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947A -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 - Google Patents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947A
KR20030073947A KR1020020013737A KR20020013737A KR20030073947A KR 20030073947 A KR20030073947 A KR 20030073947A KR 1020020013737 A KR1020020013737 A KR 1020020013737A KR 20020013737 A KR20020013737 A KR 20020013737A KR 20030073947 A KR20030073947 A KR 20030073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wire
cup
wire
shaft por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다까죠헤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유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유탁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유탁스
Priority to KR1020020013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3947A/ko
Publication of KR20030073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9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92Brassieres with different cup siz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8Prosthetic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 A41C5/005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by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유방 크기의 차이나 형태 차이 등 신체의 특징 또는 신체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방의 형상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위화감이 없으며 착용감이 매우 양호한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으로,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의 앞 중심부에, 좌우 컵 와이어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축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clothes having cup wire}
본 발명은 브래지어, 보디 슈트 등의 파운데이션 또는 브라슬립(브래지어와슬립이 일체로 된 것) 등의 란제리 또는 레오타드(leotard), 수영복 등의 스포츠 의류와 같은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기와 같은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 예를 들면 그 대표적인 브래지어는, 통상, 앞 중심에서 연결된 좌우의 컵부와, 그 컵부의 아래에 꿰매 붙여진 기초 천과, 컵부의 외측부에 꿰매 붙여지고 겨드랑이 부분부터 등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등 천과, 그 등 천에 부착된 어깨 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초 천에는 잘 늘어나지 않는 원단을 사용하고, 등 천과 어깨 끈에는 신축성이 좋은 원단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착용시에는 등 천의 신축성으로 인한 조임 작용에 의해 겨드랑이 부분에서부터 등을 밀착 고정시킴과 동시에, 컵부를 신축성이 좋은 어깨 끈으로 치켜 올려 지지하며, 등 천에 의해 언더 바스트를 안정시켜 장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착용시에 컵부의 하측변 만곡부의 형상에 따라 배설된 컵 와이어에 의해 바스트를 고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브래지어는 등 천 및 어깨 끈 등의 신축성으로 인해,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브래지어의 벗어남을 흡수하고 있는데, 일상 생활에서, 예를 들면 등을 펴거나 팔을 올리거나 하는 동작을 하면 기초 천이 상방향으로 벗어나 올라감과 동시에, 컵 와이어가 제 위치를 벗어나 올라가거나 한다.
이것은 전면을 잘 늘어나지 않는 기초 천의 원단으로 구성하고, 착용시의 안정성을 나머지 신축성 원단에 의한 기초 천의 장력 밸런스에 의해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순간적으로라도, 이 밸런스가 무너지면 브래지어의 벗어남이발생되어 착용시에 불쾌감을 유발시킨다.
이 밸런스의 붕괴는 스포츠 등 격렬한 운동을 할 때 뿐만 아니라, 일상의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 벗어남을 방지하기 위해, 등 천의 장력을 늘리는 것도 시도되었지만, 꽉 조여질수록 장시간 착용하면 혈행 불량, 저온 화상 등의 폐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개발된 것으로, 의류의 가슴 앞 중심부에 오는 축부에, 좌우의 컵 와이어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좌우 유방 크기의 차이나 형태 차이 등 신체의 특징 또는 신체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변화에 대응할 수 있으며, 위화감이 없고 착용감이 매우 양호한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형태의 개략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형태의 일부 확대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컵 와이어의 정면도.
도 5는 캡의 사시도.
도 6은 캡과 접합 일체화된 컵 와이어의 정면도.
도 7a, 7b, 7c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캡의 사시도.
도 9은 제 2 실시형태의 캡과 접합 일체화된 컵 와이어의 정면도.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다른 캡부의 개략 정면도.
도 12는 축부와 계합되어 있는 상태의 개략 정면도.
도 13은 회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의 축부에 컵 와이어를 장착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의 다른 축부에 컵 와이어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의 또 다른 축부에 컵 와이어를 장착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19는 컵 와이어를 분리할 때의 축부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0은 축부의 분해 종단면도.
도 21은 축부의 통체를 확장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22는 축부의 통체를 신장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축부3 : 컵 와이어
3a : 우측 컵 와이어3b : 좌측 컵 와이어
15 : 관통공27 : 관통공
31 : 축부31a : 팽출부
34 : 덮개체41 : 축부
41a : 축 헤드부43 : 계합구
51 : 축부53 : 통공
63 : 원주측벽면72 : 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의 앞 중심부에, 좌우 컵 와이어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의 앞 중심부에, 좌우 컵 와이어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축부를 형성하고, 그 축부와 컵 와이어를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에 있어서, 컵 와이어는 앞 중심부의 단부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그 관통공에 의해 축부와 착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축부는 그 헤드부와 계합하는 계합구의 결합/분리에 의해 컵 와이어를 착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축부는 그 통공에 삽입 관통되는 핀의 상하 운동에 의해, 원주측벽면이 외방으로 확장 및 신장됨으로써 컵 와이어를 착탈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컵 와이어를 갖는 대표적인 의류인 브래지어에 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브래지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브라슬립, 보디 슈트, 레오타드 및 수영복 등 바스트를 지지하는 컵 와이어를 가지며, 바스트의 형태 유지, 성형 등의 조형 기능을 필요로 하는 의류라면, 어느 것에나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1은 브래지어 본체의 앞 중심부에 형성된 전방으로 돌출하는 합성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축부로서, 합성수지제 축부의 경우는 천 테이프 또는 브래지어 본체의 원단(2)에 합성 수지를 흘려넣어 일체 성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금속제 축부의 경우는 후크부착기계를 이용하여 직접 장착되어 있다.
3은 그 축부(1)에 장착되는 강제 혹은 플라스틱제의 컵 와이어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스트의 하측변 만곡부를 따라 배설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앞 중심부의 단부를 확대 헤드부(4)로 함과 동시에, 그 확대 헤드부(4)에 축부(1)로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원형 관통공(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관통공(5)을 갖는 강제(鋼製)의 컵 와이어는 선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일 공정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또 플라스틱제의 컵 와이어는 사출성형가공으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컵 와이어(3)는 한 개의 선재로 형성된 것인데, 도 5,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의 확대 헤드부(4)에 원형 관통공(5)을 형성한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캡(6)을, 컵 와이어(3)의 앞 중심단부에 끼워 붙인다. 한편, 강제의 컵 와이어인 경우는 코킹 가공으로 일체화한 것을, 플라스틱제의 컵 와이어인 경우는 용착이나 접착으로 일체화한 컵 와이어(3)를 사용하는 일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브래지어의 앞 중심부에 형성된 축부(1)에, 좌우 컵 와이어(3a, 3b)의 앞 중심부 단부에 형성한 원형의 관통공(5)을 끼워 넣고, 스톱퍼(7)를 일체적으로 장착하며, 겨드랑이쪽 부분을 통형상의 천(C)에 수납함으로써, 축부(1)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컵(3a, 3b)이 회동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유방(A)보다 좌측 유방(B)의 볼륨이 커서 겨드랑이쪽으로 퍼져 있는 경우에는 좌측 컵 와이어(3b)가 축부(1)를 중심으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회동하여 그 유방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양호하게 맞춰어진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유방(A)이 좌측 유방(B)보다 겨드랑이부 내측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에는 우측 컵 와이어(3a)가 축부(1)를 중심으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안쪽으로 회동하여 그 유방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양호하게 맞추어진다.
또한, 스포츠 등의 운동으로 우측 유방(B)의 형태가 겨드랑이쪽으로 흘러 이동했을 때에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컵 와이어(3b)가 축부(1)를 중심으로 그 흐름에 따라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회동하여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유방에 알맞게 맞추어진다.
다음으로, 도 8∼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컵 와이어(3)는 축부(1)에 장착되어 있어 착탈할 수 없었는데,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컵 와이어(3)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것은, 금속제나 플라스틱제로 이루어진 캡(16)의 선단부를 원형의 관통공(5)이 아니라 한쪽이 개방된 원형의 관통공(15)로 한 점만이 다를 뿐으로, 컵 와이어(3) 및 캡(16)의 형상, 재질이나 크기 및 축부(1)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완전히 동일하다. 또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힌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컵 와이어(3)를 축부(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앞 중심부에 형성된 축부(1)의 홈부(미도시)에, 한쪽이 개방된 원형 형상인 관통공(15)의 절결부(15a)를 위치시키고 누르면 축부(1)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컵 와이어를 갖는 브래지어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좌우 유방의 볼륨 차이나 형태 차이 및 몸 움직임으로 인한 유방의 변화시에, 상기 제 1 실시의 사용예인 도 7a∼도 7c와 동일한 작용을 한다.
또한, 컵 와이어(3)를 분리할 때에는 장착할 때와는 반대로, 절결부(15a)를 축부(1)의 홈부(미도시부) 위치에 맞춰 바깥쪽으로 잡아당겨 축부(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시에 컵 와이어(3)를 변형, 굴곡시키는 일 없이 오랜 기간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방의 크기, 형태, 간격 등 개인차가 있어, 적합하지 않은 컵 와이어의 경우는 알맞는 컵 와이어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1∼도 13은 제 2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캡(26)을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하여 컵 와이어(3)를 축부(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금속제나 플라스틱제로 이루어진 캡(26)의 선단부를 반구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전후 벽면 사이를 관통하는 대직경홀(27a)과 소직경홀(27b)을 소폭의 세로로 긴 홀(27c)에 의해 연결하여 된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1) 및 캡(26)과 일체화한 컵 와이어(3)의 형상이나 재질, 크기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완전히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컵 와이어(3)를 축부(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앞 중심부에 형성된 축부(1)에, 캡(26)의 대직경홀(27a)을 삽입 관통시키고, 축부(1)의 홈부(미도시)와 소폭의 세로로 긴 홀(27c)의 위치를 맞춰 캡(26)을 하방으로 슬라이드하면 축부(1)가 소직경홀(27b)에 계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컵 와이어(3)를 갖는 브래지어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을 한다.
또한, 축부(1)로부터 컵 와이어(3)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장착시와 반대로, 축부(1)의 홈부(미도시)와 소폭의 세로로 긴 홀(27c)의 위치를 맞춰 캡(26)을 상방으로 슬라이딩하면 축부(1)가 대직경홀(27a)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26)을 상하로 슬라이딩하면 축부(1)와 소직경홀(27b)의 계합을 해제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컵 와이어(3)의 앞 중심부의 단부에 형성한 한쪽이 개방된 원형의 관통공(15) 또는 대직경홀(27a)과 소직경홀(27b)를 소폭의 세로로 긴 홀(27c)로 연결하여 된 관통공(27)에 의해 축부(1)에 착탈 가능하게 하였는데,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축부(31)의 헤드부(31a)와 계합하는 덮개체(34)를 형성하여, 이 덮개체(34)를 착탈함으로써 컵 와이어(3)를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이다.
즉, 31은 합성수지제의 축부로서, 천 테이프 또는 브래지어 본체의 원단에 합성 수지를 흘려보내 일체로 성형한 것으로, 바닥판(32)와 스트립편(33)과 덮개체(34)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덮개체(34)의 중앙부에는 축부(31)의 헤드부 팽출부(31a)와 계합하는 절결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35는 파지편이다.
이와 같은 구성한 축부(31)에 컵 와이어(3)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캡(36)에 형성한 관통공(37)을 축부(31)에 통과시킨 후, 덮개체(34)의 파지편(35)을 잡고, 절결부(34a)가 축부(31)의 헤드부 팽출부(31a)에 닿도록 씌우면 헤드부 팽출부(31a)가 절결부(34a)보다 돌출된 상태에서 계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컵 와이어(3a, 3b)를 분리할 경우, 파지편(35)을 잡고 상방으로 끌어 일으키듯이 잡아당기면, 절결부(34a)를 헤드부 팽출부(31a)로부터 해제할 수 있으며, 좌우 컵 와이어(3a, 3b)를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컵 와이어(3a, 3b)를 덮개체(34)의 결합/분리에 의해 착탈할 수 있으며,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탈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도 16 및 도 17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41은 상부에 홈부를 갖는 합성 수지제의 축부이며, 천 테이프(42)에 합성 수지를 흘려 넣어 일체 성형된 것이다. 43은 그 축부(41)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곳에 형성된 축 헤드부(41a)와 결합/분리되는 계합구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축부(41)에 컵 와이어(3)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천 테이프(42)를 브래지어의 가슴 앞 중심부에 꿰매 붙이고, 컵 와이어(3)의 앞 중심부의 단부에 형성한 원형 관통공(5)을 축부(41)에 삽입 관통시킨 후, 천 테이프(42)를 절곡하여 계합구(43)를 축 헤드부(41a)에 계합하여 컵 와이어(3)를 장착하는 것이다. 컵 와이어(3)를 축부(41)에 장착한 후, 분리할 경우에는 천 테이프(42)의 단부를 잡고 끌어 일으키면 계합구(43)와 축 헤드부(41a)의 계합이 해제되어 컵 와이어(3)를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계합구(43)를 결합/분리로 착탈할 수 있으며,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8 내지 도 22는 제 3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축부(51)의 원주측벽면을 확장 및 신장시킴으로써 컵 와이어(3)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이 축부(51)는 크게 나누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지어의 원단(2)에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볼록 형상의 기저부(52)와, 그 기저부(52)에 끼워 맞춰져 원주측벽면이 바깥쪽으로 확장 및 수직으로 신장되는 통체(62)와, 그 통체(62)의 내부를 상하 운동하는 핀(7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저부(52)는 중심부에 통공(53)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부에 요홈(54), 중앙부에 확대홈(55), 하부에 점점 넓어지는 형태의 테이퍼 홈(5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통체(62)의 원주측벽면(63)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박막부(64)를 형성하고,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박막부(64)로부터 바깥측으로 절곡되어 외방으로 육각 형상으로 확장되도록 되어 있다. 핀(72)은 그 하단에 팽출부(73)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부에 덮개체(74)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덮개체(74)에 끈(75)이 달려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축부(51)에 컵 와이어(3)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19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72)의 덮개체(74)에 고착한 끈(75)을 잡아당기면 테이퍼 홈(56)에 계합되어 있던 핀(72)의 하단 팽출부(73)가 테이퍼 홈(56)을 넘어 확대 홈(55)의 상부에 이르며, 그와 동시에, 핀(72)이 끼워져 있는 통체(62)의 육각형으로 확장된 원주측벽면(63)이 수직 상태로 신장되어 수직관이 되며, 컵 와이어(3)의 관통공(6)을 삽입 관통시키면 컵 와이어(3)를 축부(51)에 장착할 수 있다.
축부(51)에 컵 와이어(3)가 장착되면, 덮개체(74)를 내리 눌러, 통체(62)의 원주측벽면(63)의 박막부(64)로부터 절곡되어 바깥쪽으로 육각형상으로 확장되므로 컵 와이어(3)를 고정할 수 있다.
이 통체(63)의 원주측벽면이 육각형으로 확장되어 컵 와이어(3)가 장착된 상태에서 컵 와이어(3)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컵 와이어(3)를 장착할 때와 마찬가지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핀(72)의 상하 운동에 의해 통체(62)의 원주측벽면(63)을 확장 및 신장시켜 컵 와이어(3)를 착탈할 수 있으므로,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은 힘으로도 착탈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주요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좌우 유방의 볼륨 차이나 형태 차이가 있을 지라도, 그 형상에 따라 컵 와이어가 회동되어 변형되므로 유방에 알맞게 맞추어진다. 또한, 신체의 움직임으로 인해 가슴이 변형되더라도 컵 와이어가 그 변형에 따라 회동하므로, 자연스런 착용감을 얻을 수 있고 장시간 착용하고 있어도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의 효과에 덧붙여, 축부에 대한 착탈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세탁시에 컵 와이어를 분리할 수 있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스트에 적합한 컵 와이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옷장 등에 수납할 때, 컵 와이어를 분리해 두면 작아져서 수납이 용이해진다.
또한,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컵 와이어의 앞 중심단부의 관통공에 의해, 축부와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청구항 1, 2의 효과 뿐만 아니라, 좌우 컵 와이어의 장착/분리가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축부의 헤드부와 계합하는 계합구의 결합/해제에 의해 컵 와이어를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이므로, 착용한 상태에서 계합구를 계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축부를 구성하는 통체의 원주측벽면이 핀의상하 운동에 의해, 바깥쪽으로 확장 및 신장됨으로써 컵 와이어를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이므로, 작은 힘으로도 착탈이 가능해져 간단해진다.

Claims (5)

  1.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의 앞 중심부에, 좌우 컵 와이어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
  2.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의 앞 중심부에, 좌우 컵 와이어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축부를 형성하고, 그 축부와 컵 와이어를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
  3. 제 2 항에 있어서, 컵 와이어는 앞 중심부의 단부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그 관통공을 통해 축부와 착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축부는 그 헤드부와 계합하는 계합구의 결합/분리에 의해 컵 와이어를 착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축부는 그 통공에 삽입 관통되는 핀의 상하 운동에 의해 원주측벽면이 외방으로 확장 및 신장됨으로써 컵 와이어를 착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
KR1020020013737A 2002-03-14 2002-03-14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 KR20030073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737A KR20030073947A (ko) 2002-03-14 2002-03-14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737A KR20030073947A (ko) 2002-03-14 2002-03-14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947A true KR20030073947A (ko) 2003-09-19

Family

ID=4932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737A KR20030073947A (ko) 2002-03-14 2002-03-14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3947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7327B2 (ko) * 1973-08-24 1979-11-14
JPH09296307A (ja) * 1996-05-01 1997-11-18 Mitsuaki Arita 補整用ブラジャー
JPH10212607A (ja) * 1997-01-15 1998-08-11 Triumph Internatl Ag 補強湾曲体を備えたブラジャー
JP2000248403A (ja) * 1999-02-26 2000-09-12 Fl:Kk ブラジャーカップを有する女性用下着
JP2001316905A (ja) * 2000-05-12 2001-11-16 Wacoal Corp カップ部連結具、および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KR200277559Y1 (ko) * 2000-07-04 2002-06-15 임나래 스프링 브래지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7327B2 (ko) * 1973-08-24 1979-11-14
JPH09296307A (ja) * 1996-05-01 1997-11-18 Mitsuaki Arita 補整用ブラジャー
JPH10212607A (ja) * 1997-01-15 1998-08-11 Triumph Internatl Ag 補強湾曲体を備えたブラジャー
JP2000248403A (ja) * 1999-02-26 2000-09-12 Fl:Kk ブラジャーカップを有する女性用下着
JP2001316905A (ja) * 2000-05-12 2001-11-16 Wacoal Corp カップ部連結具、および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KR200277559Y1 (ko) * 2000-07-04 2002-06-15 임나래 스프링 브래지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768A (en) Device and kit for supporting a breast shield and related pump equipment
US4300568A (en) Therapeutic bra
KR101162155B1 (ko) 시야가림 방지용 모자
JP4841327B2 (ja) 肩ストラップ用取付具、肩ストラップ及び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3639251B2 (ja) カップワイヤーを有する衣類
KR20030073947A (ko) 컵 와이어를 갖는 의류
US20200022422A1 (en) Method for Converting a Sleeveless Dress to one Having Sleeves
KR200494652Y1 (ko) 기능성 브래지어
US20060010577A1 (en) Breast complement clothing adhesive pocket systems
JP3218381U (ja) 帽子及びこれに使用するネックレス
KR101665570B1 (ko) 수영복용 브라컵 연결 구조
KR200274785Y1 (ko) 캡 착탈 브래지어
CN220654837U (zh) 一种领带挂壳
CN212139619U (zh) 一种指环伞柄
KR200306529Y1 (ko) 수유용 브래지어
KR200251899Y1 (ko) 브래지어의 어깨끈 연결구
KR200270911Y1 (ko) 브레지어
CN209436285U (zh) 一种防止内衣肩带外露的服装配件
CN218737295U (zh) 一种可拆装纽扣的开襟衫
KR200244971Y1 (ko) 넥타이가 부착된 와이셔츠
CN207767646U (zh) 一种鞋带及其配件
WO2010018634A1 (ja) カップのカバー部材
KR200175936Y1 (ko) 브래지어
JP3075395U (ja) 雄着脱具付きテープ
JP3041144U (ja) ネクタ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