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891A - Evaporative and enclosed cooling tower having heat pipe - Google Patents

Evaporative and enclosed cooling tower having heat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891A
KR20030066891A KR1020020006494A KR20020006494A KR20030066891A KR 20030066891 A KR20030066891 A KR 20030066891A KR 1020020006494 A KR1020020006494 A KR 1020020006494A KR 20020006494 A KR20020006494 A KR 20020006494A KR 20030066891 A KR20030066891 A KR 20030066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tower
water
tower body
eject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43725B1 (en
Inventor
정효민
정한식
Original Assignee
정효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효민 filed Critical 정효민
Priority to KR10-2002-0006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725B1/en
Publication of KR2003006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8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725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2001/006Systems comprising cooling towers, e.g. for recooling a cooling med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11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PURPOSE: A hermetic evaporation type cooling tower with a heat pipe is provided to lower temperature of coolant. CONSTITUTION: A cooling tower is for cooling down components of a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includes a hermetic cooling tower main body(20) to which water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flows in; a first steam separator(24) and a second steam separator(32) separating steam particles contained in air containing some of vaporized water and sending water formed thereby to the cooling tower main body; a plurality of heat pipes(HP) installed in the cooling tower main body to allow one ends to protrude from the cooling tower main body; an ejector(34) suck in air passing the first steam separator and the second steam separator to allow vacuum; and an ejector pump(36) supplying water in a water supply tank(50) to pass the ejector and to be sent back to the water supply tank. An inside of the cooling tower main body is made vacuous by negative pressure formed by circulation of water in the ejector to allow evaporation in the cooling tower main body.

Description

히트파이프를 구비한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Evaporative and enclosed cooling tower having heat pipe}Evaporative and enclosed cooling tower having heat pipe

본 발명은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을 위한 냉각수의 순환을 밀폐식으로 구성하고, 내부에 히트파이프를 내장시킴으로써 열교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t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ling tower configured to maximiz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constituting the circulation of the cooling water for cooling in a sealed manner, by embedding a heat pipe therein.

대형 공기조화시스템의 경우에는 냉매를 냉각하기 위하여 냉각탑(cooling tower)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기조화시스템에서, 순환하는 냉매를 액상으로 변환시키는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수냉식 냉각탑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탑은 최소한의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가장 경제적으로 폐열을 제거할 수 있는 매체로서, 냉각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냉각수는 순환하는 것에 의하여 재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In the case of a large air conditioning system, a cooling tower is mainly used to cool a refrigerant. Specifically,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 water-cooled cooling tower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in a condenser for converting a circulating refrigerant into a liquid phase may be generally used. Such a cooling tower is a medium capable of removing waste heat most economically using minimal electric energy, and uses cool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is configured to be reused by circulating.

그러나 냉각탑은, 공조시스템의 설비에 비하여, 그다지 중요성에 대한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실제의 경우 냉동장치와 냉각탑의 전력소비율을 살펴보면, 제품의 특성과 운전방식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략 92:8 정도로 냉동기 본체에서 소요되는 동력이 압도적이다.Cooling towers, however, do not draw much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n the actual case, the power consumption ratio of the refrigerating device and the cooling tower is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and the operation method, but the power consumed by the freezer body is approximately 92: 8.

그러나 냉각탑의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는, 전체적인 동력이 차이도 중요하지만, 냉각탑이 정상적인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야기되는 에너지손실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 들어, 공조시스템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의 온도가 1.5℃ 상승하게 되면, 압축기에서 소요되는 전력은 거의 10% 정도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공조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전을 위해서는, 냉각수의 온도도 매우 중요한 것임을알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냉각탑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공조기의 크기 및 용량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대략 37℃ 정도로서, 냉각탑을 통과하여 실내에 설치된 공조기로 유입되는 온도는 약 31~32℃로서, 약 5~6℃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However, in order to save energy in the cooling tower, the difference in overall power is important, but the energy loss caused by the cooling tower's normal performance must be taken into account.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for cooling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increased by 1.5 ° C, the power required by the compressor is increased by about 10%. Therefore,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s also very important. In general,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flowing into the cooling tower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and capacity of the air conditioner, but is approximately 37 ° C., and the temperature flowing into th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the room through the cooling tower is about 31 to 32 ° C. There is a difference of about 6 ° C.

이와 같은 냉각탑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수냉식 응축기에 사용되는 냉각수를 재사용하기 위해서, 냉각수와 공기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냉각수를 재사용 가능한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있다. 냉각탑의 종류는, 향류형(counter flow type)과, 직교류형(cros flow type) 및 양자를 복합한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으로 대별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principle of such a cooling tower, in order to reuse the cooling water used in the water-cooled condenser, the cooling water is cooled to a reusable temperature by contacting the cooling water and air. Types of cooling towers are roughly classified into counter flow types, cross flow types, and hybrid types in which both are combined.

향류형 냉각탑의 구성에 있어서는, 물을 상부의 살포장치에 의하여 살포하고, 공기는 아래로부터 팬에 의하여 유입되면서 상부를 향하여 분사된다. 살수된 물은 충전재 표면을 공기와 향류시켜 낙하하면서 일부의 물을 증발시키고 나머지 물의 온도를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untercurrent cooling tower, water is sprayed by the upper spray device, and air is sprayed toward the upper portion while being introduced by the fan from below. The sprinkled water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vaporate part of the water while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remaining water while flowing down the surface of the filler with air.

그리고 직교류형 냉각탑의 구성에 의하면, 냉각시키고자 하는 물은 상부에 살수되고, 차가운 공기는 측면에서 유입되어, 낙하되는 물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향류형과 같이 일부의 물을 증발시켜 나머지 물의 온도를 내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rossflow cooling tower, the water to be cooled is sprinkl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cool air flows in from the side, and is configur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alling water. As in the countercurrent type described above, some water is evaporated to reduce the temperature of the remaining water.

그리고 하이브리드형의 경우에 있어서는, 열교환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향휴형 및 직교류형 냉각탑의 구조를 조립하여 리드화 함으로써 냉각탑의 효율을 극대화한 것으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형태이다.In the case of the hybrid type, the efficiency of the cooling tower is maximized by assembling and leading the structure of the floating and cross-flow cooling towers used in the heat exchanger,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form.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냉각탑에 있어서는, 냉각수가 외기에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oling tower as described above, various problems are pointed out because the cooling water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air.

외부의 공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냉각수가 냉각되기 때문에, 외기의 영향에 의하여 냉각효율이 크게 좌우되는 단점이 있다.Since the cooling water is cooled by the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oling efficiency greatly depends on the influence of the outside air.

그리고 냉각수의 액적의 분무로 인한 레지오넬라균(legionella disease)의 발생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에는 별도의 약품을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균에 의한 위생상의 문제도 있거니와, 별도의 약품투입이라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occurrence of legionella disease due to the spraying of the droplets of the cooling water is needed, a separate medicine is currently being introduced. There is also a hygiene problem caused by such bacteria, there is a cumbersome disadvantage of separate drug input.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장치에 의하면, 그 외에도 대형의 팬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전기적 고정과 에너지 소비가 큰 단점이 있음과 동시에, 대형화에 따르는 구조의 복잡성, 또한 옥외에 노출되는 것에 의하여 외부 미관상의 문제점 및 소음의 문제점, 그리고 물의 소비량이 많은 단점 등이 뒤따르는 실정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ist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since a large fan must be us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electrical fixing and energy consumption are large, and in addi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due to the enlargement and exposure to the outdoors, Problems, noise problems, and water consumption drawbacks are accompanied.

본 발명은, 냉각을 위하여 순환하는 냉각수를 밀폐식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히터파이프 및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냉각수를 저온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인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re efficient cooling tower by condensing the cooling water circulated for cooling and lowering the cooling water using a heater pipe and latent heat of evapo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1차수증기분리기의 내부 구성도.Figure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steam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2차수증기분리기의 내부 구성도.Figure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condary steam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에젝터의 내부 구성도.Figure 4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j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 ..... 냉동공조장치14 ..... 순환펌프12 .....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Units 14 ..... Circulation Pumps

20 ..... 냉각탑본체22 ..... 냉각수분배기20 ..... Cooling tower body 22 ..... Cooling water distributor

24 ..... 1차수증기분리기32 ..... 2차수증기분리기24 ..... 1st water vapor separator 32 ..... 2nd water vapor separator

34 ..... 에젝터36 ..... 에젝터펌프34 ..... Ejector 36 ..... Ejector Pump

40 ..... 급수원50 ..... 급수탱크40 ..... water supply source 50 ..... water supply tank

HP ..... 히트파이프HF ..... 핀HP ..... Heat Pipe HF ..... Fin

HS ..... 지지판HS ..... support pl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공조장치의 내부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탑으로; 냉동공조장치의 내부를 순환한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밀폐된 냉각탑본체와; 상기 냉각탑본체 내에서, 증발하는 일부의 물을 포함하는 공기에서 수증기 입자를 분리하여 형성되는 물을 상기 냉각탑본체로 보내는 수증기분리장치와; 일측단부가 상기 냉각탑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냉각탑본체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히트파이프; 상기 수증기분리장치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시키는 에젝터; 그리고 급수탱크에서의 물을 상기 에젝터를 경유하여, 다시 급수탱크로 보내는 공급하기 위한 에젝터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에젝터에서 물의 순환시 걸리는 부압에 의하여, 냉각탑본체 내부에 진공이 걸리면서 증발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oling tower for cooling the internal parts of the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 closed cooling tower body into which water circulated inside the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lows into the inside; In the cooling tower body, a water vapor separation device for sending water to the cooling tower body formed by separating the water vapor particles in the air containing a portion of water to evaporate; A plurality of heat pipes installed in the cooling tower body such that one end portion protrudes out of the cooling tower body; An ejector for sucking and evacuat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team separator; And an ejector pump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water supply tank via the ejector. By the negative pressure applied during the circulation of water in the ejec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vapo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vacuum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oling tower body.

그리고 상기 히트파이프에는 복수개의 열교환 핀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pip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그리고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방사상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냉각탑본체의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지지판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t pipes ar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adially, it is preferably support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 i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cooling tower body.

그리고 냉동공조장치에서 상기 냉각탑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냉각수분배기에 의하여 분사되어 표면적을 최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water introduced into the cooling tower body is sprayed by the cooling water distributor to maximize the surface area.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은, 밀폐식으로 냉각수를 외기와 접촉없이 저온화시킨 다음, 다시 냉동공조장치 측으로 공급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lowering the cooling water without contacting the outside air in a closed manner and then supplying the cooling water back to the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밀폐식 냉각탑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hermetic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공조장치(12)의 내부(예를 들면 응축기) 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하여, 냉각수 순환펌프(14)를 통하여 냉각수를 순환시키고 있다.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oling water is circulated through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pump 14 in order to dissipate heat generated inside the refrigeration air conditioner 12 (for example, a condenser).

상기 냉각수 순환펌프(14)에 의하여 순환되는 물은, 상기 냉동공조장치(12)를 거치면서 그 내부의 열을 방열시키면서 고온화되고, 다시 냉각탑본체(20)의 내부에서 저온화되는 순환과정을 반복하게 된다.The water circulated by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pump 14 is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tion air conditioner 12 while dissipating heat therein, and then repeats the circulation process of lowe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Done.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14)에 의하여 냉각탑본체(2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냉각수분배기(22)에 의하여 스프레이되어, 냉각탑본체(2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분사될 것이다. 이러한 냉각수분배기(22)는, 스프레이장치와 같은 것으로, 냉각시키고자 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수의 전체 표면적을 높이게 되어, 보다 쉬운 증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cooling tower body 20 by the circulation pump 14 is sprayed by the cooling water distributor 22, and will be sprayed entirely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The cooling water distributor 22 is a spray device, which is intended to increase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cooling water by injecting the cooling water to be cooled, thereby enabling easier evaporation.

상기 냉각수분배기(22)에서 분사되는 물의 일부는 증발되는데, 이러한 일부의 물을 증발시키는데 필요한 잠열은, 실질적으로 증발되지 않는 나머지의 물에서 흡수될 것이다. 이 때 물의 증발량은, 물과 공기와의 접촉면적과 접촉시간, 공기와 물의 상대온도 등에 의하여 좌우될 것이다.Some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cooling water distributor 22 is evaporated, and the latent heat required to evaporate this portion of water will be absorbed in the remaining water which is not substantially evaporated. At this time, the amount of evaporation of water will depend on the contact area and contact time between water and air, the relative temperature of air and water, and the like.

이와 같이 일부의 물을 증발시키는데 필요한 잠열은, 실질적으로 상기 냉각탑본체(20)의 내부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증발하지 않는 나머지의 물은 열을 빼앗기는 것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저온화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저온화되는 물은, 다시 냉동공조장치(12)의 내부로 공급되어 응축기 등을 방열시키는 것에 의하여, 냉동공조장치(12)가 효율적으로 운전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latent heat required to evaporate some of the water is substantially absorbed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the remaining water that does not evaporate can be relatively low in temperature by depriving heat. The low temperature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on air conditioner 12 again to dissipate the condenser, so that the refrigeration air conditioner 12 can be efficiently operat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냉각탑본체(2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히트파이프(HP)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HP)의 상단부는 냉각탑본체(20)를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고, 하단부는 냉각탑본체(20)의 내부에 모여있는 냉각수에 담겨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HP)는 열전도성이 아주 높은 재질의 것으로 성형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냉각탑본체(20)의 하단부에 모여있는 냉각수 또는 냉각탑본체(20) 내부의 열이, 냉각탑본체(20)의 상단부를 돌출한 히트파이프(HP)의 상단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eat pipes HP are installed in the cooling tower body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heat pipe HP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cooling tower body 20 protrudes, and the lower end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contained in cooling water gathered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Since the heat pipe HP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very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cooling water collected in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tower body 20 or the heat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is the upper end of the cooling tower body 20. It is possible to dissipate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heat pipe (HP).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본체(20)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같은 증발에 필요한 잠열에 의한 열교환과, 상기 히트파이프(HP)에 의한 열교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냉각탑본체(20) 내부를 가능하면 가장 효율적으로 저온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oling tower main body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 by the latent heat necessary for evapo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heat exchange by the heat pipe (HP) can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the inside of the cooling tower main body 20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is configured to reduce the temperature most efficiently if possible.

그리고 상기 히트파이프(HP)는, 냉각탑본체(2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 때 지지판(HS)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HS)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예를 들면 상기 히트파이프(HP)가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판(HS)을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범위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And the heat pipe (HP) is installed in the cooling tower body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HS).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HS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heat pipe HP is inserted therethrough, the support plate HS may be moved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eans to construct.

상기 히트파이프(HP)의 외측에는, 보다 원활한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핀(HF)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핀(HF)은 열교환을 수행하는 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열교환효율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핀(HF)은,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의 것을 상기 히트파이프(HP)의 외측면에 끼워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On the outer side of the heat pipe HP, a plurality of fins HF are formed to allow more smooth heat exchange. The fin HF is for securing heat exchange efficiency by maximizing an area for performing heat exchange. The fin HF is preferably formed by inserting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into an outer surface of the heat pipe HP, and more preferably configured to be detachable.

그리고 상기 히트파이프(HP)는 복수개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평면도상에서 보았을 경우 방사상으로 복수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히트파이프(HP)의 배치구조 및 갯수 등에 대해서는 어떠한 제한이 있을 수 없고, 냉각탑본체(20) 내부의 열을 외부로 전도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eat pipes HP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when viewed in plan view, a plurality of heat pipes HP may be arranged radially. However,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arrangement structure and the number of the heat pipes HP,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capable of conducting heat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to the outside.

상기 냉각탑본체(2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히트파이프(HP)의 상단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냉각팬(F)을 일측에 설치하여, 방열용 에어플로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order to more efficiently radiate the upper end of the heat pipe (HP)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tower body 20, the cooling fan (F) is installed on one side,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heat radiation air flow It is also preferable to.

다음에, 상기 냉각탑본체(20)의 내부에서 증발되는 물은, 1차수증기분리기 (24)를 경유한 다음 파이프(Pa)를 통하여 배출된다. 1차수증기분리기(24)는, 상기 냉각탑본체(20)의 내부에서 증발하는 물에 포함된 증기성분을 완전히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1차수증기분리기(24)는, 후술하는 에젝터펌프(36)에 의하여, 상기 냉각탑본체(20)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 수분과 물이 함께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Next, the water evaporated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is discharged through the pipe Pa after passing through the primary steam separator 24. The primary steam separator 24 is for completely separating the steam component contained in the water evaporated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That is, the primary steam separator 24, when the vacuum is formed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by the ejector pump 3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imary steam separator 24 to prevent the water and water is transferred together This will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상기 1차수증기분리기(24)의 내부구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차수증기분리기(24)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24a)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24a)은 그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넓히기 위하여, 주름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24a)에는, 복수개의 통기공(24b)이 성형되어 있는데, 이러한 통기공(24b)은,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 내부를 지나는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rimary steam separator 24 is shown in FIG. As shown, a plurality of partitions 24a are provided inside the primary steam separator 24, and the partitions 24a are corrugated in order to sufficiently widen the contact area with the air passing therein. It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form. Moreover, although the some ventilation hole 24b is shape | molded in the said partition 24a, such ventilation hole 24b is comprise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may pass in a zigzag form so that it may not mutually match.

이와 같은 1차수증기분리기(24)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증기입자는, 실질적으로 상기 격벽(24a)에 맺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24a)에 맺힌 수증기는, 지속적인 공기의 순환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의 물방울로 성장한 후,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낙하하는 물방울은, 실질적으로 상기 냉각탑본체(20)의 하단부에 고이게 된다.The water vapor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primary steam separator 24 are substantially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24a. The water vapor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24a grows into water droplets of a constant size by continuous circulation of air, and then falls by its own weight. And the water droplets falling in this way is substantially accumulated in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tower body 20.

그리고 상기 1차수증기분리기(24)를 통과한 공기는, 파이프(Pa)를 통하여 2차수증기분리기(32)로 유입된다. 2차수증기분리기(32)는, 상기 1차수증기분리기와 유사한 원리로, 냉각탑본체(20)에서 배기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증기입자를 포집함으로써, 순수한 공기만을 배기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imary steam separator 24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steam separator 32 through a pipe Pa. The secondary steam separator 32, in a similar principle to the primary steam separator, collects steam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exhausted from the cooling tower body 20 to exhaust only pure air.

도 3에는 2차수증기분리기(32)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2차수증기분리기(3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파이프(Pa)의 하단부를 통하여 나오게 된다. 상기 파이프(Pa)의 하단부를 빠져나온 공기는, 다시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복수개의 격벽(32a)을 거치게 된다. 상기 격벽(32a)에는 복수개의 통기공(32b)이 성형되어 있어서, 공기는 이러한 통기공(32b)을 거치는 동안에,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입자는 상기 격벽(32a)에 맺히게 되고, 일정한 시간의 경과와 함께, 맺힌 수증기는 물방울로 성장하게 된다. 일정한 크기로 성장한 물방울은, 상기 2차수증기분리기(32)의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물은, 파이프(Pc)를 통하여 다시 상기 냉각탑본체(20)의 내부로 공급된다.3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condary steam separator 32. As shown,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ary steam separator 32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pipe (Pa). Air exiting the lower end of the pipe (Pa) is moved to the upper again, at this time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partitions (32a). A plurality of vent holes 32b are formed in the partition 32a, so that air passes through the vent holes 32b, and water vapor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re formed in the partition 32a, With the passage, the condensed water vapor will grow into droplets. The water droplets grown to a certain size fall below the secondary steam separator 32, and the water is supplied into the cooling tower main body 20 again through a pipe Pc.

여기서 상기 2차수증기분리기(32)의 내부 구성의 기본적인 원리는 1차수증기분리기(24)의 것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본적인 원리 내에서, 그 내부의 격벽(32a) 및 통기공(32b)의 구성에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principl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condary steam separator 32 is the same as that of the primary steam separator 24. Therefore, within this basic principle,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artition 32a and the ventilation hole 32b therein.

그리고 상기 격벽(32a)을 통하여 수증기입자가 포집된 후, 공기는 파이프(Pb)를 통하여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파이프(Pb)를 통하여 빠져나가는 공기는 에젝터(34)의 내부로 유입된다.After the water vapor particles are collected through the partition 32a, the air escapes through the pipe Pb. Air exiting through the pipe Pb flows into the injector 34.

도 4를 참조하면서, 에젝터(34)와 에젝터펌프(36)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4,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ejector 34 and the ejector pump 36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탑본체(20)의 내부는 진공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1차수증기분리기(24) 및 2차수증기분리기(32) 등을 통하여 공기를 빼내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에젝터(34) 및 에젝터펌프(36)이다.As described above, the inside of the cooling tower body 20 i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In order to maintain such a vacuum state, it is necessary to extract air through the primary steam separator 24, the secondary steam separator 32, and the like. It is the ejector 34 and the ejector pump 36 that perform this function.

먼저 에젝터펌프(36)는, 급수원(40)과 연결되어 있는 급수탱크(50) 내부의 물을 파이프(Pd)를 통하여 상기 에젝터(34)의 내부로 공급시키는 것에 의하여, 물을 순환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젝터(34)는 파이프(Pd)를 통하여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이렇게 공급되는 물은 에젝터(34)의 오리피스부(34a)를 거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오리피스부(34a)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유속은 빨라지게 되면서, 이와 동시에 압력은 떨어지게 된다.First, the ejector pump 36 circulates water by supplying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5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40 to the inside of the ejector 34 through the pipe Pd. Let's go. As shown in FIG. 4, the ejector 34 is supplied with water through a pipe Pd. The water thus supplied passes through the orifice portion 34a of the injector 34. At this time, since the diameter of the orifice portion 34a is relatively small, the flow rate is substantially faster,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drops. do.

이렇게 상기 오리피스(34a) 부분에서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에젝터(34)의 내부와 연통하는 파이프(Pb)를 통하여, 파이프(Pb) 내부의 공기가 상기오리피스(34a) 부분으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파이프(Pb) 내부의 공기가 에젝터(34)로 유입되게 되면, 실질적으로 파이프(Pa)를 통하여 냉각탑본체(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지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냉각탑본체(20)의 내부의 공기가 빠지게 되어, 진공상태로 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pressure at the portion of the orifice 34a is lowered, the air inside the pipe Pb is introduced into the portion of the orifice 34a through the pipe Pb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ejector 34. . When the air in the pipe (Pb) is introduced into the ejector 34, since the air in the cooling tower body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ipe (Pa) substantially, of the cooling tower body 20 The air inside is released and can be vacuumed.

그리고 도 5에는 도 4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에젝터의 오리피스(34a) 부분에 선회류를 성형할 수 있는 핀(34f)을 성형하면, 보다 양호한 부압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젝터(34)의 확대관의 편심각도는 4°정도가 적당하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As shown in the figure, by forming the pin 34f capable of forming the swirl flow in the orifice 34a portion of the ejector, it will be possible to form a better negative pressure. And the eccentric angle of the enlarged tube of the ejector 34 is about 4 ° is appropriate.

그리고 상기 에젝터(34)의 내부로 빠지는 파이프(Pc)의 공기 및, 파이프(Pd)를 통한 물은, 다시 상기 급수탱크(50)의 내부로 공급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젝터펌프(36)와 에젝터(34) 사이에는 밸브(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밸브(60)는 파이프(Pg)를 통하여 냉각탑본체(2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밸브(60)는, 제어에 의하여 상기 에젝터(34)로 물을 공급할 것인지, 또는 상기 냉각탑본체(20)로 물을 공급할 것인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탑본체(20) 내부의 수위가 낮으면, 수위감지센서(Sa)에 의하여 감지되고, 이러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60)는 상기 급수탱크(50)의 물을 상기 냉각탑본체(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될 것이다. 그리고 급수탱크(50)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면 수위감지센서(Sb)에 의하여 감지되어, 급수원(40)에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밸브(62)가 제어될 것이다.And the air of the pipe (Pc) falling into the inside of the ejector 34, the water through the pipe (Pd), will be supplied back into the water supply tank (50). In addition, a valve 60 is installed between the ejector pump 36 and the ejector 34, and the valve 60 is connected to the cooling tower body 20 through a pipe Pg. The valve 60 may control whether to supply water to the ejector 34 or to supply the cooling tower body 20 by control. Therefore,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is low, it is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Sa),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the valve 60 is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50, the cooling tower body 20 Will be controlled. And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50 is lowe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Sb, the valve 62 will be controlled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40.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탱크(50) 내부에는 복수개의히트파이프(HPa)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히트파이프(HP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탑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급수탱크(5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heat pipes HPa ar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tank 50. The heat pipe HPa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installed in the cooling tower body 20 as described above, and is configured to discharge heat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50 to the outside.

따라서 상술한 히트파이프(HPa)와 동일하게, 지지판(HSa)에 의하여 중간부분이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복수개의 핀(HFa)이 설치되어 보다 원활한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히트파이프(HPa)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급수탱크(50) 내부는 보다 저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Therefore, in the same manner as the heat pipe HPa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te por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HSa, and the plurality of fins HFa are installed to allow more smooth heat exchang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heat pipe (HPa),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tank 50 will be able to maintain a lower temperatur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냉각탑에 있어서, 물이 냉각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In the cooling tow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rinciple that water is cooled is as follows.

상기 냉각탑본체(20)의 내부에서, 냉각수분배기(22)에 의하여 분사되는 물의 일부는 증발하게 되는, 이 때 증발에 필요한 잠열은 냉각탑본체(20)의 내부에서 얻게 된다. 따라서 냉각탑본체(20) 내부에서 분사되어, 그 하부에 고이는 물은 잠열을 빼앗기는 것에 의하여 저온으로 냉각화된다. 그리고 이렇게 냉각된 물은 다시 냉동공조장치(12)의 내부로 공급되어, 응축기의 방열에 사용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각탑본체(2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히트파이프(HP)에 의하여 내부의 열이 외부로 쉽게 방출될 수 있게 되어, 그 내부의 물을 더욱 저온화시킬 수 있게 된다.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a portion of the water injected by the cooling water distributor 22 is evaporated, the latent heat required for evaporation is obtained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Therefore, the water sprayed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and accumulated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cooled to a low temperature by depriving the latent heat. Then, the cool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on air conditioner 12 again, and will be used for heat dissipation of the condenser. In addition, the heat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20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heat pipe (HP), it is possible to further lower the water therein.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수가 밀폐된 폐공간 내에서 순환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cooling water is circulated in the closed closed space. And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hermetic evaporativ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advantages.

먼저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을 위하여 순환하는 냉각수가 외부공기와의 접촉기 없기 때문에, 외기 온도가 높은 하절기에도 냉각수를 충분히 저온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외기의 온도와 관계없이, 충분한 냉각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에 의하여, 상기 냉각탑본체(20)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온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oling water circulated for cooling does not have contact with external air, it is possible to keep the cooling water sufficiently low even in the summer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high. Therefore,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advantage of providing sufficient cooling water.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the hea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inside of the cooling tower body 20 more efficiently.

그리고 냉각수가 외기와 접촉이 없기 때문에, 레지오넬라균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으로도 매우 안전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And since the cooling wa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iltration of Legionella bacteria,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ery safe system hygienically.

또한 외부 전원에 의한 구동은 에젝터펌프 하나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에너지의 효율이 높은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drive by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one ejector pump, it can be implemented as a system with high energy efficiency as a whol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함은 물론이고, 옥내에서도 설치가 가능하여 미관적인 측면 및 소음의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고, 물의 소비량이 적은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relatively simple structure, can be installed indoors, it will bring a very advantageous result in terms of aesthetics and noise, and can be expected to have the advantage of low water consumption.

Claims (9)

냉동공조장치의 내부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For cooling internal parts of the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냉동공조장치의 내부를 순환한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밀폐된 냉각탑본체와;A closed cooling tower body into which water circulated inside the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lows into the inside; 상기 냉각탑본체 내에서, 증발하는 일부의 물을 포함하는 공기에서 수증기 입자를 분리하여 형성되는 물을 상기 냉각탑본체로 보내는 수증기분리장치와;In the cooling tower body, a water vapor separation device for sending water to the cooling tower body formed by separating the water vapor particles in the air containing a portion of water to evaporate; 일측단부가 상기 냉각탑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냉각탑본체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히트파이프;A plurality of heat pipes installed in the cooling tower body such that one end portion protrudes out of the cooling tower body; 상기 수증기분리장치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시키는 에젝터; 그리고An ejector for sucking and evacuat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team separator; And 급수탱크에서의 물을 상기 에젝터를 경유하여, 다시 급수탱크로 보내는 공급하기 위한 에젝터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An ejector pump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water supply tank via the ejector; 상기 에젝터에서 물의 순환시 걸리는 부압에 의하여, 냉각탑본체 내부에 진공이 걸리면서 증발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Sealed evaporative cooling t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vapo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vacuum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oling tower body by the negative pressure applied during the circulation of water in the ej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에는 복수개의 열교환 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The sealed evaporative cooling tow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pip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방사상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냉각탑본체의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지지판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The sealed evaporative cooling tow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pipes ar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adially, and are support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a support plate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oling tower bod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동공조장치에서 상기 냉각탑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냉각수분배기에 의하여 분사되어 표면적을 최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The hermetic evaporative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water flowing into the cooling tower body in the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is sprayed by a cooling water distributor to maximize the surface are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분리기는;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team separator; 냉각탑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1차수증기분리기와;A primary steam separator installed inside the cooling tower body; 상기 1차수증기분리기에서 파이프로 연결되어 냉각탑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2차수증기분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Sealed evaporative cooling tow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ary steam separator connected to the pipe from the primary steam separator is installed outside the cooling tower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분리기는, 복수개의 통기공이 성형된 복수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격벽에 수증기가 착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6. The hermetic evaporative cooling tow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water vapor separat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s in which a plurality of vent holes are formed, and water vapor is formed on the partitio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표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주름진 형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7. The hermetic evaporative cooling tow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in a corrugated form to increase its surface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격벽에 성형되는 통기공은, 서로 어긋나는 형태로 성형되어 있어서, 공기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6. The hermetic evaporative cooling tow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air vent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s are formed in a form that is displaced from each other so that air passes in a zigzag direc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젝터와 에젝터펌프 사이의 파이프에는, 냉각탑본체와 연결될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증발형 냉각탑.The sealed evaporative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ipe between the ejector and the ejector pump is provided with a valv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oling tower body.
KR10-2002-0006494A 2002-02-05 2002-02-05 Evaporative and enclosed cooling tower having heat pipe KR1004437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494A KR100443725B1 (en) 2002-02-05 2002-02-05 Evaporative and enclosed cooling tower having heat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494A KR100443725B1 (en) 2002-02-05 2002-02-05 Evaporative and enclosed cooling tower having heat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891A true KR20030066891A (en) 2003-08-14
KR100443725B1 KR100443725B1 (en) 2004-08-09

Family

ID=3222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494A KR100443725B1 (en) 2002-02-05 2002-02-05 Evaporative and enclosed cooling tower having heat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72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12678C1 (en) * 2015-12-10 2017-03-1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го-Запад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ЮЗГУ) Summer head for cooling tower
RU2720335C1 (en) * 2019-10-04 2020-04-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го-Запад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ЮЗГУ) Header for a fan cooling tow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335B1 (en) * 2016-07-08 2017-07-12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Vacuum type cooling tower without fa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5886A (en) * 1978-12-20 1980-06-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Humidity sensitive type cooling tower
JPS5714177A (en) * 1980-06-27 1982-01-25 Shinko Fuaudoraa Kk Water cooling tower with fresh water recovery device
JPH0725821B2 (en) * 1987-08-03 1995-03-22 チッソ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yolefin
JPH0599447A (en) * 1991-10-04 1993-04-20 Sadajiro Sano Steam discharge room cooling system
KR100375689B1 (en) * 2000-10-09 2003-03-15 정효민 Evaporative and enclosed cooling tow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12678C1 (en) * 2015-12-10 2017-03-1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го-Запад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ЮЗГУ) Summer head for cooling tower
RU2720335C1 (en) * 2019-10-04 2020-04-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го-Запад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ЮЗГУ) Header for a fan cooling t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3725B1 (en) 2004-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5827B2 (en) Multi-stage hybrid evaporative cooling system
TWI422318B (en) Data center module
US72343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porative cooling of a cooling fluid
US20030037905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performing composite heat transfer through change of water two phases (liquid vapor)
CN108224574A (en) A kind of heat pipe heat system with evaporating type condensing
KR100443725B1 (en) Evaporative and enclosed cooling tower having heat pipe
KR100375689B1 (en) Evaporative and enclosed cooling tower
CN218379667U (en) Air conditioner
CN113483506B (en) Evaporation type condenser
KR100526758B1 (en) Hybrid cooling tower
JP2008064426A (en) Condenser and refrigerating machine
KR100896805B1 (en) A thermo hygrostat steam type air conditioner
CN210220737U (en) Cooling tower
CN216048499U (en) Double-cooling composite efficient evaporative condenser
CN215864158U (en) Evaporation type condenser
CN207247430U (en) Task air conditioning
CN210569389U (en) High-efficiency evaporative condenser
CN113587497B (en) Double-cooling composite efficient evaporative condenser
KR20020086191A (en) Cooling system of An water cooling type
CN219713540U (en) Heat exchange assembly and air treatment device
CN215874309U (en) Condenser and steam cooking equipment
CN219776404U (en) Antifreezing square cross flow cooling tower
CN212431444U (en) Refrigeration device
CN217585453U (en) Drainage cooling device
CN112484177B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