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320A - 접촉불량에 대한 과열방지 안전콘센트 및 안전플러그 - Google Patents

접촉불량에 대한 과열방지 안전콘센트 및 안전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320A
KR20030069320A KR1020020008866A KR20020008866A KR20030069320A KR 20030069320 A KR20030069320 A KR 20030069320A KR 1020020008866 A KR1020020008866 A KR 1020020008866A KR 20020008866 A KR20020008866 A KR 20020008866A KR 20030069320 A KR20030069320 A KR 20030069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ug
case
bimetal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환
김순
Original Assignee
황명환
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환, 김순 filed Critical 황명환
Priority to KR1020020008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9320A/ko
Publication of KR20030069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3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2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 H01H83/2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the other condition being imbalance of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 H01H83/223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the other condition being imbalance of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with bimet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기존의 콘센트 중 플러그부착 노출형 멀티탭 콘센트에는 전기사고방지용으로 바이메탈을 장착하여 과부하(과전류) 상태가 되거나 이상상태가 되었을 때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었으나 이는 전선로 자체의 과전류 발열에 의한 경우만을 체크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외부의 열작용이 있을 경우 즉 콘센트와 플러그사이의 접촉불량이나 코드전선의 부분절단으로 인하여 접촉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거나 콘센트와 플러그 내부의 전선조임나사의 조임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있을 수 있는 화재에 대한 예방조치는 취해지지 못하였다.
이에 콘센트와 플러그에 바이메탈을 장착하여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하고자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명품을 사용하므로서 콘센트와 플러그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즉 현재까지 화재원인을 알 수 없었던 전기화재를 방지하므로서 전기에 의한 화재발생율을 낮추는데 상당한 역할을 할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구 콘센트에 꽃혀 있는 각종 기기의 플러그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해당 기기 명칭이나 전기용품의 명칭을 플러그에 적어 넣을 수 있는 평면 공간을 만들어 놓으며 또한 사용후에 플러그를 뺄 경우 쉽게 뽑을 수 있도록 플러그에 고리를 부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를 도모한다.

Description

접촉불량에 대한 과열방지 안전콘센트 및 안전플러그{Safety consent and plug for protection of overheating in poor contact}
본 발명은 접촉불량 등에 의한 과열로 발생하는 화재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려는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오디오 등 가전기기가 많이 보급되므로 인해 각 가정 및 공장에서는 수없이 많은 콘센트와 플러그가 사용되게 되었다.
이제까지 사용되고 있는 이동용 2구나 3구 콘센트 및 벽면 고정용 콘센트의 경우에는 아무런 안전장치가 없이 제작 판매되고 있으며 이동용 다구 콘센트의 경우에는 전선에 정격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흘러 과부하 상태가 되었을 때 콘센트내에 장착되어있는 과부하(전류) 차단용 바이메탈이 작용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구조였다.
그런데 상기한 과부하(전류)차단장치가 없을 때는 화재 등에 대한 우려가 크고 물론 차단용바이메탈을 장착했다하더라도 이것은 오로지 과부하(전류)나 합선으로 인한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지 전선과 단자사이의 접촉불량이나 콘센트와 플러그사이의 접촉불량에 의한 과열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한 방지효과는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플러그에는 이제까지는 아무런 안전장치조치가 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탈착을 하다보면 도선이 절단되거나 거의 절단된 상태에서 접촉저항이 증가하여 부분적으로 줄열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산업 현장에서는 기계적인 마찰 등으로 플러그 부분의 전선피복이 벗겨져 주위의 도체와 접촉하면 줄열의 발생으로 열축적을 가져오게 된다.
이 경우 줄열이 크게 발생하여 열이 콘센트나 플러그에 축적된다하더라도 과부하로 인한 줄열이 아니므로 기존의 콘센트에 설치되어 있는 과부하 차단용 바이메탈을 작동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리하여 전원은 그대로 살아있게 되므로 계속해서 줄열이 발생한다. 이때 콘센트나 플러그 그 자체와 주위에 가연물이 존재하게 되면 가연물에 열축적을 일으켜 화재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과전류나 합선에 의한 화재발생의 경우는 종래의 과전류 방지용 바이메탈을 그대로 사용하여 방지하며 주위의 온도가 줄열이나 접촉불량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여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경우 콘센트나 플러그에 별도의 온도제한용 바이메탈을 장착하여 전원을 차단하여 주는 시스템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센트 및 플러그는 각종 배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경우 과부하나 합선 또는 접촉불량으로 인해 과열이 발생하여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기존의 과전류 방지용 바이메탈 및 새로 장착되는 열감지 온도제한용 바이메탈을 통해서 전원 공급을 차단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콘센트나 플러그에 있어서는 리셋보턴과 표시램프 및 브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과열에 의해 차단된 경우 표시램프가 점등되며 브저가 울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2, 2-3의 (120)은 플러그를 뺄 때 사용자가 케이블을 잡고 뽑으므로서 케이블의 도선이 절단되거나 또는 단자에 조인 나사가 풀어져 접촉불량이나 일탈되어 안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어 고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플러그를 뽑게한 것이다.
도2-2, 2-3의 (110)은 사용자가 다구 콘센트에 여러 종류의 가전기기를 꽂아 사용하다가 시일이 경과하여 다른 기기로 바꿔 사용코자 할 경우 플러그에 기기명칭을 기입해 놓으므로서 사용중의 다른 기기플러그와 쉽게 구분할 수 있게 함이다.
.
도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로서 바이메탈, 램프, 릴레이, 통신회로 및 브저가 장착된 투시도
도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로서 바이메탈, 램프, 릴레이, 통신회로, 브저 및 고리가 장착되고, 명칭기입부를 확보한 투시도
도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로서 바이메탈, 램프, 릴레이, 통신회로 및 브저가 장착된 사시도
도2-2,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로서 바이메탈, 램프, 릴레이, 통신회로, 브저 및 고리가 장착되고, 명칭기입부를 확보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이메탈 20: 콘센트케이스 30: 케이블 40: 플러그케이스
50: 램프 60: 브저 70: 리셉타클 80: 단자
90: 리셀스위치 100: 조립나사 110: 표기공간 120: 고리
130: 통신(유,무선)회로 140: 릴레이
.
.

Claims (10)

  1. 벽면에 부착하는 콘센트나 이동용 콘센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콘센트내에 기존의 과부하(전류) 방지용 바이메탈과 직열 또는 별도로 과열방지 바이메탈을 장착하고 이상이 발생 시 전원을 차단하고 램프가 점등되며 이를 통보하여주는 브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2. 1의 경우 전원차단으로 과열상태에서 벗어나면 수동으로 전원을 복구도통하는 기능
  3. 1의 경우 전원의 차단으로 과열상태에서 벗어나면 자동으로 전원이 도통하는 기능
  4. 1의 경우 전원의 차단으로 램프가 점등되고 브저가 울릴 경우 유무선 통신으로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장치내장
  5. 기존에 사용하는 플러그에는 없는 안전장치인 바이메탈을 장착하여 이상발생 시 전원을 차단하고 표시램프가 점등되며 이를 통보하여주는 브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플러그
  6. 5의 경우 플러그의 사면과 전선 연결부분에 사용 전기 기기의 명칭을 쓸 수 있는 평면을 확보한 제품
  7. 5의 경우 플러그를 쉽게 뺄 수 있는 고리를 플러그에 부착한 제품
  8. 5의 경우 전원차단으로 과열상태에서 벗어나면 수동으로 전원을 복구도통하는 기능
  9. 5의 경우 전원차단으로 과열상태에서 벗어나면 자동으로 전원이 도통하는 기능
  10. 5의 경우 전원차단으로 램프가 점등하고 브저가 울릴 경우 유무선통신으로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장치내장
KR1020020008866A 2002-02-19 2002-02-19 접촉불량에 대한 과열방지 안전콘센트 및 안전플러그 KR20030069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866A KR20030069320A (ko) 2002-02-19 2002-02-19 접촉불량에 대한 과열방지 안전콘센트 및 안전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866A KR20030069320A (ko) 2002-02-19 2002-02-19 접촉불량에 대한 과열방지 안전콘센트 및 안전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320A true KR20030069320A (ko) 2003-08-27

Family

ID=3222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866A KR20030069320A (ko) 2002-02-19 2002-02-19 접촉불량에 대한 과열방지 안전콘센트 및 안전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93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040B1 (ko) * 2008-10-14 2011-01-04 이기웅 콘센트
KR20210002826A (ko) 2019-07-01 2021-01-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기설비의 정비 작업을 위한 안전 용품 세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7244A (ko) * 1992-01-09 1993-08-30 유환기 전기 플러그와 콘센트의 과열방지용 안전장치
JPH1050409A (ja) * 1995-08-11 1998-02-20 Naomasa Idosaka 導電状態確認シグナル発生器並びに導電状態確認シグナル発生及び安全機能付電気接続具
JPH11233204A (ja) * 1998-02-19 1999-08-27 Hiromichi Omiya 火災防止電源コンセント・電源プラグ
KR20000015841U (ko) * 1999-01-18 2000-08-16 오광수 과열 방지 기구용 플러그
KR20010016541A (ko) * 2000-12-07 2001-03-05 최재승 바이메탈 원리의 과열 전기 차단 플러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7244A (ko) * 1992-01-09 1993-08-30 유환기 전기 플러그와 콘센트의 과열방지용 안전장치
JPH1050409A (ja) * 1995-08-11 1998-02-20 Naomasa Idosaka 導電状態確認シグナル発生器並びに導電状態確認シグナル発生及び安全機能付電気接続具
JPH11233204A (ja) * 1998-02-19 1999-08-27 Hiromichi Omiya 火災防止電源コンセント・電源プラグ
KR20000015841U (ko) * 1999-01-18 2000-08-16 오광수 과열 방지 기구용 플러그
KR20010016541A (ko) * 2000-12-07 2001-03-05 최재승 바이메탈 원리의 과열 전기 차단 플러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040B1 (ko) * 2008-10-14 2011-01-04 이기웅 콘센트
KR20210002826A (ko) 2019-07-01 2021-01-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기설비의 정비 작업을 위한 안전 용품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93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electrically-caused fires in wiring devices
US8605402B2 (en) Heat sensor responsive to electrical overloads
US5930097A (en) Heat responsive power interrupting device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US5600306A (en) Receptacle unit and extension cord
US5590010A (en) Heat responsive power interrupting device
US20170077693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ensing temperature to prevent electrical fires
US6132257A (en)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US201000738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Unsafe Thermal Conditions in Wiring Devices
US20070139842A1 (en) Safety lug suitable for the connection to a current outlet
US8159803B2 (en) Heat actuated interrupter receptacle
US20020043978A1 (en) Outlet heat indicator
AU2006251009A1 (en) Thermal protection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and fittings
KR101452434B1 (ko) 안전 케이블 릴
KR101951364B1 (ko) 화재감지 가능한 온도감응형 전류공급기
WO2006109330A1 (en) Electronic connector protecting method
GB2504967A (en) Electrical supply unit with overheating protection measuring rate of change of temperature
WO2018002577A1 (en) Heat alarm integrated into a mains power plug
WO2015189572A1 (en) Smart cut-out fuse carrier
KR20030069320A (ko) 접촉불량에 대한 과열방지 안전콘센트 및 안전플러그
KR102236763B1 (ko)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EP2867911A2 (en) Protecting electrical distribution equipment against overheating
KR101436309B1 (ko) 케이블 릴의 멀티 콘센트
JP3145521U (ja) 過負荷警告コンセント
KR20030096543A (ko) 전원 플러그
US20020132515A1 (en) Electrical plug with circuit-breaking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