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802A - Dynamometer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near Motor - Google Patents

Dynamometer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near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802A
KR20030072802A KR1020020012007A KR20020012007A KR20030072802A KR 20030072802 A KR20030072802 A KR 20030072802A KR 1020020012007 A KR1020020012007 A KR 1020020012007A KR 20020012007 A KR20020012007 A KR 20020012007A KR 20030072802 A KR20030072802 A KR 20030072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motor
electrode
variable load
rod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0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08705B1 (en
Inventor
최승복
임수철
박종성
한상수
홍성룡
이호근
한영민
조명수
송현정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인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인하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인하학원
Priority to KR10-2002-001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705B1/en
Publication of KR20030072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8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7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16Rotary-absorption dynamometers, e.g. of brake type
    • G01L3/22Rotary-absorption dynamometers, e.g. of brake type electrically or magnetically actu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2Details or accessories of 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Abstract

PURPOSE: A dynamometer is provided to precisely and easi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linear motor by minimizing parameters harmful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near motor. CONSTITUTION: A rod extension part(125) is coupled to a linear motor(114) through a coupling(122). An MR variable load device(105) receives driving force of the linear motor(114) through the rod extension part(125). A microprocessor(108) is provided to calculate required intensity of load. A digital signal of load calculated by the microprocessor(108)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y means of a D/A converter(107). A current amplifier(106) applies the analog signal to the MR variable load device(105). A displacement measuring sensor(112) is provided to detect displacement or accelerator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linear motor(114). A signal processor(113) processes signals detected by the displacement measuring sensor(112).

Description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Dynamometer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near Motor}Dynamometer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near Motor}

본 발명은 선형모터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부하를 인가할 수 있는 물질인 자기유변(magneto-rheological; 이하 MR) 유체 또는 전기유변(electro-rheological; 이하 ER) 유체에 인가되는 자기장 또는 전기장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부하를 발생시키는 가변부하장치를 이용하여, 선형모터의 성능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valuating linear motor performance, and more particularly, magneto-rheological (MR) fluid or electro-rheological (ER) fluid, which is a material that can be continuously loa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ynamometer for evaluating linear motor performance tha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measure the performance of a linear motor by using a variable load device that generates a desired load by controlling the strength of a magnetic or electric field applied to a fluid.

선형모터는 직선방향으로 왕복 구동되는 모터로써, 산업전반에 걸쳐 기초 기반장치로 직선왕복운동이 필요한 자동화 장비, 반도체 생산 기계, 계측 장비,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선형모터가 개발/연구 중이며, 또한 선형모터의 개발 및 실제적용에 있어서 선형모터의 효율 및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Linear motors are reciprocating motors in a linear direction, and are being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utomation equipment, semiconductor production machines, measurement equipment, and medical equipment that require a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as a basic foundation device throughout the industry.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linear motors are under development / research, and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capable of evaluating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linear motors in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linear motors.

기존의 회전형모터의 성능평가를 위한 장치는 이미 실용화가 되어 있는 반면에, 선형모터의 성능평가를 위한 장치는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수준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선형모터는 회전형모터의 회전운동과는 달리 선형 왕복운동을 하므로 기존의 회전형모터의 성능평가용 장치를 이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While the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conventional rotary motor has already been put to practical use, the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linear motor has not yet been developed to a satisfactory level. Unlik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ry motor, the linear motor perform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so it is not easy to use the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of the existing rotary motor.

회전모터의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가장 기본적인 작동 원리는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물체에 원하는 크기의 마찰을 가하고 상기 마찰을 가하는 기구로부터 전달되는 전달력을 측정하므로써 모터의 성능을 평가한다. 그러나 선형모터의 경우 왕복운동에 의해 변위가 순간적으로 제로인 상태가 발생하며 이 때 마찰기구의 마찰력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즉, 왕복운동시 마찰계수와 정지시의 최대마찰계수의 차이로 인하여 정확하게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선형모터는 시간에 대하여 속도가 변하는데 이것은 선형모터로 들어가는 입력이 주로 정현파(일반적인 가정용 전원을 입력으로 사용하므로)에 기인하며, 그 결과 회전형모터와는 달리 선형모터에 부하되는 부하량을 시간에 따라 원하는 부하로 실시간 변화시키는 것이 요구되기도 한다. 상기 회전모터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사용되는 마찰기구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와 더불어 실시간으로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매우 복잡한 별도의 장치를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most basic operating principle of a dynamometer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rotating motor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tor by applying a desired amount of friction to a rotating object by the rotating motor and measuring the transmission force transmitted from the friction applying mechanism. However, in case of the linear motor, the displacement is instantaneously zero due to the reciprocating motion, and the frictional force of the friction mechanism is not constant. That is,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evaluate the performanc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iction coefficient at the reciprocating motion and the maximum friction coefficient at the stop. In addition, linear motors vary in speed with time, which is mainly due to the sinusoidal input (since a common household power supply is used as input), which results in the amount of load on the linear motor, unlike a rotary motor. In some cases, it may be necessary to change in real time to the desired load. As the friction mechanism us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rotary motor,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frictional force in real time with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a very complex separate device.

종래의 선형모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의 일예로서, 레일 위를 주행하는 선형모터에 변위, 속도, 가속도, 운동방향의 추력을 측정하여 상기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성능을 평가하는 장치가 있다.As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conventional linear motor, there is an apparatus for evaluating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displacement, speed, acceleration, and thrust in the direction of motion of a linear motor traveling on a rail and analyzing the data.

이러한 장치는 부하요소와 연결된 선형모터의 성능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선형모터 자체의 운동을 측정함으로써 선형모터의 성능을 평가한다. 상기 장치에서는 가변부하를 발생시키는 요소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실제 기계 시스템에 적용되어 기계적인 부하를 받는 선형모터의 정확한 성능을 평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se devices do not measure the performance of a linear motor connected to a load element, but rather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linear motor by measuring the motion of the linear motor itself. Since the device does not have a variable load generating ele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evaluate the accurate performance of the linear motor applied to the actual mechanical system and subjected to the mechanical load.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장치의 다른 일예로서, 도 1 의 블록도로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선형모터 성능 평가용 다이나모미터는 선형모터(linear osillatory actuator; LOA)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다른 선형모터(linear motor as the load)가 부하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부하장치로 사용되는 선형모터의 성능을 이미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필요하게 되므로, 상기 부하장치용 선형모터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측정하고자 하는 선형모터의 성능 또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던 실정이다.As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dynamometer as shown in the block diagram of Figure 1 is a linear motor (LOA) of the linear motor (LOA) Different linear motors are used as load devices to evaluate performance. In this case, since the preconditio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linear motor used as the load device must be already known accurately is required, a problem that requires a device for accurately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the linear motor for the load device is generated. The performance of the linear motor also had a problem that cannot be measured accuratel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는 선형모터의 운동 양상을 고려하여 가변적인 부하를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실시간으로 부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가변부하장치을 구비함으로써, 선형모터 작동 중에 존재하는 순간 정지 상태에서의 정지마찰 등에 의한 성능평가의 저해요소를 최소화하여 선형모터의 성능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variable load in consideration of the motion pattern of the linear moto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nd to adjust the size of the load in real time By providing a variable load device,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which can easily and accurately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linear motor by minimizing the obstacles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caused by the stop friction at the momentary stop state that exists during the linear motor operation. To provide.

또한, 자기장/전기장을 제어함으로써, 선형모터로 전달되는 부하량의 실시간 제어가 가능하며, 그로인해 단순화된 구조의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magnetic field / electric fiel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eal-time control of the load delivered to the linear motor, thereby providing a simplified structure of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가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to which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 평가용 다이나모미터로 자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출력되는 댐핑력을 도시한 그래프.3A and 3B are graphs showing damping force output by maintaining a constant magnetic field with 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 평가용 다이나모미터로 자기장을 제어하여 출력되는 댐핑력을 도시한 그래프.4A and 4B are graphs showing damping force output by controlling a magnetic field with a dynamometer for evaluating linear motor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 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MR가변부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파절 사시도.5A and 5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R variable load device of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 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MR가변부하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파절 사시도.6A and 6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R variable load device of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 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MR 가변부하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파절 사시도.Figure 7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R variable load device of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 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ER가변부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파절 사시도.8A and 8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R variable load device of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 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ER가변부하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파절 사시도.9A and 9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R variable load device of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 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ER 가변부하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파절 사시도.10 is a partial fracture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R variable load device of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1: 다이나모미터102: 선형모터 제어부101: dynamometer 102: linear motor control unit

103: 가변부하장치부104: 센서부103: variable load device portion 104: sensor portion

105: MR/ER 가변부하장치106: 전류/전압증폭기105: MR / ER variable load device 106: current / voltage amplifier

107: D/A변환기108: 마이크로프로세서107: D / A converter 108: Microprocessor

109: 힘 센서110: 신호처리기109: force sensor 110: signal processor

112: 가속도(변위)센서113: 신호처리기112: acceleration (displacement) sensor 113: signal processor

114: 선형모터115: 선형모터 제어기114: linear motor 115: linear motor controller

116: 선형모터 구동기117: 전력측정장치116: linear motor driver 117: power measuring device

118: 전력측정 신호라인119: 전달력 신호라인118: power measurement signal line 119: transmission force signal line

120: 가속도 또는 변위 신호라인121: 성능평가 장치120: acceleration or displacement signal line 121: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122: 커플링123: 베드122: coupling 123: bed

125: 로드연장부125: rod extension

201: MR 유체202: 이동 자극201: MR fluid 202: moving stimulus

203: 고정자극204: 베이스203: fixed stimulus 204: base

205: 브라킷 206: 솔레노이드205: bracket 206: solenoid

207: 로드208: 리니어베어링207: rod 208: linear bearing

209: 돌기210: 홈209: protrusion 210: groove

220: 고정자극부230: 이동자극부220: fixed stimulation unit 230: moving stimulation unit

301: MR 유체302: 외측자극301: MR fluid 302: external stimulus

303: 내측자극304: 하우징303: inner magnetic pole 304: housing

305: 솔레노이드306: 피스톤305: solenoid 306: piston

307: 로드308: 고정부307: rod 308: fixed portion

309: 고정축310: 브라킷309: fixed shaft 310: bracket

311: 리니어베어링312: 돌기311: linear bearing 312: protrusion

313: 홈320: 외측자극부313: groove 320: outer magnetic pole portion

330: 내측자극부340: 피스톤부330: inner magnetic pole portion 340: piston portion

401: MR 유체402: 이동자극401: MR fluid 402: mobile stimulation

403: 고정자극404: 다이아프램403: fixed stimulation 404: diaphragm

405: 솔레노이드406: 베이스405: solenoid 406: base

407: 로드408: 고정축407: rod 408: fixed shaft

409: 브라킷410: 리니어베어링409: Bracket 410: Linear Bearing

411: 돌기412: 홈411: protrusion 412: groove

420: 고정자극부430: 이동자극부420: fixed magnetic pole portion 430: moving magnetic pole portion

501: ER 유체502: 이동전극501: ER fluid 502: moving electrode

503: 고정전극504: 하우징503: fixed electrode 504: housing

505: 브라킷506: 고정부505: bracket 506: fixed portion

507: 로드508: 리니어베어링507: rod 508: linear bearing

509: 돌기510: 홈509: turning 510: home

520: 고정전극부530: 이동전극부520: fixed electrode unit 530: moving electrode unit

601: ER 유체602: 외측전극601: ER fluid 602: outer electrode

603: 내측전극604: 하우징603: inner electrode 604: housing

605: 고정부606: 피스톤605: fixed portion 606: piston

607: 로드608: 고정부607: rod 608: fixing part

609: 리니어베어링610: 돌기609: linear bearing 610: protrusion

611: 브라킷612: 홈611: bracket 612: groove

620: 외측전극부630: 내측전극부620: outer electrode portion 630: inner electrode portion

640: 피스톤부640: piston

701: ER 유체702: 이동전극701: ER fluid 702: moving electrode

703: 고정전극704: 다이아프램703: fixed electrode 704: diaphragm

705: 베이스706: 고정축705: base 706: fixed shaft

707: 로드708: 브라킷707: rod 708: bracket

709: 리니어베어링710: 돌기709: linear bearing 710: protrusion

711: 홈720: 고정전극부711: groove 720: fixed electrode portion

730: 이동전극부730: moving electrode portion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선형모터의 구동을 위한 선형모터 구동기와, 구동제어를 위한 선형모터 제어기와 선형모터에 입력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는 전력측정장치를 포함하는 선형모터 제어부에 의해 구동 및 제어되는 선형모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The performance of the linear motor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linear motor controller includes a linear motor driver for driving the linear motor, a linear motor controller for driving control, and a power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input to the linear motor. An apparatus for evaluating;

상기 선형모터와 커플링에 의해 축결합되는 로드연장부를 통해 상기 선형모터의 운동을 전달받는 MR 또는 ER 가변부하장치와, 원하는 부하의 크기를 계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계산된 부하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와, 상기 D/A변환기로부터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를 MR 또는 ER 가변부하장치에 인가하는 전류 또는 전압 증폭기로 이루어지는 가변부하장치부, 및MR or ER variable load device receiving the movement of the linear motor through the rod extension coupled to the linear motor and coupling, a microprocessor for calculating the desired load size, digital load of the calculated from the microprocessor A variable load device unit comprising a D /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 current or voltage amplifier for applying an analog signal processed from the D / A converter to an MR or ER variable load device, and

상기 로드연장부와, 상기 로드연장부상에 설치되어 선형모터 및 상기 MR 또는 ER 가변부하장치간의 전달력을 측정하는 힘 센서 및 선형모터의 출력단의 가속도 또는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기, 및 상기 신호처리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로 이루어지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를 제공한다.A force sensor installed on the rod extension part and the rod extension part to measure a transmission force between the linear motor and the MR or ER variable load device, and a sensor for measuring the acceleration or displacement of the output end of the linear motor; It provides 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comprising a sensor processor for processing a signal to be detected, and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or into a digital signal.

또한, 상기 선형모터 제어부의 전력측정장치, 상기 센서부의 신호처리기 및 신호처리기를 통한 A/D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값으로 하여, 선형모터의 성능을 평가하는 성능평가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성능평가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having a built-in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linear motor us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measuring device of the linear motor controller, the signal processor of the sensor unit, and the A / D converter through the signal processor as an input value. A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모미터의 가변부하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자기장/전기장의 크기에 따라 연속적으로 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는 MR/ER 유체를 작동유체로 이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MR/ER 유체에 대하여 기본적인 특성을 설명한다. 상기 MR 유체는 부하되는 자기장의 강도에 따라서 유체의 항복응력과 가점성이 변하며, 기본적으로 낮은 투자율(permeability)의 용매에 상자성(paramagnetic)입자를 분산시킨 콜로이드용액이다. MR 유체는 자기장 무 부하시 용매 중에 분산된 입자가 자유로이 운동하는 뉴토니안 유체의 거동을 나타내지만, 자기장 인가시 부유 입자들이 체인 형 구조를 형성하여 유체의 항복전단응역을 가지는 유체의 거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자기장 부하에 대하여 가역적인 유동성질을 가지게 되고,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ER 유체는 비전도성 용매 중에 강한 전도성 입자들을 분산시킨 콜로이드 용액으로써, 부하되는 전기장의 크기에 따라 항복응력과 가점성 등의 역학적 특징이 변하는 유체를 총칭한다. 일반적으로 MR/ER 유체를 이용한 시스템은 자체에 에너지원은 없으나 시스템으로 입력되는 에너지를 분산시킴으로써 주로 진동 감쇠장치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선형모터로부터 전달되는 일을 MR/ER 유체를 이용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정해진 운동상태를 유지하며 운전해야 하는 선형모터에 부하를 인가하며 이로부터 선형모터의 성능을 평가하는 다이나모미터로 사용하게 된다.In order to configure the variable load device of the dyna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R / ER fluid capable of continuously generating a loa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gnetic field / electric field is used as a working fluid. Hereinafter,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MR / ER flui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R fluid is a colloidal solution in which paramagnetic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solvent having a low permeability, and the yield stress and the viscosity of the fluid change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being loaded. The MR fluid exhibits the behavior of a Newtonian fluid in which particles dispersed in a solvent freely move when no magnetic field is loaded, but shows the behavior of a fluid having a yield shear zone of the fluid by floating particles forming a chain structure upon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Therefore, it has a reversible flow property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field load, and has the feature that can be continuous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The ER fluid is a colloidal solution in which strong conductive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non-conductive solvent, and refers to a fluid in which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yield stress and viscosity change according to the size of an electric field loaded. In general, a system using MR / ER fluid has no energy source, but is mainly used as a vibration damping device by dispersing energy input into the system.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transmitted from the linear motor is distributed by using MR / ER fluid to maintain a fixed state of motion and to apply a load to the linear motor to be operated, and to use it as a dynamometer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linear motor. do.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BEST MODE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가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 선형모터(114)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선형모터 제어부(102) 및 상기 선형모터(114)의 성능평가를 위한 다이나모미터(101)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to which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linear motor 114, the linear motor controller 102 for controlling the linear motor 114, and the linear motor 114 are shown. The dynamometer 101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FIG.

상기 선형모터 제어부(102)는 일반적으로 선형모터(114)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선형모터(114)의 운동을 제어하는 선형모터 제어기(115)와, 상기 선형모터 제어기(115)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선형모터(114)를 운동시키기 위한 선형모터 구동기(116), 및 상기 선형모터(114)에 입력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는 전력측정장치(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near motor control unit 102 is generally used to control the linear motor 114, the linear motor controller 115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linear motor 114, and from the linear motor controller 115 The linear motor driver 116 for moving the linear motor 114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and a power measuring device 117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input to the linear motor 114 is configured.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101)는 상기 선형모터(114)의 출력단과 일측부가 커플링(122)되는 로드연장부(125)를 구비하여 상기 로드연장부(125)상에서 변위와 전달력을 측정하는 센서부(104)와, 상기 센서부(104)의 로드연장부(125)의 다른측부와 연결 또는 일체로 형성되며 MR/ER 유체를 이용한 MR/ER 가변부하장치부(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선형모터 제어부(102) 및 상기 센서부(10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값으로 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성능평가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성능평가 장치(12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ynamometer 101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d extension 125 which is coupled to the output end and one side of the linear motor 114 and is displaced on the rod extension 125. And the sensor unit 104 for measuring the transmission force and the other side of the rod extension unit 125 of the sensor unit 104 or are integrally formed with an MR / ER variable load device unit using MR / ER fluid ( 103).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121 having a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for outputting a result by us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linear motor control unit 102 and the sensor unit 104 as an input value.

상기 센서부(104)는 상기 로드연장부(125)와, 상기 로드연장부(125)상에 설치되어 선형모터(114) 및 상기 MR/ER 가변부하장치(105)간의 전달력을 측정하는 힘 센서(109) 및 선형모터(114)의 출력단의 가속도 또는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12)와, 상기 센서(109, 112)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기(110, 113), 및 상기 신호처리기(11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111)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nsor unit 104 is installed on the rod extension unit 125 and the rod extension unit 125 to measure the transmission force between the linear motor 114 and the MR / ER variable load device 105 A sensor 112 for measuring acceleration or displacement of the outputs of the sensor 109 and the linear motor 114, signal processors 110 and 113 for processing signals detected from the sensors 109 and 112, and And a sensor unit 104 composed of an A / D converter 111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or 113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가변부하장치부(103)는 상기 선형모터(114)와 커플링(122)에 의해 축결합되는 로드연장부(125)를 통해 상기 선형모터(114)의 운동을 전달받으며 내부의 MR/ER 유체에 자기장/전기장을 인가할 수 있는 MR/ER 가변부하장치(105)와, 원하는 부하의 크기를 계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8),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8)로부터 계산된 부하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107)와, 상기 D/A변환기(107)로부터 처리된 아날로그신호를 상기 MR/ER가변부하장치(105)에자기장/전기장을 인가하는 전류/전압 증폭기(106)로 구성된다. 상기 성능평가 장치(121)는 상기 선형모터 제어부(102)의 전력측정장치(117), 상기 센서부(104)의 신호처리기(110)와 연결된 A/D 변환기(111) 및 센서부(104)의 신호처리기(113)에 각각 연결된 신호라인(118, 119, 120)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들을 상기 성능평가 프로그램으로 계산한 선형모터의 성능평가에 관한 결과값 및 그림을 모니터와 같은 출력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variable load device 103 receives the motion of the linear motor 114 through the rod extension 125 coupled by the linear motor 114 and the coupling 122 and MR / ER therein. MR / ER variable load device 105 capable of applying a magnetic / electric field to the fluid, a microprocessor 108 for calculating the desired load size, and a digital signal of the load calculated from the microprocessor 108 as an analog signal. Current / voltage amplifier 106 for applying a magnetic field / electric field to the MR / ER variable load device 105 and the analog signal processed by the D / A converter 107 It consis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121 is an A / D converter 111 and a sensor unit 104 connected to the power measuring device 117 of the linear motor controller 102 and the signal processor 110 of the sensor unit 104. Display the result values and pictures related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near motor, which are calculated by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of signals input through the signal lines 118, 119, and 120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or 113, respectively, on an output device such as a monitor. Configured to do so.

상기한 바와 같은 전체 시스템에서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원리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형모터(114)의 작동 스트로크 및 작동 주파수가 결정되면 선형모터 제어기(115)와 선형모터 구동기(116)에 의하여 선형모터(114)는 원하는 운동을 발생시키며, 선형모터(114)의 운동은 커플링(122)에 의해 축결합된 로드연장부(125)를 통하여 MR/ER부하장치(105)로 전달된다.The principle and operation of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entire system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Once the operating stroke and operating frequency of the linear motor 114 are determined, the linear motor 114 generates the desired motion by the linear motor controller 115 and the linear motor driver 116, and the linear motor 114 is coupled The rod 122 is axially coupled by the ring 122 to the MR / ER load device 105.

만약 MR/ER 가변부하장치(105)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힘 센서(109)에서는 아무런 부하도 측정되지 않을 것이다. 일단 부하의 크기가 결정되면 가변부하장치부(103)의 마이크로프로세서(108)는 제어 신호를 D/A변환기(107)를 통하여 전류/전압증폭기(106)에 보내고, 전류/전압증폭기(106)는 MR/ER 가변부하장치(105)에 제어 전류/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이때 MR/ER부하장치(105)에서 발생된 부하는 선형모터(114)에 전달되고 이 부하의 전달력의 실제 크기는 힘 센서(109)에 의해 측정된다.If the MR / ER variable load device 105 is not connected, no load will be measured by the force sensor 109. Once the size of the load is determined, the microprocessor 108 of the variable load unit 103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current / voltage amplifier 106 via the D / A converter 107 and the current / voltage amplifier 106. The control current / voltage is applied to the MR / ER variable load device 105. At this time, the load generated by the MR / ER load device 105 is transmitted to the linear motor 114 and the actual magnitude of the transfer force of this load is measured by the force sensor 109.

힘 센서(109)로부터 발생된 신호는 신호처리기(110)와 A/D변환기(111)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08)에 피드백 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08)는 원하는 부하의 크기와 실제 부하의 크기를 비교하여 제어 신호를 계산하여 다시 MR/ER 가변부하장치(105)에 적당한 부하 신호를 인가하게 됨으로써 원하는 부하를 선형모터(114)에 전달하도록 한다.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force sensor 109 is fed back to the microprocessor 108 through the signal processor 110 and the A / D converter 111, and the microprocessor 108 can determine the desired load size and the actual load size. Comparing the control signal by calculating a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MR / ER variable load device 105 again to transfer the desired load to the linear motor 114.

선형모터(114)에 인가된 입력의 양은 선형모터 제어부(102)의 전력 측정장치(117)로부터 출력되어 신호라인(118)을 통한 신호로부터 얻어지며, 선형모터(114)로부터 발생된 출력의 양은 센서부(104)의 가속도 센서 또는 변위 센서(112)로부터 출력되어 신호라인(120)을 통해 전달되는 가속도 및 변위와, 힘 센서(109)로부터 출력되어 신호라인(119)을 통해 얻어지는 전달력을 적당히 처리하여 얻을 수 있으므로, 이로부터 성능평가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선형모터(114)의 효율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The amount of input applied to the linear motor 114 is output from the power measuring device 117 of the linear motor controller 102 and is obtained from the signal through the signal line 118, and the amount of output generated from the linear motor 114 is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out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or displacement sensor 112 of the sensor unit 104 and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line 120, and the transmission force output from the force sensor 109 is obtained through the signal line 119 Since it can obtain by processing suitably, it can drive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from this and can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linear motor 114. FIG.

선형모터(114)의 효율은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efficiency of the linear motor 114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

수학식 1에서 η는 선형모터(114)의 효율을 나타내며, in 은 선형모터(114)에 인가되는 입력을 나타내고, out 은 선형모터(114)의 출력을 나타내고,는 MR 또는 ER 유체를 이용하는 가변부하장치(105)에서 발생되는 전달력을 나타내고,는 선형모터(114) 또는 가변부하장치(105)의 속도를 나타낸다.In Equation 1, η represents the efficiency of the linear motor 114, in represents the input applied to the linear motor 114, out represents the output of the linear motor 114, F is an MR or ER fluid Denotes a transmission force generated by the variable load device 105, and denotes the speed of the linear motor 114 or variable load device 105.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 평가용 다이나모미터로 자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출력되는 댐핑력을 도시한 그래프로, 도 3a 는 시간에 따른 댐핑력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도 3b 는 변위에 따른 댐핑력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선형모터의 효율을 구하는 데 있어서, 자기장 무 부하시 도 2 에 도시되는 힘 센서(109)에서 측정되는 전달력은 MR/ER 가변부하장치(105)의 관성력과 기본 점성에 의한 댐핑력의 합이며, 선형모터가 정현파 형태의 운동을 발생시키므로 전달력의 형태는 도 3a 및 도 3b 의 굵은 실선과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된다. 자기장을 일정한 값으로 부가하면 댐핑력은 점선과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되며 자극의 넓이와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전체 댐핑력은 사각파 형태를 갖게 된다. 이 때 가변부하장치(105)에서 소산된 에너지는 도 3b 의 폐곡선의 면적이 되며 이는 선형모터의 출력값( out )과 같다.3A and 3B are graphs showing damping force output by maintaining a constant magnetic field with 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shows a relationship with damping force over time. 3b shows the relationship with the damping force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In calculating the efficiency of the linear motor, the transmission force measured by the force sensor 109 shown in FIG. 2 under magnetic field load is the sum of the inertia force of the MR / ER variable load device 105 and the damping force due to the basic viscosity. Since the linear motor generates the sinusoidal motion, the transmission force has the same shape as the thick solid line of FIGS. 3A and 3B. When the magnetic field is added at a constant value, the damping force is shaped like a dotted line and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width of the magnetic pole, so that the total damping force has a square wave shape. At this time, and the energy is the area of the closed curve of Figure 3b dissipated in variable load device 105 which is the same as the output value of the linear motor (W out).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 평가용 다이나모미터로 자기장을 제어하여 출력되는 댐핑력을 도시한 그래프로, 도 4a 는 시간에 따른 댐핑력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도 4b 는 변위에 따른 댐핑력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MR 유체의 점성은 자기장에 대하여 가변적이므로 자기장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되는 가변부하장치(105)에서 발생되는 부하의 크기 및 형태를 얻을 수 있으며, 도 4b 의 폐곡선의 면적은 선형모터의 출력값( out )과 같다.4A and 4B are graphs showing the damping force output by controlling a magnetic field with 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damping force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is shown. Since the viscosity of the MR fluid is variable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field, the size and shape of the load generated by the variable load device 105 shown in FIG. 2 can be obtained by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The area of the closed curve of FIG. Same as the output value ( out ).

상기한 바에 따라 구해지는 선형모터(114)의 출력( out )은 센서(109, 112)를 통해 성능평가 장치(121)에서 계산될 수 있으며, 전력측정장치(117)로부터 측정된선형모터(114)의 입력( in )과 함께 효율을 계산하여 모니터에 계산값이나 그림으로 출력될 수 있다.The output of the linear motor 114, which is obtained according to the foregoing (W out) is a linear motor measured by the sensor (109, 112) a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121 can, and power measurement device 117 to be calculated in the via ( The efficiency can be calculated with the input ( in ) of 114) and output to the monitor as a calculated value or pictur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가변부하장치부(103)의 MR 가변부하장치(105)에 대한 실시예들을 각각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MR variable load device 105 of the variable load device unit 103 of the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dyna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MR 가변부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파절 사시도로서, 전단모드형 MR 가변부하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MR 가변부하장치는 지지를 위한 베이스(204)와, 상기 베이스(204)의 하부 내주면에 부착되는 고정자극부(220)와, 도 2 에 도시되는 선형모터(114)의 출력단에 의해 고정자극부(220) 내부를 선형운동하는 이동자극부(230) 및 상기 고정자극부(220) 및 이동자극부(230) 사이에서 상호간의 평행상대운동에 의하여 전단저항이 발생되는 MR 유체(201)로 구성되어 있다.5A and 5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MR variable load device of 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hear mode MR variable load device. The MR variable load device includes a base 204 for supporting, a fixed magnetic pole portion 220 attached to a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204, and a fixed magnetic pole by an output end of the linear motor 114 shown in FIG. MR fluid 201 in which shear resistance is generated by a parallel relative motion between the moving magnetic pole portion 230 and the fixed magnetic pole portion 220 and the moving magnetic pole portion 230 linearly moving inside the portion 220. Consists of.

상기 베이스(204)는 개략 "ㄷ" 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돌기(209)가 형성되는 두 개의 리니어베어링(208)이 양측상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204)를 평평한 상면을 갖는 베드(123; 도 2 에 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브라킷(205)이 하단 에지부에 형성된다.The base 204 is formed in a roughly "c" shape, and two linear bearings 208 having protrusions 209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 plurality of brackets 205 are formed at the bottom edge portion for securing to the bed 123 (shown in FIG. 2) having a flat top surface.

상기 고정자극부(220)는 수직으로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MR 유체(201)에 자기장을 인가하기 위한 사각링 형태의 솔레노이드(206)와, 수직으로 관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솔레노이드(206)가 삽입되도록 서로 접촉되는 내주면 에지부에 각각 홈이 형성되는 개략 사각링 형태의 두 개의 고정자극(203)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개의 고정자극(203)중 하부의 고정자극(203)은 베이스(204)의 하면상에 견고히 부착된다.The stator pole portion 220 has a vertically penetrating portion, a rectangular ring-shaped solenoid 206 for applying a magnetic field to the MR fluid 201, a space portion vertically penetrating therein, and the solenoid 206 is formed. It consists of two stator poles 203 in the form of roughly rectangular rings each having grooves formed at edge portion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tator poles 203 at the bottom of the two stator poles 203 are the base 204. It is firmly attached on the lower surface of).

상기 이동자극부(230)는 상기 베이스(204)의 리니어베어링(208)에 삽입되도록 상부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홈(210)이 형성되어 리니어베어링(208)의 돌기(209)와 맞물려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선형모터(114)의 출력단과 커플링(122)에 의해 일측이 축결합된 로드연장부(125)의 다른측과 연결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로드(207), 및 상기 로드(207)의 외주면 하부에 부착되어 로드(207)의 축방향과 평행한 고정자극부(220)의 양측 내주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자극부(220)의 공간부 내부를 상기 로드(207)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개략 사각판 형태의 이동자극(202)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movable magnetic pole portion 230 is provided with a groove 210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208 of the base 204, thereby engaging the protrusion 209 of the linear bearing 208 to prevent rotation. A rod 207 reciprocating in the axi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od 207 is connected to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end of the rod extension part 125 axially coupled by an output end of the linear motor 114 and the coupling 122, And a rod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207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tator pole portion 220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d 207, and the inside of the space portion of the stator pole portion 220. And a moving magnetic pole 202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that reciprocates in the axial direction of 207.

상기 MR 유체(201)는 상기 고정자극부(220)의 공간부에 충진되어 상기 이동자극(202)이 고정자극(203)을 기준으로 로드(207)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함으로써 전단저항이 발생된다.The MR fluid 201 is filled in the space of the stator pole part 220 so that the movable stimulus 202 reciprocat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d 207 based on the stator pole 203 to generate shear resistance. do.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모드형 MR 가변부하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선형모터(114)를 구동시키면, 선형모터(114)의 출력단과 커플링(122)에 의해 축결합된 로드연장부(125)와 연결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로드(207)와 결합된 이동자극(202)이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며, 동시에 고정자극(203)과 이동자극(202)의 사이(이하 간극)에 충진된 MR 유체(201)는 이동자극(202)과 고정자극(203)의 상대운동에 따른 전단저항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206)에 전류를 인가하여 간극에 충진된 MR 유체(201)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MR 유체(201)의 점도가 변화하여 전단저항력이 변화한다. 자기장 세기에 의하여 크기가 조절되는 전단저항력은 선형모터(114)의 가변부하로 작용하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shear mode MR variable lo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When the linear motor 114 is driven, the moving magnetic pole coupled with the rod 207 which is connected to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d extension 125 coupled to the output end of the linear motor 114 by the coupling 122. The 202 is linearly reciproc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MR fluid 201 filled between the fixed magnetic pole 203 and the moving magnetic pole 2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gap) is moved relative to the moving magnetic pole 202 and the fixed magnetic pole 203. Shear resistan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t this time, when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MR fluid 201 filled in the gap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solenoid 206, the viscosity of the MR fluid 201 is changed to change the shear resistance force. The shear resistance, whose magnitude is controlled by the magnetic field strength, acts as a variable load of the linear motor 114.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MR 가변부하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파절 사시도로서, 유동모드형 MR 가변부하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MR 가변부하장치는 지지를 위한 하우징(304)과, 상기 하우징(304)의 하부 내주면에 부착되는 외측자극부(320)와, 상기 하우징(304)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외측자극부(3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측자극부(3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내측자극부(330)와, 도 2 에 도시되는 선형모터(114)의 출력단에 의해 상기 외측자극부(320) 내부를 선형운동하는 피스톤부(340), 및 상기 피스톤부(340)의 운동에 의해 외측자극부(320)와 내측자극부(330)의 사이를 유동하여 유동저항이 발생되는 MR 유체(301)로 구성되어 있다.6A and 6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partial fractu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R variable load device of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flow mode MR variable load device. The MR variable load device includes a housing 304 for supporting, an outer magnetic pole portion 320 attached to a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304, and an outer magnetic pole portion 320 fix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304. The inner magnetic pole portion 3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magnetic pole portion 330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outer magnetic pole portion 320,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linear motor 114 shown in FIG. It consists of a moving piston portion 340, and the MR fluid 301 that flow resistance is generated by flowing between the outer magnetic pole portion 320 and the inner magnetic pole portion 330 by the movement of the piston portion 340 have.

상기 하우징(304)은 상부가 개방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개략 직육면체 형태이며, 상부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돌기(312)가 형성되는 리니어베어링(311)이 일측중심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304)을 베드(123; 도 2 에 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브라킷(310)이 하단 에지부에 형성된다. 상기 외측자극부(320)는 하우징(304)의 하부 내주면상에 리니어베어링(311)의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하면이 각각 부착되며 상부에 호 형태의 홈이 파인 두 개의 고정부(308)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308)의 호 형태의 홈에 리니어베어링(312)과 동일축상으로 위치하도록 외주면이 부착되는 중공원통형의 외측자극(302)이 구비된다.The housing 304 has a schematic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is opened, and a linear bearing 311 having a protrusion 312 formed in an axial direction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provided at one central portion thereof. ), A plurality of brackets 310 are formed at the bottom edge to secure the bed to the bed 123 (shown in FIG. 2). The outer magnetic pole part 320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ear bearing 311 on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304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and each of the two fixing parts 308 grooved in the shape of an arc Is provided, the outer circumferential magnetic pole 302 of the hollow cylindrical shape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located coaxially with the linear bearing 312 in the arc-shaped groove of the fixing portion 308.

상기 내측자극부(330)는 외측자극(302)의 내경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자기장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305)와, 상기 솔레노이드(305)가 끼워지는 봉 형태의 중심축(314)과, 상기 중심축(314) 양단에 상기 외측자극(302)의 내경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외측자극(302) 내부로 삽입되는 두 개의 내측자극(303),및 상기 내측자극(303)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다른 일측부는 상기 하우징(304)의 리니어베어링(312)과 대향하는 일측부, 즉 리니어베어링(312)과 동일 축상으로 대향하는 하우징(304) 일측부에 결합되는 고정축(309)이 구비된다.The inner magnetic pole portion 33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magnetic pole 302, the solenoid 305 for applying a magnetic field, and the rod shape in which the solenoid 305 is fitted Is formed in a disc shape having a central axis 314 and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magnetic pole 302 at both ends of the central shaft 314 and inserted into the outer magnetic pole 302. One side portion is coupled to the inner magnetic pole 303 and the inner magnetic pole 303, and the other side thereof faces the same axis as the linear bearing 312 of the housing 304, that is, the linear bearing 312. A fixed shaft 309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304.

상기 피스톤부(340)는 하우징(304)의 리니어베어링(312)에 삽입되도록 상부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홈(313)이 형성되어 리니어베어링(311)의 돌기(312)와 맞물려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도 2 에 도시되는 선형모터(114)의 출력단과 커플링(122)에 의해 일측이 축결합된 로드연장부(125)의 다른측과 일측 끝단부가 연결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로드(307), 및 상기 로드(307)의 다른측 끝단부에 동일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외측자극(302)의 내부로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형성되는 원판형의 피스톤(306)이 구비된다.The piston 340 is a state in which a groove 313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340 to be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312 of the housing 304 to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 312 of the linear bearing 311 to prevent rotation thereof. In the rod 307, which is connected to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end and one end of the rod extension portion 125, one side of which is axially coupled by the output 122 and the coupling 122 of the linear motor 114 shown in FIG. And a disk-shaped piston 306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307 coaxially and inserted into the outer magnetic pole 302 to reciprocate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MR 유체(301)는 상기 하우징(304)의 공간부에 충진되어 상기 외측자극(302)과 내측자극(303)의 사이(이하 간극)에서 상기 피스톤(306)에 의해유동됨으로써 유동저항이 발생된다.The MR fluid 301 is fi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housing 304 and flows by the piston 306 between the outer magnetic pole 302 and the inner magnetic pole 30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ap) to generate a flow resistance. do.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모드형 MR 가변부하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2 의 선형모터(114)를 구동시키면, 선형모터(114)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로드(307)와 결합된 피스톤(306)이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며, 동시에 MR 유체(301)는 상기 간극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305)에 전류를 인가하여 간극에 충진된 MR 유체(301)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MR 유체(301)의 점도가 변화하여 유동저항력이 변화한다. 자기장 세기에 의하여 크기가 조절되는 유동저항력은 도 2 의 선형모터(114)의 가변부하로 작용하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flow mode MR variable lo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When the linear motor 114 of FIG. 2 is driven, the piston 306 coupled with the rod 307 connected to the output end of the linear motor 114 linearly reciprocates, and at the same time, the MR fluid 301 moves into the gap. Will flow. At this time, if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MR fluid 301 filled in the gap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solenoid 305, the viscosity of the MR fluid 301 is changed to change the flow resistance force. The flow resistance force whose magnitude is adjusted by the magnetic field strength acts as a variable load of the linear motor 114 of FIG. 2.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MR 가변부하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파절 사시도로서, 압착모드형 MR 가변부하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MR 가변부하장치는 지지를 위한 베이스(406)와, 상기 베이스(406)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자극부(420)와, 상기 베이스(406)의 일측에 대향하는 다른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이동자극부(430)와, 상기 고정자극부(420)와 이동자극부(430)를 연결하는 다이아프램(404), 및 상기 다이아프램(404)의 내부에 충진되는 MR 유체(401)로 구성된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R variable load device of the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dyna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rimp mode type MR variable load device. The MR variable load device supports a base 406 for support, a fixed magnetic pole part 4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406, and a movable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base 406. The moving magnetic pole portion 430, the diaphragm 404 connecting the stator pole portion 420 and the moving magnetic pole portion 430, and the MR fluid 401 filled in the diaphragm 404. It is composed.

상기 베이스(406)는 개략 "ㄷ" 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돌기(411)가 형성되는 리니어베어링(410)이 일측중심부에 구비되며, 베드(123; 도 2 에 도시)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브라킷(409)이 하단 에지부에 형성된다.The base 406 is formed in a roughly “c” shape, and has a linear bearing 410 having a protrusion 411 formed in an axial direction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provided with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bed 123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brackets 409 are formed at the bottom edge portion for fixing to the bottom.

상기 고정자극부(420)는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면이 사각형인 링 형태로 리니어베어링(410)과 동일축상으로 위치하는 솔레노이드(405)와, 상기 솔레노이드(40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단면이 사각형인 링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리니어베어링(410)과 동일축상으로 위치하는 고정자극(403)과, 상기 고정자극(403)의 다른 측면과 일측 끝단이 결합되며 다른 일측 끝단은 상기 하우징(406)의 리니어베어링(410)과 동일축상으로 대향하는 일측부에 부착되는 고정축(408)으로 구성된다.The stator pole portion 420 has a cross section on one side such that the solenoid 405 and the solenoid 405 can be inserted in the same axis as the linear bearing 410 in a ring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for applying a magnetic field. The rectangular ring-shaped groove is formed in the cylindrical pole and the linear bearing 410 is located on the same axis and the fixed magnetic pole 403, the other side and one end of the fixed magnetic pole 403 is coupled and the other end is The fixed shaft 408 is attach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housing 406 opposite to the linear bearing 410 on the same axis.

상기 이동자극부(430)는 상기 하우징(406)의 리니어베어링(410)에 삽입되도록 상부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홈(412)이 형성되어 리니어베어링(410)의 돌기(411)와 맞물려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도 2 에 도시되는 선형모터(114)의 출력단과 커플링(122)에 의해 일측이 축결합된 로드연장부(125)의 다른측과 연결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로드(407), 및 상기 로드(407)의 다른측 끝단부에 중심부가 결합되어 왕복운동하는 원판형의 이동자극(402)으로 구성된다.The movable magnetic pole part 430 is provided with a groove 412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410 of the housing 406 to engage with the protrusion 411 of the linear bearing 410 to prevent rotation. A rod 407 connected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end of the rod extension part 125, one side of which is axially coupled by the output 122 and the coupling 122 of the linear motor 114 shown in FIG. 2, and The central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407 is composed of a disk-shaped moving magnetic pole 402 reciprocating.

상기 다이아프램(404)은 수평으로 관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자극(403)의 에지부와 이동자극(402)의 에지부에 양 끝단이 부착되는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로드(407)의 축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The diaphragm 404 has a horizontal portion penetrating horizontally and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both ends attached to an edge portion of the stator pole 403 and an edge portion of the moving pole 402. Direction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상기 MR 유체(401)는 상기 다이아 프램(404)의 공간부에 충진되어 고정자극(403)과 이동자극(402)의 사이(이하 간극)에서 고정자극(403)을 기준으로 이동자극(402)이 이동함으로써 압착저항이 발생된다.The MR fluid 401 is fi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diaphragm 404 to move the magnetic pole 402 based on the fixed magnetic pole 403 between the fixed magnetic pole 403 and the moving magnetic pole 4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ap). By this movement, a crimping resistance is generat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모드형 MR 가변부하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2 에 도시되는 선형모터(114)를 구동시키면 로드(407)와 결합된 이동자극(402)이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며, 동시에 간극의 크기가 변화한다. 간극이 커지면 MR 유체(401)가 다이아프램(404)의 가장자리부에서 중심부로 유입되고, 간극이 작아지면 MR 유체(401)가 다이아프램(404)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로 유출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405)에 전류를 인가하여 크기가 변화하고 있는 간극에 충진된 MR 유체(401)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MR 유체(401)의 점도가 변화하여 압착저항력이 변화한다. 자기장 세기에 의하여 크기가 조절되는 압착저항력은 도 2 에 도시되는 선형모터(114)의 가변부하로 작용하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crimp mode MR variable lo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When the linear motor 114 shown in FIG. 2 is driven, the moving stimulus 402 coupled with the rod 407 linearly reciprocates, and at the same time, the size of the gap changes. If the gap is large, the MR fluid 401 flows from the edge of the diaphragm 404 to the center, and if the gap is small, the MR fluid 401 flows from the center of the diaphragm 404 to the edge. At this time, if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MR fluid 401 filled in the gap whose size is changed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solenoid 405, the viscosity of the MR fluid 401 is changed to change the crimp resistance. The crimp resistance, whose magnitude is adjusted by the magnetic field strength, acts as a variable load of the linear motor 114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가변부하장치부(103)의 ER 가변부하장치(105)의 실시예들을 각각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ER variable load device 105 of the variable load device unit 103 of the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dyna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a 및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ER 가변부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파절 사시도로서, 전단모드형 MR 가변부하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ER 가변부하장치는 지지를 위한 하우징(504)과, 상기 하우징(504)의 하부 내주면에 부착되는 고정전극부(520)와, 선형모터의 출력단에 의해 고정전극부(520) 내부를 선형운동하는 이동전극부(530) 및 상기 고정전극부(520) 및 이동전극부(530) 사이에서 상호간의 평행상대운동에 의하여 전단저항이 발생되는 ER 유체(501)로 구성되어 있다.8A and 8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partial fractu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R variable load device of 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hear mode MR variable load device. The ER variable load device includes a housing 504 for supporting, a fixed electrode part 520 attached to a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504, and a linear motion inside the fixed electrode part 520 by an output terminal of the linear motor. The ER fluid 501 which generates a shear resistance by the parallel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moving electrode 530 and the fixed electrode 520 and the moving electrode 530.

상기 하우징(504)은 상부가 개방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개략 직육면체 형태이며, 상부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돌기(509)가 형성되는 리니어베어링(508)이 양측상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504)을 평평한 상면을 갖는 베드(123; 도 2 에 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브라킷(505)이 하단 에지부에 형성된다.The housing 504 has a schematic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space is opened, and linear bearings 508 having protrusions 509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upper and upper ends thereof. A number of brackets 505 are formed at the bottom edge to secure 504 to the bed 123 having a flat top surface (shown in FIG. 2).

상기 고정전극부(520)는 상기 하우징(504)의 하부 내주면상에 리니어베어링(508)의 축과 직각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일측이 각각 부착되며 전기절연재질로 형성되는 사각막대 형태의 두 개의 고정부(506)와, 상기 고정부(506)의 다른측에 각각 수직으로 견고히 부착되는 사각판 형태의 두 개의 고정전극(503)으로 구성된다.The fixed electrode part 520 is attached to one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linear bearing 508 on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504. The fixing unit 506 and two fixed electrodes 503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firmly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unit 506, respectively.

상기 이동전극부(530)는 상기 하우징(504)의 리니어베어링(508)에 삽입되도록 상부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홈(510)이 형성되어 리니어베어링(508)의 돌기(509)와 맞물려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선형모터(114)의 출력단과 커플링(122)에 의해 일측이 축결합된 로드연장부(125; 도 2 에 도시)의 다른측과 연결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로드(507), 및 상기 로드(507)의 외주면 하부에 부착되어 두 고정전극(503)의 사이를 왕복운동하는 이동전극(502)로 구성된다.The movable electrode part 530 is formed with a groove 510 in the axial direction on an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able electrode part 53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508 of the housing 504, thereby engaging the protrusion 509 of the linear bearing 508 to prevent rotation thereof. Axially reciproc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connected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end of the rod extension part 125 (shown in FIG. 2) axially coupled by the output end of the linear motor 114 and the coupling 122. A rod 507 and a moving electrode 502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507 to reciprocate between two fixed electrodes 503.

상기 ER 유체(501)는 상기 하우징(504)의 공간부에 충진되어 상기 이동전극(502)이 고정전극(503)을 기준으로 로드(507)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함에 의해 전단저항이 발생된다.The ER fluid 501 is fi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housing 504 so that the movable electrode 502 reciprocat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d 507 with respect to the fixed electrode 503 to generate shear resistance. .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모드형 ER 가변부하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2 에 도시되는 선형모터(114)를 구동시키면, 로드(507)와 연결된 이동전극(502)이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며, 동시에 고정전극(503)과 이동전극(502)의사이(이하 간극)에 충진된 ER 유체(501)는 이동전극(502)과 고정전극(503)의 상대운동에 따른 전단저항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전극(502) 및 고정전극(503)에 각각 "+"전압 및 "-"전압을 부하로 주어 상기 간극의 ER 유체(501)에 전기장이 형성되며, ER 유체(501)의 점도가 변화하여 전단저항력이 변화한다. 전기장 세기에 의하여 크기가 조절되는 전단저항력은 선형모터(114)의 부하로 작용하게 된다.The action of the shear mode type ER variable lo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When the linear motor 114 shown in FIG. 2 is driven, the moving electrode 502 connected to the rod 507 linearly reciprocates, and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fixed electrode 503 and the moving electrode 5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ap). The filled ER fluid 501 generates shear resistance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moving electrode 502 and the fixed electrode 503. In this case, an electric field is formed in the ER fluid 501 of the gap by applying a "+" voltage and a "-" voltage to the moving electrode 502 and the fixed electrode 503, respectively, and the viscosity of the ER fluid 501 is increased. Shear resistance changes due to change. The shear resistance, which is scaled by the electric field strength, acts as a load of the linear motor 114.

도 9a 및 도 9b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ER 가변부하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파절 사시도로서, 유동모드형 MR 가변부하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ER 가변부하장치는 지지를 위한 하우징(604)과, 상기 하우징(604)의 하부 내주면에 부착되는 외측전극부(620)와, 상기 외측전극부(620)의 일측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외측전극부(620)와 일정간격이 형성되는 내측전극부(630)와, 도 1의 선형모터(114)의 출력단에 의해 상기 외측전극부(620) 내부를 선형운동하는 피스톤부(640), 및 상기 피스톤부(640)의 운동에 의해 외측전극부(620)와 내측전극부(630)의 사이를 유동하여 유동저항이 발생되는 ER 유체(601)로 구성되어 있다.9A and 9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partial fractu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R variable load device of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flow mode MR variable load device. The ER variable load device is fixed to a housing 604 for supporting, an outer electrode portion 620 attached to a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604,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outer electrode portion 620, and thus the outer electrode. An inner electrode portion 630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portion 620, a piston portion 640 linearly moving inside the outer electrode portion 620 by an output end of the linear motor 114 of FIG. 1, and the It consists of an ER fluid 601 which flows between the outer electrode part 620 and the inner electrode part 630 by the movement of the piston part 640, and a flow resistance is generated.

상기 하우징(604)은 상부가 개방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개략 직육면체 형태이며, 상부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돌기(610)가 형성되는 리니어베어링(609)이 일측중심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604)을 베드(123; 도 2 에 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브라킷(611)이 하단 에지부에 형성된다.The housing 604 has a schematic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space is opened, and a linear bearing 609 having a protrusion 610 formed in an axial direction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provided at one central portion thereof, and the housing 604. ), A plurality of brackets 611 are formed at the bottom edge portion to secure the bed to the bed 123 (shown in FIG. 2).

상기 외측전극부(620)는 하우징(604)의 하부 내주면상에 리니어베어링(609)의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일측이 각각 부착되며 상부에 호 형태의 홈이 파인 두 개의 고정부(608)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608)의 호 형태의 홈에 리니어베어링(609)과 동일 축상으로 외주면이 부착되는 중공원통형의 외측전극(602)이 구비된다.The outer electrode portion 620 is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ear bearing 609 on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604, the two sides are attached to each of the two fixing parts 608 with an arc-shaped groove on the top Is provided, and the hollow electrode cylindrical outer electrode 602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same axis as the linear bearing 609 in the arc-shaped groove of the fixing portion 608.

상기 내측전극부(630)는 외측전극(602)의 내경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측전극(602) 내부로 상기 외측전극(602)과 동일축상으로 삽입되는 내측전극(603), 및 상기 내측전극(603)의 외주면상에 방사상으로 일측이 각각 부착되는 축방향으로 긴 막대모양의 전기절연재질로 형성되며 다른측이 상기 외측전극(602)의 내주면상에 접촉 고정됨으로써 상기 내측전극(603)이 상기 외측전극(603)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내측전극 고정부(605)로 구성된다.The inner electrode part 6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electrode 602 and is inserted into the outer electrode 602 coaxially with the outer electrode 602. 603 and an axially long rod-shaped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one side of which is radially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electrode 603,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er electrode 602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electrode 602. As a result, the inner electrode 603 includes a plurality of inner electrode fixing parts 605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electrode 60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피스톤부(640)는 하우징(604)의 리니어베어링(609)에 삽입되도록 상부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홈(612)이 형성되어 리니어베어링(609)의 돌기(610)와 맞물려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도 2 에 도시되는 선형모터(114)의 출력단과 커플링(122)에 의해 일측이 축결합된 로드연장부(125)의 다른측과 연결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로드(607), 및 상기 로드(607)의 다른측 끝단부에 일측 중심부가 결합되어 상기 외측전극(602)의 내부로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형성되는 원판형의 피스톤(606)이 구비된다.The piston 640 has a groove 612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64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609 of the housing 604 to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 610 of the linear bearing 609 to prevent rotation. A rod 607 connected to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rod extension part 125 in which one side is axially coupled by the output 122 and the coupling 122 of the linear motor 114 shown in FIG. 2, and the rod A central portion of one side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607 and is inserted into the outer electrode 602 and has a disk-shaped piston 606 formed to reciprocate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ER 유체(601)는 상기 하우징(604)의 공간부에 충진되어 상기 외측전극(602)과 내측전극(603)의 사이(이하 전극)에서 상기 피스톤(606)에 의해유동됨으로써 유동저항이 발생된다.The ER fluid 601 is filled in the space of the housing 604 and flows by the piston 606 between the outer electrode 602 and the inner electrode 60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ctrode) to generate a flow resistance. do.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모드형 ER 가변부하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2 에 도시되는 선형모터(114)를 구동시키면, 로드(607)와 연결된 피스톤(606)이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며, 동시에 ER 유체(601)는 상기 간극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외측전극(602) 및 내측전극(603)에 각각 "+"전압 및 "-"전압을 부하로 주어 간극의 ER 유체(601)에 전기장이 형성되면, ER 유체(601)의 점도가 변화하여 유동저항력이 변화한다. 전기장 세기에 의하여 크기가 조절되는 유동저항력은 도 2 의 선형모터(114)의 부하로 작용하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flow mode type ER variable lo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Driving the linear motor 114 shown in FIG. 2 causes the piston 606 connected to the rod 607 to linearly reciprocate, and at the same time the ER fluid 601 flows into the gap. At this time, when the electric field is formed in the ER fluid 601 of the gap by applying the "+" voltage and the "-" voltage to the outer electrode 602 and the inner electrode 603, respectively, the viscosity of the ER fluid 601 is increased. The flow resistance changes due to the change. The flow resistivity, which is scaled by the electric field strength, acts as a load of the linear motor 114 of FIG.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의 ER 가변부하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파절 사시도로서, 압착모드형 MR 가변부하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ER 가변부하장치는 지지를 위한 베이스(705)와, 상기 베이스(705)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전극부(720)와, 상기 베이스(705)의 일측에 대향하는 다른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이동전극부(730)와, 상기 고정전극부(720)와 이동전극부(730)를 연결하는 다이아프램(704), 및 상기 다이아프램(704)의 내부에 충진되는 ER 유체(701)로 구성된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R variable load device of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rimp mode MR variable load device. The ER variable load device is supported to be movable on a base 705 for supporting, a fixed electrode unit 7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705,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base 705. The moving electrode part 730, the diaphragm 704 connecting the fixed electrode part 720 and the moving electrode part 730, and the ER fluid 701 filled in the diaphragm 704. It is composed.

상기 베이스(705)는 개략 "ㄷ" 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돌기(710)가 형성되는 리니어베어링(709)이 일측중심부에 구비되며, 베드(123; 도 2 에 도시)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브라킷(708)이 하단 에지부에 형성된다.The base 705 is formed in a roughly “c” shape, and has a linear bearing 709 having a protrusion 710 formed in an axial direction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provided at one center thereof, and a bed 123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brackets 708 are formed at the bottom edge portion for fixing to the bottom.

상기 고정전극부(720)는 상기 베이스(705)의 리니어베어링(709)과 대향하는일측중심부에 일측 끝단이 결합되는 고정축(706)과, 상기 고정축(706)의 다른측 끝단과 중심부가 결합되는 원판형의 고정전극(703)으로 구성된다.The fixed electrode portion 720 has a fixed shaft 706 having one end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facing the linear bearing 709 of the base 705, and the other end and the center of the other end of the fixed shaft 706. Composed of a disk-shaped fixed electrode 703 is coupled.

상기 이동전극부(730)는 상기 하우징(705)의 리니어베어링(709)에 삽입되도록 상부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홈(711)이 형성되어 리니어베어링(709)의 돌기(710)와 맞물려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도 2 에 도시되는 선형모터(114)의 출력단과 커플링(122)에 의해 일측이 축결합된 로드연장부(125)의 다른측과 연결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로드(707), 및 상기 로드(707)의 다른측 끝단부에 중심부가 결합되어 왕복운동하는 원판형의 이동전극(702)으로 구성된다.The movable electrode 730 has a groove 711 formed i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705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709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 710 of the linear bearing 709 to prevent rotation. A rod 707 connected to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end of the rod extension part 125, one side of which is axially coupled by the output 122 and the coupling 122 of the linear motor 114 shown in FIG. 2, and A central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rod 707 and includes a disk-shaped moving electrode 702 reciprocating.

상기 다이아프램(704)은 수평으로 관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전극(703)의 에지부 및 이동전극(702)의 에지부에 양 끝단이 부착되는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로드(707)의 축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The diaphragm 704 has a horizontally penetrating space portion and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both ends attached to an edge portion of the fixed electrode 703 and an edge portion of the moving electrode 702. Direction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상기 ER 유체(701)는 상기 다이아 프램(704)의 공간부에 충진되어 고정전극(703)과 이동전극(702)의 사이(이하 간극)에서 고정전극(703)을 기준으로 이동전극(702)이 이동함으로써 압착저항이 발생된다.The ER fluid 701 is filled in the space of the diaphragm 704 to move the electrode 702 based on the fixed electrode 703 between the fixed electrode 703 and the moving electrode 7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ap). By this movement, a crimping resistance is generat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압착모드형 ER부하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2 에 도시되는 선형모터(114)를 구동시키면, 로드(707)와 결합된 이동전극(702)이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며, 동시에 간극의 크기가 변화한다. 간극이 커지면 ER 유체(701)가 다이아프램(704)의 가장자리부에서 중심부로 유입되고, 간극이 작아지면 ER 유체(701)가 다이아프램(704)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로 유출된다. 이 때, 이동전극(702) 및 고정전극(703)에 각각 "+"전압 및 "-"전압을 부하로 주어간극의 ER 유체(701)에 전기장이 형성되면, ER 유체(701)의 점도가 변화하여 압착저항력이 변화한다. 전기장 세기에 의하여 크기가 조절되는 압착저항력은 도 2 에 도시되는 선형모터(114)의 부하로 작용하게 된다.The action of the crimp mode type ER lo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When the linear motor 114 shown in FIG. 2 is driven, the moving electrode 702 coupled with the rod 707 linearly reciprocates, and at the same time, the size of the gap changes. As the gap increases, the ER fluid 701 flows from the edge of the diaphragm 704 to the center, and when the gap decreases, the ER fluid 701 flows out of the center of the diaphragm 704 to the edge. At this time, when the electric field is formed in the ER fluid 701 of the gap by applying the "+" voltage and the "-" voltage to the moving electrode 702 and the fixed electrode 703, respectively, the viscosity of the ER fluid 701 becomes The compressive resistance changes accordingly. The crimp resistance, which is scaled by the electric field strength, acts as a load of the linear motor 114 shown in FIG.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는, 측정하고자 하는 선형모터의 운동 양상을 고려하여 MR/ER 유체에 가변적인 부하를 인가함으로써, 선형모터 작동 중에 존재하는 순간 정지 상태에서의 정지마찰, 관성력, 기타 에너지 소산 요소와 같은 성능평가의 저해요소를 최소화하여 선형모터의 성능을 용이하게 하고, 측정 정확도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pplies a variable load to the MR / ER fluid in consideration of the motion pattern of the linear motor to be measured, Inhibition factors such as static friction, inertia, and other energy dissipation factors can be minimized to facilitate the performance of linear motors and to have high reliability for measurement accuracy.

또한, 인가되는 자기장/전기장을 제어함으로써, 선형모터로 전달되는 부하량의 실시간 제어가 가능해지고, 그로인해 다이나모미터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applied magnetic field / electric field, it becomes possible to real-time control of the amount of load transferred to the linear motor,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dynamometer.

더불어, 성능평가 프로그램이 내장된 성능평가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선형모터의 성능평가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by having a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with a built-in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near motor in real time.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can grow up easily.

Claims (9)

선형모터(114)의 구동을 위한 선형모터 구동기(116)와, 구동제어를 위한 선형모터 제어기(115)와 선형모터(114)에 입력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는 전력측정장치(117)를 포함하는 선형모터 제어부(102)에 의해 구동 및 제어되는 선형모터(114)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The linear motor driver 116 for driving the linear motor 114, the linear motor controller 115 for driving control and the power measuring device 117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input to the linear motor 114. A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linear motor 114 driven and controlled by a linear motor control unit 102; 상기 선형모터(114)와 커플링(122)에 의해 축결합되는 로드연장부(125)를 통해 상기 선형모터(114)의 운동을 전달받는 MR 가변부하장치(105)와, 원하는 부하의 크기를 계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8),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8)로부터 계산된 부하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107)와, 상기 D/A변환기(107)로부터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를 MR 가변부하장치(105)에 인가하는 전류 증폭기(106)로 이루어지는 가변부하장치부(103), 및MR variable load device 105 receives the movement of the linear motor 114 through the rod extension 125 coupled to the linear motor 114 and the coupling 122, and the desired load size The microprocessor 108 for calculating, the D / A converter 107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of the load calculated from the microprocessor 108 into an analog signal, and the analog signal processed from the D / A converter 107 A variable load device 103 comprising a current amplifier 106 applied to the MR variable load device 105, and 상기 로드연장부(125)와, 상기 로드연장부(125)상에 설치되어 선형모터(114) 및 상기 MR 가변부하장치(105)간의 전달력을 측정하는 힘 센서(109) 및 선형모터(114)의 출력단의 가속도 또는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12)와, 상기 센서(109, 112)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기(110, 113), 및 상기 신호처리기(11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111)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The force sensor 109 and the linear motor 114 installed on the rod extension part 125 and the rod extension part 125 to measure the transmission force between the linear motor 114 and the MR variable load device 105. Sensor 112 for measuring the acceleration or displacement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signal, a signal processor 110, 113 for processing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sensor (109, 112), and an analog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or 113 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comprising a sensor unit (104) comprising an A / D converter (111)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MR 가변부하장치(105)는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돌기(209)가 형성되는 리니어베어링(208)이 양측상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고정을 위한 다수의 브라킷(205)이 하단 에지부에 형성되는 베이스(204)와,The MR variable load device 105 has a linear bearing 208, which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linear bearing 208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and a plurality of brackets 205 for fixing are formed on the lower edge portion 204, 수직으로 관통부가 형성되는 사각링 형태의 솔레노이드(206)와, 수직으로 관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솔레노이드(206)가 삽입되도록 서로 접촉되는 하부 및 상부 내주면 에지부에 각각 홈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204)의 하면상에 견고히 부착되는 두 개의 고정자극(203)으로 구성되는 고정자극부(220)와,A groove is formed in each of the lower and upper inner circumferential edges of the rectangular ring-shaped solenoid 206, the vertically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vertically penetrating space portion is formed, and the solenoid 206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be inserted therein. A fixed magnetic pole portion 220 consisting of two fixed magnetic poles 203 firm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204, 상기 베이스(204)의 리니어베어링(208)에 삽입되도록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홈(210)이 형성되며 일측이 센서부(104)와 연결되는 로드(207), 및 상기 로드(207)의 하부에 부착되어 고정자극부(220)의 공간부를 이동하는 이동자극(202)으로 구성되는 이동자극부(230), 및A groove 21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204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208, and a rod 207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04 on one side thereof, and a lower portion of the rod 207. A moving magnetic pole portion 230, which is attached to the moving magnetic pole 202 to move the space portion of the fixed magnetic pole portion 220, and 상기 고정자극부(220)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MR 유체(201)를 포함하여 전단모드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comprising a shear mode type including an MR fluid 201 filled in a space of the stator pole part 22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MR 가변부하장치(105)는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돌기(312)가 형성되는 리니어베어링(312)이 일측중심부에 구비되며 고정을 위한 다수의 브라킷(310)이 하단 에지부에 형성되는 하우징(304)과,The MR variable load device 105 includes a linear bearing 312 having an upper portion of an open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linear bearing 312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n an axi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brackets 310 for fixing. ) Is formed at the lower edge portion, 상기 하우징(304)의 하부 내주면상에 리니어베어링(312)의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하면이 각각 부착되며 상부에 호 형태의 홈이 파인 두 개의 고정부(308)와, 상기 고정부(308)의 홈에 외주면이 부착되는 원통형의 외측자극(302)으로 구성되는 외측자극부(320)와,On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304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ear bearing 312, the lower surface is attached to each of the two fixing parts 308 with an arc-shaped groove on the top, and the fixing part 308 The outer magnetic pole part 320 which consists of a cylindrical outer magnetic pole 302 whic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s attached to the groove of 상기 외측자극(30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자기장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305)와, 상기 솔레노이드(305)가 끼워지는 중심축(314)과, 상기 중심축(314) 양단에 상기 외측자극(30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자극(30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내측자극(303), 및 상기 내측자극(303)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다른 일측부는 상기 하우징(304)의 리니어베어링(312)과 대향하는 일측중심부에 결합되는 고정축(309)으로 이루어지는 내측자극부(330)와,The solenoid 305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magnetic pole 302 to apply a magnetic field, the central axis 314 into which the solenoid 305 is fitted, and both ends of the central axis 314. Two inner magnetic poles 303 formed in a disc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magnetic poles 302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magnetic poles 302, and the inner magnetic poles 303. An inner magnetic pole portion 330 formed of a fixed shaft 309 coupled to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facing the linear bearing 312 of the housing 304; 상기 하우징(304)의 리니어베어링(312)에 삽입되도록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홈(313)이 형성되며 센서부(104)와 일측부가 연결되는 로드(307), 및 상기 로드(307)의 다른측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자극(30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원판형의 피스톤(306)으로 구성되는 피스톤부(340), 및A groove 313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304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312, and a rod 307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04 and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side of the rod 307. A piston portion 340 formed of a disk-shaped piston 306 which is coupled to an end portion and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magnetic pole 302, and 상기 하우징(304)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MR 유체(301)를 포함하여 유동모드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comprising a flow mode type including an MR fluid (301) fi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housing (304).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MR 가변부하장치(105)는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돌기(411)가 형성되는 리니어베어링(410)이 일측중심부에 구비되며 고정을 위한 다수의 브라킷(409)이 하단 에지부에 형성되는 베이스(406)와,The MR variable load device 105 is provided with a linear bearing 410 having a protrusion 411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base having a plurality of brackets 409 formed at a lower edge portion thereof for fixing. 406), 자기장을 인가하는 링 형태의 솔레노이드(405)와, 상기 솔레노이드(40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링 형태의 홈을 형성한 고정자극(403)과, 상기 고정자극(403)의 다른 측면과 일측끝단이 결합되며 다른 일측끝단은 상기 하우징(406)의 리니어베어링(410)과 대향하는 일측중심부에 결합되는 고정축(408)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자극부(420)와,A ring-shaped solenoid 405 for applying a magnetic field, a fixed magnetic pole 403 having a ring-shaped groove formed on one side thereof so that the solenoid 405 can be inserted,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ed magnetic pole 403 One end is coupled and the other end is a fixed magnetic pole portion 420 consisting of a fixed shaft 408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406 opposite to the linear bearing 410, 상기 하우징(406)의 리니어베어링(410)에 삽입되도록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홈(411)이 형성되며 센서부(104)와 일측부가 연결되는 로드(407), 및 상기 로드(407)의 다른측 끝단부에 결합되는 이동자극(402)으로 구성되는 이동자극부(430)와,A groove 41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406 to be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410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rod 407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04 and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side of the rod 407. A moving magnetic pole part 430 composed of a moving magnetic pole 402 coupled to an end portion, 수평으로 관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자극(403)의 에지부와 이동자극(402)의 에지부에 양끝단이 연결되는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는 다이아프램(404), 및A diaphragm 404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horizontally penetrating space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edge portion of the stator pole 403 and the edge portion of the moving pole 402, and 상기 다이아 프램(404)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MR 유체(401)를 포함하여 압착모드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comprising a crimping mode type including an MR fluid 401 filled in the space part of the diaphragm 404. 선형모터(114)의 구동을 위한 선형모터 구동기(116)와, 구동제어를 위한 선형모터 제어기(115)와 선형모터(114)에 입력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는 전력측정장치(117)를 포함하는 선형모터 제어부(102)에 의해 구동 및 제어되는 선형모터(114)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The linear motor driver 116 for driving the linear motor 114, the linear motor controller 115 for driving control and the power measuring device 117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input to the linear motor 114. A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linear motor 114 driven and controlled by a linear motor control unit 102; 상기 선형모터(114)와 커플링(122)에 의해 축결합되는 로드연장부(125)를 통해 상기 선형모터(114)의 운동을 전달받는 ER 가변부하장치(105)와, 원하는 부하의 크기를 계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8),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8)로부터 계산된 부하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107)와, 상기 D/A변환기(107)로부터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를 ER 가변부하장치(105)에 인가하는 전압 증폭기(106)로 이루어지는 가변부하장치부(103), 및The ER variable load device 105 receives the movement of the linear motor 114 through the rod extension 125 coupled by the linear motor 114 and the coupling 122 and the size of the desired load. The microprocessor 108 for calculating, the D / A converter 107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of the load calculated from the microprocessor 108 into an analog signal, and the analog signal processed from the D / A converter 107 A variable load unit 103 comprising a voltage amplifier 106 applied to the ER variable load unit 105, and 상기 로드연장부(125)와, 상기 로드연장부(125)상에 설치되어 선형모터(114) 및 상기 ER 가변부하장치(105)간의 전달력을 측정하는 힘 센서(109) 및 선형모터(114)의 출력단의 가속도 또는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12)와, 상기 센서(109, 112)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기(110, 113), 및 상기 신호처리기(11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111)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The force sensor 109 and the linear motor 114 installed on the rod extension part 125 and the rod extension part 125 to measure the transmission force between the linear motor 114 and the ER variable load device 105. Sensor 112 for measuring the acceleration or displacement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signal, a signal processor 110, 113 for processing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sensor (109, 112), and an analog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or 113 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comprising a sensor unit (104) comprising an A / D converter (111)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ER 가변부하장치(105)는 상부가 개방형성된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며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돌기(509)가 형성되는 리니어베어링(508)이 양측상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고정을 위한 다수의 브라킷(505)이 하단 에지부에 형성되는 하우징(504)과,The ER variable load device 105 has a linear bearing 508, which is formed inside the space portion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projections 509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both upper ends thereof,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rackets for fixing ( A housing 504 having a lower edge portion 505 formed therein; 상기 하우징(504)의 하부 내주면상에 리니어베어링(508)의 축과 직각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일측이 각각 부착되며 전기절연재질로 형성되는 두 개의 고정부(506)와, 상기 고정부의 다른측에 각각 견고히 부착되는 고정부(506)와 동수의 고정전극(503)으로 구성되는 고정전극부(520)와,Two fixing parts 506, one side of which is attached on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504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linear bearing 508 and formed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art. A fixed electrode portion 520 consisting of a fixed portion 506 and an equal number of fixed electrodes 503 firmly attached to each other, 상기 하우징(504)의 리니어베어링(508)에 삽입되도록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홈(510)이 형성되며 일측이 센서부(104)와 연결되는 로드(507), 및 상기 로드(507)의 하부에 부착되어 고정전극부(520)의 고정전극(503)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전극(502)으로 구성되는 이동전극부(530), 및A groove 51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504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508, and a rod 507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04 on one side thereof, and a lower portion of the rod 507. A moving electrode part 530 which is attached and is composed of a moving electrode 502 moving between the fixed electrode 503 of the fixed electrode part 520, and 상기 하우징(504)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ER 유체(50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comprising: an ER fluid (501) filled in the space of the housing (504).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ER 가변부하장치(105)는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돌기(610)가 형성되는 리니어베어링(609)이 일측중심부에 구비되며 고정을 위한 다수의 브라킷(611)이 하단 에지부에 형성되는 하우징(604)과,The ER variable load device 105 has a linear bearing 609 having a top portion of which is formed in an open space and a protrusion 610 formed in an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provided at on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brackets 611 for fixing. A housing 604 formed at the lower edge portion, 상기 하우징(304)의 하부 내주면상에 리니어베어링(609)의 축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일측이 각각 부착되며 상부에 호 형태의 홈이 파인 두 개의 고정부(608)와, 상기 고정부(608)의 홈에 외주면이 부착되는 중공원통형의 외측전극(602)으로 구성되는 외측전극부(620)와,Two fixing parts 608 each having one side attached to each sid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ear bearing 609 on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304 and the fixing part 608 having an arc-shaped groove formed thereon, and the fixing part 608 An outer electrode portion 620 composed of a hollow cylinder-shaped outer electrode 602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tached to a groove of 상기 외측전극(60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전극(60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내측전극(603)과, 상기 내측전극(603)의 외주면상에 방사상으로 일측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외측전극(602)의 내주면상에 다른 측이 각각 접촉 고정됨으로써 상기 내측전극(603)이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내측전극 고정부(605)로 구성되는 내측전극부(630)와,An inner electrode 603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outer electrode 602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electrode 602, and one side radially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electrode 603. The inner electrode portion 63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inner electrode fixing portion 605 is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sid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electrode 602 is fixed to the inner electrode 603 and , 상기 하우징(604)의 리니어베어링(609)에 삽입되도록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홈(612)이 형성되며 센서부(104)와 일측부가 연결되는 로드(607), 및 상기 로드(607)의 다른측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전극(60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원판형의 피스톤(606)으로 구성되는 피스톤부(640), 및A groove 612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604 to be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609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rod 607 to which the sensor unit 104 and one side is connected, and the other side of the rod 607. A piston portion 640 composed of a disk-shaped piston 606 coupled to an end portion and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electrode 602, and 상기 하우징(604)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ER 유체를 포함하여 전단모드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comprising a shear mode type including an ER fluid filled in the space of the housing (604).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ER 가변부하장치(105)는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돌기(710)가 형성되는 리니어베어링(709)이 일측중심부에 구비되며 고정을 위한 다수의 브라킷(708)이 하단 에지부에 형성되는 베이스(705)와,The ER variable load device 105 is provided with a linear bearing 709 having a protrusion 710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base having a plurality of brackets 708 formed at a lower edge portion thereof for fixing. 705), 상기 베이스(705)의 리니어베어링(709)과 대향하는 일측중심부에 일측 끝단이 결합되는 고정축(706)과, 상기 고정축(706)의 다른측 끝단과 결합되는 고정전극(703)으로 구성되는 고정전극부(720)와,A fixed shaft 706 having one end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facing the linear bearing 709 of the base 705 and a fixed electrode 703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ixed shaft 706. The fixed electrode unit 720, 상기 베이스(705)의 리니어베어링(709)에 삽입되도록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홈(711)이 형성되며 센서부(104)와 일측부가 연결되는 로드(707), 및 상기 로드(707)의 다른측 끝단부에 결합되는 이동전극(702)으로 구성되는 이동전극부(730)와,A groove 71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705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inear bearing 709, and a rod 707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04 and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side of the rod 707. A moving electrode part 730 composed of a moving electrode 702 coupled to an end part; 수평으로 관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전극(703)의 에지부와 이동전극(702)의 에지부에 양끝단이 부착되어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는 다이아프램(704), 및A diaphragm 704 formed with a flexible material by forming a horizontally penetrating space portion and having both ends attached to an edge portion of the fixed electrode 703 and an edge portion of the moving electrode 702; 상기 다이아 프램(704)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ER 유체(701)를 포함하여 압착모드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A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comprising an ER fluid (701) fi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diaphragm (704). 제 1 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선형모터 제어부(102)의 전력측정장치(117), 상기 센서부(104)의 신호처리기(113), 및 신호처리기(110)를 통한 A/D변환기(11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값으로 하여 선형모터(114)의 성능을 평가하는 성능평가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성능평가 장치(121)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모터 성능평가용 다이나모미터.Signals output from the A / D converter 111 through the power measuring device 117 of the linear motor controller 102, the signal processor 113 of the sensor unit 104, and the signal processor 110 are input values. The dynamometer for linear motor performance evalu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further include a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121,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built-in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linear motor (114).
KR10-2002-0012007A 2002-03-06 2002-03-06 Dynamometer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near Motor KR100408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007A KR100408705B1 (en) 2002-03-06 2002-03-06 Dynamometer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near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007A KR100408705B1 (en) 2002-03-06 2002-03-06 Dynamometer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near 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802A true KR20030072802A (en) 2003-09-19
KR100408705B1 KR100408705B1 (en) 2003-12-03

Family

ID=3222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007A KR100408705B1 (en) 2002-03-06 2002-03-06 Dynamometer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near Mo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70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027B1 (en) * 2012-05-15 2014-02-07 한국기계연구원 Rotating machine test mechine having variable load
CN108181036A (en) * 2017-12-28 2018-06-19 安徽大学 A kind of contactless linear motor pushing force fluctuation measuring method
CN114526909A (en) * 2022-02-23 2022-05-24 无锡飞一迅智能科技有限公司 Simulation test platform for detecting performance of motor reduc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52B1 (en) * 2006-03-28 2007-06-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measuring linear power
KR100760203B1 (en) 2006-07-18 200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Testing apparatus for compressor performance
KR101721496B1 (en) * 2015-12-24 2017-04-10 한국기계연구원 Motor test equipment with magnetic bearing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1979A (en) * 1991-05-30 1992-12-07 Meidensha Corp Test apparatus of linear motor
JP2000270534A (en) * 1999-03-19 2000-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ynamic characteristics measuring device for linear motor
JP4182311B2 (en) * 1999-11-11 2008-11-19 株式会社安川電機 Linear mot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027B1 (en) * 2012-05-15 2014-02-07 한국기계연구원 Rotating machine test mechine having variable load
CN108181036A (en) * 2017-12-28 2018-06-19 安徽大学 A kind of contactless linear motor pushing force fluctuation measuring method
CN114526909A (en) * 2022-02-23 2022-05-24 无锡飞一迅智能科技有限公司 Simulation test platform for detecting performance of motor reducer
CN114526909B (en) * 2022-02-23 2023-10-27 无锡飞一迅智能科技有限公司 Simulation test platform for detecting performance of motor redu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8705B1 (en)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A novel piezoelectric inchworm actuator driven by one channel direct current signal
Park et al. Standing wave brass-PZT square tubular ultrasonic motor
US5460585A (en) Muscle training and physical rehabilitation machine using electro-rheological magnetic fluid
KR101255350B1 (en) Magnetorheological dampers and use thereof
KR100385078B1 (en) very small friction and wear tester
US5253513A (en) Device for determining viscoelastic properties of liquids and a method for use
KR100408705B1 (en) Dynamometer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near Motor
Hunstig et al. Stick-slip and slip-slip operation of piezoelectric inertia drives—Part II: Frequency-limited excitation
Yao et al. Analysis on a composite cantilever beam coupling a piezoelectric bimorph to an elastic blade
JP2016501381A (en) Dielectric sensor structure and method used for swash plate angular position detection
Wang et al. An energy harvesting type ultrasonic motor
Samper et al. Torque evaluation of a LIGA fabricated electrostatic micromotor
US20170102309A1 (en) Method for actuating an electric motor and configuration for exerting oscillatory rotation of a driveshaft
JPH08128940A (en) Viscosity measuring method for electroviscous fluid
JPH0661541A (en) Tilted body
US3127766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a bond between two pieces of material
JP4022622B2 (en) Torque detector for rotational viscometer
JPH0571897B2 (en)
Zainordin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s on braking responses of magnetorheological brake
JPH1038050A (en) Motion conversion transmission device and its transmitting method
JP2011202959A (en)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instrument and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method
Sapiński Dynamic characteristics of an experimental MR fluid damper
SU1752446A1 (en) Angular oscillations test facility
Mizuno et al. Self-sensing magnetic suspension using an H-bridge type hysteresis amplifier operating in two quadrants
JP3808605B2 (en) Excit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