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507A - 토수구 자동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토수구 자동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507A
KR20030070507A KR1020020011436A KR20020011436A KR20030070507A KR 20030070507 A KR20030070507 A KR 20030070507A KR 1020020011436 A KR1020020011436 A KR 1020020011436A KR 20020011436 A KR20020011436 A KR 20020011436A KR 20030070507 A KR20030070507 A KR 20030070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hole
opening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수 filed Critical 박연수
Priority to KR102002001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0507A/ko
Publication of KR20030070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50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꼭지의 토수구가 자동 폐쇄로 사용이 간편하고, 많이 절수하는『토수구의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주요 구성은 『배수관(17)이 형성된 연결관(19)을 목돌림관(21)의 배출구 쪽에 끼우고, 목돌림관(21)의 측면구멍(33)과 배수관(17)의 구멍에 결합관(20)을 결합하며, 밸브집(1)의 환경턱(2)의 상면에 패킹(3)을 놓고 밸브(4)의 자루(5)를 그 위에서 집어넣은 다음 밸브집(1)의 암나사를 배수관(17)에 결합하고, 수직요홈(13)과 수평요홈(18) 및 다수의 배수공(15)이 천공된 토수관(14)내벽의 연결관(10)에 주름관(11)을 장착한 다음 밸브집(1)의 연결관(16)에 토수관(14)의 상단을 결합하고 피복손잡이(8)의 레버(7) 상단(9)을 수직요홈(13)과 연결관(10) 및 주름관(11)을 통해 자루(5)이 구멍(6)에 결합하며, 대너트(32)를 끼운 목돌림관(21)의 수직관(23)에 채결링(22)과 연질관(24)을 끼우고 대너트(32)를 개폐관(31)에 결합하며, 수직관(23)상단에 호를 이루는 배수공(26)이 천공된 세라믹마개(25)의 연마면이 위를 향하도록 장착하고, 다각형인 세라믹마개(27)의 연마면이 세라믹마개(25)의 연마면에 접하면서 세라믹마개(25)가 회전할 때 배수공(26)에 포개질 배수공(28)이 천공된 세라믹마개(27)를 개폐관(31)에 장착하고 그 상면을 스프링(30)으로 탄지한 다음 결합링(29)으로 고정시켜서 자동 폐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수구 자동 개폐 장치.』로서 많은 절수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수구 자동 개폐 장치{omitted}
본 발명은 수도꼭지의 토수구가 자동 폐쇄되게 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많은 물을 절약하며, 이를 장착하는 수도꼭지의 내구성을 높이는 토수구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토수구의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도꼭지의 토수구가 자동 폐쇄되게 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많은 물을 절약하며, 이를 장착하는 수도꼭지의 내구성을 높이는 토수구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토수구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도꼭지 토수구는 그 자체에 개폐기능이 없었으며, 이를 장착하는 수도꼭지의 핸들을 조작하면서 개폐해야 하는 불편과 함께 수도꼭지의 핸들을 닫지 않으면 불필요한 물이 계속 나오기 때문에 많은 물이 낭비되었고, 목돌림관을 앞으로 끌어당긴 다음 핸들을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은 물론, 사용할 때마다 조작하기 때문에 그 고장의 원인이 되는 등의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많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 수도꼭지의 목돌림관을 본 발명의 목돌림관으로 교체한 다음 핸들 조작 없이 본 발명의 목돌림관을 앞으로 끌어당기면 물이 나오고, 뒤로 밀어주면 물이 멎게 함으로써 사용할 때마다 핸들을 여닫는 불편을 없이 하였으며, 이로 인해 기존 수도꼭지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하였고, 토수구의 레버를 손이나 그릇으로 밀어주면 물이 나오고, 손이나 그릇을 치우면 자동으로 닫히면서 물이 즉시 멎기 때문에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토수구의 레버를 손이나 그릇으로 밀어줄 때 좌전방(左前方)으로 밀어준 다음 손이나 그릇을 치워도 물이 계속 나오게 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게 한 것인데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가)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제2도(가)는 본 발명의 요부 종단명도 및 작용원리도
제2도(나)는 본 발명의 전체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제2도(다)는 본 발명 세라믹개폐부 평면도 및 작용원리도
제1도(가) 및 제2도(가)(나)(다)(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관(17)이 형성된 연결관(19)을 목돌림관(21)의 배출구 쪽에 끼우고, 목돌림관(21)의 측면구멍(33)과 배수관(17)의 구멍이 일치하게 한 다음에 배수관(17)의 구멍과 측면구멍(22)에 결합관(20)을 결합하여 배수관(17)이 하향하도록 고정시킨 다음 밸브집(1)의 환경턱(2)상면에 패킹(3)을 놓고 그 위에서 밸브(4)의 자루(5)를 집어넣은 다음 이 밸브집(1)의 암나사를 배수관(17)에 완전 결합한다.
수직요홈(13)과 수평요홈(18) 및 다수의 배수공(15)이 천공하고 그 내벽에연결관(10)이 형성된 토수관(14)의 상단을 밸브집(1)의 하단 연결관(16)에 결합하였을 때 토수관(14)의 수직요홈(13)이 목돌림관(21)의 수직관(23)을 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밸브집(1)이나 토수관(14)을 결합하였을 때의 수직요홈(13)이 수직관(23)을 향하도록 방향이 결정된 다음에 밸브집(1)과 토수관(14)을 분리시킨다.
그 다음 연결관(10)에 강인한 연질 주름관(11)을 상착하고 밸브집(1)과 토수관(14)을 결합한 다음에 피복손잡이(8)가 피복된 레버(7)의 상단(9)을 수직요홈(13)과 연결관(10) 및 주름관(11)을 통해 자루(5)의 구멍(6)에 결합하여 해체되지 않게 한 다음 밸브집(1)의 암나사를 배수관(17)에 완전 결합하고, 피복손잡이(8)를 목돌림관(21)의 수직관(23) 쪽으로 밀어주었을 때 밸브(4)가 열리도록 구성한다.
대너트(32)를 끼운 목돌림관(21)의 수직관(23) 요홈에 중간이 끊어진 체결링(22)과 연질관(24)을 끼우고, 대너트(32)를 개폐관(31)에 결합하며, 수직관(23) 상단에 호를 이루는 배수공(26)이 천공된 세라믹마개(25)의 연마면이 위를 향하도록 끼워서 수직관(23)과 세라믹마개(25)가 분리되거나 겉돌지 않게 한다.
그 다음 외곽이 다각형인 세라믹마개(27)의 연마면이 세라믹마개(25)의 연마면에 접하게 하고, 세라믹마개(25)가 회전할 때 배수공(26)에 포개질 배수공(28)을 세라믹마개(27)에 천공한 세라믹마개(27)를 개폐관(31)의 집어넣었을 때 상하로는 이동되지만 회전하지 않도록 개폐관(31)의 내부공간이 세라믹마개(27)의 외곽과 같은 모양으로 된 개폐관(31)의 내부공간에 세라믹마개(27)를 장착하고 그 상면을 스프링(30)으로 탄지한 다음 결합링(29)을 고정시킨다.
개폐관(31)을 기존 구도꼭지에 연결한 나사나 구멍을 개폐관(31)상단에 만들고 나사로 결합이 불가능할 경우 구멍을 통해 볼트(34)로 기준 수도꼭지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동원리는 기존 수도꼭지의 핸들을 조작하여 물이 나오도록 한 다음에 제1도(가) 및 제2도(가)(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관(19)을표 방향으로 돌리면서 토수관(14)을 앞으로 끌어당기면 세라믹마개(25)의 배수공(26)이 세라믹마개(27)의 배수공(28)에 연결되면서 물이 나오도록 되지만 밸브(4)가 닫혀있기 때문에 물이 더 이상 나올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손이 그릇을 이용하여 피복손잡이(8)를
표 방향으로 밀어주면 주름관(11)이 수축하면서 자루(5)가 변위되며 밸브(4)가 열리기 때문에 물이 나온다.
필요한 물을 다 받은 다음 손이나 그릇을 치우면 중력과 수압에 의하여 작동하였던 모든 부품이 원성 복귀되면서 밸브(4)가 닫히므로 물이 즉시 멎기 때문에 불필요한 물의 나오지 못하므로 많은 물이 절약된다.
피복손잡이(8)를표 방향으로 밀어 줄 때 좌측으로 밀어주면 레버(7)가 수평요홈(18)으로 밀리면서 주름관(11)이 수축되고 밸브(4)가 열리기 때문에 물이 나오지만 손이나 그릇을 치워도 레버(7)가 수평요홈(18)에 들어가 있으므로밸브(4)가 닫히지 않고 물이 계속 나온다.
필요한 물을 다 받은 다음 손으로 피복손잡이(8)의 좌측을 우축으로 밀어주면 레버(7)가 수평요홈(18)에서 해탈되면서 중력과 수압에 의하여 작동하였던 모든 부품이 원성 복귀되면서 밸브(4)가 닫히므로 물이 멎게 된다.
연결관(19)을표의 반대방향으로 돌리면서 토수관(14)을 뒤로 밀어주면 목돌림관(21)의 수직관(23)에 장착된 세라믹마개(25)의 배구공(26)이 세라믹마개(27)의 배수공(28)에서 분리되며 물이 멎는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사용할 때마다 수도꼭지 핸들을 조작하는 불편이 없으며, 물이 불필요하면 자동으로 멎기 때문에 많은 물이 절약되고, 필요에 따라 물이 계속 나오게도 하고, 순간적으로 나오게 되므로 유용한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수관(17)이 형성된 연결관(19)을 목돌림관(21)의 배출구 쪽에 끼우고, 목돌림관(21)의 측면구멍(33)과 배수관(17)의 구멍에 결합관(20)을 결합하며, 밸브집(1)의 환경턱(2)의 상면에 패킹(3)을 놓고 밸브(4)의 자루(5)를 그 위에서 집어넣은 다음 밸브집(1)의 암나사를 배수관(17)에 결합하고, 수직요홈(13)과 수평요홈(18) 및 다수의 배수공(15)이 천공된 토수관(14)내벽의 연결관(10)에 주름관(11)을 장착한 다음 밸브집(1)의 열결관(16)에 토수관(14)의 상단을 결합하고 피복손잡이(8)의 레버(7) 상단(9)을 수직요홈(13)과 연결관(10) 및 주름관(11)을 통해 자루(5)의 구멍(6)에 결합하며, 대너트(32)를 끼운 목돌림관(21)의 수직관(23)에 체결링(22)과 연질관(24)을 끼우고 대너트(32)를 개폐관(31)에 결합하며, 수직관(23)상단에 호를 이루는 배수공(26)이 천공된 세라믹마개(25)의 연마면이 위를 향하도록 장착하고, 다각형인 세라믹마개(27)의 연마면이 세라믹마개(25)의 연마면에 접하면서 세라믹마개(25)가 회전할 때 배수공(26)에 포개질 배수공(28)이 천공된 세라막마개(27)를 개폐관(31)에 장착하고 그 상면을 스프링(30)으로 탄지한 다음 결합링(29)으로 고정시키며, 개폐관(31)의 상단에 나사나 볼트(34)를 결합할 구멍을 천공한 자동 폐쇄를 특징으로 하는 토수구 자동 개폐 장치.
KR1020020011436A 2002-02-25 2002-02-25 토수구 자동 개폐 장치 KR20030070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436A KR20030070507A (ko) 2002-02-25 2002-02-25 토수구 자동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436A KR20030070507A (ko) 2002-02-25 2002-02-25 토수구 자동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507A true KR20030070507A (ko) 2003-08-30

Family

ID=3222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436A KR20030070507A (ko) 2002-02-25 2002-02-25 토수구 자동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05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477A (ko) * 2002-08-04 2004-02-14 박연수 자동샤워헤드 제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477A (ko) * 2002-08-04 2004-02-14 박연수 자동샤워헤드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00005A1 (en) Toilet overflow prevention system
KR20030070507A (ko) 토수구 자동 개폐 장치
KR100232376B1 (ko) 자동 개폐되는 다용도 수도전
US6912741B1 (en) Parabola type aqueduct
JP4916196B2 (ja) 水栓柱
KR20050039762A (ko) 사용이 간편한 자동 코브라
KR20010077633A (ko) 다기능 수도꼭지
KR100825412B1 (ko) 절수식급수밸브
US20180347163A1 (en) Water-aided Plunger Assembly
KR20050039795A (ko) 자동 목돌림관
KR100475248B1 (ko) 유체를 차단하는 밸브의 응용 방법
KR20040013477A (ko) 자동샤워헤드 제작 방법
KR200191217Y1 (ko) 수돗물 사용수를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절수장치
KR950006802Y1 (ko) 다기능 수도꼭지
KR20100101342A (ko) 세면대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100432396B1 (ko) 자동호스의 제작 방법
KR101786005B1 (ko) 터치 개폐식 수전
KR100507923B1 (ko) 소모성 호스를 교체하는 자동호스
KR940001629B1 (ko) 중력(重力)과 수압(水壓)을 이용한 절수용 자동 수도전
WO2023192641A1 (en) Plumbing fixture boost system
KR200335800Y1 (ko) 보조구멍을 가지는 변기
KR200210863Y1 (ko) 공중화장실용 보조 급수전
KR200257939Y1 (ko) 세면대용 급수관의 분기구조
US20040200514A1 (en) Flushing system for a clogged d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