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5986A - 병 또는 음료 용기 입구부에 조립되는 완충부재 및 이완충부재가 조립된 용기 - Google Patents

병 또는 음료 용기 입구부에 조립되는 완충부재 및 이완충부재가 조립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5986A
KR20030075986A KR1020020015601A KR20020015601A KR20030075986A KR 20030075986 A KR20030075986 A KR 20030075986A KR 1020020015601 A KR1020020015601 A KR 1020020015601A KR 20020015601 A KR20020015601 A KR 20020015601A KR 20030075986 A KR20030075986 A KR 20030075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uffer member
assembled
content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균
Original Assignee
허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균 filed Critical 허균
Publication of KR2003007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9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8Caps or cap-like covers combined with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료 병은 내용물이 입안으로 들어갈 때 공기와 함께 혼합되어 서서히 들어갈 수 있도록 완충부재가 병 입구부에 일체로 조립 또는 부착되거나 또는 완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중간부재를 병 몸체와 뚜껑 사이에 조립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 입구부의 완충부재는 입술모양, 하트모양, 글씨모양, 동식물모양, 캐릭터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하여 심미감은 물론 내용물을 기분좋게 마실 수 있도록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병 입구부에 조립된 완충부재의 형상을 소비자가 미리 알 수 있도록 병뚜껑에 그 완충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인쇄하거나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병 또는 음료 용기 입구부에 조립되는 완충부재 및 이 완충부재가 조립된 용기{Buffer Member Assembled At the Entry of Bottle or Container and the Container Assembled with the Buffer Member}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생수, 청량음료, 과일쥬스, 각종 주류를 담을 수 있는 병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각종 내용물을 담는 PET(폴리에스터)병 또는 유리 병의 입구부에는 물론 기타 다른 용기의 주입구에 삽입되어 특정한 형상을 갖고 액체 유출의 완충역할을 할 수 있는 완충부재 및 이를 조립 또는 부착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PET병 또는 유리병과 같은 용기는 생수를 비롯하여 청량음료, 과일쥬스, 각종 주류를 담는 용기로 널리 알려져 있다. 종래의 병은 내용물을 충진한 후 마개를 닫아서 밀봉하고 있다. 병의 입구부에는 아무런 완충부재가 없기 때문에, 때때로 내용물이 한꺼번에 입속으로 쏟아져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장거리를 운전하는 운전자들은 운전중에 생수 등을 마시게 되는데, 이 경우 내용물이 입속으로 왈칵 쏟아져서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PET병 또는 유리병의 입구부에 완충부재를 형성하여 내용물이 서서히 입속으로 들어가고, 또한 공기와 함께 내용물이 입속으로 들어감으로써 청량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도록 병 입구부에 일종의 완충부재를 형성한 병 입구부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자는 완충부재가 병 입구부에 형성된 음료병을 개발하여 이미 특허출원 제2002-12815호(2002년 3월 11일 출원)로 특허출원을 하였다. 그러나 출원된 발명의 제품은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그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금형비가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금형상의 문제점을 제거하여 간편하게 완충부재를 사출성형으로 제조하고, 사출된 완충부재를 병 또는 원통형 형상의 주입구에 삽입 또는 부착할 수 있는 완충부재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완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중간부재를 병 몸체와 뚜껑 사이에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병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자는 병 입구부에 조립되는 모양형성부재의 모양을 다양화함으로써 음료수 등을 기분좋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병 입구부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PET 병의 내용물이 입속으로 서서히 들어갈 수 있도록 입구부에 완충부재가 일체로 조립된 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ET 병의 내용물이 입속으로 서서히 들어갈 수 있도록 입구부에 완충부재가 일체로 부착된 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병의 내용물이 공기와 함께 입속으로 들어감으로써 청량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입구부에 완충부재가 일체로 조립된 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중간부재를 병 몸체와 뚜껑 사이에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병의 입구부에 조립되는 완충부재의 모양을 다양화하여 심미감은 물론 기분좋게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입구부에 완충부재가 일체로 조립된 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음료 병의 입구부 및 완충부재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완충부재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가 음료 병의 입구부에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음료 병으로, 병 몸체, 병 뚜껑, 및 병 몸체와 뚜껑 사이에 조립되는 완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중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제5도는 완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중간부재를 병 몸체와 뚜껑 사이에 조립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음료 병으로, 완충부재가 병 몸체 입구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병 몸체2: 완충부재
3: 뚜껑 4: 중간부재
21: 테두리 22, 41: 모양형성부재
23: 공간부 24: 저면 돌출테두리
31: 하부 링(ring) 32: 접합부
본 발명의 음료 병은 내용물이 입안으로 들어갈 때 공기와 함께 혼합되어 서서히 들어갈 수 있도록 완충부재가 병 입구부에 일체로 조립 또는 부착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 입구부의 완충부재는 입술모양, 하트모양, 글씨모양, 동식물모양, 캐릭터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하여 심미감은 물론 내용물을 기분좋게 마실 수 있도록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병 입구부에 조립된 완충부재의 형상을 소비자가 미리 알 수 있도록 병뚜껑에 그 완충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인쇄하거나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음료 병의 입구부 및 완충부재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완충부재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가 음료 병의 입구부에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병 몸체(1) 입구부의 내부쪽에 완충부재(2)가 일체로 조립되고, 그 위에 종래의 뚜껑(3)이 닫혀진다. 제1도는 입술모양의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입구부이다. 입술모양의 완충부재는 실제로 입술과 같은 느낌을 부여하도록 양감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루즈색상을 갖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함으로써 실제 입술과 같은 느낌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3)의 상부면에도 입술모양을 인쇄하거나 또는 성형하여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할 때 그 완충부재의 모양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입술모양의 완충부재(2)는 병 몸체(1)의 입구부에 조립될 때, 입구부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테두리(21)가 형성되고, 입구부에 꼭 끼도록 저면 돌출테두리(24)가 형성되며, 입술모양의 모양형성부재(22)가 형성되고, 완충부재가 입구부에 삽입된 후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공간부(23)가 모양형성부재(22)의 모양에 따라 적절히 형성된다.
예를 들어, 모양형성부재는 하트모양, 복(福)자, LOVE 등과 같은 글씨모양, 동식물모양, 캐릭터, 기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 가지 형상의 완충부재가 병 입구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마시는 경우에 내용물이 한꺼번에 입속으로 과량 들어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음료 병으로, 병 몸체(1), 병 뚜껑(3), 및 병 몸체와 뚜껑 사이에 조립되는 완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중간부재(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제4도의 병에 있어서는, 병 몸체(1), 병 뚜껑(3) 및 중간부재(4)는 각각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중간부재에는 특정한 모양의 모양형성부재(41)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5도는 완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중간부재를 병 몸체와 뚜껑 사이에 조립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중간부재(4)와 병 몸체(1)는 밀봉되도록 결합된다. 그래야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는다. 중간부재와 병 몸체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기 때문에 이들을 서로 밀봉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중간부재의 상부쪽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종래의 병과 같이 뚜껑이 조립된다. 뚜껑의 하부쪽에는 종래의 병과 같이 하부링(31)이 형성되고 하부링은 접합부(32)에 의하여 뚜껑(3)과 일체로 결합된다. 뚜껑을 열면 접합부가 절단되고, 뚜껑은 하부링으로부터 분리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음료 병으로, 완충부재(2)가 병 몸체(1) 입구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완충부재(2)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병 몸체(1) 입구부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완충부재는 합성수지 또는 유리를 원료로 하는 병에 적용될 수 있고, 파우치와 같은 용기에 원통형의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 주입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완충부재는 병의 색상과는 달리 완충부재 각각의 모양에 따라 특정안료가 배합된 합성수지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술모양의 완충부재인 경우에는 루즈 색상을 갖는 수지를 사용하여 미감을 한층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PET병 또는 유리병의 내용물이 입속으로 서서히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병의 내용물이 공기와 함께 입속으로 들어감으로써 청량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으며, 병의 입구부에 형성되는 완충부재의 모양을 다양화하여 심미감은 물론 기분좋게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입구부에 완충부재가 일체로 조립된 병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4)

  1. 음료 병의 내용물이 입안으로 들어갈 때 공기와 함께 혼합되어 서서히 들어갈 수 있도록 병 입구부에 일체로 조립되고, 병 입구부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테두리(21)가 형성되고, 입구부에 꼭 끼도록 저면 돌출테두리(24)가 형성되며, 입술모양의 모양형성부재(22)가 형성되고, 완충부재가 입구부에 삽입된 후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공간부(23)가 모양형성부재(22)의 모양에 따라 적절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
  2. 제1항의 완충부재가 병 입구부 또는 내용물 주입구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3. 병 몸체(1), 병 뚜껑(3), 및 병 몸체와 뚜껑 사이에 조립되는 모양형성부재(41)가 일체로 형성된 중간부재(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4. 음료 병의 내용물이 입안으로 들어갈 때 공기와 함께 혼합되어 서서히 들어갈 수 있도록 병 몸체(1) 입구부에 부착되고, 입술모양의 모양형성부재(22)가 형성되고,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공간부(23)가 모양형성부재(22)의 모양에 따라 적절히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KR1020020015601A 2002-03-19 2002-03-22 병 또는 음료 용기 입구부에 조립되는 완충부재 및 이완충부재가 조립된 용기 KR200300759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674 2002-03-19
KR20020014674 2002-03-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354U Division KR200285751Y1 (ko) 2002-04-06 2002-04-06 병 또는 음료 용기 입구부에 조립되는 완충부재 및 이완충부재가 조립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986A true KR20030075986A (ko) 2003-09-26

Family

ID=3222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601A KR20030075986A (ko) 2002-03-19 2002-03-22 병 또는 음료 용기 입구부에 조립되는 완충부재 및 이완충부재가 조립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598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472A (ja) * 1989-06-26 1991-02-07 Sony Corp 映像合成装置及び映像合成方法
US5462185A (en) * 1994-07-18 1995-10-31 Walker, Iii; Clifford M. Dispensing closure for fluid containers
KR19980055811U (ko) * 1998-06-12 1998-10-07 김동현 위생용 캔 뚜껑
KR200205316Y1 (ko) * 2000-06-23 2000-12-01 김영일 빨대(스트롱)가 내장되어 있는 음료수 용기와 용기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472A (ja) * 1989-06-26 1991-02-07 Sony Corp 映像合成装置及び映像合成方法
US5462185A (en) * 1994-07-18 1995-10-31 Walker, Iii; Clifford M. Dispensing closure for fluid containers
KR19980055811U (ko) * 1998-06-12 1998-10-07 김동현 위생용 캔 뚜껑
KR200205316Y1 (ko) * 2000-06-23 2000-12-01 김영일 빨대(스트롱)가 내장되어 있는 음료수 용기와 용기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9253B1 (en) Container, use of a container, additive chamber, and method for filling a container
CN106061859B (zh) 用于闭合容器的瓶口的盖子和制造所述盖子的方法
US20060131255A1 (en) Drinking element
CA2501793C (en) Two compartments beverage bottle
US20120228166A1 (en) Single Serve Combination Wine Bottle and Wine Glass
KR200285751Y1 (ko) 병 또는 음료 용기 입구부에 조립되는 완충부재 및 이완충부재가 조립된 용기
KR20030075986A (ko) 병 또는 음료 용기 입구부에 조립되는 완충부재 및 이완충부재가 조립된 용기
KR200278621Y1 (ko) 완충부재가 병 입구부에 형성된 음료 병
KR20030073313A (ko) 완충부재가 병 입구부에 형성된 음료 병
KR200203011Y1 (ko) 다중 용기
CN205916448U (zh) 一种新型双瓶容器
CN214268609U (zh) 一种适配通用瓶口的分体式瓶盖
KR200237745Y1 (ko)
GB2407806A (en) Floating insert for a pressurised container
KR200325536Y1 (ko) 착탈 가능한 이중 음료수병
KR200342890Y1 (ko) 음료용기
KR200314066Y1 (ko)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KR200209040Y1 (ko) 캔음료용다용도덮개
KR20000036991A (ko) 다중 용기
KR200170710Y1 (ko) 여러가지의 음료원액이 내장된 음료용기
KR101136131B1 (ko) 영역 분할형 페트병
KR200342357Y1 (ko) 음료용기
KR200228701Y1 (ko) 음료 저장용 병의 마개 컵 및 분할 저장 장치
KR101014931B1 (ko) 음료수 용기
KR200337491Y1 (ko) 페트병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