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962A -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 Google Patents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962A
KR20030074962A KR1020020013987A KR20020013987A KR20030074962A KR 20030074962 A KR20030074962 A KR 20030074962A KR 1020020013987 A KR1020020013987 A KR 1020020013987A KR 20020013987 A KR20020013987 A KR 20020013987A KR 20030074962 A KR20030074962 A KR 20030074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recording
shoes
identity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송영
Original Assignee
안송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송영 filed Critical 안송영
Priority to KR1020020013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4962A/ko
Publication of KR2003007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96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5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sound or music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하면서 신발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되어, 미아·장애인·치매노인·노약자·정신지체자 그리고 교통사고를 비롯한 각종 사고로 인하여 의식을 잃게 됨으로써 자신의 신상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타인에게 전달할 능력을 상실한 사람들의 신상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는 신원확인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평상시에는 각종 생활정보나 음악을 제공할 수 있는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하는 신발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발에 부착되는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함에 있어서, 신발의 외피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신원확인수단 및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베이스에 상기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음향발생수단은 스피커와 이어폰으로의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Attachment within shoes having sound production means and identity confirmation means}
본 발명은 구두·운동화를 비롯한 모든 신발 종류에 부착되는 부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하면서 신발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되어, 미아·장애인·치매노인·노약자·정신지체자 그리고 교통사고를 비롯한 각종 사고로 인하여 의식을 잃게 됨으로써 자신의 신상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타인에게 전달할 능력을 상실한 사람들의 신상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평상시에는 각종 생활정보나 음악을 제공할 수 있는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복잡한 사회생활속에서 자기자신이 불의의 사고를 당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상당한 수위에 이르고 있는데, 실제로 사고를 당하여 보호자에게 연락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경우가 가끔 발생한다.
그러한 경우나 특히, 행위능력이 없는 사람들에 대한 신원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로서, 미아가 발생하거나 사고 및 사망에 이르게 되었을 때에 보호자에게 연락할 수 없고, 보호자들도 실종자를 찾지 못하여 애를 태우는 것이 현실이다.
통상 미아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의의 앞가슴 쪽에 핀을 이용하여 이름표를 부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옷을 갈아입을 때마다 이름표를 바꿔서 달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어떠한 경우에는 이름표를 붙이지 못하여 효과를 거둘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미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목걸이에 표찰을 하거나 손목에 밴드를 부착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거부감을 갖는 사람이 있을 수 있고, 특히 유아들에게는 활동이 불편하게 되고, 피부에 손상을 주거나 분실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신원을 확인시켜 줄 목적으로 사용되는 휴대용품으로 상기한 목걸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해결하고자 신발 자체에 인적사항을 부착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한편,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는 상품의 수요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는 다양한데 상기 신원확인수단이 구비되면서 정보제공수단이 특정한 상품과 결합됨으로써 특정한 상품이 가지고 있는 기능 이외에 부가적인 기능을 더 구비하게 되어 소비자의 욕구 충족은 물론이고, 상품의 가치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구두를 비롯한 각종 신발류에 음향발생장치를 구비하여 신발에 부가적인 기능을 구현하는 고안, 그리고 자신의 신상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타인에게 전달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되게 할 목적으로 신발에 여러가지 방법을 부여하여 타인이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신원불명자나 미아가 발생하였을 때 보호자에게 그러한 사실이 전달될 수 있게 하는 방법들이 다양한 형태로 알려져 있다.
상기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는 신발로써 음향발생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는,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85-0006307호 '어린이용 멜로디 신발'과,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2-0008774호 '멜로디를 울려주는 보행계수기가 장착된 신발'과,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26030호 '엄지발가락감지에 의해 멜로디가 흘러나오는 아동용 신발'과, 국내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990-0002837호 '멜로디 신발'과,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20094호 '음향발생장치가 구비된 신발'과,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994-0002760호 '동물 및 인공적 음성합성음의 음장 및 음색을 보행속도와 같게 출력하는 완구'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신발에 신원확인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는,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88-0021182호 '어린이용 신발 깔창 부착 이름표'와,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3-0006047호 '미아 방지용 표찰이 봉접된 신발'과,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4-0025956호 '미아발생 방지용 신발'과,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2620호 '이름을 표기한 신발'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문헌에서 나타나는 음향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신발은 어린이나 유아들을 주된 사용 대상자로 하는 것으로, 신발의 밑창 측면이나 뒷굽쪽의 내부 바닥면에 음향발생장치를 매설하게 되는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신발에 음향발생장치가 매설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밑창 측면과 뒷굽의 구조가 복잡한 구조로 되어 필연적으로 금형 제작등 생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며, 밑창이나 뒷굽이 연질인 경우에는 매설된 장치가 발바닥에 자극을 주어 불편하고, 경질인 경우에는 신발의 탄성이 저하되어 신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신발 밑창의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우천시 침수에 의하여 내장되어 있는 건전지의 누전을 비롯하여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게 되고,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구조는 보행 동작시에 스위치가 작동하게 되어 매회 보행 동작때 마다 스위치가 작동하여 불필요하게 멜로디를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체중이 주로 뒷굽쪽에 작용함으로써 장치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전지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신발 밑창을 만지게 되어 불결하며, 이용함에 있어서도 단순한 음계의 멜로디가 발생되게 하여 유아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종래 신발의 밑창이나 뒷굽에 음향발생장치를 형성하는 것은 실제로 제작이 불가능하고, 제작이 되어도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신원확인수단을 구비하는 신발은 이름표 등을 부착하게 되는 것인데, 신발의 밑창 측면이나 뒷굽의 내부 바닥면에 이름표를 부착하게 되는 것으로, 이름표가 매설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밑창 측면과 뒷굽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금형 제작등 생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신발 밑창의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우천시 침수에 의하여 이름표를 알아 볼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매설된 상태에서는 타인이 이름표가 존재하는 사실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실효를 거둘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을 복합적으로 구비하여 양자의 수단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신발류에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품적인 가치를 높여줄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은 제안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구조에서 대부분 단순히 멜로디에 한정되어 있는 음향발생장치를 구비한 것과는 달리, 하나의 케이스 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을 동시에 구비하여 신발에 탈착 가능하게 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고 발생시 신원을 확인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 언제 어디서라도 원하는 정보를 청취할 수 있도록 복합적인 기능을 구비하여 녹음 및 재생이 가능한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하는 신발 부착구를 제공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에 탈착 가능하게 되면서, 사고 발생시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신원확인수단이 구비될 뿐만 아니라, 음성 녹음을 비롯하여 음악 또는 다양한 형태의 부가정보를 음향으로 입력 및 출력할 수 있게 음향발생수단을 동시에 구비하는 신발 부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에 부착되는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우천시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부착된 신발의 측면도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조립 상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녹음재생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신발에 부착되는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하나의 하우징 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신발의 외피에 고정부착되는 베이스와,
신원확인수단 및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상기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신원확인수단에 의해 미아·장애인·치매노인 그리고 교통사고를 비롯한 각종 사고로 인하여 의식을 잃은 사람들의 신상을 파악하여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고, 음향발생수단에 의해서는 상기 신원확인수단과 함께 각종 생활정보나 음악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부착된 신발의 측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신발부착구를 분해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착구는 신발(S)의 외피에 고정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200)로 구성된다.
베이스(100)는 신발(S)의 외피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기판(10)의 내측에 대칭으로 리벳(11)이 삽입되는 리벳삽입공(12)(13)이 천공되어 있고, 기판(10)의 가장자리 상부면으로부터는 돌출테(14)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테(14)의 좌우측으로는 본체 (200)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걸림턱(15)(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베이스(100)는 신발(S)의 측면이나 상부면 등 어느 곳에라도 고정시킬 수 있다.
본체(200)는 회로기판고정용 케이스(20), 녹음재생장치 수용케이스(30), 기록판(40), 고정테(50), 투명커버(60) 및 녹음재생장치(70)로 구성된다.
회로기판고정용 케이스(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베이스(100)의 하부걸림턱 (15)(16)과 협력하여 본체(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걸림턱(21)(22)과 돌출테 (23)가 형성되고, 상부걸림턱(21)(22)의 윗쪽으로는 녹음재생장치(70)가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90)이 고정되는 회로기판 수용부(24)가 형성되며, 상부 외곽으로 녹음재생장치 수용케이스(30)를 수용하기 위한 외벽(25)이 상부걸림턱(21) 및 돌출테 (23)와 단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녹음재생장치 수용케이스(30)는 그 외주면에 이어폰잭(31)과 라인잭(3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기록판(40)이 놓여지는 수평상의 기록판 안착대(33)의 상부에 투명커버(60)가 고정되는 원형상의 걸림턱(34)이 형성되며, 그 바깥쪽으로는 전원스위치(35)·마이크선택스위치(36)·라인선택 스위치(37) 및 재생 스위치 (38)가 형성되어 있다.
기록판(40)은 종이로 만들어져서 그 표면에 주소·전화번호 등과 같은 연락처와 이름이 기록되는데, 투명비닐이나 셀로판테이프 등이 코팅되어 빗물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록판(40)은 기록할 내용을 전사지에 전사인쇄하거나 스티커를 접착식으로 부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야간에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테(50)는 기록판(40)을 녹음재생장치 수용케이스(30)의 기록판 안착대 (33)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형테의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하부에는 녹음재생장치 수용케이스(30) 상부의 걸림턱(34)에 결합되는 하부걸림턱(5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투명커버(60)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걸림턱(52)이 형성된다.
투명커버(60)는 기록지를 읽기 용이하도록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고정테(50)의 상부걸림턱(52)에 고정되어 밀봉됨으로써 본체(200)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녹음재생장치(70)는 소형의 테이프 장치로서 휴대가 가능하며,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정형화된 음성정보가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되는 IC메모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녹음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를 채택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사항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1 및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100)를 리벳(11)을 이용하여 신발(S)의 외피에 고정하고, 회로기판고정용 케이스 (20), 녹음재생장치(70)를 수용하는 녹음재생장치 수용케이스(30)·기록판(40)·고정테(50)·투명커버(60)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본체(200)를 형성한다.
이러한 본체(200)는 도3 및 도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발(S)의 외피에 고정된 베이스(100)의 하부걸림턱(15)(16)에 상부걸림턱(21)(22)을 결합시키게 되면 신발(S)의 외피에 고정된 베이스(100)에 부착되어 이탈되지 않게 되며, 역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베이스(100)로부터 본체(200)가 이탈되어 다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5 및 도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녹음재생장치 수용케이스(30)에는 음향발생수단으로서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여 수분 내지 수십분 이내의 간단한 내용을 녹음하고 출력할 수 있는 녹음재생장치(70)가 형성된다.
이러한 녹음재생장치(70)는 공지된 휴대용의 장치가 채택될 수 있으며, 도3 및 도4와 도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전원스위치(35)·마이크 선택스위치(36)·라인선택스위치(37)·재생 스위치(38)를 포함하는 사용자선택 스위칭부(71);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72);
상기 마이크로폰(72)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고, 증폭 및 필터링하는 음성신호 입출력부(73);
상기 음성신호 입출력부(73)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음성저장 메모리(74);
상기 음성저장 메모리(74)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독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처리부(75);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라인잭(76);
상기 라인잭(76)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고, 증폭 및 필터링하는 오디오신호 입출력부(77);
상기 오디오신호 입출력부(77)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오디오 저장메모리(78);
상기 오디오 저장메모리(78)에 저장된 오디오데이터를 독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79);
상기 사용자선택 스위칭부(71)를 구성하는 각각의 스위치들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75)와 오디오신호 처리부(79)의 기록 재생 동작과, 상기 출력선택 스위칭부(81)를 제어하는 마이컴제어부(80);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75) 및 오디오신호 처리부(79)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스피커와 이어폰에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선택 스위칭부(81);
상기 출력선택 스위칭부(81)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출력하는 스피커 출력부(82); 및 이어폰잭(31)을 통해 출력하는 이어폰 출력부 (8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본 발명의 녹음재생장치에서, 먼저 간단한 메모를 음성으로 녹음하고 싶을 때에는, 전원스위치(35)를 누르고 마이크 선택스위치(36)를 동작시키면 마이크로폰(72)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음성신호 입출력부(73)를 통하여 음성저장 메모리 (74)에 디지털 데이터의 음성을 입력시키게 된다.
한편, 오디오를 녹음하고 싶을 때에는 음향기기의 라인 출력단자를 라인잭 (76)에 연결하고, 전원스위치(35) 및 라인선택스위치(37)를 동작시키면 마이컴 제어부(80)에 의하여 오디오신호 입출력부(77)를 통하여 오디오 저장메모리(78)에 디지털화된 오디오 신호를 입력시키게 된다.
녹음이 되면 재생스위치(38)가 ON이 된 상태에서 출력선택 스위칭부(81)의 스피커 출력 스위치와 이어폰 출력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음성신호 처리부(75) 또는 오디오신호 처리부(79)가 재생모드로 동작되어 음성저장 메모리 (74) 또는 오디오저장 메모리(78)로부터 음성 및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증폭 및 필터링한 다음 스피커 출력부(82) 또는 이어폰 출력부(83)로 음향이 출력된다.
상기 녹음재생장치(70)에 입력되는 음향, 예를 들면 유아·어린이·박약자 등과 같이 신원확인이 곤란하게 될 수 있는 사람에 대한 연락처·구조요청 등을 육성으로 녹음할 수 있고, 만화영화 주제가·대중가요·회화·학습 및 교육적 내용 그리고 치한 퇴치용 경보음 및 음성을 비롯하여 녹음 가능한 모든 종류의 음성 및 오디오 신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부착구가 부착되는 신발은 성인용·유아용 및 어린이용을 포함하는 평상화, 스포츠화, 특수목적화 등 모든 종류의 신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음향발생수단이 녹음재생장치인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녹음 기능이 없어도 치한퇴치용 경보음과 같이 이미 설정된 음향효과가 입력되어 있는 IC메모리를 제작 단계에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신원확인수단과 음향수단이 구비된 부착구를 신발에 항상 착용한 상태로 다닐 수 있으며, 이름·나이·주소·전화번호 등과 같은 개인의 인적사항이 기록되어 있어서 어린이가 외부에서 유희를 하고 있을 때 미아 발생에 대한 불안감이 제거되어 보호자가 안심할 수 있고, 어린이들 뿐만 아니라 치매에 걸린 노인이나 장애인 그리고 교통사고를 당하거나 여행 중에 조난을 당하여 의식불명이 되는 상태가 된 사람도 신속하게 신원이 파악되어 보호자에게 인도할 수 있게 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단순한 신발의 기능외에 음성 녹음을 비롯하여 음악 또는 다양한 형태의 부가정보를 음향으로 입력 및 출력시킴으로써 단순한 착용만을 목적으로 하는 신발의 단순함에서 벗어나서 미디어 기능을 결합된 부가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일상생활에 유익하고 즐거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발 상부에 탈착식으로 취급이 간편하며, 눈이 오거나 비가 오더라도 물이 스며들지 않아서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없으며, 세탁시에는 베이스와 본체를 분리하여 세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신발에 부착되는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신발 상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녹음재생장치(70) 및 신원확인용 기록판(40)을 구비하는 본체(200)와;
    상기 베이스(100)에 상기 본체(200)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음향발생수단이 스피커 출력수단과 이어폰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향발생수단이 음향이 입력된 IC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향발생수단이 녹음재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이 베이스(100)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걸림턱(15) (16)과, 본체(200) 하부에 형성되는 상부걸림턱(21)(22)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KR1020020013987A 2002-03-15 2002-03-15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KR20030074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987A KR20030074962A (ko) 2002-03-15 2002-03-15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987A KR20030074962A (ko) 2002-03-15 2002-03-15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641U Division KR200278195Y1 (ko) 2002-03-15 2002-03-15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962A true KR20030074962A (ko) 2003-09-22

Family

ID=3222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987A KR20030074962A (ko) 2002-03-15 2002-03-15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49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718B1 (ko) 2021-01-26 2022-03-28 (주)씨지픽셀스튜디오 미아방지 기능을 탑재한 음성구현 신발 및 이를 이용한 미아방지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806U (ja) * 1982-12-27 1984-07-09 鈴木 康彦 児童用靴
JPS60117707U (ja) * 1984-01-19 1985-08-09 有限会社 桜屋 メロデイ発生装置内蔵の靴
JPS61181502U (ko) * 1985-05-01 1986-11-12
JPS6357913U (ko) * 1986-10-01 1988-04-18
JPH0347473A (ja) * 1989-07-13 1991-02-28 Toyo Denso Co Ltd ローターヘッド及びその製法
JPH0462104U (ko) * 1990-10-08 1992-05-28
JPH10234423A (ja) * 1997-02-27 1998-09-08 Akie Yamada
KR20010026197A (ko) * 1999-09-03 2001-04-06 이승준 구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806U (ja) * 1982-12-27 1984-07-09 鈴木 康彦 児童用靴
JPS60117707U (ja) * 1984-01-19 1985-08-09 有限会社 桜屋 メロデイ発生装置内蔵の靴
JPS61181502U (ko) * 1985-05-01 1986-11-12
JPS6357913U (ko) * 1986-10-01 1988-04-18
JPH0347473A (ja) * 1989-07-13 1991-02-28 Toyo Denso Co Ltd ローターヘッド及びその製法
JPH0462104U (ko) * 1990-10-08 1992-05-28
JPH10234423A (ja) * 1997-02-27 1998-09-08 Akie Yamada
KR20010026197A (ko) * 1999-09-03 2001-04-06 이승준 구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718B1 (ko) 2021-01-26 2022-03-28 (주)씨지픽셀스튜디오 미아방지 기능을 탑재한 음성구현 신발 및 이를 이용한 미아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818B1 (ko) 신발에 내장된 음원발성장치 및 이를 내장한 신발
US6028520A (en) Annunciator for a toilet
US6101366A (en) Sound belt for diapers
US607239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cording the audible environment of a child, patient, older person or pet left in the care of a third person or persons
US7399034B2 (en) Time-out seat with changeable audio signal
US20040130449A1 (en) Electronic baby-soothing device with wireless remote monitor
WO2002015142A1 (en) Baby bottle attachment with sound monitor/transmitter and recordable/pre-recorded sound playback
US6369698B1 (en) Device with interval playbacks for pets and infants
WO200900913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playback of personalized and non-personalized audio messages
US20060207410A1 (en) Cup and cup-like container
US6106358A (en) Biblical scripture doll
US6023516A (en) Garment with a voice chip in a sealed container
KR200278195Y1 (ko)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CN205585473U (zh) 一种多功能自求助智能手杖
KR20030074962A (ko)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US20070200714A1 (en) Sound activated infant comfort device
JPS6137305Y2 (ko)
KR101778222B1 (ko) 보이스 퍼즐 장치
CN107037719A (zh) 一种学生用智能闹钟
CN109937077A (zh) 音频装置和使用的方法
KR200171829Y1 (ko) 소리나는 신발
KR200431460Y1 (ko) 미아방지용 목걸이
KR200173804Y1 (ko) 유아의 걸음마 보조음악 및 유아의 내력이 입력된 깔판(musical paving pad containing infants history)
WO2000008648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stockage de son et de lecture de son installe dans le boitier d'un cadeau
US9403101B2 (en) Multiple activity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