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462A -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462A
KR20030072462A KR1020020011322A KR20020011322A KR20030072462A KR 20030072462 A KR20030072462 A KR 20030072462A KR 1020020011322 A KR1020020011322 A KR 1020020011322A KR 20020011322 A KR20020011322 A KR 20020011322A KR 20030072462 A KR20030072462 A KR 20030072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ignal
door
key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재
임영철
노용준
정광식
김종건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Priority to KR1020020011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2462A/ko
Publication of KR2003007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46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6Mechanical actuation by tampering with faste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해 이용자 고유의 식별코드를 수신받아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가 식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물쇠의 열쇠구멍 내로 열쇠 등의 물체가 삽입되면 이를 침입자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리모트컨트롤러만으로 이용자를 식별하여 침입자에 의한 자물쇠 및 도어의 개방을 감지 및 경보할 수 있는 바, 그 구성이 단순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이용 및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또, 일반적인 가정에 쉽게 도입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alerting intrusion of door}
본 발명은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입자가 자물쇠를 열어 도어를 오픈시키려 할때 이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하는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door)에는 자물쇠를 설치하여 열쇠를 가진 사람만이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열쇠를 소지하지 않았다 할지라도 자물쇠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 중에는 몇가지 도구만으로 간단히 자물쇠를 열어 침입할 수 있는 바, 근래에는 자물쇠 이외에 보안장치로서 생체인식시스템(예컨대, 지문인식시스템)을 이용하여 출입자를 철저히 식별하는 장치나 화상을 통해 원격지에서 출입자를 감시하는 폐쇄회로카메라 등이 개발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생체인식시스템은 구성이 복잡하고 고가이며 유지 관리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고, 상기 폐쇄회로카메라는 경비자가 24시간 상시 감시해야 하는바 인건비와 효율성을 고려할 때 일반적인 가정의 도어 보안장치로 도입하기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구성 및 설치가 간단한 형태로서 자물쇠를 무단으로 열어 침입하려는 침입자를 감지 및 경보할 수 있는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감지부의 회로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리모트컨트롤러 20: 리모콘수신부
30: 키감지부 40: 제어부
41: 기억부 50: 경보 발생부
60: 이벤트기록부 70: 통신부
80: 정보통신망 90: 통합 메시징 서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는, 이용자가 버튼을 조작함에 응답하여 그 조작에 상응하는 코드를 무선신호로서 송신하는 리모트컨트롤러와, 상기 리모트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받는 리모콘수신부와, 도어의 자물쇠에 설치되어 자물쇠의 내부로 물체가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키감지부와, 상기 리모콘 수신부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키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침입 경보방법은, 미리 설정된 코드의 리모트컨트롤러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는 스텝과, 키감지부를 통해 도어에 설치된 자물쇠의 열쇠구멍으로 물체가 삽입되는지를 감지하는 하는 스텝과, 리모트컨트롤러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물쇠의 열쇠구멍으로 물체가 삽입되는 것이 감지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는, 리모트컨트롤러(10)와 리모콘수신부(20)와 키감지부(30)와 제어부(40)와 경보발생부(50)와 이벤트기록부(60)와 통신부(70)와 정보통신망(80) 및 통합 메시징 서버(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모트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10)는 이용자가 버튼을 조작함에 응답하여 그 조작에 상응하는 코드를 무선신호로서 송신하는 것으로, 예컨대, 무선신호로는 적외선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수신부(20)는 리모트컨트롤러(1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유선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0)로 입력한다.
상기 키감지부(30)는 도어의 자물쇠(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 자물쇠의 내부로 물체가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구멍 내에 삽입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현재까지 개발된 어떤 형태의 센서도 이용이 가능하며, 예컨대, 근접센서, 초음파센서, 접촉센서, 적외선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중 적외선센서를 채용한 적외선감지형 키감지부(30)의 회로구성에 대한 일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외선감지형 키감지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에 설치된 자물쇠의 내부에 열쇠(K)가 삽입되는 열쇠구멍(KH)을 사이로 하여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적외발광 다이오드(D) 및 적외선 감응형 포토트랜지스터(PT)와, 상기 적외발광 다이오드(D)의 일단 및 상기 포토트랜지스터(PT)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보호용 저항(R1, R2)과, 상기 포토트랜지스터(PT)의 이미터와 컬렉터 단 중 어느 일단에 보호용 저항(R3)를 매개로 그 베이스단이 연결되는 트랜지스터(T)와, 상기 트랜지스터(T)의 이미터와 컬렉터 단 중 어느 일단에 연결되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신호입력단자(C)와, 상기 적외발광 다이오드(D)의 일단 및 상기 포토트랜지스터(PT)의 일단으로 직류전압(Vcc+)을 인가하는 직류전원 및, 상기 적외발광 다이오드의 타단 및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타단에 연결된 접지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40)는 리모콘 수신부(20)로 미리 설정된 코드의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키감지부(30)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경보발생 내역을 기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함과 더불어 기억부(41)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기억부(41)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고문구의 비상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발생부(50)는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경보를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보발생부(50)는 사람이 비상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라면, 현재까지 개발된 어떤장치도 이용이 가능하며, 예컨대,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기 또는 경고등을 점멸하는 경고등점멸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보발생부(50)는 복수개 일 수 있으며, 복수개 중 하나는 도어에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경비실이나 경찰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기록부(60)는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발생내역을 기록하는 것으로, 이러한 이벤트기록부로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라면, 현재까지 개발된 어떤 형태의 장치도 이용이 가능하며, 예컨대, 자기디스크타입의 데이터저장장치, 반도체 메모리 소자, 소형 인쇄출력장치, 소형 디스플레이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70)는 제어부(7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70)로부터 출력된 전화번호와 비상메시지의 데이터를 정보통신망(80)을 통해 전송이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정보통신망(80)을 매개로 통합 메시징 서버(9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부(70)는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정보통신망(8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것이라면, 현재까지 개발된 어떤 형태의 통신장치도 이용이 가능하며, 예컨대, 이더넷카드(Ethernet Card)와 라우터(Route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통신망(80)은 통신부(7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원거리의 통합 메시징 서버(90)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라면, 현재까지 개발된 어떤 것도 이용이 가능하며, 예컨대, 상기 정보통신망(80)으로는 인터넷(Internet)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통합 메시징 서버(Unifying Massage server; 90, 이하, "UMS"라 약칭함)는 통신부(70)부로부터 정보통신망(80)을 매개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전화번호와 비상메시지를 인식하여 인식된 전화번호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비상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초기상태에서 제어부(40)는 리모콘수신부(20)와 키감지부(30)로부터의 신호입력에 대기하고(S10), 미리 설정된 코드의 리모트컨트롤러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0).
상기 스텝(S20)에서의 판단결과 미리 설정된 코드의 리모트컨트롤러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는 키감지부(30)로부터 키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30).
여기서, 키감지부(3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구성으로 이루어진 키감지부로 가정하고, 이에 대한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물쇠의 열쇠구멍(KH)에 열쇠(K) 등의 물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적외발광 다이오드(D)로부터 발생된 적외선이 적외발광 다이오드(D)와 대향된 위치에 설치된 적외선 감응형 포토트랜지스터(PT)의 게이트로 복사되므로, 포토트랜지스터(PT)가 턴온된다.
포토트랜지스터(PT)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T)의 베이스단 전위가 로우레벨이 됨에 따라 트랜지스터(T)가 턴오프되어, 신호입력단자(C)를 통해 제어부(40)로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며, 제어부(40)는 신호입력단자(C)를 통해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키감지부(30)로부터 키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자물쇠의 열쇠구멍(KH)으로 열쇠(K)나 여타의 물체가 삽입되면, 적외발광 다이오드(D)로부터 발생된 적외선이 열쇠구멍(KH)으로 삽입된 물체에 가로막혀 포토트랜지스터(PT)의 게이트로는 적외선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포토트랜지스터(PT)가 턴오프된다.
포토트랜지스터(PT)가 턴오프되면 트랜지스터(T)의 베이스단 전위가 하이레벨이 됨에 따라 트랜지스터(T)가 턴온되어, 신호입력단자(C)를 통해 제어부(40)로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며, 제어부(40)는 신호입력단자(C)를 통해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키감지부(30)로부터 키감지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스텝(S30)에서의 판단결과 키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40)는 상기 스텝(S10)으로 되돌아간다.
만약, 상기 스텝(S30)에서의 판단결과 키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40)는 침입자가 자물쇠를 열고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침입 발생 사실에 대한 내역(예컨대, 키감지신호가 입력된 시간)을 이벤트 기록부(60)에 기록하기 시작하며 이후 경보 발생과 비상메시지를 전송한 내역 등을 기록한다(S40).
이와 동시에, 제어부(40)는 경보 발생부(50)로 경보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며(S40), 기억부(41)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비상메시지를 읽어들여 이를 통신부(70)로 인가한다(S50).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 발생부(50)는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경고등을 점멸하는 등의 경보를 발생하며, 통신부(70)는 제어부(40)로부터 인가된 전화번호와 비상메시지를 정보통신망(80)을 매개로 UMS(90)로 전송한다.
UMS(90)는 통신부(70)로부터 정보통신망(80)을 매개로 전송되어온 전화번호 및 비상메시지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매개하여 상기 전화번호로 상기 비상메시지를 송신한다.
다음, 제어부(40)는 리모콘 수신부(20)로부터 미리 설정된 코드의 리모트컨트롤러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여(S70), 판단결과 미리 설정된 코드의 리모트컨트롤러 신호가 수신되면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출력을 중단함과 더불어(S80), 이벤트 기록부(60)에 대한 침입사실과 경보발생 내역 등의 이벤트 기록을 중단한다(S90).
여기서, 경보를 해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코드는, 기억부(41)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이용자 고유의 식별코드 이외에 경보 해제를 위해 설정된 기능코드가 포함된 것(식별코드+경보해제용 기능코드)일 수 있다.
즉, 이용자는 경보가 발생된 경우 이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 자신이 소지한 리모트컨트롤러(10)의 경보해제 버튼을 누름으로써, 경보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용자가 자신이 자물쇠를 열고 도어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리모트컨트롤러(10)의 버튼을 눌러 자신의 식별코드를 제어부(40)로 입력하여야 한다.
즉, 이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10)의 버튼을 누르면 이용자의 식별코드가 리모트컨트롤러(10)로부터 무선신호의 형태로 송신되어 리모콘수신부(20)로 수신되며, 상기 스텝(S20)에서 제어부(40)는 미리 설정된 코드의 리모트컨트롤러 신호가 입력된 것을 확인하게 된다.
미리 설정된 코드의 리모트컨트롤러 신호가 입력된 것을 확인한 제어부(40)는 시간을 계수하는데(S100), 시간을 계수하는 동안에는 제어부(40)가 키감지부(30)로부터 키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체크하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는 자신의 열쇠(K)를 자물쇠의 열쇠구멍(KH)에 끼워 넣어 자물쇠를 열고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때 경보는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 제어부(40)는 현재까지 계수된 시간을 기억부(41)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시간과 비교하여(S110), 현재까지 계수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스텝(S100)으로 되돌아가 계속 시간을 계수한다.
만약, 상기 스텝(S110)에서의 비교결과 현재까지 계수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제어부(40)는 상기한 스텝(S30)으로 진행하여 키감지부(30)로부터 키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체크한다.
즉, 이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10)의 버튼을 누른 다음 이용자가 자물쇠를 열고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경보발생을 설정시간동안 하지 않는 것으로, 상기한 설정시간은 이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10)의 버튼을 조작함에 의해 자유로이 설정 가능하다.
예컨대, 이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10)의 설정시간 변경 버튼을 누르면, 리모트컨트롤러(10)로부터 이용자 고유의 식별코드와 설정시간 변경용 기능코드가 무선신호로 송신되어 이를 리모콘수신부(20)로부터 수신한 제어부(40)가 설정시간 변경모드로 전환하며, 이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10)의 숫자버튼을 눌러 소망하는 설정시간을 입력하면 제어부(40)는 이용자가 입력한 설정시간을 기억부(41)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해 이용자 고유의 식별코드를 수신받아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가 식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물쇠의 열쇠구멍 내로 열쇠 등의 물체가 삽입되면 이를 침입자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리모트컨트롤러만으로 이용자를 식별하여 침입자에 의한 자물쇠 및 도어의 개방을 감지 및 경보할 수 있는 바, 그 구성이 단순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이용 및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또, 일반적인 가정에 쉽게 도입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이용자가 버튼을 조작함에 응답하여 그 조작에 상응하는 코드를 무선신호로서 송신하는 리모트컨트롤러와,
    상기 리모트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받는 리모콘 수신부와,
    도어의 자물쇠에 설치되어 자물쇠의 내부로 물체가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키감지부와,
    상기 리모콘 수신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코드의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키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감지부는, 상기 자물쇠의 내부에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구멍을 사이로 하여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적외선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적외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감지부는, 상기 자물쇠의 내부에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구멍을 사이로 하여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적외발광 다이오드 및 적외선 감응형 포토트랜지스터와, 상기 적외발광 다이오드의 일단 및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일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보호용 저항과,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컬렉터 단 중 어느 일단에 그 베이스단이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컬렉터 단 중 어느 일단에 연결되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신호입력단자와, 상기 적외발광 다이오드의 일단 및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일단으로 직류전압을 인가하는 직류전원 및, 상기 적외발광 다이오드의 타단 및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타단에 연결된 접지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의 무선신호가 수신된 다음 상기 키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경보를 발생하지 않으나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키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보 발생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 발생 내역을 포함하는 이벤트내역을 기록하는 이벤트 기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수신 전화번호와 비상상황을 경고하는 문구의 문자메시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통신망으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정보통신망을 매개로 수신되는 수신 전화번호로 이동통신망을 매개하여 상기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통합메시징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7. 미리 설정된 코드의 리모트컨트롤러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는 스텝과,
    키감지부를 통해 도어에 설치된 자물쇠의 열쇠구멍으로 물체가 삽입되는지를 감지하는 하는 스텝과,
    리모트컨트롤러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물쇠의 열쇠구멍으로 물체가 삽입되는 것이 감지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침입 경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코드의 리모트컨트롤러 신호가 수신된 다음 자물쇠의 열쇠구멍으로 물체가 삽입되는 것이 감지되면 경보를 발생하지 않으나, 리모트컨트롤러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자물쇠의 열쇠수멍으로 물체가 삽입되는 것이 감지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침입 경보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경보 발생시 경보 발생내역을 기록하는 이벤트기록스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침입 경보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경보 발생시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통합메시징서버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미리 설정된 경고문구의 비상메시지를 송출하는 비상메시지송출스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침입 경보방법.
KR1020020011322A 2002-03-04 2002-03-04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및 방법 KR20030072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322A KR20030072462A (ko) 2002-03-04 2002-03-04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322A KR20030072462A (ko) 2002-03-04 2002-03-04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462A true KR20030072462A (ko) 2003-09-15

Family

ID=3222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322A KR20030072462A (ko) 2002-03-04 2002-03-04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24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317B1 (ko) * 2020-06-01 2021-12-01 주식회사 세펙트 위험구역 진입시 작업자의 키 소지 유도형 키 감지 기능과 음성 스피커를 결합한 트랜스폰더 인터락 락아웃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327A (ja) * 1993-08-25 1995-03-07 Tokai Rika Co Ltd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19980049933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환 도난 방지 시스템
JP2001338357A (ja) * 2000-01-26 2001-12-07 Kazuo Kono 防犯装置
JP2002121940A (ja) * 2000-10-16 2002-04-26 Takaaki Shimado 錠監視装置
JP2003044947A (ja) * 2001-07-26 2003-02-14 Mikio Watanabe 防犯装置
JP2003217037A (ja) * 2002-01-18 2003-07-31 Dx Antenna Co Ltd 警報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327A (ja) * 1993-08-25 1995-03-07 Tokai Rika Co Ltd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19980049933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환 도난 방지 시스템
JP2001338357A (ja) * 2000-01-26 2001-12-07 Kazuo Kono 防犯装置
JP2002121940A (ja) * 2000-10-16 2002-04-26 Takaaki Shimado 錠監視装置
JP2003044947A (ja) * 2001-07-26 2003-02-14 Mikio Watanabe 防犯装置
JP2003217037A (ja) * 2002-01-18 2003-07-31 Dx Antenna Co Ltd 警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317B1 (ko) * 2020-06-01 2021-12-01 주식회사 세펙트 위험구역 진입시 작업자의 키 소지 유도형 키 감지 기능과 음성 스피커를 결합한 트랜스폰더 인터락 락아웃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6595B2 (en) Temporary security bypass method and apparatus
US10134265B2 (en) Portable alarm system with self-monitoring sensor
US10706703B1 (en) Service entrance alarm system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78594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activated RFID system
US8400276B2 (en) Monitor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main control device thereof, and method and program for registering terminal device
US72626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events
US20070289012A1 (en) Remotely controllable security system
WO2002035479A1 (en) Door access control and key management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WO2004109618A1 (ja) 機械警備システム、制御装置、リモート報知器、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10297141B2 (en) Security system automatic bypass reset
TWM527479U (zh) 智能化門禁系統
US20130155242A1 (en) Stand-Alone, Portable Video Alarm System
KR20030072462A (ko) 도어의 침입 경보장치 및 방법
CN108989445A (zh) 基于车联网的生物安全防护方法及车联网系统
CA2256809C (en) Biometric input device for security system
KR20160107577A (ko)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JP2010527091A (ja)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保安サービス提供方法
TWI599991B (zh)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US202301952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hardware token reader
CN212256501U (zh) 一种可以支持级联的无线声光报警器
KR20030080504A (ko) 침입 알림 기능을 가지는 도어 잠금 장치 및 그 방법
JP3215514B2 (ja) カード式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KR200254696Y1 (ko) 공동주택용 방범시스템
KR200298214Y1 (ko) 침입증거 기록장치
JP3388027B2 (ja) 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