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6197A - 구두 - Google Patents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6197A
KR20010026197A KR1019990037412A KR19990037412A KR20010026197A KR 20010026197 A KR20010026197 A KR 20010026197A KR 1019990037412 A KR1019990037412 A KR 1019990037412A KR 19990037412 A KR19990037412 A KR 19990037412A KR 20010026197 A KR20010026197 A KR 20010026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identification
wearer
reinforcing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준 filed Critical 이승준
Priority to KR1019990037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6197A/ko
Publication of KR2001002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1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물들에 의해 식별이 용이해지고 내구성이 향상된 구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드러운 소재로 제조되는 측면부 및 덮개부와, 마모에 강한 소재로 제조되는 밑창으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구두에 있어서, 착용자 식별을 용이하게 하며 동시에 구두 미관을 보강하는 식별 수단을 구비하는 구두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구두는 뒷굽의 마모를 착용자의 보행 습관을 고려하여 억제 및 지연하며, 지면과 접촉시 경쾌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보강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두에 의해 미관의 보강 및 용이한 식별성과, 착용자의 보행 습관이 고려된 향상된 내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두{SHOES}
본 발명은 구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별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구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는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신발중 주로 가죽을 주원료로 하여 발등을 덮게 만들어진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구두는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서 상기 본래 기능이외에도 다른 부가적 기능, 향상된 편의성, 세련된 외관을 착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개선되어 왔으며, 현재 생산 업체들에서 다양한 소재 및 구조등을 갖는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구두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구두(1)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발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부(3)와, 상기 측면부(3)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덮개부(5)와, 노면으로부터 착용자의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7)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부(3)와 덮개부(5)는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며 편안하게 감쌀 수 있는 부드러운 소재, 즉 가죽등의 소재로 제조되며, 상기 밑창(7)은 마모에 강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인 천연 및 합성고무등의 소재로 제조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구두에는 지금까지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다양한 개선이 이루어져 왔지만, 아직도 개선할 사항이 남아 있다. 이에 대해 예를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성품의 한정된 구두 모델로 인해 동일 모델 구두 착용자 간에 발생하는 소유의 불명확함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평상시에 착용하고 활동하는데는 어떠한 지장도 주지 않으나, 식당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구두를 벗는 경우에는 나중에 서로의 구두가 바뀔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보행 습관을 고려한 구두의 내구성도 개선 사항이 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구두는 착용자의 보행 습관에 따라 뒷굽의 어느 한쪽이 집중적으로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물론 이와는 별도로 구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두 밑창 및 굽의 재질, 형상등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져 왔으나, 보행 특성에 따라 한 쪽 굽이 먼저 마모되는 현상을 고려한 내구성의 개선은 아직 부족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식별이 용이한 구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보행 습관이 고려된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구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구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두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식별 수단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보강 수단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두 3 : 측면부
5 : 덮개부 7 : 밑창
10 : 식별 수단 11 : 기초 부재
13 : 식별 부재 15 : 식별부
17 : 장식 부재 19 : 고정 구멍
20 : 보강 수단 21 : 고정 구정
23 : 고정못 25 : 보강 수단 자리부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드러운 소재로 제조되는 측면부 및 덮개부와, 마모에 강한 소재로 제조되는 밑창으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구두가 착용자 식별을 용이하게 하며 동시에 구두 미관을 보강하는 식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 수단이 상기 구두의 표면에 부착되는 기초 부재와, 상기 기초 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거나 상기 기초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식별 부재, 그리고 상기 식별 부재 상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성명 도는 단체명이 기입되는 식별부로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구두의 미관을 보강하는 부가 장식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구두 뒷굽의 마모를 착용자의 보행 습관을 고려하여 억제 및 지연하며, 지면과 접촉시 경쾌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보강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들의 고정 위치에 있어,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구두의 표면 어느 위치라도 고정 가능하며, 상기 보강 수단은 착용자 보행 특성에 따라 상기 구두 뒷굽의 후방 우측 말단부와 좌측 말단부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보강 수단 자리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미관을 보강함과 동시에 착용자 식별이 용이하고, 착용자의 보행 습관이 고려된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구두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에 설명된다.
도 2는 상술된 일반적 구두(1)에 부착물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구두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상기 부착물들은 착용자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식별 수단(10)과 구두에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하는 보강 수단(20)이다. 이들은 각각 상기 구두(1)의 소정 위치에 각각 부착된다. 이와 같은 식별 수단(10)과 보강 수단(20)은 구두에 부가적인 기능을 더하는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인 식별 수단(10)은 상기 구두(1)의 표면에 부착되는 기초 부재(11)와, 상기 기초 부재(11)의 소정의 위치에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거나 상기 기초부재(11)와 일체로 형성되는 식별 부재(1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식별 부재(13)는 그 상부에 소정 위치에 식별부(15)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식별 수단(10)은 예를 들어 측면부(3), 덮개부(5) 또는 후면부와 같은 상기 구두(1)의 표면의 임의 위치에 부착 가능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별 수단의 인식도를 가장 높일 수 있는 구두 뒷굽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별 수단(10)의 부착 방법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소정의 결합 부재를 가지고 식별 수단(10)의 고정 구멍(19)을 통해 부착하는 방법이 더 견고한 부착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식별 수단(10)의 전체 구성에 따른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기초 부재(11)는 식별 수단(10)의 전체의 기초 구조를 이루며, 부착시 구두(1)의 표면과 직접 접촉한다. 상기 기초 부재(11)의 형상은 도시된 것과 같은 띠의 형상이외에 어떠한 것으로도 될 수는 있으나, 상기 식별 부재(13)가 부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구비하여야 하고, 동시에 구두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초 부재(11)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금속 재료가 선정될 수 있으나 다른 재료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나 구두 상부의 재질과 동일한 가죽 재료로도 제작 가능하다.
상기 기초 부재(11)의 소정 위치에 부착 또는 형성되는 식별 부재(13)는 그 내부에 형성되는 식별부(15)를 지지하는 기초부가 된다. 상기 식별 부재(13)는 형상에 있어서 식별부(15)가 소유자의 성명 또는 단체명이 명확히 기입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그 자체로 구두의 미관을 돋보이게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식별 부재(13)는 그 재질에 있어 상기 기초 부재(11)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기초 부재(11)에 부착되거나 기초 부재(11)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식별부(15)는 상기 식별 부재(13)내에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착용자 또는 단체의 식별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식별부(15)는 상기 식별 부재(13)상에 소정 영역을 갖도록 형성되며, 소유자의 성명 또는 단체명은 음/양각 또는 프린팅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기입된다. 또한 상기 식별부(15)는 상기 식별 부재(13)상에 부착되는 프레임(frame)의 형태로 제작되어, 이 내부에 착용자의 성명 또는 단체명이 기입된 별도의 이름표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식별 부재(13)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식별부(15)를 포함하여 이를 부각시킴으로서, 상기 식별부(15)내에 명기된 소유자의 성명 또는 단체명을 식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식별 수단(10) 자체의 미관적 요건을 보강하기 위한 장식 부재(17)들이 상기 기초 부재(11)상에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거나 상기 기초 부재(11)와 일체로 형성 제작된다. 상기 장식 부재(17)들은 다양한 크기, 형태, 재질로 제작되는데, 예를 들어 단체의 로고와 같은 단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 요소들을 구비하여, 소정의 부착 위치에 고정된 식별 수단(10)은 구두 미관의 보강과 함께 식별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실시예인 보강 수단(20)이 또한 도 2에 도시된다. 상기 보강 수단(20)은 구두 뒷굽의 마모를 억제하고 지면과 접촉시 경쾌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 요소이고, 뒷굽에 대해 적당한 크기를 갖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보강 수단(20)의 재질은 상기 목적에 부합하도록 구두 뒷굽의 재질보다 강한 재질, 예를 들어 금속재로 선정된다.
또한 상기 보강 수단(20)은 일정 개수의 고정 구멍(21)이 그 내부에 형성되고, 이를 통해 고정못(23)으로 구두 뒷굽 바닥면의 소정 위치, 즉 보강 수단 자리부(25)에 고정된다.
이에 대하여, 도 4는 구두 뒷굽의 바닥면에서의 보강 수단(20)의 고정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보강 수단(20)의 고정에 앞서, 상기 보강 수단 자리부(25)는 뒷굽 바닥면의 후방 말단부의 우측 모서리 및/또는 좌측 모서리에 치우쳐 상기 보강 수단의 형상, 크기, 두께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 수단 자리부(25)의 형성 위치는 구두 착용자의 보행 특성 즉, 상기 구두 뒷굽의 우선적으로 마모되는 현상에 기초하여 후방 우측 말단부와 좌측 말단부중 어느 한쪽에 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강 수단(20)은 구두 착용자의 보행 습관에 의해 구두 뒷굽중 어느 한 쪽이 우선적으로 마모될 때에 구두 뒷굽 대신에 지면과 접촉함으로서 추가적 마모 진행을 억제 및 지연하고, 따라서 구두 뒷굽에 내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 수단(20)이 금속재로 제작된 경우에는 지면과 접촉시 경쾌한 소리를 내어 착용자의 개성을 부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몇몇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그 취지와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서 주어진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착용자의 성명 또는 단체명이 기입되고 여기에 부가적인 장식 부재를 구비하여 그 자체로 미관적 요소가 됨과 동시에 타인에 대해 소유를 명확하게 구별해 주는 효과가 있다.
둘째, 뒷굽 소재보다 강한 보강재를 착용자의 보행 습관에 맞게 구두 뒷굽 바닥면의 후방 말단부 우측 또는 좌측에 고정하여 뒷굽의 마모 현상을 억제 및 지연함과 동시에 지면과 접촉시 경쾌한 소리를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부드러운 소재로 제조되는 측면부 및 덮개부와, 마모에 강한 소재로 제조되는 밑창으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구두가 착용자 식별을 용이하게 하며 동시에 구두 미관을 보강하는 식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이 상기 구두의 표면에 부착되는 기초 부재와, 상기 기초 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거나 상기 기초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식별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부재가 그 상부의 소정 위치에 착용자의 성명 또는 단체명이 명기되는 식별부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이 미관을 보강하는 장식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두 뒷굽의 마모를 착용자의 보행 습관을 고려하여 억제 및 지연하고, 지면과 접촉시 경쾌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보강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수단이 착용자 보행 특성에 따라 상기 구두 뒷굽의 후방 우측 말단부와 좌측 말단부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보강 수단 자리부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KR1019990037412A 1999-09-03 1999-09-03 구두 KR20010026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412A KR20010026197A (ko) 1999-09-03 1999-09-03 구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412A KR20010026197A (ko) 1999-09-03 1999-09-03 구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197A true KR20010026197A (ko) 2001-04-06

Family

ID=1961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412A KR20010026197A (ko) 1999-09-03 1999-09-03 구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61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962A (ko) * 2002-03-15 2003-09-22 안송영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962A (ko) * 2002-03-15 2003-09-22 안송영 신원확인수단과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된 신발 부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9732A1 (en) Construction Unit and Decorative Component, and a Shoe Incorporating Same
US6675501B2 (en) Insole construction for footwear
US7275337B2 (en) Shoe with a composite insole
US20040025377A1 (en) Footwear insert to prevent foot sliding
US20080229615A1 (en) Decorative Shoe Cover
US20070220777A1 (en) Comfortable and portable footwear
US4603493A (en) Insole with moldable material
US20120304493A1 (en) Fashion Shoe Having A Removable Insole and Footbed Cover
US20130160325A1 (en) Diy shoe
US7793427B2 (en) Platform footwear construction and related method
US20100024247A1 (en) Protective appliance for flip-flop type footwear
US10244814B2 (en) Modular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ttachment
KR102502739B1 (ko) 장식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신발 구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US8104198B2 (en) Attachment assembly for decorative shoe accessory
US20200107612A1 (en) Customizable footwear system
US7735243B1 (en) Footwear toe pad
US66914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gmenting dancer's foot
CA3115271A1 (en) Customizable footwear system
US4766680A (en) Shoe with transparent sole and scuff pads
US20130291397A1 (en) Device for muting sound associated with wearing sandals
KR200371505Y1 (ko) 다양한 칼라, 비중, 경도를 갖는 이단으로 자유롭게분리되는 신발
KR20010026197A (ko) 구두
USD427420S (en) Lighted sport design on an athletic shoe
JPS60171002A (ja) 靴の中底
US68772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hoe using San Crispino and vulcanization constru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