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668A - 연속 주조에서 용융 금속을 잉곳 금형 내에 주입시키기위해 바를 구비한 노즐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에서 용융 금속을 잉곳 금형 내에 주입시키기위해 바를 구비한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668A
KR20030074668A KR10-2003-7008363A KR20037008363A KR20030074668A KR 20030074668 A KR20030074668 A KR 20030074668A KR 20037008363 A KR20037008363 A KR 20037008363A KR 20030074668 A KR20030074668 A KR 20030074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molten metal
nozzle
hollow par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6457B1 (ko
Inventor
다마세장-미셸
가셰로렝
Original Assignee
위지노르
티센크루프 슈타알 악티엔게젤샤프트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지노르, 티센크루프 슈타알 악티엔게젤샤프트,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위지노르
Publication of KR2003007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Accessories therefor for supplying molten metal
    • B22D11/064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Confectionery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곳 금형 내부에 용융 금속을 주입하기 위해, 일 단부가 상기 용융 금속을 담고 있는 용기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타 단부는 내부 공간(3)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제1 튜브형 부분(2)과 대략 직각으로 배향되는 기다란 형상의 제2 중공부(4)로 개구되는 상기 제1 튜브형 부분(2)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4)는 각각의 단부에 출구(5, 6)를 가지고, 바(bar)(19, 27, 29)에는 상기 중공부(4)의 내부 공간(3)에 배치되는 구멍(perforation)(21)이 제공되는 노즐(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중공부(4)의 출구(5, 6)는 상기 바(19, 27, 29)의 위쪽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 주조에서 용융 금속을 잉곳 금형 내에 주입시키기 위해 바를 구비한 노즐 {NOZZLE EQUIPPED WITH A BAR FOR INTRODUCING MOLTEN METAL INTO AN INGOT MOULD FOR CONTINUOUS METAL CASTING}
이들 노즐은 그 상단부가 턴디쉬(tundish)라고 부르는 용융 금속 저장소의 역할을 하는 용기와 연결되고, 그 하부는 주조품의 응고가 시작되는 잉곳 금형 내에 존재하는 용융지 내에 침지된다. 이들 노즐의 주요 역할은 용융 금속의 분사가 용기와 잉곳 금형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대기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들의 하단부를 적절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잉곳 금형 내부로의 용융 금속 유동이 바람직하게 배향되어 최상의 조건 하에서 주조품의 응고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용융 금속(예를 들어 강 또는 동)으로부터 수 밀리미터의 얇은 금속 스트립을 주조하는 것은 소위 "쌍롤 주조" 장치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내부에서 냉각되며 평행한 수평축을 갖고 이들 축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롤에 의해 주조 공간의 장변(long side)이 경계지어지고, 상기 롤의 단부에 대하여 입혀지는 내화재로 만들어진 폐쇄판(측면이라 부름)에 의해 단변(short side)이 경계지어지는 잉곳 금형을 포함한다. 이들 롤은 냉각된 엔드리스 벨트(endless belt)로 대체될 수 있다.
쌍롤식 주조에서, 흔히 2부분의 노즐이 사용된다(EP-A-0 771 600 참조). 제1 부분은 용융강을 금형에 공급하는 저장소를 구성하는 턴디쉬의 바닥에 만들어진 오리피스에 상단부가 연결되는 원통형 튜브로 이루어진다. 이 오리피스는 필요에 따라 조작자가 용융 금속의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스토퍼 로드(stopper rod) 또는 슬라이딩 노즐을 이용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노즐로 유입될 수 있는 용융 금속의 최대 유동량은 이 오리피스의 단면에 좌우된다. 전술한 튜브의 하단부에 예를 들어 나사에 의해 고정되거나 제조 과정에서 내장되는 제2 부분은 잉곳 금형 내에 존재하는 용융지에 침지되도록 의도된다. 상기 제2 부분은 내부에 전술한 원통형 튜브의 하부 오리피스가 개구되는 중공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공 부재의 내부 공간은 그 위에 노즐이 장착되는 기계의 주조 공간 크기에 따라 보다 크거나 작은 기다란 일반 형상을 갖는다. 이 형상은 튜브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다. 노즐이 작동 중일 때, 중공 부재는 롤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용융 금속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단부에 있는 중공 부재의 측부 상에 만들어진 출구를 통해 잉곳 금형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 노즐을 떠나는 용융 금속의 유동은 바람직하게 측면 방향으로 배향되어 고온의 용융 금속이 측면에 유입되어, 기계의 조작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키게 되는 용융 금속의 바람직하지 않은응고("유해 응고"라 함)를 방지하도록 한다. 출구는 수평이거나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배향되어 있다. 이들 출구보다 작은 여러 오리피스가 측벽 및/또는 노즐의 베이스 상에 제공되어 고온의 용융 금속이 노즐의 측부 및/또는 하부에 놓이는 금형의 영역으로 향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잉곳 금형 내에 존재하는 용융 금속의 열적 균일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노즐의 사용에 직면하는 주요 문제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용융 금속이 내부 공간에 완전히 충전되지 않고 용융 금속의 유동이 불규칙하고 불안정한 형태로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특히 턴디쉬의 오리피스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았을 경우이다. 이것은 출구를 떠나는 용융 금속의 유동을 매우 불안정하게 하고, 잉곳 금형 내부의 유동은 노즐이 이론적으로 기능하도록 한 최적의 구성과 상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품의 응고에서 불균일 현상이 나타나고, 이것은 특히 얇은 스트립이 주조되는 경우에 최종 품질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내부 공간에 용융 금속의 자연 유동을 방해하는 압력 손실용 노즐 장애물을 삽입함으로써 해결된다. 용융 금속의 동일한 유동량을 위해 유동 속도가 제한되고 따라서 노즐 내부 공간으로의 충전이 개선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노즐 외부에서의 용융 금속 유동의 비정상적인 변화가 감소된다. 상기 언급한 2부분의 노즐인 경우, 상기 장애물은 원통형 제1 부분 또는 그 연장부에 삽입될 수 있다(EP-A-0 765 702 참조). 이들 장애물은 "바", 즉 노즐의 제2 부분을 구성하는 중공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공성 또는 타공된 내화물로 만들어진 기다란 평행 육면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EP-A-0 950 451 참조). 이 바는 또한 노즐의 베이스 또는 측벽에 제공될 수 있는 용융 금속 출구 오리피스로의 보다 균일한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노즐의 유형에서는 바가 중공 부재의 대략 중간 부분 높이에서 중공 부재 내에 제공되는 쇼울더 상에 놓인다. 바는 각각의 출구를 다음과 같은 2개의 구역으로 분할한다.
- 바를 먼저 통과시키지 않고 용융 금속이 유동될 수 있는 상부 구역
- 바를 통과한 용융 금속이 유동되지 않는 하부 구역
이러한 배열은 많은 결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선 바의 존재는 바가 적소에 놓일 수 있기 위해 비교적 직경이 큰 출구의 형성을 필요로 하며, 이것은 유체역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항상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사실, 직경이 이렇게 크면 노즐의 제2 부분이 주조 공간 내에 깊숙이 침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그 이유는 출구의 상부와 롤 사이에 존재하는 용융 금속의 표면 사이가 최소의 거리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최소 거리가 무너지면 상기 표면이 교란될 위험이 있으며, 이것은 스트립의 응고 시작을 불균일하게 한다. 또한 롤 사이의 용융 금속의 재순환 루프의 영향을 받으면 용융 금속은 출구의 상부 구역으로 되돌아가서 노즐의 작동을 열화시키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노즐의 깊은 침지는 상당한 부분의 내화물이 롤 사이에 존재하는 용융 금속과 접촉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열적인 관점에서 볼 때, 특히 노즐이 아직 용융 금속과 열적 평형을 이루지 않은 주조의 시작 단계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갖지 않는 바를 구비한 노즐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의 연속 주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히 쌍롤식 주조(twin-roll casting)와 같은 연속 주조 장치의 잉곳 금형 내에 강철과 같은 주조될 용융 금속이 통과되는 내화재로 만들어진 노즐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바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실시예를 정면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b)는 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에 구비될 수 있는 바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에 구비될 수 있는 바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바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금속을 연속 주조하기 위한 잉곳 금형 내부에 용융 금속을 주입하기 위한 노즐과 관련되며, 이러한 유형의 노즐은 제1 튜브형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튜브형 부분의 일 단부는 용융 금속을 담고있는 용기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타 단부는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1 튜브형 부분과 대략 직각으로 배향되는 기다란 형상의 제2 중공부로 개구되며, 상기 제2 중공부는 각각의 단부에 출구를 가지고, 상기 제2 중공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구멍(perforation)이 바(bar)에 제공되며, 상기 제2 중공부의 출구는 상기 바의 위쪽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중공부의 출구는 상기 바의 상부면에 제공되는 돌출부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노즐의 내부 쪽으로 기울어지는 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는 상부면의 폭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융기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융기부의 정상부는 상기 바의 길이 방향 축 상에 놓인다.
상기 바의 상부면은 횡 방향 릴리프를 갖되, 상기 횡 방향 릴리프 사이에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횡 방향 릴리프는 대략 삼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의 중앙에 놓이는 횡 방향 릴리프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른 횡 방향 릴리프는 대략 임의 형태의 삼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노즐의 제2 중공부는 자신의 베이스 및/또는 측벽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바 위쪽에 있는 상기 노즐의 제2 부분의 출구의 상부 구역의 완전한 폐쇄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한 설명을 통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노즐(1)은 좁고 기다란 형상으로, 특히 공지된 방법에 따라 내부에서 냉각되고 회전식으로 지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얇은 스트립을 주조하기 위한 설비 상에서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노즐(1)은 상단부(미도시)가 턴디쉬의 출구 오리피스와 연결되도록 되어있는 원통형 튜브(2)로 구성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한다. 원통형 튜브(2)는 노즐(1)의 제2 부분에 있는 내부 공간(3)으로 개구되고, 내부 공간(3)은 설비의 주조 공간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기다랗고 충분히 좁은 형상의 중공 부재(4)로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중공 부재(4)는 용융 금속이 노즐(1)을 빠져나갈 수 있는 여러 개의 오리피스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서 한정적인 예시가 아닌 2개의 출구(5, 6)는 단면이 4각형이고, 각각이 중공 부재(4)의 단부에 제공되어 주조 공간의 단변(short side) 쪽으로 배향되도록 되며, 이 출구(5, 6)를 통해 대부분의 용융 금속이 노즐(1)을 통과하여 유동된다. 도 1(a)에 따른 예시에서, 이들 출구(5, 6)는 수평으로 배향되지만, 동일하게 경사지도록 배향될 수도 있고, 종래 방식의 상이한 단면 형상(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보다 복잡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중공 부재(4)의 베이스(18)의 중간 평면에는 수직으로 배향된 작은 직경의 일련의 원통형 출구 오리피스(7-17)가 제공되어 노즐 아래쪽에 놓인 주조 공간의 구역으로 고온의 용융 금속을 직접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EP-A-0 771 600에 공지된 바와 같이 중공 부재(4)의 베이스(18)의 중간 평면 양쪽에 각각 1열이 아닌 2열의 오리피스를 제공하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다른 변형은 출구 오리피스(7-17)에 중공 부재(4)의 기다란 측벽에 제공되고 주조 공간의 장변(long side) 방향(즉, 쌍롤 주조 설비의 경우 롤 방향)으로 제공되는 오리피스를 가감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오리피스(7-17)는 정확한 원통형이거나 예를 들어 타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들은 경사지게 배향될 수도 있다(EP-A-0 771 600의 일 변형). 따라서 이들 오리피스는 중공 부재(4) 베이스(18)의 길이 일부분 또는 전체에 걸쳐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슬롯으로 대체될수 있고, 이 경우,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균일하게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구(5, 6) 대신에 용융 금속을 위한 어떠한 출구 오리피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노즐(1)은 또한 내부 공간(3)에 배치되고 중공 부재(4)의 벽 상에 제공되는 쇼울더(20) 위에 놓이며 중공 부재(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타공된 바(perforated bar)(19)를 갖는다. 타공된 바(19)의 기능은 공지된 바와 같이, 용융 금속의 압력 손실을 일으켜서 내부 공간으로의 보다 양호한 충전을 얻도록 하고 이에 따라 노즐(1) 외측에서의 용융 금속의 유동이 균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는 도 1(a) 및 1(b)에 나타낸 예시처럼 대략 평행 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바(19)는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상부면(22)으로부터 하부면(23)으로 관통되는 구멍(21)을 갖는다. 예시에서, 이들 구멍(21)은 2열로 배치되고 바(19)의 길이 방향 축 양쪽에 분포되며, 정확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배열 및 형상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이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구멍(21)은 1열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19)의 위쪽에 놓이는 출구(5, 6)는 노즐(1)을 통과하는 용융 금속 모두가 바(19)를 통과하도록 폐쇄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예에서, 상기 폐쇄는 바(19)의 제조 과정에서 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돌출부(24, 25)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폐쇄는 바(19)가 노즐(1)의 적소에 놓이기 전이나 후에 바(19)에 고정되는 부착 부분, 또는 바(19)가 적소에 놓인 후에 가해지는 내화물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중공 부재(4) 내의 내부 공간이 바(19)에 의해 분리되는 2개의 연통되는 상부 부분(26) 및 하부 부분(27)으로 분할되며, 하부 부분(27)은 하부의 폐쇄되지 않은 출구 부분(5, 6) 및 오리피스(7-17)를 통해 노즐(1)의 외부로 개구된다.
본 발명은 또한 바를 구비하고 출구의 상부가 폐쇄되지 않은 공지된 노즐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노즐 내부(1)의 용융 금속의 유동이 보다 양호하게 조절되고 보다 정확하게 이송되어, 장시간에 걸쳐 보다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턴디쉬를 떠나는 용융 금속의 유동량 변화는 노즐(1) 뿐만 아니라 연속 주조 장치의 주조 공간에서도 용융강의 유체역학적 영향을 감소시킨다. 특히, 2개의 출구(5, 6) 사이의 용융 금속 유동의 균일한 분배가 한층 보장된다.
주조 공간으로부터 돌아오는 출구(5, 6) 내부에서의 용융 금속의 재순환이 방지되어 노즐(1)은 물론 주조 공간에서의 유동이 균일해진다.
노즐(1)의 침지는 중공 부재(4)의 내부 공간의 상부로부터가 아닌 바(19)의 하부면(23)으로부터 계산되기 때문에 깊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용융강 내에 보다 적은 양의 내화물이 침지되어 열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출구가 부분적으로 폐쇄되지 않은 종래 기술의 노즐과 유사하게 침지되도록 선택되는 경우, 용융 금속이 평균적으로 보다 깊게 도달하여 주조 공간 내에 존재하는 용융 금속의 표면 교란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응고가 보다 균일하게 시작된다.
바(19)의 밀봉은 돌출부(24, 25) 또는 출구(5, 6)의 상부 부분을 폐쇄하는부재가 중공 부재(4)와 접촉하는 표면을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다.
바(19)는 도 2 내지 도 4의 한정적이지 않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EP-A-0 950 451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바(27)는 바(19)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그 폭의 적어도 일부분이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융기부(raised portion)를 갖는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 융기부(28)는 바(27)의 전체 길이 및 폭에 걸쳐서 연장되고 일정한 삼각형 단면을 가지며, 삼각형의 정점은 바(27)의 길이 방향 축 상에 놓인다. 융기부(28)의 기능은 노즐(1)의 원통형 튜브(2)로부터 나오는 용융 금속의 분출을 노즐(1)의 중공 부재(4)의 단면 상 대칭으로 분배되게 "집중"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평행 육면체의 바와 비교하면, 보다 균일한 충전이 얻어지고 이것은 장시간 지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출구(5, 6)의 상부 부분 폐쇄는 바(27)와 같은 유형에 의해 얻어지는 장점이 보다 두드러지도록 한다. EP-A-0 950 451에 기재된 중앙 융기부를 구비한 바의 다른 예시가 본 발명에 채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시의 상세한 설명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도 3에 바의 구성에 대한 변형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바(29)는 대략 평행 육면체의 형상이며 그 상부면(22)에는 사이에 구멍(21)이 관통되는 삼각형 단면의 횡 방향 릴리프(30)를 갖는다. 이들 횡 방향 릴리프(30)는 용융 금속의 유동에 대한 장애물이 되어 여러 구멍(21) 사이에서 용융 금속의 분배를 보다 균일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노즐(1) 출구의 상부 부분 폐쇄는 이들 횡 방향 릴리프(30)의 존재의 장점을 최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실질적으로, 중공 부재(4)의 상부부분(26)에 대한 양호한 충전은 장시간 유동을 안정되게 하며, 이에 따라 횡 방향 릴리프(30)의 효과가 신뢰적으로 일정하게 얻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노즐(1) 출구의 상부 부분이 폐쇄되지 않으면 노즐(1) 내부에서의 유동은 보다 불확실해지고 횡 방향 릴리프(30)의 효과는 통제되지 않게 된다.
변형예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27)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상이한 형상의 단면을 가진 횡 방향 릴리프(3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중앙의 횡 방향 릴리프(31)는 용융 금속이 노즐(1)의 우측 및 좌측으로 동일하게 분배되도록 이등변 삼각형의 단면을 갖고, 다른 횡 방향 릴리프(32)는 상이한 구멍(21) 간에 용융 금속을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계산된 임의의 형태의 삼각형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예에서는, 노즐(1) 출구의 상부 부분을 폐쇄하는 돌출부(24, 25)의 벽 또한 노즐(1)의 내부 쪽으로 기울어진 수직이 아닌 경사면(33, 34)으로 된다. 이러한 배열은 바(29)의 돌출부(24, 25)와 상부면(22) 사이의 교차 레벨에서 데드존(dead zone)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특징은 당연히 전술한 바의 다른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횡 방향 릴리프(30, 31, 32)의 각도가 예각이지만 용융 금속과의 마찰 영향에 의한 불가피한 침식을 방지하도록 둥근 형상으로 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금속을 연속 주조하기 위한 잉곳 금형 내부에 용융 금속을 주입하기 위한 노즐(1)에 있어서,
    제1 튜브형 부분(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튜브형 부분(2)의 일 단부는 상기 용융 금속을 담고 있는 용기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타 단부는 내부 공간(3)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1 튜브형 부분(2)과 대략 직각으로 배향되는 기다란 형상의 제2 중공부(4)로 개구되며, 상기 제2 중공부(4)는 각각의 단부에 출구(5, 6)를 가지고, 상기 제2 중공부(4)의 내부 공간(3)에 배치되는 구멍(perforation)(21)이 바(bar)(19, 27, 29)에 제공되며, 상기 제2 중공부(4)의 출구(5, 6)는 상기 바(19, 27, 29)의 위쪽에서 폐쇄되는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부(4)의 출구(5, 6)는 상기 바(19, 27, 29)의 상부면에 제공되는 돌출부(24, 25)에 의해 폐쇄되는 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4, 25)는 상기 노즐(1)의 내부 쪽으로 기울어지는 벽(33, 34)을 갖는 노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27)는 상부면(22)의 폭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융기부(28)를 갖고, 상기 융기부(28)의 정상부는 상기 바(27)의 길이 방향 축 상에 놓이는 노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29)의 상부면(22)은 횡 방향 릴리프(30, 31, 32)를 갖되, 상기 횡 방향 릴리프 사이에 상기 구멍(21)이 제공되는 는 노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방향 릴리프(30, 31, 32)는 대략 삼각형 단면을 갖는 노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29)의 중앙에 놓이는 횡 방향 릴리프(31)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 단면을 갖고, 다른 횡 방향 릴리프(32)는 대략 임의 형태의 삼각형 단면을 갖는 노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부(4)는 자신의 베이스(18) 및/또는 측벽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7-17)를 갖는 노즐.
KR1020037008363A 2000-12-22 2001-12-17 연속 주조에서 용융 금속을 잉곳 금형 내에 주입시키기위해 바를 구비한 노즐 KR100816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6975A FR2818567B1 (fr) 2000-12-22 2000-12-22 Busette equipee d'une reglette pour l'introduction de metal liquide dans une lingotiere de coulee continue des metaux
FR00/16975 2000-12-22
PCT/FR2001/004022 WO2002051569A1 (fr) 2000-12-22 2001-12-17 Busette equipee d'une reglette pour l'introduction de metal liquide dans une lingotiere de coulee continue des metau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668A true KR20030074668A (ko) 2003-09-19
KR100816457B1 KR100816457B1 (ko) 2008-03-26

Family

ID=885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363A KR100816457B1 (ko) 2000-12-22 2001-12-17 연속 주조에서 용융 금속을 잉곳 금형 내에 주입시키기위해 바를 구비한 노즐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40065757A1 (ko)
EP (1) EP1351786B1 (ko)
JP (1) JP3853735B2 (ko)
KR (1) KR100816457B1 (ko)
CN (1) CN1223419C (ko)
AT (1) ATE271944T1 (ko)
DE (1) DE60104566T2 (ko)
DK (1) DK1351786T3 (ko)
ES (1) ES2223947T3 (ko)
FR (1) FR2818567B1 (ko)
SI (1) SI1351786T1 (ko)
TR (1) TR200401918T4 (ko)
WO (1) WO2002051569A1 (ko)
ZA (1) ZA20030480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902A (ko) * 2014-09-05 2016-03-16 세메스 주식회사 처리액 노즐 및 기판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92963B1 (en) 2014-09-03 2020-06-17 Kohler Co. Shower
CN112643004B (zh) * 2019-10-10 2022-07-19 青岛正望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双辊薄带连铸用浇铸系统及布流水口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4874A (en) * 1942-09-17 1947-01-28 Union Carbide & Carbon Corp Welding
FR1094517A (fr) * 1953-11-25 1955-05-20 Installation de coulée pour métaux en fusion
JPH01317658A (ja) * 1988-06-17 1989-12-22 Nippon Steel Corp 金属薄帯の連続鋳造用ノズル
JPH07290203A (ja) * 1994-04-26 1995-11-07 Nippon Steel Corp 双ドラム式連続鋳造機の注入用横吹出しノズル
FR2739313B1 (fr) * 1995-09-28 1997-10-31 Usinor Sacilor Busette pour l'introduction d'un metal liquide dans une lingotiere de coulee continue des metaux
FR2740367B1 (fr) * 1995-10-30 1997-11-28 Usinor Sacilor Busette pour l'introduction d'un metal liquide dans une lingotiere de coulee continue de produits metalliques, dont le fond comporte des orifices
FR2777485B1 (fr) * 1998-04-16 2000-05-19 Usinor Busette pour l'indroduction de metal liquide dans une lingotiere de coulee continue des metau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902A (ko) * 2014-09-05 2016-03-16 세메스 주식회사 처리액 노즐 및 기판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20166A (ja) 2004-07-08
FR2818567B1 (fr) 2003-03-28
DK1351786T3 (da) 2004-12-06
US20040065757A1 (en) 2004-04-08
JP3853735B2 (ja) 2006-12-06
ES2223947T3 (es) 2005-03-01
DE60104566T2 (de) 2005-08-11
FR2818567A1 (fr) 2002-06-28
CN1482951A (zh) 2004-03-17
TR200401918T4 (tr) 2004-10-21
ZA200304808B (en) 2004-04-23
WO2002051569A8 (fr) 2002-08-29
DE60104566D1 (de) 2004-09-02
EP1351786A1 (fr) 2003-10-15
KR100816457B1 (ko) 2008-03-26
SI1351786T1 (en) 2004-12-31
WO2002051569A1 (fr) 2002-07-04
EP1351786B1 (fr) 2004-07-28
ATE271944T1 (de) 2004-08-15
CN1223419C (zh) 200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0206A (en) Nozzle for introducing a liquid metal into a mold,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metal products, the bottom of which has holes
US20120305211A1 (en) Casting delivery nozzle
US4784208A (en) Dual roll type continuous casting machine
KR20090113840A (ko) 유량이 일정한 공급노즐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인 주조 방법
KR100816457B1 (ko) 연속 주조에서 용융 금속을 잉곳 금형 내에 주입시키기위해 바를 구비한 노즐
JP4235857B2 (ja) 金属連続鋳造用鋳型へ液体金属を導入するためのノズル
EP1979114B1 (en)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8047264B2 (en) Casting delivery nozzle
KR100887121B1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용탕공급노즐
KR100470661B1 (ko) 용강균일장입장치 및 연속주조장치
JPH0327846A (ja) 薄い製品の連続鋳造設備に溶融金属を供給する装置とその実施方法
JP3399627B2 (ja) 直流磁界による鋳型内溶鋼の流動制御方法
JP2023017235A (ja) 双ロール式連続鋳造装置用浸漬ノズル、双ロール式連続鋳造装置、および、薄肉鋳片の製造方法
KR920008323Y1 (ko) 광폭박판제조용 용탕공급장치
JP3064121B2 (ja) 双ベルト式連続鋳造装置
JPH0698467B2 (ja) 連続鋳造機の注湯装置
JPH08168850A (ja) 複層鋳片の連続鋳造スター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