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5395A -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5395A
KR20030075395A KR1020020014587A KR20020014587A KR20030075395A KR 20030075395 A KR20030075395 A KR 20030075395A KR 1020020014587 A KR1020020014587 A KR 1020020014587A KR 20020014587 A KR20020014587 A KR 20020014587A KR 20030075395 A KR20030075395 A KR 20030075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oking chamber
cavity assembly
lower plate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20014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5395A/ko
Publication of KR2003007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3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캐비티조립체(30)는 하부플레이트(35), 전면플레이트(40), 배면플레이트(41) 및 상부플레이트(42)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티조립체에는 상기 플레이트(35,40,41,42) 들에 의해 조리실(32)과 전장실(33)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35)는 캐비티조립체(30)의 하면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바닥면 중앙에 트레이안착부(36)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안착부(36)의 주변에 해당되는 조리실(32) 바닥면에 다수개의 보강요철(38)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요철(38)은 사기 하부플레이트(35)의 바닥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캐비티조립체(30)는 그 형상이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고 조리실(32) 바닥면의 평탄도를 극히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조립체{Cavity assembly in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고 전자레인지의 골격 역할을 하는 캐비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캐비티조립체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캐비티조립체(1)의 내부에는 조리물의 조리가 진행되는 조리실(2)과 상기 조리실(2)로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는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3)이 마련된다.
상기 캐비티조립체(1)는 다수개의 판으로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철판이 사용된다. 상기 캐비티조립체(1)는 하부플레이트(5), 상부플레이트(7), 전면플레이트(8) 및 배면플레이트(9)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5)는 조리실의 바닥면과 양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8)는 조리실(2)과 전장실(3)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배면플레이트(9)는 조리실(2)과 전장실(3)의 배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플레이트(5)중 조리실(2)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중앙에는 조리물을 얹어 회전시키는 트레이(도시되지 않음)가 안착되는 트레이안착부(6)가 프레스가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조립체(1)의 상면과 양측면을 외부케이스(10)가 둘러싼다. 따라서 상기 외부케이스(10)는 전자레인지의 상면과 양측면 외관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도어(1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2)는 조리중에 조리실(2)을 외부와 차폐하여 마이크로웨이브가 누설되지 않도록한다. 상기 전장실(3)의 선단에 해당되는 전면플레이트(8)에는 컨트롤러(14)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러(14)는 전자레인지의 조작을 위한 버튼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캐비티조립체(1)를 구성하는 하부플레이트(5)는 먼저 트레이안착부(6)를 포함하는 요철구조를 프레스가공으로 형성하고, 조리실(2)의 양측벽을 형성하기 위해 양단을 상부로 절곡하는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상기 양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절곡과정에서 상기 조리실(2)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되지 않고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하부로 꺼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리실(2)의 바닥면이 형성되면 트레이안착부(6)에 안착되는 트레이의 회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캐비티조립체(1)의 조립시 전면플레이트(8) 및 배면플레이트(9)와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지 않게 되어 조립 후에 캐비티조립체(1)의 전체 형상이 틀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캐비티조립체에 형성되는 조리실 바닥의 평면도를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비티조립체의 형상을 보다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캐비티 조립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조립체를 구성하는 하부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캐비티조립체32: 조리실
33: 전장실35: 하부플레이트
36: 트레이안착부38: 보강요철
40: 전면플레이트41: 배면플레이트
42: 상부플레이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리실 입구가 구비되고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조리실의 양측벽과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배면과 연결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조리실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배면플레이트와, 조리실의 상면을 형성하고 양단이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선단과 후단이 각각 전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중 조리실의 바닥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보강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요철은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의 중앙에 구비된 트레이안착부와 캐비티의 양측벽의 사이에 해당되는 조리실 바닥면에 구비된다.
상기 보강요철은 조리실의 바닥면에 요입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캐비티조립체는 그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 바닥의 평탄도를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전체 캐비티조립체의 형상이 정확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캐비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플레이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캐비티조립체(30)는 크게 하부플레이트(35), 전면플레이트(40), 배면플레이트(41) 및 상부플레이트(42)로구성된다.
상기 캐비티조립체(30)의 내부에는 조리실(32)과 전장실(33)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32)은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상기 플레이트(35,40,41,42) 및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외부와 폐쇄된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33)은 별도의 베이스플레이트가 그 바닥면을 형성하고 외부케이스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35)는 조리실(32)의 바닥면과 양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장의 금속판의 양단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35)의 중앙에는 트레이안착부(35)가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안착부(35)에는 조리물이 얹어져 회전되는 트레이가 안착되는데, 트레이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원형으로 요철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하부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35)중 상기 트레이안착부(35)가 형성된 조리실(32)의 바닥면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면에는 보강요철(38)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요철(38)은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의 네 모서리에 형성된다. 상기 보강요철(38)은 본 실시예서 하부로 요입되게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요철(38)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면중 가능한 부분 전체에 대응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플레이트(40)는 캐비티조립체(30)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조리실(32)의 입구를 형성하는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전장실(33)에 대응되는 위치에도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40)의 배면에 상기 하부플레이트(35)가용접되어 연결된다.
상기 배면플레이트(41)는 상기 캐비티조립체(3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 자체의 배면이 된다. 상기 배면플레이트(41)는 상기 조리실(32)과 전장실(33)의 배면을 형성한다. 상기 배면플레이트(41)중 상기 전면플레이트(40)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하부플레이트(35)가 용접되어 연결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42)는 조리실(33)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선단이 상기 전면플레이트(40)와 용접되어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배면플레이트(41)와 연접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42)의 양단은 각각 상기 하부플레이트(35)에 용접되어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조리실(32)은 하부플레이트(35)가 바닥면과 양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배면플레이트(41)가 배면을 형성하며 전면플레이트(40)의 개구 측이 입구가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캐비티조립체(30)는 다수개의 플레이트(35,40,41,42)를 용접하여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35,40,41,42)는 필요한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가공을 거치고 설계된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절곡작업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하부플레이트(35)는 트레이안착부(38)와 보강요철(38)을 프레스가공으로 형성한 후에 양단을 상부로 절곡하여 측벽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양단을 절곡하여 측벽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강요철(38)은 상기 조리실(32)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35)의 부분이 휘지 않도록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트레이안착부(38)도 어느 정도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각각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플레이트(35,40,41,42)를 서로 용접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조립체(3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하부플레이트(35)의 선단에 전면플레이트(40)가 용접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35)의 후단에 배면플레이트(41)가 용접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42)가 상기 하부플레이트(35)의 양단과 용접되어 연결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40) 및 배면플레이트(41)에 각각 그 선단과 후단이 용접되어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캐비티조립체(30)의 내부에 조리실(32)이 전면만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35)의 일측면과 배면플레이트(41) 및 전면플레이트(40)에 의해 전장실(23)이 구획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면플레이트(40), 배면플레이트(41) 및 상부플레이트(42)는 각각 하나의 평면으로만 구성되나, 상기 하부플레이트(35)는 그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어 있어 상기 상부플레이트(42)의 양단과 연결되는 양측이 상부에서 하부까지 서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고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플레이트(35)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상기 보강요철(38)에 의해 상기 하부플레이트(35)의 강도가 보강되면서 벌어지지 않고 간격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플레이트(35)와 다른 플레이트(40,41,42)의 연결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조립체는 캐비티조립체를 구성하는 하부플레이트에 보강요철을 형성하여 강도가 보다 강하여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캐비티조립체 자체의 형상이 정확하게 만들어지고, 조리실 바닥면의 평탄도가 정확하게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조리실 입구가 구비되고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조리실의 양측벽과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배면과 연결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조리실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배면플레이트와,
    조리실의 상면을 형성하고 양단이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선단과 후단이 각각 전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중 조리실의 바닥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보강요철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요철은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의 중앙에 구비된 트레이안착부와 캐비티의 양측벽의 사이에 해당되는 조리실 바닥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요철은 조리실의 바닥면에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조립체.
KR1020020014587A 2002-03-18 2002-03-18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조립체 KR20030075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587A KR20030075395A (ko) 2002-03-18 2002-03-18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587A KR20030075395A (ko) 2002-03-18 2002-03-18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395A true KR20030075395A (ko) 2003-09-26

Family

ID=3222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587A KR20030075395A (ko) 2002-03-18 2002-03-18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539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3616A (ja) * 1986-03-14 1987-09-19 Toshiba Corp 加熱調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3616A (ja) * 1986-03-14 1987-09-19 Toshiba Corp 加熱調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9054A (en) Microwave oven construction having separate component receiving chambers
US6872928B2 (en) Door hinge assembly for a microwave oven
KR20030075395A (ko)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조립체
US5329086A (en) Waveguide for microwave ovens
US8013279B2 (en) Outer case for cooking appliance
EP1579152B1 (en) Microwave oven
KR19990059309A (ko) 전자렌지
EP1389893B1 (en) Microwave oven and more particularly a door for a microwave oven
KR100796367B1 (ko) 조리기의 캐비티
KR19990039540A (ko) 전자렌지의 캐비닛 조립체
KR20020096144A (ko) 전자레인지의 베이스플레이트 구조
KR100621037B1 (ko) 전자레인지 전면 설치구조
KR19990015434U (ko) 전자 렌지의 케이스 조립 구조
KR100614312B1 (ko)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스
KR20070115002A (ko) 전자레인지용 베이스플레이트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0243729Y1 (ko)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
KR20050036442A (ko) 전자레인지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
JP3208262B2 (ja) 電磁調理器
KR100285862B1 (ko) 전자렌지의캐비넷조립체
EP1363475A2 (en) Microwave oven
KR20220152799A (ko) 조리 기기
JPH11125430A (ja) 加熱調理器
KR100420332B1 (ko) 전자레인지의 도파관용 용접홀 차폐구조
KR19990054693A (ko) 전자렌지용 내부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S62213616A (ja) 加熱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