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440B1 -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440B1
KR100476440B1 KR10-2002-0014211A KR20020014211A KR100476440B1 KR 100476440 B1 KR100476440 B1 KR 100476440B1 KR 20020014211 A KR20020014211 A KR 20020014211A KR 100476440 B1 KR100476440 B1 KR 100476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icrowave oven
controller
button
reinforcement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006A (ko
Inventor
정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2-0014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440B1/ko
Publication of KR20030074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60)는 그 외관을 프레임(62)이 구성한다. 상기 프레임(62)에는 버튼(64), 키이부(66), 표시부(68) 등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62)의 배면 하단부에는 프레임(6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종방향 보강리브(75)와 횡방향 보강리브(77)가 형성된다. 상기 종방향 보강리브(75)와 횡방향 보강리브(77)의 존재에 의해 전자레인지가 사용되는 환경에 의해 상기 프레임(62)이 휘어지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의 내구성이 좋아지고 컨트롤러(60)에 구비된 각종 버튼의 동작신뢰성이 좋아지며, 프레임(62)의 보강을 위해 별도의 체결나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Structure of controller frame in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트롤러의 외관을 구성하는 컨트롤러 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외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캐비티(1)의 내부에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1)의 일측에 전장실(3)이 마련된다.
외부케이스(5)가 상기 캐비티(1)를 둘러싸서 전자레인지의 상면과 양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조리실을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하기 위해 도어(7)가 상기 캐비티(1)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1')에 설치된다. 상기 도어(7)는 전자레인지의 전면 외관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상기 전장실(3)의 전방에 해당되는 전면플레이트(1')의 일측에는 전장실(3)과 대응되는 개구부(1h)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h)에 대응되는 부분에 컨트롤러(9)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러(9)의 상세구성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10)이 컨트롤러(9)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전면플레이트(1')의 개구부(1h)의 가장자리 둘레 등에 걸어져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표시부통공(11)과 다수개의 버튼통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통공(12)에는 버튼(15)이나 버튼부(15')가 프레임(1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도면부호 16은 각종 키이를 덮고 키이의 기능이 표시되어 있는 키패드이다.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는 버튼기판(18)과 표시부기판(20)이 설치된다. 상기 버튼기판(18)은 상기 버튼(15)과 버튼부(15')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련된 버튼소자(19)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15)과 버튼부(15')는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상기 프레임(10)과 버튼기판(18)의 사이에 위치된다. 도면부호 21은 표시소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컨트롤러(9)의 외관을 구성하는 프레임(10)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데, 다양한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프레임(10)이 환경의 영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휘어짐은 프레임(10)의 상단부나 하단부에서 잘 발생할 수 있다. 프레임(10)에 휘어짐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버튼통공(12)에 설치된 버튼(15)이나 버튼부(15')의 조립상태가 틀어지게 되어 버튼(15)이나 버튼부(15')의 동작불량이나 접촉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프레임(10) 단부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단부에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와 체결나사를 사용하여 체결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체결나사를 사용함에 의해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작업성이 나빠지게 되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레인지 컨트롤러의 프레임이 다양한 환경에서도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레인지 컨트롤러의 프레임을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일측 전면에 설치되고 전자레인지의 제어를 위한 각종 버튼과 표시부가 구비되며 정면에서 볼 때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컨트롤러의 외관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구비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 중 상기 프레임의 상대적으로 단변에 구비되는 측벽에 형성되어 요입된 공간을 형성하는 요입부와, 상기 프레임의 배면 내측에 구비되는 각종 부품의 설치를 위한 돌출부와, 상기 측벽 중 상기 프레임의 상대적으로 단변에 구비되는 측벽과 상기 돌출부를 프레임의 장변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종방향 보강리브와, 상기 요입부를 가로질러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과 요입부를 구획하는 요입벽을 상기 프레임의 단변방향으로 연결하는 횡방향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상기 종방향 보강리브는 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에 의하면 다양한 환경에서도 컨트롤러 프레임의 형상변경이 발생하지 않아 제품의 동작신뢰성 및 외관특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러 프레임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채용한 전자레인지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프레임의 구성이 부분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프레임의 구성이 부분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레인지의 상면과 양측면 외관을 외부케이스(50)가 형성한다. 상기 외부케이스(50)의 내부에는 캐비티가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에는 조리실과 전장실이 마련된다.
상기 조리실의 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도어(52)가 설치된다. 도면부호 53은 손잡이이다. 상기 도어(52)는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전장실과 대응되는 전자레인지 전면에는 컨트롤러(6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러(60)는 전자레인지의 조작을 위한 구성과 각종 정보의 표시를 위한 구성을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러(60)는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상하방향이 좌우방향보다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상이다.
상기 컨트롤러(60)의 외관을 역시 장방형상의 프레임(62)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62)은 상기 캐비티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62)을 전면플레이트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에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턱을 형성하여 전면플레이트에 걸어지게 하거나 체결나사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턱과 체결나사를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62)에는 조작을 위한 버튼(64), 조작을 위한 키이부(66)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68) 등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62)에 구비되는 구성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62)의 배면 하단부에는 강도의 보강을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이를 설명하면, 프레임(6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측벽(70)이 구비된다. 상기 측벽(70)은 전자레인지의 상면과 측면 및 하면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측벽(70)의 내측에는 각종 부품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62)의 하단면을 형성하는 측벽(70)에는 요입부(72)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72)는 요입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62)의 내측과는 요입벽(73)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62)의 배면 내측에는 각종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은 요지가 아니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단지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중 하나를 돌출부(74)로 한다. 이는 부품의 설치를 위한 구성이 프레임(62)의 배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돌출부(74)와 상기 프레임(62)의 하단면을 형성하는 측벽(70)이나 상기 요입부(72)의 요입벽(73)을 연결하도록 다수개의 종방향 보강리브(7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종방향 보강리브(75)는 상기 프레임(62)의 하단부에 모두 4개가 프레임(62)의 길이방향 상하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요입부(72)를 가로질러서는 횡방향 보강리브(77)가 형성된다. 상기 횡방향 보강리브(77)는 상기 프레임(62)의 하단면을 형성하는 측벽(70) 사이를 상기 요입부(72)에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횡방향 보강리브(77)는 프레임(62)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게 횡방향으로 상기 측벽(70) 사이를 연결하도록 길게 연장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레인지의 전면을 도어(52)와 컨트롤러(60)가 형성한다. 상기 컨트롤러(60)의 외관은 프레임(62)이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62)은 전자레인지가 사용되는 환경에 오랜 기간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62)은 전자레인지가 사용되는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프레임(62)은 환경의 영향에 따라, 특히 그 하단부가 휘어지기 쉽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62)의 배면 하단부에 프레임(62)의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종방향 보강리브(75)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62)의 좌우방향으로 횡방향 보강리브(7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방향 보강리브(75)와 횡방향 보강리브(77)는 상기 프레임(62) 하단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환경의 영향에 따른 프레임(62)의 휘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62)의 하단부를 캐비티의 전면플레이트에 고정할 때, 걸림턱과 같은 구조만을 이용하여도 환경의 영향 등 프레임(62)의 제조 후 사용중에 발생하는 영향에 의한 프레임(62)의 휘어짐이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종방향 보강리브(75)와 횡방향 보강리브(77)를 각각 프레임(62)의 배면에 형성함에 의해 프레임(62)의 제조시에도 그 강도를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고 제조공차 등이 줄어들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에서는 프레임의 하단부 배면에 강도의 보강을 위한 횡방향 보강리브와 종방향 보강리브가 다수개 씩 형성되었다. 따라서 프레임의 하단부가 제조시나 사용중에 휘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서 오랜 동안 전자레인지가 사용되더라도 그 외관이 변형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외관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음에 의해 예를 들면 버튼의 동작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이 주위의 환경에 의한 영향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설계되었으므로 프레임을 캐비티의 전면플레이트에 장착할 때 별도로 체결나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컨트롤러의 장착을 위한 부품수가 최소화되고 체결나사의 체결작업이 감소되어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 컨트롤러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러 프레임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배면 하단부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배면 하단부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외부케이스 52: 도어
53: 손잡이 60: 컨트롤러
62: 프레임 64: 버튼
66: 키이부 68: 표시부
70: 측벽 72: 요입부
74: 요입벽 75: 종방향 보강리브
77: 횡방향 보강리브

Claims (3)

  1. 전자레인지의 일측 전면에 설치되고 전자레인지의 제어를 위한 각종 버튼과 표시부가 구비되며 정면에서 볼 때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컨트롤러의 외관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구비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 중 상기 프레임의 상대적으로 단변에 구비되는 측벽에 형성되어 요입된 공간을 형성하는 요입부와,
    상기 프레임의 배면 내측에 구비되는 각종 부품의 설치를 위한 돌출부와,
    상기 측벽 중 상기 프레임의 상대적으로 단변에 구비되는 측벽과 상기 돌출부를 프레임의 장변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종방향 보강리브와,
    상기 요입부를 가로질러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과 요입부를 구획하는 요입벽을 상기 프레임의 단변방향으로 연결하는 횡방향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리브는 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
KR10-2002-0014211A 2002-03-15 2002-03-15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 KR100476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211A KR100476440B1 (ko) 2002-03-15 2002-03-15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211A KR100476440B1 (ko) 2002-03-15 2002-03-15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006A KR20030074006A (ko) 2003-09-19
KR100476440B1 true KR100476440B1 (ko) 2005-03-16

Family

ID=3222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211A KR100476440B1 (ko) 2002-03-15 2002-03-15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4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450U (ko) * 1994-06-22 1996-01-22 대우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콘트롤 패널 설치구조
KR960005075U (ko) * 1994-07-11 1996-02-16 고석배 정수기의 물탱크
KR20000014795U (ko) * 1998-12-30 2000-07-25 전주범 전자렌지의 컨트롤 패널 조립구조
KR20000051389A (ko) * 1999-01-21 2000-08-16 윤종용 전자렌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450U (ko) * 1994-06-22 1996-01-22 대우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콘트롤 패널 설치구조
KR960005075U (ko) * 1994-07-11 1996-02-16 고석배 정수기의 물탱크
KR20000014795U (ko) * 1998-12-30 2000-07-25 전주범 전자렌지의 컨트롤 패널 조립구조
KR20000051389A (ko) * 1999-01-21 2000-08-16 윤종용 전자렌지
KR100306628B1 (ko) * 1999-01-21 2001-09-24 윤종용 전자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006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4886A1 (en) Structure for holding switching board in small size electronic appliance
CN108569235B (zh) 冲击吸收体
JP4275599B2 (ja) プロテクタ
JP2006278248A (ja) 操作釦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467760B1 (ko) 세탁장치
KR100476440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프레임구조
US7028372B2 (en) Door hinge mounting device for microwave oven
KR100491582B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 판넬 조립구조
JP2020004501A (ja) 照明ユニット及びロック構造
KR960006224Y1 (ko) 컴퓨터 본체용 조립식 프론트 패널
US11895784B2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JP7433156B2 (ja) 開閉器におけるロックカバーの装着構造
KR101152371B1 (ko) 드럼세탁기 컨트롤패널 어셈블리의 버튼 장착구조
KR200243729Y1 (ko)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베이스플레이트 구조
KR20030079363A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조립체
KR200378446Y1 (ko) 전자레인지의프론트브라켓장착구조
KR200309591Y1 (ko) 냉장고 도어의 캡 부재 조립구조
JPH056961U (ja) ボタン電話機
KR960009856Y1 (ko) 전자렌지의 보강구조
KR19980029059U (ko) 일체형 브이시알 세트
KR100797153B1 (ko)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00255A (ko)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KR100534444B1 (ko) 도어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의 오조립 방지 구조
KR100533263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장치
KR100432750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조립체 및 그의 택트스위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