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5792A - 차량용 음주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음주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5792A
KR20030075792A KR1020020015161A KR20020015161A KR20030075792A KR 20030075792 A KR20030075792 A KR 20030075792A KR 1020020015161 A KR1020020015161 A KR 1020020015161A KR 20020015161 A KR20020015161 A KR 20020015161A KR 20030075792 A KR20030075792 A KR 20030075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concentration
vehicle
breathalyzer
measuring
measu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자덕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5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5792A/ko
Publication of KR2003007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79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alcohol, e.g. ethanol in bre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음주측정이 가능한 자동차의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핸들 일측부에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 원주 내측면에 걸림턱을 갖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인출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는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알콜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의 상면에 공기유입을 위해 형성된 공기주입구와, 상기 공기주입구 외측에 부착된 거름망과,상기 거름망과 공기주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알콜농도검출센서를 통과하여 측정부의 하단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유통구를 형성하여 음주 측정을 할 수 있고, 음주량에 따라 표시되는 표시부와 함께, 측정된 음주량의 범위에 따라 표시되는 다수개의 LED가 형성되어, 음주 후 운전 가능 여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인지하므로써, 음주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인명피해와 재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차량용 음주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음주 측정 장치{Measuring Apparatus of Car}
본 발명은 음주측정이 가능한 자동차의 핸들에 관한 것으로, 핸들의 일측부에 알콜농도검출센서가 장착된 측정부가 다단의 인출식으로 구성된 인출부재와 결합되고, 운전자가 음주측정기를 조작하여 알콜농도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부와, 측정된 값을 출력신호로 변환하여 혈중 알콜 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와 함께 음주량의 범위에 따라 표시되는 다수개의 LED가 형성되어 혈중알콜농도를 검출하고,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음주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차량 보급량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한 해에 소비되는 성인층의 음주량 또한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헌데,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음주 후 운전을 하게 되어 음주사고로 인한 인명피해와 함께 타인의 목숨까지도 위협받고 있다.
또한, 혈중 알콜 농도 수치가 법적 단속 기준을 초과하게 되면 음주량에 따라 벌금과 함께 면허 정지 및 취소의 법적 제제를 받게 되어 막대한 개인적 손실을 갖게 되며, 혈중 알콜 농도 수치가 과중하면 구속까지 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음주 운전사고 사전 예방을 위한 일회용 음주측정기가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특정한 장소에 국한되어 있어, 일반인들이 사용 하는데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에서는 차량의 내부에 음주 측정기기를 설치하여 실용신안 및 특허를 받은 사례가 있으나, 차량의 천정에 설치하여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게 되고, 사고시 더 큰 위험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측정후 알콜농도가 검출되면 시동이 켜지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분에 국한되어 있어 차량의 이동을 전면적으로 불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을 안전한 곳에 주차조차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음주 측정 장치는, 운전시 운전에 전혀 방해가 되지 않으며, 간편한 조작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음주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인명 피해와 재해를 방지하고, 개인의 음주 인식을 고취해 나감으로써, 삶을 보다 안정되게 누리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음주측정기가 구비된 핸들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음주 측정부의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측정부와 인출부재가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측정부와 인출부재의 인출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핸들 12 - 측정부
14 - 조작부 16 - 알콜농도검출센서
18 - 표시부 20 - LED
20a - LED1 20b - LED2
20c - LED3 20d - LED4
20e - LED5 30 - 수용부
31 - 수용홈 32 - 삽입공
33 - 인출부재 33a - 제 1인출부재
33b - 제 2인출부재 33c - 제 3인출부재
34 - 공기주입구 35 - 거름망
36 - 유통구 37 - 골
38a,38b,38c - 걸림돌기 39a,39b,39c - 걸림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음주 측정 장치는, 차량의 핸들 일측부에 형성된 수용 홈과, 상기 수용홈 원주 내측면에 걸림턱을 갖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인출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는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알콜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의 상면에 공기유입을 위해 형성된 공기주입구와, 상기 공기주입구 외측에 부착된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과 공기주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알콜농도검출센서를 통과하여 측정부의 하단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유통구를 형성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인 음주측정기가 구비된 핸들의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핸들(10) 전면부에 형성된 음주 측정부(12)를 운전자가 조작하여 알콜농도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부(14)와, 상기 조작부(14)로 인해 센서(16)와 연결된 음주측정기의 알코올 농도가 측정된 값을 출력신호로 변환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18)와, 상기 표시부(18)와 함께 측정된 음주량의 범위에 따라 표시되는 다수개의 LED(20)를 형성하며, 핸들(10)의 일측부에 인출부재(33)를 삽입하여 수용하는 수용부(30)와 상기 인출부재(33)와 결합된 측정부(12)를 수용하도록 하는 수용홈(31)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조작부(14)는 음주량을 검출하여 측정하기 위한 on/off의 작동 수행을 하기 위한 것이며, 사용자가 버튼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핸들(10)의 측부 및 차량 내부의 어느 곳에 설치해도 무관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18)는 알콜농도검출센서(16)에서 검출된 음주량의 측정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핸들(10)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혹은, 종래의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여 측정된 음주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LED(20)는 표시부(18)와 함께 측정된 음주량의 범위에 따라 표시되는 것으로, 검출된 음주량에 따라 해당되는 LED(20)에 불이 점등되는 것이다.
여기서, 음주량에 따라 색상에 표시되는 다수개의 LED(20)는 2개의 GREEN LED(20a,20b)와 3개의 RED LED(20c,20d,20e)로 구성된다.
또한, 인출부재(33)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핸들(10)의 내부에 마련된 수용부(30)와 상기 인출부재(33)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고 인출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홈(31)은 소정의 깊이를 갖으며, 핸들(10)의 어느 곳에 형성하여도 무관할 것이다.
상기한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음주 측정을 하기 위한 핸들의 전체적인 구성이며, 본 발명인 음주 측정부의 절개 사시도인 도 2와 도 3인 본 발명의 음주측정부와 인출부재가 수용부에 삽입된 형태의 측단면도를 참조하여, 상기 측정부와 인출부재 및 수용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핸들(10) 일측부에 형성된 수용홈(31)과, 상기 수용홈(31) 원주 내측면에 걸림턱(39a)을 갖는 삽입공(32)과, 상기 삽입공(32)에 삽입되어 인출부재(33)를 수용하는 수용부(30)와, 상기 수용부(30)에 수용되어 설치되는 인출부재(33)와, 상기 인출부재(33)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알코올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부(12)와, 상기 측정부(12)의 상면에 공기유입을 위해 형성된 공기주입구(34)와, 상기 공기주입구(34) 외측에 부착된 거름망(35)과, 상기 거름망(35)과 공기주입구(34)로 유입된 공기를 알콜농도검출센서(16)를 통과하여 측정부의 하단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유통구(3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수용홈(31)에 형성된 삽입공(32)에 삽입되어 인출부재(33)를 수용하는 수용부(30)는, 핸들(10)의 내부에 마련되어지며 상기 수용부(30)에 수용되어 설치되는 인출부재(33)가 삽입공(32)을 통해 상기 수용부(30)에 입설되고 인출되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출부재(33)는 제 1(33a), 제 2(33b), 제 3의 인출부재(33c)와 같이 다수개의 인출부재(33)가 결합되어 인출되어지는 다단의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33)는 하나의 부재로도 구성되어 수용부(30)에서 인출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출부재(33)의 제 2(33b), 제 3인출부재(33c)의 상단부 내측 원주면과 삽입공(32)의 내측부에 걸림턱(39a,39b,39c)을 형성하고, 각각의 인출부재(33)하단부에는 걸림돌기(38a,38b,38c)를 형성한다.
한편, 인출부재(33)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알코올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부(12)는 그 상면부에 공기주입구(34)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주입구(34) 외측면에 거름망(35)이 부착된다.
상기 공기주입구(34)는 사용자의 호흡을 유입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거름망(35)은 수분의 침투를 막기 위한 것으로, 측정시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측정부(12)의 내부에 알콜농도검출센서(16)를 장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검출하도록 하고, 거름망(35)과 공기주입구(34)로 유입된 공기를 알콜농도검출센서(16)를 통과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측정부(12)의 하단부에 다수개의 유통구(36)를 형성한다.
상기 유통구(36)는 측정부(12)의 하단부 원주 외면에 형성하되, 그 크기와개수를 한정하지 않으며, 망과 같은 형태로도 유통구(36)를 형성하여도 무관할 것이다.
한편, 측정부(12)의 원주 외면부는 사용자가 쉽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골(37) 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음주 측정 장치에 관한 작동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여 음주 측정을 하기 위하여 핸들(10) 조작부(14)의 on 버튼을 누른 후 표시부(18)에서 음주 측정 준비가 끝났다는 메시지가 뜨게 되면 운전자는 수용홈(31)에 마련된 측정부(12)를 길이에 맞도록 인출한다.
핸들의 수용부(30)에서 삽입공(32)을 통해 인출되어진 인출부재(33)는 상기 수용부(30)에서 소정길이 만큼 순차적으로 나오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최대 길이만큼 인출하고자 할 때, 제 1인출부재(33a)의 걸림돌기(38a)가 제 2인출부재(33b)의 내측 원주면에 형성된 걸림턱(39a)에 닿게 되고, 제 2인출부재(33b)의 걸림돌기(38b)는 제 3인출부재(33c)의 걸림턱(39b)에 닿게 되며, 제 3인출부재(33c)의 걸림돌기(38c)는 삽입공(32)의 걸림턱(39c)에 닿게 되어 인출부재(33)가 소정 길이만큼 인출되는 것이다.
최대 길이만큼 인출되어진 인출부재(33)의 상단부에 형성된 측정부(12)의 공기주입구(34)에 입김을 불면 거름망(35)에서 수분 침투를 막고, 상기 공기주입구(34)를 통과하여 알콜농도검출센서(16)에서 알코올 측정치를 인식하여 측정한다.
상기 알콜농도검출센서(16)에서 측정된 알코올은 알콜농도기준신호 비교부(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된 후, 인식된 알코올 농도를 비교하여 핸들(10)의 전면부에 형성된 표시부(18)로 수치와 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함께, 검출된 음주량에 따라 해당되는 LED(20)에 불이 점등되는 것이다.
상기 표시부(18)에서는 운전가능여부와 측정된 수치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 LED(20)가 혈중알콜농도 수치에 따라 해당되는 LED(20)에 불이 점등되는 것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음주 측정후 혈중알콜농도 수치가 0.019%이하 일 경우 LED1(20a)에, 0.02~0.049%에 해당 될 경우에는 LED2(20b)에 녹색의 불이 점등되며, 상기한 바와 같은 수치는 운전이 가능함을 뜻하는 것이다.
또한, 0.05~0.09%의 혈중알콜농도 수치가 검출 될 경우 LED3(20c)에 적색의 불이 점등되고, 법적 단속 기준에 해당되어 적발시 면허정지 및 벌금형으로써 운전이 불가능함을 표시한다.
만약, LED4(20d)에 불이 점등되는 경우 0.1~0.35%에 해당되는 것으로써, 면허취소 및 벌금형으로 운전이 불가능함을 표시한다.
한편, 혈중 알코올 농도 수치가 0.36% 이상인 경우 LED5(20e)에 적색 불이 점등되며, 벌금 500만원 및 구속의 처벌을 받게 되어, 이 또한 운전이 불가능함을 뜻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음주 후 운전자가 운전 가능 여부를 운전석에서 항상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음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게 인식 시켜 주는것이다.
이상과 같은 발명으로, 차량의 핸들에 음주측정을 할 수 있는 측정부와 표시부와 인출부재가 형성되므로 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측정부와 결합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인출부재를 수용부에서 인출하여 음주 측정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상체를 움직이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게 음주 측정을 할 수 있다.
둘째, 측정부의 상면부에 형성된 공기주입구와 결합되어 부착되는 거름망으로, 호흡중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여 음주량 측정시 기기의 오작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셋째, 측정된 음주량을 수치와 메시지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검출된 음주량에 따라 해당되는 LED에 불이 점등 되므로 써, 법적 단속 기준과 음주 운전 가능 여부를 쉽게 식별하고 인지할 수 있다.
넷째, 측정부의 원주 외면에 골을 내어 인출시 미끄러워 놓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음주 측정장치를 차량의 핸들에 형성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측정하도록 하므로 써, 운전자가 음주 후 음주량을 조작부와 인출부재로 인해 쉽고 편리하게 음주량을 측정하여 과다한 음주량으로 인해, 음주 운전임을 인식시켜 주므로 써 음주 운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와 재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차량에 없어서는 안될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차량의 핸들 일측부에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 원주 내측면에 걸림턱을 갖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인출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는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알코올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의 상면에 공기유입을 위해 형성된 공기주입구와;
    상기 공기주입구 외측에 부착된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과 공기주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알콜농도검출센서를 통과하여 측정부의 하단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유통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음주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는 음주 측정기를 운전자가 조작하여 알콜농도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 인해 센서와 연결된 음주측정기의 알코올 농도가 측정된 값을 출력신호로 변환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와 함께 측정된 음주량의 범위에 따라 표시되는 다수개의 LE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제 1, 제 2, 제 3의 인출부재와 같이 다수개의 인출부재가 결합되어 인출되어지는 다단의 형태로 구성되며, 하나의 부재로도 구성되어 수용부에서 인출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측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LED는 2개의 GREEN 표시부와 3개의 RED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측정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그 원주 외면에 다수개의 골을 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주 측정장치.
KR1020020015161A 2002-03-20 2002-03-20 차량용 음주 측정 장치 KR20030075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161A KR20030075792A (ko) 2002-03-20 2002-03-20 차량용 음주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161A KR20030075792A (ko) 2002-03-20 2002-03-20 차량용 음주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792A true KR20030075792A (ko) 2003-09-26

Family

ID=3222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161A KR20030075792A (ko) 2002-03-20 2002-03-20 차량용 음주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57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793A (ko) * 2002-03-20 2003-09-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착탈식 온도 측정기가 설치된 구급차
CN106043234A (zh) * 2015-02-05 2016-10-26 胡齐放 一种提高车辆安全的设备
KR20210065233A (ko) 2019-11-26 2021-06-04 엠피온 주식회사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5730A (ja) * 1982-08-02 1984-02-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上心拍計
JPS6076427A (ja) * 1983-09-30 1985-04-30 Aisin Seiki Co Ltd 飲酒運転防止装置
JPS6353120A (ja) * 1986-08-25 1988-03-07 Toshio Hiraoka 酒酔い運転防止装置
US4744013A (en) * 1987-03-19 1988-05-10 Juhon Lee Illuminable and soundable baton
KR970036012A (ko) * 1995-12-22 1997-07-22 배순훈 자동차 음주운전 방지 장치
KR19980037383A (ko) * 1996-11-21 1998-08-05 김영귀 음주운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5730A (ja) * 1982-08-02 1984-02-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上心拍計
JPS6076427A (ja) * 1983-09-30 1985-04-30 Aisin Seiki Co Ltd 飲酒運転防止装置
JPS6353120A (ja) * 1986-08-25 1988-03-07 Toshio Hiraoka 酒酔い運転防止装置
US4744013A (en) * 1987-03-19 1988-05-10 Juhon Lee Illuminable and soundable baton
KR970036012A (ko) * 1995-12-22 1997-07-22 배순훈 자동차 음주운전 방지 장치
KR19980037383A (ko) * 1996-11-21 1998-08-05 김영귀 음주운전 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793A (ko) * 2002-03-20 2003-09-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착탈식 온도 측정기가 설치된 구급차
CN106043234A (zh) * 2015-02-05 2016-10-26 胡齐放 一种提高车辆安全的设备
CN106043234B (zh) * 2015-02-05 2018-10-09 成都爱车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提高车辆安全的设备
KR20210065233A (ko) 2019-11-26 2021-06-04 엠피온 주식회사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0027B2 (en) Preventive and persuasive actions against drunk driving
US6967581B2 (en) Breath alcohol detection system with identity verification
WO2009083964A2 (en) Sobriety interlock device
AU2008272809B2 (en) Mouth alcohol tester
ES2360600T3 (es) Sistemas de bloqueo del encendido de vehículos que detectan la presencia de alcohol dentro de los vehículos.
WO2005120892A3 (en) Child seat and monitoring system
KR20030075792A (ko) 차량용 음주 측정 장치
JP3174770U (ja) 呼気アルコールテスターおよびドライバーが運転する状態であるか否かを測定する方法
KR101535296B1 (ko)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차량 잠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1670111U (zh) 一种防醉驾装置
CN205333657U (zh) 多功能酒精测试仪
CN101607527A (zh) 一种车用酒精报警方法及控制装置
CN211348280U (zh) 一种便携式酒精检测仪
US6177051B1 (en) Dispensable alcohol breath analyzer system
CN2470820Y (zh) 一次性酒精气体检测器
CN210191166U (zh) 一种防酒驾、防疲劳驾驶的车载检测装置
CN206031012U (zh) 一种带有空气质量检测的车载空气净化器
KR20000055416A (ko) 음주 측정기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장치 및 방법
KR200230406Y1 (ko) 음주측정기
KR20030075790A (ko) 음주 측정기가 구비된 손목시계
JP4984971B2 (ja) 飲酒運転防止装置
CN201932000U (zh) 一种酒精探测装置
CN213041777U (zh) 一种用于快速检测筛查酒精含量的装置
CN213456903U (zh) 一种可调节检测头的污水检测仪
CN216051754U (zh) 酒精检测模块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