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874A -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874A
KR20030068874A KR1020020008545A KR20020008545A KR20030068874A KR 20030068874 A KR20030068874 A KR 20030068874A KR 1020020008545 A KR1020020008545 A KR 1020020008545A KR 20020008545 A KR20020008545 A KR 20020008545A KR 20030068874 A KR20030068874 A KR 20030068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tea
fixing plate
tea bag
pap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김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환 filed Critical 김정환
Priority to KR1020020008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8874A/ko
Publication of KR20030068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8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내용물이 일체로 구비되어 물만 부으면 차를 음용할 수 있게 하는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컵은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차내용물이 함유된 티백과, 상기 티백을 상기 컵본체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컵본체의 내주면에 쉽게 고정되는 고정판으로 되어, 가공이 완료된 종이컵의 하단면에 차내용물이 함유된 티백을 올려놓고 상기 고정판을 삽입시킴으로써 제조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회용 컵은 차내용물이 일체로 구비되어 물만 부으면 어디서나 간편하게 티백용 차를 음용할 수 있어서, 녹차나 둥글레차, 홍차 등의 티백용 차를 자판기용으로도 판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THROWAWAY CUP WITH TEA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내용물이 일체로 구비되어 물만 부으면 차를 음용할 수 있게 하는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컵은 휴대가 간편하고 값이 저렴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중에서도 종이컵은 뜨거운 차음료를 담을 수 있으므로 자판기나 실생활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종이컵은 물을 담는 기능 이외의 기능은 없으므로, 종래의 종이컵을 이용하여 녹차나 둥글레차, 홍차 등 티백(tea bag)으로 포장된 차를 마실 때에는 종이컵과 별도로 티백을 각기 구매하여 준비해야 하였다.
즉, 종이컵에 뜨거운 물을 부은 후 티백용 차의 겉포장을 뜯고 실이 연결되어 있는 티백을 물에 담궈 충분히 차를 우려내고 마시게 되는데, 이때 티백이 컵에 담겨져 있으면 차를 마시기가 불편하므로 컵에서 티백을 빼내어 버리는 게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종래에 종이컵을 이용하여 티백용 차를 마시기 위해서는 종이컵과 티백을 각각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티백용 차의 겉포장을 뜯는 과정이나 차를 우려낸 티백을 버리는 과정을 거쳐야 했었으므로 이로 인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이유들로 인해 티백으로 포장된 차는 자판기용으로 시판할 수가 없었던 바, 상술한 녹차, 둥글레차, 현미녹차, 홍차, 원두커피 등은 자판기에서 음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96-41641호 "잎차용 종이컵"이 출원된 바 있는데,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96-41641호는 잎차류의 내용물을 컵에 담고 무해성 침출필터로 덮어씌우고, 필터의 하단부를 종이컵의 밑받침 측면외벽부에 접착고정하거나 필터의 하단부를 종이컵 몸통 하단 내부벽 사이에 끼워 접착고정하거나 기계적 압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잎차류를 컵에 넣고 필터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접착제를 사용하므로 차를 마실 때 접착제로 인한 유해성 물질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내용물을 컵에 담고 필터로 덮은 후 필터를 컵의 밑받침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 종이컵의 밑받침 측면외벽부에 접착고정하거나 필터의 하단부를 종이컵 몸통 하단 내부벽 사이에 끼워 접착고정하거나 기계적인 압력을 가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므로 종이컵의 제조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은 전체적인 잎차용 종이컵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안겨줄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녹차를 마실 때 찻잎이 물의 상부에 떠서 마시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용신안등록번호 20-0174271호 "녹차용 종이컵"이 출원된 바 있다.
실용신안등록번호 20-0174271호는 종이컵의 하부에 녹찻잎을 넣고 녹차잎이 물에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판을 설치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차단판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번호 20-0174271호는 차단판을 컵에 고정시키는 별도의 방법을 제시하지 않아 차단판이 컵 내에서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는 구성이 생략되어 있으며, 단지 하방향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상의 컵에 적당한 압력으로 차단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끼워지는 압력으로 차단판이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출원은 차단판과 종이컵이 별도로 구비되어 녹찻잎을 컵에 넣은 후 차단판을 덮고 물을 부어 찻잎이 물에 뜨지 않으면서도 녹차를 음용할 수 있는 것 이외의 효과가 없으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고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요구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회용 컵과 차내용물이 일체로 구비되어 물만 부으면 어디서나 간편하게 티백용 차를 음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해를 가하는 유해성분을 차단할 수 있는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종이컵의 제조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제조공정이 단순한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으로는 제조공정이 단순하므로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소비자들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판에 형성된 구멍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컵본체2 : 구멍
3 : 고정판3a : 플랜지
4 : 티백10 : 컵본체
10a : 삽입홈30 : 고정판
30a : 걸림돌기40 : 티백
50 : 뚜껑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차내용물이 함유된 티백과, 상기 티백을 상기 컵본체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컵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으로 되며,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고정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멍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티백은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종이컵의 원단을 가공하는 원단가공단계와, 상기 가공된 원단을 이용하여 종이컵의 외형을 만드는 종이컵가공단계로 진행되는 종이컵제조방법에 있어서, 가공이 완료된 종이컵의 하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도록 끼워지는 고정판을 만드는 고정판제조단계와, 차내용물이 함유된 티백을 종이컵의 하단면에 올려놓는 티백장착단계와, 상기 종이컵에 고정판을 설치하는 고정판설치단계로 진행되는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제조단계는 고정판의 가장자리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는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며, 상기 종이컵에 상기 고정판을 끼우기 위한 삽입홈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회용 컵은 컵본체(1)와, 상기 컵본체(1) 내부에 위치하며 차내용물이 함유된 티백(4)과, 상기 티백(4)을 상기 컵본체(1)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티백(4)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수단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구멍(2)이 형성되며 상기 컵본체(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판(3)을 제시하였다.
상기 고정판(3)은 가장자리에 하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3a)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랜지(3a)는 컵본체(1) 하부에 상기 티백(4)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되며, 바람직하게는 1.5㎝가 적합하고, 이보다 더 작거나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판(3)의 지름은 컵본체(1)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3a)도 컵본체(1)의 형상에 맞도록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3)이 컵본체(1)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컵본체(1) 내부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회용 컵은 뜨거운 물을 부으면 상기 고정판(3)의 구멍(2)을 통하여 티백(4)에서 차가 우러나게 되므로 간편하게 티백용차를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컵본체(10)와, 상기 컵본체(10) 내부에 위치하며 차내용물이 함유된 티백(40)과, 상기 티백(40)을 상기 컵본체(10)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컵본체(1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판(30)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30)은 가장자리를 두루마리형태로 말아서 소정의 부피를 갖는 걸림돌기(30a)가 형성된 형상이고, 상기 컵본체(10)에는 상기 걸림돌기(30a)가 삽입되어 고정가능한 삽입홈(10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30)의 가장자리 부분을 두루마리형태로 말아서 걸림돌기(30a)를 형성하였으므로 고정판(30)의 가장자리의 강도가 높게 되며,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삽입홈(10a)이 형성된 컵본체(10)에 고정판(30)을 삽입하면 상기 걸림돌기(30a)가 삽입홈(10a)에 끼워지어 고정되므로 상기 고정판(30)이 컵본체(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판(30)에 형성된 구멍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홀이 다수개 형성된 형상{도 4의 (a)}이나 장공형{도 4의 (c)}, 식물모양{도 4의 (e)}, 동물모양{도 4의 (f)} 등 다양하게 하여 디자인의 단순함을 극복하고 종이컵의 심미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티백(4)(40)은 컵본체(1)(10)에 꼭맞는 형상으로 되어 종이컵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존의 흔히 보았던 사각형의 형상이 아닌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컵본체(10)의 상측 개구부에 별도의 뚜껑(50)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50)은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종이컵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뒤집어서 컵의 밑에 놓으면 컵받침으로도 쓸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일회용 컵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이컵의 원단을 가공하는 원단가공단계와, 상기 가공된 원단을 이용하여 종이컵의 외형을 만드는 종이컵가공단계와, 가공이 완료된 종이컵의 하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도록 끼워지는 고정판을 만드는 고정판제조단계와, 차내용물이 함유된 티백을 종이컵의 하단면에 올려놓는 티백장착단계와, 상기 종이컵에 고정판을 설치하는 고정판설치단계로 진행된다.
상기 원단가공단계는 원단에 일측표면(종이컵이 되었을 때 내측면)에 코팅하는 코팅공정과, 종이컵의 용도에 따라 타측표면에 문자나 그림을 인쇄하는 인쇄공정을 포함하여 진행되며, 상기 종이컵가공단계는 가공이 완료된 종이컵을 적정한 형태로 자르는 재단공정, 결합부위를 결합하여 종이컵을 완성하는 조립공정을 포함하여 진행되는 것으로, 상술한 공정은 통상적인 종이컵 제조공정에 해당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공이 완료된 종이컵의 하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도록 끼워지는 고정판을 만드는 고정판제조단계와, 차내용물이 함유된 티백을 종이컵의 하단면에 올려놓는 티백장착단계와, 상기 종이컵에 고정판을 설치하는 고정판설치단계로 진행되는 제조방법을 발명의 요지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제조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플랜지가 형성된 고정판을 만드는 제조공정을 진행하며, 이 경우 상기 고정판설치단계는 상기 고정판을 프레스로 압착시키거나 접착시키는 방법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작하는 경우 상기 고정판제조단계는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어야 하며, 이 경우, 상기 종이컵에 상기 고정판의 걸림돌기를 끼우기 위한 삽입홈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프레스 작업을 하여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삽입홈이 형성된 종이컵에 상기 고정판을 밀어넣으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홈에 끼워지어 상기 고정판이 종이컵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컵은 차내용물이 일체로 구비되어 물만 부으면 어디서나 간편하게 티백용 차를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내용물이 함유된 티백이 일체로 구비된 일회용 컵을 제공함으로써, 녹차나 둥글레차, 홍차 등의 티백용 차를 자판기용으로도 판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차내용물이 함유된 티백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컵본체와 고정판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종이컵의 외관을 향상시키며 미감을 상승시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고급스런 느낌을 주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티백이 컵본체 내에서 유동하지 않게 되며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이고 안정적인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구항 6 내지 9의 발명에 의하면, 제조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제조공정이 단순한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조공정이 단순하므로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소비자들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차내용물이 함유된 티백과,
    상기 티백을 상기 컵본체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컵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컵본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고정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백은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본체의 상측 개구부에 뚜껑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7. 종이컵의 원단을 가공하는 원단가공단계와,
    상기 가공된 원단을 이용하여 종이컵의 외형을 만드는 종이컵가공단계로 진행되는 종이컵제조방법에 있어서,
    가공이 완료된 종이컵의 하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도록 끼워지는 고정판을 만드는 고정판제조단계와,
    차내용물이 함유된 티백을 종이컵의 하단면에 올려놓는 티백장착단계와,
    상기 종이컵에 고정판을 설치하는 고정판설치단계로 진행되는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제조단계는 고정판의 가장자리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에 상기 고정판을 끼우기 위한 삽입홈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제조방법.
KR1020020008545A 2002-02-18 2002-02-18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8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545A KR20030068874A (ko) 2002-02-18 2002-02-18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545A KR20030068874A (ko) 2002-02-18 2002-02-18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763U Division KR200275018Y1 (ko) 2002-02-18 2002-02-18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KR1020040026859A Division KR20040041559A (ko) 2004-04-19 2004-04-19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874A true KR20030068874A (ko) 2003-08-25

Family

ID=3222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545A KR20030068874A (ko) 2002-02-18 2002-02-18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88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0228A1 (en) * 2004-02-24 2005-09-01 Integral Infusion Inc. Steeping device for producing a liquid mix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0228A1 (en) * 2004-02-24 2005-09-01 Integral Infusion Inc. Steeping device for producing a liquid mix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50479A1 (en) Method &amp; device for enhancing aroma from beverage cup
CN109996742A (zh) 原豆咖啡滤袋
AU711276B2 (en) Filter device
KR100757255B1 (ko) 차 우림구
KR200275018Y1 (ko)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KR20030068874A (ko)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1559A (ko)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KR20100094285A (ko) 빨대가 장치된 음료용기
KR200284407Y1 (ko)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KR100397395B1 (ko) 티백이 내장된 일회용 컵
US11013359B2 (en)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KR20220039593A (ko) 커피 드립 백
KR100826212B1 (ko) 농도 조절 기능을 갖는 드립퍼
JP3673944B2 (ja) お茶の淹れ方
CN210063629U (zh) 一种可过滤纸杯
KR100552044B1 (ko) 티백
KR200277075Y1 (ko) 티백이 내재된 종이컵
US20190090682A1 (en) Anti-overflow brewing filter and spiral hanging-ear structure coupled thereto
US8839985B1 (en) Coffee cup plug
KR200426927Y1 (ko) 차 우림구
CN215591550U (zh) 一次性茶杯
KR200434816Y1 (ko) 다기능 세로 주름이 있는 차류 컵
CN208135132U (zh) 一种实用便捷喝茶用环保装置
KR200259885Y1 (ko) 차원료가 내장된 일회용 컵
KR200182044Y1 (ko) 일회용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