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766A - 구취 억제능이 우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취 억제능이 우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766A
KR20030072766A KR1020020011953A KR20020011953A KR20030072766A KR 20030072766 A KR20030072766 A KR 20030072766A KR 1020020011953 A KR1020020011953 A KR 1020020011953A KR 20020011953 A KR20020011953 A KR 20020011953A KR 20030072766 A KR20030072766 A KR 20030072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te
composition
oral hygiene
ions
zi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호
이승일
서정택
유윤정
최봉규
옥승호
Original Assignee
(주)인터커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커머스 filed Critical (주)인터커머스
Priority to KR102002001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2766A/ko
Publication of KR2003007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7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위생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취의 주원인인 휘발성 황화합물을 화학적으로 분해하는 클로라이트 이온에 나노크기의 리포좀을 이용하여 클로라이트 이온의 용기내 안정도를 증가시키고 구강내에서 클로라이트 이온이 지속적으로 서서히 방출될 뿐만 아니라, 구강 조직과 리포좀 입자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는 아연 이온을 미량 첨가하여 리포좀의 구강내 잔존 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을 리포좀으로 캡슐화하여 클로라이트 이온이 구강내 잔존할 수 있는 시간을 연장하고, 새로운 황화합물의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치은염, 치석, 치주질환 뿐만 아니라 구취의 예방 및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부작용이 없어 매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취 억제능이 우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ORAL CARE WITH INHIBITORY EFFECTS ON HALITOSI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구강 위생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취의 주원인인 휘발성 황화합물을 화학적으로 분해하는 클로라이트 이온이 구강내 잔존할 수 있는 시간을 연장하고, 새로운 황화합물의 생성을 방지하여 치은염, 치석, 치주질환 뿐만 아니라, 구취의 예방 및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취는 황화합물의 산물로, 구취(halitosis, bad breath)의 원인은 구강내 혐기성 미생물, 특히 그람 음성 혐기성 균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러한 미생물은 단백질 입자와 결합하여 단백질을 대사한 후 구취의 원인인 휘발성 황화합물(VSCs, volatile sulfur compounds)을 형성한다. 구취는 주로 수소 황화물(hydrogen sulfide, H2S), 메틸 머캅탄(methyl mercaptan, CH3SH), 다이메틸 설파이드(dimethyl sulfide, CH2SCH3)의 3 가지 화합물에 의해 발생한다. 이 화합물들은 치아우식부위에 있는 미생물, 상피 세포, 또는 음식물의 분해에 의하여 생성된다. 상피세포막에 존재하는 단백질은 황분자(sulfur side chains)를 가지고 있는 시스테인(cysteine)과 메티오닌(methionine)으로 구성된 일련의 아미노산으로,상피세포가 사멸하게 되면 폴리펩타이드 사슬(polypeptide chains)이 분해되어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을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이 휘발성 황화합물의 전구물질로 작용한다. 휘발성 황화합물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구취를 야기하며, 그 외에 상피벽을 변화시켜 항원성 물질이 세포내로 침투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수소 황화물, 메틸 머캅탄, 다이메틸 설파이드와 같은 휘발성 화화합물은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독성 물질,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치은 틈새(sulcular space)에 인접한 치은 조직에 침투시킨다. 따라서 휘발성 황화합물이 감소하게 되면 구강내에 형성된 독성물질과 미생물의 조직 침투가 줄어들게 된다.
구취의 원인을 살펴보면 몇 가지로 나뉘어진다. 첫째, 휘발성 황화합물은 혀의 뒤쪽 표면뿐 아니라 치주낭(periodontal pocket)에서도 형성된다. 여기에 치은염이나 치주질환이 있는 사람은 다량의 상피세포가 분해되어 구취를 더욱 심하게 만든다. 이와 같은 치주질환 중 치은염은 치아 표면(dental plaque)으로부터 발생되며, 치주낭염(periodontitis)은 치은(gingiva)과 치아 뿌리 사이의 공간이나 치주낭이 감염되어 발생된다. 치은염과 치주낭염은 치아가 균막(pellicle)으로 덮이게 되면 여러 세균이 달라붙어 염증이 유발되며 그 결과 구강질환과 더불어 심한 구취가 발생된다.
둘째, 전신질환도 구취를 일으킬 수 있는데, 이러한 질환으로는 구강암(oral carcinomas), 당뇨병(diabetes), 간과 신장 이상(liver and kidney abnormalities), 구강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수술, 만성상악동염(chronicsinusitis), 편도선염(tonsillitis), 또는 염증성 아데노이드(inflammed adenoids)와 같은 이비인후과 질환(ENT problems) 등이 있다. 또한 전신 질환치료에 쓰이는 약, 즉 혈압이나 항우울제 치료약, 항히스타민제, 감기약 등은 구강을 건조하게 만들고, 이는 혐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유도하여 구취를 생성하게 된다. 감기나 알러지 반응, 치료제, 임신이나 호르몬의 변화로 생성되는 점액질은 혀의 뒷 부분에 모아지게 되고, 이 점액질막 아래로 미생물이 증식하게 되며, 미생물은 점액질에 있는 단백질을 분해하여 휘발성 황화합물을 만들게 된다.
세째, 구취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를 들 수 있다. 음식물에는 구강내 혐기성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예를 들면, 커피는 구강내 산소를 감소시키는 산성 음식으로 혐기성 균을 증식시키게 되고, 유제품은 단백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민트와 츄잉껌에는 당을 함유하고 있어 미생물이 이를 이용하여 휘발성 황화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매운 음식과 마늘, 양파 등에는 그 자체에 황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구취 정도를 높여준다. 또한 담배는 구강을 건조하게 만들어 구취를 유발하며, 타르(tar)나 니코틴(nicotine)과 같은 황화물이 구강내 축적되게 된다. 특히 알코올은 구강안을 건조하게 만들어 구강건조증이나 휘발성 황화화합물 유발 원인균인 혐기성균의 증식이 증가될 수 있어 그 사용을 자제하고 있다.
반면 구취발생을 자연적으로 경감시켜주는 물질로 타액을 들 수 있다. 즉, 타액은 입안에 수분을 유지시켜 주고 미생물들을 씻어내며, 황화합물을 없애주는 천연 구강제의 작용을 한다. 그러나, 단식이나 금식, 장시간 대화를 하거나 구강건조증(xerostomia)과 같은 질병을 가지고 있으면 구강내 타액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구취가 유발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히포크라테스 시대부터 소금과 명반, 식초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고대에는 파슬리(이탈리아), 크로브(cloves, 이라크), 구아바(guava) 껍질(대만), 달걀 껍질(중국) 등을 이용하였다. 최근 사용되는 구취제거제 및 구강청결제는 첫째로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세틸피리디니움 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 드레모피놀(dlemopinol), 세틸-트리메틸라마니움 나프로세네이트(cetyl-trimethylammanium naproxenate), 식물성 알칼리 상귀나리아(herbal alkaloid sanguinaria), 식물성 유지(essential-oil) 등과 같은 항균물질을 사용하여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 둘째로 멘솔(menthol), 민트(mint) 등과 같은 향기 성분을 이용하여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휘발성 황화합물을 덮어씌우는 방법, 마지막으로 이들을 복합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최근에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의 경우 구강내 정상 균총(normal flora)의 변화를 야기하여 다른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두 번째 방법의 경우에는 휘발성 화합물을 향기성분으로 감싸 구강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일시적인 효과밖에 얻을 수 없어 구취 억제 및 구강내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현재 항균물질을 사용하여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한 구강청결제로는 페놀(phenol)을 사용한 리스테린(listerine), 크로라셉틱(chloraseptic), 브레쓰알엑스(breathRX)와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을 사용한 페리덱스(peridex), 페리오가드(perioGuard), 코르소다일(corsodyl)과 상귀나리아(sanguinaria)를 이용한 바이아덴트(viadent)가 있다. 또한 향기 성분을 이용하여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휘발성 황화합물을 덮어씌우는 방법을 사용한 구강청결제로는 세파컬(cepacol), 라보리스(lavoris), 스코프(scope), 시그날(signal), 클리어 초이스(clear choice), 렘브란트 마우스 리프레싱 린스(rembrandt mouth refreshing rinse) 등이 있으며, 상기 두 방법을 복합적인 방법을 이용한 구강청결제로는 플렉스(plax), 클로즈업 안티플라그(close-up anti-plaque), 오랄 비 안티박테리알(oral-B antibacterial) 등이 있다. 또한, 국내 시판되고 있는 구강청결제로는 세틸피리디니움 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을 주요 성분으로 이용한 LG 주식회사의 덴타 가글, 동아 제약의 가그린 덴트 등이 있다.
현재 이러한 단일효과를 나타내는 단순 구강청결제나 구취제거제와 달리 미생물과 휘발성 황화합물을 동시에 공략하는 복합형성 물질이 요구되었으며, 이의 대표적인 물질로 클로린 다이옥사이드(chlorine dioxide)가 있다. 클로린 다이옥사이드는 매우 강력한 산화제이며, 항미생물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1995년 미국 식품의약국에서 안정성을 인증받은 클로린 다이옥시드는 지금까지 알려진 약제 중에서 가장 강력한 산화력을 지닌 것 중의 하나로서, 황을 포함하는 물질과 반응하여 황 원자 주위의 원자간 결합을 파괴하여 메티오닌과 시스테인을 산화함으로써 구강내의 휘발성 황화합물을 화학적으로 분해시켜 무취, 무미한 물질로 만드는 성질을 이용하여 클로린다이옥사이드(chlorine dioxide), 또는 클로로 산(chlorous acid)을 구강제 성분으로 이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환원당 활성제(reducing sugar activators)와 같은 활성제를 이용하여 클로린 다이옥시드를 생성하고 운반하는 방법이 연구 및 실시되고 있으나, 클로린 다이옥시드의 클로린(수영장 냄새의 원인)의 맛과 냄새와 강한 산화작용으로 인하여 조성물내 다른 성분과 혼합할 경우 안정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치은염, 치석, 치주 질환, 또는 구취의 예방 및 치료에 만족할만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지속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클로린다이옥사이드의 대체물로 쓰이는 소듐 클로라이트는 현재까지 구취억제능력이 4 시간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치은염, 치석, 치주질환, 및 구취의 예방 및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지속적으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구강 위생용 성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구강내 질환 및 구취의 예방 및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취 억제능이 우수하고, 구강 위생용 조성물내의 다른 성분들과 혼합하여도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안정성이 우수하며, 구강내 정상 균총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 평상시 매일 사용할 수 있는 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구강내 구취억제물질의 잔존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인위적인 구취 발생물질인 시스테인으로 가글하여 구취를 발생시킨 구강내에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liposome-encapsulated Zn ion and chlorite ion)을 처리한 후, 8 시간 동안의 구취 제거 및 지속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인위적인 구취 발생물질인 시스테인으로 가글하여 구취를 발생시킨 구강내에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을 처리한 후, 2 시간 동안 6 회에 걸쳐 시스테인으로 가글하여 생성된 황화합물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3, 및 도 4는 인위적인 구취 발생물질인 시스테인으로 가글하여 구취를 발생시킨 구강내에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을 처리한 후, 5 시간, 8 시간 째 인위적으로 형성된 황화합물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적용한 리포좀이 구강내에서 독성을 유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독성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조한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의 방부력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 있어서,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 이온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 이온에 아연 이온을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라이트 이온을 리포좀으로 캡슐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치은염, 치석, 치주질환, 및 구취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드 이온을 첨가한 결과, 조성물내의 다른 성분들과 혼합하여도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안정성이 우수하고, 휘발성 황화합물을 화학적으로 분해하는 클로라이트 이온의 구강내 잔존할 수 있는 시간을 연장하여 치은염, 치석, 치주질환, 및 구취의 예방 및 치료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클로라이트 이온의 구강내 잔존 시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클로라이트 이온을 리포좀으로 캡슐화하여, 이를 조성물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연 이온을 추가로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며, 최종 조성물의 pH는 7∼8.5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클로라이트 이온은 다양한 형태의 클로라이트 염(chlorite salt)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 예로는 알칼리 금속 클로라이트(alkali metal chlorite), 알칼리 토금속 클로라이트(alkaline earth metal chlorite), 전이 금속 클로라이트(transition metal chlorite), 내부 전이 금속 클로라이트(inner transition metal chlorite), 및 이들의 고분자 염(polymeric salts)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클로라이트 이온이며, 이들 중에서 수용성의 클로라이트 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체적인 금속 클로라이트(metal chlorite)의 예로는 칼슘 클로라이트(calcium chlorite, CaClO2), 마그네슘 클로라이트(magnesium chlorite, MgClO2), 소듐 클로라이트(sodium chlorite, NaClO2), 또는 포타슘 클로라이트(potassium chlorite, KClO2)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소듐 클로라이트 또는 포타슘 클로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듐 클로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소듐 클로라이트(sodium chlorite)는 상업적으로 공업용 파우더(technical grade podwer) 또는 플레이크(flake) 상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넓은 농도 범위에서 용액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클로라이트 이온은 순도가 높은 것이 좋으며, 70 % 이상의 순도인 것이 좋다. 또한, 클로라이트 이온은 치아염소산 금속염(hypochlorite metal salt), 치아염소산 이온(hypochlorite ion), 다이클로로이소시아누레이트(dichloroisocyanurate), 또는 이들의 염이 포함되지 않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클로라이트 이온은 클로린 다이옥시드의 안정한 상태인 소듐 클로라이트로부터 수득하여 안정적이며, pH 7 이상의 알칼리 조건에서 클로라이트 이온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클로린 다이옥시드, 또는 클로로산을 생성하지 않거나 미량으로 생성한다.
상기 클로라이트 이온은 구취 예방 및 제거를 위하여 구강 위생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3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3 미만일 경우에는 휘발성 황화합물을 분해하는 효과가 미미하며, 0.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량에 따른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리포좀(liposome)은 인지질과 콜레스테롤로 이루어진 지방구(lipid vesicle)로, 이중층이나 육면체(hexagonal phase)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인지질은 수분과 결합할 경우, 분자의 한쪽은 수용성이고 다른 한쪽은 비수용성인 성질로 인하여 구상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성의 물질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포획되고, 비수용성의 물질은 인지질층에 포획되어 목표 세포(target cell)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여 리포좀은 약물(drug molecules), 단백질, 핵산, 플라스미드(plasmid), 효소, 기능성 물질 등의 물질을 지방구 내부(친수성)에형성된 공간에 포획하여 주변의 정상 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내용물의 변성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정해진 조직(selected tissue)으로 운반시키는 운반체(delivery system)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약품의 독성에 의한 세포 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체내에 독성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약물에 의한 설사, 탈모, 탈진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리포좀은 구성하는 지질의 성질에 따라 리포좀의 형태와 투과성, 표면 전하가 결정되기 때문에 목적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진 리포좀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의학 분야뿐 아니라, 면역계, 유전 치료, 미용 분야에까지 운반 체계로서의 그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리포좀은 레시틴(lecithi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크기는 10∼200 ㎚(입자크기 분석기(particle size analyser)로 측정)인 것이 좋다. 나노(nano) 크기의 리포좀은 혀의 유두 안에 쉽게 들어가 박힐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위생용 조성물 내에는 단층(mono)과 다층(multi lamella) 구조의 리포좀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로 전체적으로는 음이온을 띠고 있으며, 무게 100 g 당 약 70∼80 %의 리포좀이 들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 아연 이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연 이온은 구강내 미생물 표면에 있는 단백질 수용체와 결합하여 단백질 입자가 미생물과 결합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황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구취의 생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 표면의 방어벽 역할을 한다. 즉, 산화제인 클로라이트 이온은 구강내 존재하는 냄새(구취)를 제거하며, 아연 이온은 새로운 황화합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연 이온은 음이온을 띠고 있는 리포좀과 미생물 또는 구강 조직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함으로써 구강내에서 리포좀의 잔존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기계적인 운동이나 타액 등에 의해 리포좀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연 이온 특유의 떫은맛으로 인한 이용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 효력이 유지되면서도 떫은맛이 느껴지지 않는 양으로, 구강 위생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0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연 이온으로는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징크 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징크 카보네이트(zinc carbonate), 징크 올레이트(zinc oleate), 징크 플루오라이드(zinc fluoride), 징크 아세테이트(zinc acetate), 징크 포르메이트(zinc formate), 징크 락테이트(zinc lactate), 징크 암모니움 설페이트(zinc ammonium sulfate), 징크 니트레이트(zinc nitrate), 징크 설포네이트(zinc sulfonate), 징크 클로라이드(zinc chloride), 징크 설페이트(zinc sulfate), 징크 시트레이트(zinc citrate), 징크 글리세로포스페이트(zinc glycerophosphate), 징크 타르타레이트(zinc tartarate), 또는 이들의 아연 복합체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징크 클로라이드, 징크 시트레이트, 징크 옥사이드, 징크 아세테이트, 징크 스테아레이트, 징크 설페이트 등의 아연 염을 사용하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징크 클로라이드, 징크 설페이트, 징크 시트레이트 등의 아연 염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아연 이온은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 이온을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상태로 포함될 수도 있으며, 아연 이온 용액의 상태로도 포함될 수 있다. 즉, 클로라이트 이온과 아연 이온을 동시에 리포좀으로 캡슐화하는 공정, 클로라이트 이온을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후, 여기에 아연 이온을 첨가하는 공정, 또는 클로라이트 이온과 아연 이온을 각각 리포좀으로 캡슐화하여 혼합하는 공정에 의해 조성물내에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클로라이트와 아연 혼합물을 동시에 리포좀으로 캡슐화하여 사용하며, 70∼80 %의 클로라이트 이온과 아연 이온은 리포좀으로 캡슐화되어 리포좀 안에 존재하며, 리포좀 밖에도 클로라이트 이온과 아연 이온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아연 이온을 리포좀으로 캡슐화하는 방법은 상기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 이온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즉,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아연 이온은 어떠한 임의의 적합한 과정에 의하여도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인지질을 약간 가열하여 팽윤 상태로 만든 후, 온도를 낮추고 나머지 재료를 넣고 교반한 다음, 이를 리포좀 제조기에 넣고 높은 압력을 주면서 통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리포좀은 레시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크기는 10∼200 ㎚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 이온과 아연 이온을 포함함으로써 구강내 미생물 표면에 있는 단백질 수용체와 결합하여 단백질 입자가 미생물과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여 황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구취의 생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리포좀과 미생물 또는 구강 조직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하여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 이온이 구강내 잔존할 수 있는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구취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클로라이트 이온을 포함하는 구강청결제는 구강청결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carrier)이나 부형제(excipients)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산화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따로 분리된 용기(container)나 두 개로 분리된 단일 용기에 들어 있는 이중상(dual phase) 구조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 이온은 구강청결제 내의 담체, 및 부형제와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클로라이트 이온이 외부환경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중상 구조(dual phase)뿐만 아니라, 단일상(single phase) 구조로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 이온을 포함하는 이중상 구조를 갖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 이온, 또는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liposome-encapsulated Zn ion and chlorite ion)을 포함하는 제 1 상(first phase)과 클로라이트 이온을 제외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구강내 담체(pharmaceutically-acceptable topical oral carrier)를 포함하는 제 2 상(second phas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제 1 상에는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 이온, 또는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뿐만 아니라, 1 종 이상의 상용성 바인더(compatible binder), 보습제, 완충제(buffer),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 2 상에는 향, 계면활성제, 감미료, 착색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 이온, 또는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구강청결제 내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담체나 부형제와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므로 단일상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위생용 조성물의 제형은 구강청정제, 치약 등의 구강제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 이온과 아연 이온 이외에 상기한 제형의 종류 및 사용목적에 따라 조성물의 안전성, 치은염, 치석, 치주질환, 구취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상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로는 계면활성제, 보습제, 향기성분, 감미료, 알칼리 금속 중탄산염, 물, 소염제, 착색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항미생물 제제, 항치석제(antiplaque agent) 등이 더욱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각의 성분을 그 안전성과 유효성이 판명된 제품으로 1일 허용량을 사용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넓은 pH 범위에서 거품을 형성하고 안정적인 것이 좋으며, 비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음이온성, 양성이온성, 합성 세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자연계에서 지방족(aliphatic)이나 알칼리-방향족(alkyl-aromatic) 상태인 소수성 유기 화합물(organic hydrophobic compound)과 알킬렌 옥사이드계(alkylene oxide group)의 축합반응에 의해 생성된 물질이다.구체적인 예로는 폴록사머(poloxamers),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 소르비탄 에스테르(sorbitan esters), 지방 알코올 에톡실에이트(fatty alchohol ethoxylates),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지방족 이차(aliphatic secondary), 또는 3차 아민(tertiary amines)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라디칼은 직쇄(straight chain)나 분지쇄(branched chaind)이며, 지방족 치환기 중 하나는 탄소수 8∼18인 음이온을 가진 수용성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즉, 카르복실레이트(carboxylate), 설포네이트(sulfonate), 설페이트(sulfate), 포스페이트(phosphate), 또는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베타인(betaines)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은 구강 위생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라디칼(즉, 소듐 알킬 설페이트)에는 탄소수 8∼20인 알킬 설페이트의 수용성 염, 또는 탄소수 8∼20인 지방산 술폰화 모노글리세라이드(fatty acid sulfonated monoglycerides)의 수용성 염이 있으며, 그 외에도 소듐 라우로일 사코시네이트(sodium lauroyl sarcosinate), 타우레이트(taurates), 소듐 라우릴 설포아세테이트(sodium lauryl sulfoaceta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3∼9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습제로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이 공기에 노출되어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구강내에 촉촉한 느낌을 주며 특별한 보습제의 경우 풍미(감미)를 줄 수 있다. 그 함량은 구강 위생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자일리톨, 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가식성의 다가 알코올(polyhydric alcohol)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소르비톨 또는 글리세린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향기성분으로는 윈터그린 오일(wintergreen oil), 페퍼민트 오일(peppermint oil), 스피아민트 오일(spearmint oil), 크로바 버드 오일(clove bud oil), 멘톨(menthol), 유칼립톨(eucalyptol), 카시아(cassia), 샐비어(sage), 파슬리 오일(parsley oil), 옥사논(oxanone), 마조람(marjoram), 레몬, 오렌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강 위생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미제로는 수크로즈(sucrose), 글루코즈(glucose), 사카린(saccharin), 덱스트로즈(dextrose), 레브로스(levulose), 락토즈(lactose), 만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프락토즈(fructose), 말토즈(maltose), 자일리톨(xylitol), 사카린 염, 소마틴(thaumatin), 아스파르탐(aspartame), D-트립토판(D-tryptophan)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소듐 시클라메이트, 소듐 사카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은 구강 위생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9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알칼리 금속 중탄산염(alkali metal bicarbonate salt)은 수용성이며,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수용액상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한다. 알칼리 금속 중탄산염으로는 베이킹 소다로 알려진 소듐 중탄산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구강 위생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물은 이온 함량이 적거나 유기물이 제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구강 위생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7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항미생물 제제, 및 항치석 제제에는 트리클로산(triclosan), 5-클로로-2-(2,4-디클로로페녹시)-페놀(5-chloro-2-(2,4-dichlorophenoxy)-phenol),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헥사티딘(hexetidine), 상귀나리아(sanguinarine), 벤즈알코니움 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살리실아닐린(salicylanilide), 도미펜 브로마이드(domiphen bromide),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 테트라데실피리디듐 클로라이드(tetradecylpyridinium chloride), 델모피놀(delmopinol), 옥타피놀(octapinol), 아연/주석 이온제(zinc/stannous ion agents), 테트라시클린(tetracycline), 독시시클린(doxycycline) 등의 항생물질, 상기 항미생물, 항치석 제제의 유사화합물 및 그의 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구강 청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구강 위생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염제로는 아스피린(asprin), 케로락(ketorolac),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 이부프로펜(ibuprofen), 나프록센(naproxen), 이도메타신(idomethacin) 등과 같은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위생용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클로라이트 이온의 함량은 환자의 상태, 원료의 특성, 제형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또한, 클로라이트 이온은 30∼60 초 동안 세정하여 치은/점막 조직(gingival/mucosal tissue)과 치아에 운반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약 15 mL의 구강세정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클로라이트 이온 중 3.75∼22.5 ㎎이 구강내 충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1회/주∼4회/일의 횟수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1회/일∼2회/일의 횟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라이트 이온을 리포좀으로 캡슐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클로라이트 이온, 아연 이온, 또는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을 리포좀으로 캡슐화하는 공정은 임의의 적합한 과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인지질을 약간 가열하여 팽윤 상태로 만든 후, 온도를 낮추고 나머지 재료를 넣고 교반한 다음, 이를 리포좀 제조기에 넣고 높은 압력을 주면서 통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소듐 클로라이트(80%) 0.25 중량%, 물 98.8 중량%, 소듐 카보네이트 0.53 중량%,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0.42 중량%, 및 징크 클로라이드 0.02 중량%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글리세린 3 중량%, 수소첨가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e) 1 중량%, 및 폴리소르베이트 80 0.2 중량%의 성분을 포함하는 리포좀으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 용액 95.8 중량%을 캡슐화하여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liposome-encapsulated Zn ion and chlorite ion)을 포함하는 제 1 상(first phase)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물 76 중량%, 글리세린(glycerin) 19.24 중량%, 자일리톨 2 중량%,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1 중량%, 폴록사머 407 0.8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80 0.2 중량%, 소듐 사카린 0.2 중량%, 향기성분 0.5 중량%, 착색제 0.06 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상(second phase)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제 1 상과 제 2 상을 각각 다른 용기(container)에 담아 이중상 구조를 가지는 pH가 10인 구강청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 25 중량%, 물 51 중량%, 글리세린 19.24 중량%, 자일리톨 2 중량%,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1 중량%, 폴록사머 407 0.8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80 0.2 중량%, 소듐 사카린 0.2 중량%, 향기성분 0.5 중량%, 및 착색제 0.06 중량%를 혼합하여 하나의 용기에 담아 단일상 구조를 가지는 pH가 10인 구강청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소듐 클로라이트(80%) 7.5 중량%, 카보풀(carbopol) 956.sup.2 5.62 중량%, 물 83.14 중량%, 소듐 카보네이트 0.53 중량%,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0.42 중량%, 및 소듐 히드록사이드 2.79 중량%를 혼합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의 리포좀으로 캡슐화하여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을 포함하는 pH가 10인 제 1 상(first phase)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물 20.68 중량%, 소르비톨(70% 용액) 16.534 중량%, 글리세린 9 중량%, 자일리톨 2 중량%, 소듐 카보네이트 1 중량%, 소듐 플루오라이드 0.486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8 중량%, 수산화 실리카 30 중량%, 잔탄 검(xanthan gum) 0.5 중량%,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sup.1(carboxymethyl cellulose.sup.1) 0.4 중량%, 소듐 알킬 설페이트(27.9% 용액) 8 중량%, 티타늄 다이옥사이드(titanium dioxide) 0.7 중량%, 소듐 사카린 0.6 중량%, 향기성분 2 중량%,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0.07 중량%, 및 프로필 파라벤 0.03 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상(second phase)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상과 제 2 상을 각각 다른 용기에 담은 후, pH를 8.5∼9로 조절하여 이중상 구조를 가지는 치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 10 중량%, 물 10.68 중량%, 소르비톨(70% 용액) 18.534 중량%, 글리세린 9 중량%, 자일리톨 2 중량%, 소듐 카보네이트 1 중량%, 소듐 플루오라이드 0.486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8 중량%, 수산화 실리카 30 중량%, 잔탄 검 0.5 중량%,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sup.1 0.4 중량%, 소듐 알킬 설페이트(27.9% 용액) 8 중량%, 타티늄 다이옥사이드 0.7 중량%, 소듐 사카린 0.6 중량%, 향기성분 2 중량%, 메틸 파라벤 0.07 중량%, 및 프로필 파라벤 0.03 중량%를 혼합하여 단일상 구조를 가지는 pH가 10인 치약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의 구취 제거 및 지속 효과, 세포내 독성능, 방부력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예 1
인위적인 구취 발생물질인 시스테인으로 가글하여 구취를 발생시킨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의 구취 제거 및 지속 효과를 임상적으로 시험하였다. 대조구로는 물을 사용하였으며, 시판 구강 제품(가그린 민트, 동아제약),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0.25% 소듐 클로라이트 용액도 시험하여 휘발성 황화합물량을 비교하였다.
구취의 원인물질인 휘발성 황화합물의 임상적 정량은 휘발성 황화합물 측정기(Hali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피검자는 5 mL의 시료로 30 초간 구강을 세척한 후, 측정기의 계수관을 입에 물고 입술을 다물지 않은 상태에서 1 분간 휘발성 황화합물의 양을 측정하여 나타나는 최고값을 구취의 양(ppb, particles per billion)으로 정하였다. 먼저, 인위적 구취 발생물질인 시스테인(cysteine) 5 mL로 30 초 동안 가글하여 구강내에 인위적으로 구취를 발생시키고, 5 분 후 물, 시판 구강제품, 클로르헥시딘, 0.25% 소듐 클로라이트 용액,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을 각각 5 mL로 구강을 다시 세척한 후, 구취의 원인물질인 휘발성 황화합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4 시간 간격으로 10 초 동안 다시 시스테인 5 mL로 가글하여 구강내 구취를 발생시킨 후, 휘발성 황화합물의 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조건에서 8 시간 동안 휘발성 황화합물량을 비교한 결과, 물과 시판구강제품은 2 시간 후에 이미 구취라고 인정되는 75 ppb(ppb, particles per billion)를 넘어 각각 155 ppb와 124 ppb를 보여 구취 억제능이 매우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클로르헥시딘, 25% 소듐 클로라이트 용액, 및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은 2 시간까지 휘발성 황화합물의 양이 30 ppb를 넘지 않아 구취의 원인 물질인 휘발성 황화합물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시간이 경과한 후, 클로르헥시딘과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은 30 ppb 이하의 휘발성 황화합물량을 유지하였으나, 25% 소듐 클로라이트용액은 61 ppb를 보여 점차 휘발성 황화합물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8 시간이 경과한 후, 클로르헥시딘은 24 ppb를 나타내어 8 시간 동안 구취 억제능이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도 이와 비슷한 수준인 32 ppb를 보여 8 시간 동안 구취의 원인 물질인 휘발성 황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의약품인 클로르헥시딘과 비교하여도 본 발명의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의 구취억제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인위적인 구취발생물질인 시스테인 5 mL로 30 초 동안 가글하여 구강내 구취가 발생하도록 하였다. 5 분 후 물,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 각각 5 mL로 구강을 세척하고, 구취 원인 물질인 휘발성 황화합물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20 분 간격으로 10 초 동안 다시 시스테인 5 mL로 가글하고(6 회 반복 실시) 휘발성 황화합물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2 시간 동안 6 회에 걸쳐 5 mL의 시스테인으로 가글하여 구취를 발생시킨 후, 휘발성 황화합물의 양을 측정한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로 세척한 경우, 20 분 간격으로 5 mL 시스테인으로 구취를 발생시킨 직후에는 휘발성 황화합물의 양이 200 ppb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10 분이 경과된 후 측정한 휘발성 황화합물의 양도 점차 증가하여 2 시간 후에는 89 ppb를 나타내었다. 반면,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은 20 분 간격으로 5 mL 시스테인으로 구취를 발생시킨 직후 측정한 휘발성 황화합물의 양은 50 ppb를 넘지 않았으며, 10 분이 경과된 후 측정한 휘발성 황화합물의 양도 다시 감소하여 2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34 ppb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물에 비해 본 발명의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의 휘발성 황화합물 억제능이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인위적인 구취 발생물질인 시스테인 5 mL로 30 초 동안 가글하여 구강내 구취가 발생하도록 하였다. 5 분 후 클로르헥시딘, 0.25% 소듐 클로라이트 용액,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 각각 5 mL로 구강을 세척하여 구취 원인 물질인 휘발성 황화합물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5 시간, 8 시간째에 10 초 동안 다시 시스테인 5 mL로 가글하여 구취를 발생시킨 후, 휘발성 황화합물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0.25% 소듐 클로라이트 용액에 비해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은 8 시간 동안 50 ppb 이하의 황화합물량을 나타내어 구취억제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5 시간, 8 시간째에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의 황화합물 억제 정도를 측정한 결과. 5 시간 이후에는 휘발성 황화합물의 억제능이 실시예 2에 비해 저하됨을 보였으나, 0.25% 소듐 클로라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3 배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10 분 뒤 측정한 휘발성 황화합물량도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보아 클로라이트 화합물의 효력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4를 통하여,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이 리포좀으로 캡슐화하지 않은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에 비해 6 시간, 8 시간째에 인위적인 휘발성 황화합물의 억제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하여 리포좀이 클로라이트 화합물이 구강내 잔존할 수 있는 효과를 증진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클로라이트 이온의 구강내 잔존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적용한 본 발명의 리포좀이 구강내에서 독성을 유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MTT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세포 독성은 PDL cell(Periodontal ligament cell)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α-MEM 배지에 현탁시킨 PDL cell(Periodontal ligament cell)을 37 ℃, CO2배양기(incubator)에서 2 일간 배양시킨 후, 96 웰 플랫에 2 ×104cells/well이 되도록 접종하여 같은 조건으로 1 일간 배양시켰다. 세포가 증식한 후 배지를 걷어내고 대조구는 α-MEM 배지를 사용하였고,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염수(liposome capsulated-saline),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 이온, 25% 소듐 클로라이트, 클로르헥시딘, 및 시판 구강 제품(가그린 민트, 동아제약)을 각각 100 ㎕씩, 1 분간 웰에 넣어 준 후 제거하였다. 160 ㎕씩 배지를 넣어주고, 여기에 MTT 용액(50 ㎎/10 mL stock solution) 40 ㎕를 첨가한 후, 37 ℃, CO2배양기에서 4 시간 배양시켰다. 웰에 있는 용액을 프로마잔 크리스탈(formazan crystals)이 흩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제거한 후, DMSO 200 ㎕를 첨가한 다음 570 ㎚에서 ELISA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클로르헥시딘을 첨가한 배지에서만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리포좀은 구강 세포에 독성을 미치지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의 방부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E.coli 균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10 mL 튜브에 BHI broth, 25 % 소듐 클로라이트 용액,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아연 혼합물 25 %+시판 구강 제품(가그린 민트, 동아제약) 75 % 용액을 각각 5 mL 씩 담은 후, 여기에 E. coli 배양액을 0.1 mL씩 넣어 36 ℃에서 1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BHI agar 위에 상기 배양액을 0.1 mL씩 도말하여 24 시간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한 후 콜로니 수를 계수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대조구인 BHI broth에서는 2 ×107개의 대장균이 나왔으나, 그 외의 처리구에서는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아 자체적인 방부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써 알코올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클로라이트 이온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휘발성 황화합물을 화학적으로 분해하는 클로라이트 이온이 구강내 잔존할 수 있는 시간을 연장하여 치은염, 치석, 치주질환, 및 구취의 예방 및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지속적으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강 위생용 조성물내의 다른 성분들과 혼합하여도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다.

Claims (11)

  1.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 있어서,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클로라이트 이온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라이트 이온이 알칼리 금속 클로라이트(alkali metal chlorite), 알칼리 토금속 클로라이트(alkaline earth metal chlorite), 전이 금속 클로라이트(transition metal chlorite), 내부 전이 금속 클로라이트(inner transition metal chlorite), 및 이들의 고분자 염(polymeric salts)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클로라이트 이온인 구강 위생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라이트 이온이 구강 위생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3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의 크기가 10∼200 ㎚인 구강 위생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연 이온 0.001 내지 0.02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이온이 클로라이트 이온과 아연 이온을 동시에 리포좀으로 캡슐화하는 공정; 클로라이트 이온을 리포좀으로 캡슐화한 후, 여기에 아연 이온을 첨가하는 공정; 또는 클로라이트 이온과 아연 이온을 각각 리포좀으로 캡슐화하여 혼합하는 공정에 의하여 조성물내에 함유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이중상 구조 또는 단일상 구조를 가지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계면활성제, 보습제, 향기성분, 감미료, 알칼리 금속 중탄산염, 물, 소염제, 착색제, 항미생물 제제, 및 항치석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나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pH가 7 내지 8.5인 구강 위생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구강청정제, 또는 치약의 구강제품인 구강 위생용 조성물.
  11. 클로라이트 이온을 리포좀으로 캡슐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20011953A 2002-03-06 2002-03-06 구취 억제능이 우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030072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953A KR20030072766A (ko) 2002-03-06 2002-03-06 구취 억제능이 우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953A KR20030072766A (ko) 2002-03-06 2002-03-06 구취 억제능이 우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766A true KR20030072766A (ko) 2003-09-19

Family

ID=3222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953A KR20030072766A (ko) 2002-03-06 2002-03-06 구취 억제능이 우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27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253B1 (ko) * 2005-07-08 2008-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상전이 유도 구취제거제
WO2013093891A1 (en) 2011-12-22 2013-06-27 Nuvo Research Gmbh Liposomal chlorite or chlorate compositions
WO2015041523A1 (en) 2013-09-18 2015-03-26 Glymur B.V. Oral hygiene compositions
KR20200020356A (ko)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나이벡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7611A (ja) * 1988-06-01 1990-05-02 Procter & Gamble Co:The 口内用組成物
US5281412A (en) * 1991-12-30 1994-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US5753217A (en) * 1996-08-14 1998-05-19 William C. Christopfel Method of reducing oral malodor
US6077502A (en) * 1998-02-27 2000-06-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hlorite and methods
US6132702A (en) * 1998-02-27 2000-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hlorite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7611A (ja) * 1988-06-01 1990-05-02 Procter & Gamble Co:The 口内用組成物
US5281412A (en) * 1991-12-30 1994-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US5753217A (en) * 1996-08-14 1998-05-19 William C. Christopfel Method of reducing oral malodor
US6077502A (en) * 1998-02-27 2000-06-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hlorite and methods
US6132702A (en) * 1998-02-27 2000-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hlorite and method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253B1 (ko) * 2005-07-08 2008-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상전이 유도 구취제거제
WO2013093891A1 (en) 2011-12-22 2013-06-27 Nuvo Research Gmbh Liposomal chlorite or chlorate compositions
CN104125826A (zh) * 2011-12-22 2014-10-29 努沃研究有限责任公司 亚氯酸盐或氯酸盐脂质体组合物
AU2012297589B2 (en) * 2011-12-22 2014-10-30 Nuvo Research Gmbh Liposomal compositions
JP2015502400A (ja) * 2011-12-22 2015-01-22 ヌーボ リサーチ ゲイエムベーハー リポソームの亜塩素酸塩または塩素酸塩組成物
AU2012297589C1 (en) * 2011-12-22 2015-04-16 Nuvo Research Gmbh Liposomal compositions
WO2015041523A1 (en) 2013-09-18 2015-03-26 Glymur B.V. Oral hygiene compositions
KR20200020356A (ko)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나이벡 치은치주염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치간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1232C (en)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hlorite and methods
CA2321306C (en)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hlorite
EP1056436B1 (en)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hlorite
US6696047B2 (en) Stable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hlorite
US20060140885A1 (en) Method of reducing oral tissue inflammation using magnolia extract
AU2014364436A1 (en) Dentifrice compositions comprising zinc oxide and zinc citrate
RU2491928C1 (ru) Искусственная слюна, содержащая аминокислоту и применение основной аминокислоты для лечения сухости во рту
EP1162939A1 (en) Anti-caries oral care compositions
WO1992005766A1 (en) Agents effecting the lysis of oral bacteria
GB2317339A (en) Dentifrice composition containing a curcuminoid
KR20030072766A (ko) 구취 억제능이 우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JPH04182419A (ja) 口腔用組成物
US20030012743A1 (en) Composition containing monoterpenes for topical oral administration
BR112019021767B1 (pt) Método e composição de cuidado oral e uso de uma proteína vegetal parcialmente hidrolisada
CA3050693A1 (en) Oral care composition and use and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plaque formation, bad breath, gingivitis, periodontal diseases and/or dental caries
BR112018007785B1 (pt) Composição para a higiene bucal na forma de um enxaguante bucal, método de reparo ou inibição de erosão dentária e uso de uma proteína vegetal parcialmente hidrolis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