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729Y1 -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729Y1
KR200243729Y1 KR2020010015518U KR20010015518U KR200243729Y1 KR 200243729 Y1 KR200243729 Y1 KR 200243729Y1 KR 2020010015518 U KR2020010015518 U KR 2020010015518U KR 20010015518 U KR20010015518 U KR 20010015518U KR 200243729 Y1 KR200243729 Y1 KR 200243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bottom plate
plate body
microwave oven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세
박만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5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7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729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30)는 장방형의 바닥판체(32) 상에 다수개의 요철구조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바닥판체(32)의 상면 양측을 따라서는 제1 및 제2 보강부(40,40')를 형성한다. 상기 보강부(40,40')의 사이에는 전장부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돌부(34)를 나란히 형성한다. 상기 안착돌부(34) 상에는 전장부품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36)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돌부(34)를 제외한 상기 보강부(40,40') 사이에 해당되는 바닥판체(32)의 상면 전체에는 응력분산요입부(50)를 형성한다. 상기 응력분산요입부(50)는 낙하충격에 의한 응력을 그 전체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여 낙하충격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게 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Base plate structure for microwave oven}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바닥면을 구성하는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켜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다양한 가열원을 추가하여 보다 신속하고 다양한 조리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전자레인지의 개략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레인지의 내부에는 캐비티(1)가 설치된다. 상기 캐비티(1)는 그 내부에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전자레인지의 바닥 외관은 베이스플레이트(3)에 의해 형성되고, 양측면과 상면 외관은 외부케이스(5)가 형성한다. 그리고 전자레인지의 배면 외관을 배면판(6)이 형성한다.
전자레인지의 전면에는 도어(7)와 콘트롤패널부(9)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7)는 상기 캐비티(1)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을 개폐하여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콘트롤패널부(9)는 전자레인지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과 다이얼이 구비된다.
한편, 전자레인지 내부인 상기 캐비티(1)의 일측에는 전장실(10)이 마련된다. 상기 전장실(10)은 상기 조리실에서의 조리에 필요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부품의 예로는 마그네트론(12), 고압트랜스(13) 등이 있다. 상기 마그네트론(12)은 일반적으로 상기 캐비티(1)의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고압트랜스(13)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의 상면에 설치된다.
도 2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의 상세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는 전장실(10)의 바닥을 형성하는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4)와 캐비티(1)의 하부에 대응되는 캐비티 베이스플레이트(4')로 구성된다. 상기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4) 상에는 다수개의 부품이 설치된다.
즉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4)에는 중량물인 고압트랜스(13) 및 많은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티 베이스플레이트(4')는 상대적으로 설치되는 부품은 없으나 전체 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특히 상기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4)에는 부품의 하중을 유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보강홈(4r)을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고압트랜스(13)가 안착되는 안착돌부(4t)를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예를 들어 전자레인지가 낙하되는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가 낙하충격에 의해 변형된다. 이와 같은 변형은 특히 중량물인 상기 고압트랜스(13)가 안착되는 부분에서 많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돌부(4t)와 보강홈(4r)을 형성하였으나, 낙하충격이 큰 경우에는 상기 고압트랜스(13)가 안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탄성변형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 보강홈(4r)이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어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전체를 볼 때, 상기 보강홈(4r)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변형이 심하게 발생한다. 실제로 약 46cm의 높이에서 전자레인지 낙하하였을 때 그 충격에의해 상기 고압트랜스(13)가 안착된 부분에서 12mm 이상의 변형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강도가 보강된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캐비티 3: 베이스플레이트
4: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4': 캐비티 베이스플레이트
5: 외부케이스 6: 배면판
7: 도어 9: 콘트롤패널부
10: 전장실 13: 고압트랜스
30: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32: 바닥판체
34: 안착돌부 36: 체결공
40,40': 제1 및 제2보강부 50: 응력분산요입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장실의 바닥을 구성하는 장방형 판상의 바닥판체와, 상기 바닥판체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전장부품의 양단이 안착되도록 나란히 형성되는 안착돌부와, 상기 바닥판체의 양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바닥판체의 양단을 보강하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바닥판체 상에 요입되게 형성되어 충격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키는 응력분산요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력분산요입부는 상기 보강부의 사이에 상기 안착돌부를 제외한 부분 전체에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는 바닥판체의 상면에 요입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하게 되어 낙하충격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베이스플레이트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원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 실시예의 베이스플레이트(30)는 금속재질로서 장방형으로 구성된 바닥판체(32)에 전장부품의 실장이 가능하게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바닥판체(32)의 상면에는 안착돌부(3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돌부(34)에는 체결공(36)이 형성되어 예를 들어 고압트랜스(13)의 하면 양단이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돌부(34)는 바닥판체(32)의 양단에 소정 길이로 나란히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판체(32)의 양단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1보강부(40) 및 제2보강부(40')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40,40')는 각각 바닥판체(32)의 양단에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보강부(40) 및 제2보강부(40')는 각각 바닥판체(32)의 상면에 대해 요입되게 형성되거나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요입되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보강부(40)는 상기 바닥판체(32)의 좌측단(도 3기준으로)의 강도를 보강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30)가 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보강부(40')는 상기 바닥판체(32)의 우측단의 강도를 보강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30)가 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이에 체결되는 외부케이스(5)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보강부(40,40')의 사이에 해당되는 바닥판체(32)의 상면에는 응력분산요입부(50)가 형성된다. 상기 응력분산요입부(50)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40,40') 사이의 상기 안착돌부(34)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응력분산요입부(50)는 바닥판체(32) 상에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응력분산요입부(50)는 낙하충격이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30)에 가해졌을 때 응력을 요입부(50) 전체로 분산시켜 변형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3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자체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30)와 체결되는 부품의 변형도 방지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40,40')가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30) 자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30)와 체결되는 주변부품의 변형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30)와 체결되는 외부케이스(5)의 변형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응력분산요입부(50)는 상기 보강부(40,40') 사이의 상기 안착돌부(3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전체에 요입되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응력을 응력분산요입부(50) 전체에 분산되게 하여 변형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돌부(34)는 바닥판체(32)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하여 중량물인 전장부품, 예를 들어 고압트랜스(13)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고 낙하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고압트랜스(13)에 의한 바닥판체(32)의 변형을 최소화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적용함에 의해 종래에 46cm의 높이에서 낙하되었을 때 최고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에 12mm이상의 변형이 발생하던 것을, 5mm이하로 줄일 수 있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에서는 전장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에 보강을 위한 구성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낙하충격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응력분산요입부를 상면 전체에 걸쳐 형성함에 의해 그 자체와 주변 부품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는 상대적으로 그 강도가 강하게 되어 낙하 등에 의한 충격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변형이 최소화되고, 종래와 동일한 변형이 발생하는 강도를 가지도록 베이스플레이트를 형성하면 상대적으로 판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베이스플레이트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전장실의 바닥을 구성하는 장방형 판상의 바닥판체와,
    상기 바닥판체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전장부품의 양단이 안착되도록 나란히 형성되는 안착돌부와,
    상기 바닥판체의 양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바닥판체의 양단을 보강하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바닥판체 상에 요입되게 형성되어 충격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키는 응력분산요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분산요입부는 상기 보강부의 사이에 상기 안착돌부를 제외한 부분 전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바닥판체의 상면에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구조.
KR2020010015518U 2001-05-25 2001-05-25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 KR2002437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518U KR200243729Y1 (ko) 2001-05-25 2001-05-25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518U KR200243729Y1 (ko) 2001-05-25 2001-05-25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729Y1 true KR200243729Y1 (ko) 2001-10-15

Family

ID=7310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518U KR200243729Y1 (ko) 2001-05-25 2001-05-25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7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786B1 (ko) 2006-05-30 2013-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베이스플레이트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786B1 (ko) 2006-05-30 2013-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베이스플레이트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6589B2 (en) Microwave oven
KR200243729Y1 (ko)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
GB2327027A (en) A door choke arrangement for a microwave oven
KR20020096144A (ko) 전자레인지의 베이스플레이트 구조
KR19990059309A (ko) 전자렌지
KR100369816B1 (ko) 전자렌지
KR100392399B1 (ko) 전자렌지의 컨트롤 박스
KR20040061359A (ko) 전자레인지의 베이스플레이트
KR100942571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 패널 접지구조
KR100436268B1 (ko) 전자렌지
KR100365923B1 (ko) 전자렌지
KR100476440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
KR960009856Y1 (ko) 전자렌지의 보강구조
KR200359771Y1 (ko) 전자레인지의전장실지지구조
KR19990074527A (ko) 전자렌지의 컨트롤 패널
KR200378446Y1 (ko) 전자레인지의프론트브라켓장착구조
KR100487340B1 (ko) 전자 레인지의 조립 구조
KR20030056981A (ko)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
KR20050036442A (ko) 전자레인지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
KR200183823Y1 (ko) 전자렌지
KR100567802B1 (ko) 김치저장고의 리어커버 변형방지구조
KR20030074008A (ko) 전자레인지의 외부케이싱
KR19990031089A (ko) 전자렌지
KR100310366B1 (ko) 전자렌지용 마그네트론
KR200329721Y1 (ko) 전자레인지의 프론트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