway device
KR102236197B1 (ko) 감압 속도 조절 부항컵 및 감압 속도 조절 부항 장치
CN207462197U (zh) 一种自带保护结构的漏斗胸矫正装置
WO1982000254A1 (en) Naso-gastric oxygen mask
US20240173468A1 (en) Pressure relief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an airway
CN108653892A (zh) 一种多功能无创呼吸机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