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991A - 젓가락 - Google Patents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991A
KR20030063991A KR1020020004383A KR20020004383A KR20030063991A KR 20030063991 A KR20030063991 A KR 20030063991A KR 1020020004383 A KR1020020004383 A KR 1020020004383A KR 20020004383 A KR20020004383 A KR 20020004383A KR 20030063991 A KR20030063991 A KR 20030063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stick
guide
presen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철
Original Assignee
이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철 filed Critical 이성철
Priority to KR102002000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3991A/ko
Publication of KR2003006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9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가락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 또는 외국인도 사용이 용이한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지지바(11)가 구비된 고정스틱(10)과; 상기 지지바(10)의 단부에 리턴스프링(21)이 탄지되어 자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스틱(20)으로 구성되어, 어린이 또는 외국인과 같이 젓가락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이 용이하며, 특히 회전스틱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바와, 조작이 편리하도록 받침패드를 구비함으로써, 젓가락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으면서 사용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젓가락{chopsticks}
본 발명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젓가락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이 용이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젓가락은 두 개의 스틱으로 구성되어 손가락 동작에 의해 음식물을 집을 수가 있다. 그러나, 젓가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익숙해지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며, 특히 어린이나 외국인과 같이 젓가락 사용이 서툰 경우에는 젓가락 사용 중에 음식물을 많이 흘리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어린이나, 외국인과 같이 젓가락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젓가락은 지지바가 구비된 고정스틱과;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 리턴스프링이 탄지되어 자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스틱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제1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제2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스틱11 : 지지바
12 : 가이드바12a : 가이드홈
20 : 회전스틱21 : 리턴스프링
22 : 가이드돌기23 : 받침패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젓가락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제1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제2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제1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는 지지바(11)가 구비된 고정스틱(10)과; 상기 지지바(11)의 단부에 리턴스프링(21)이 탄지되어 자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스틱(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바(11)는 고정스틱(10)과 고정되며, 지지바(11)의 단부는 회전스틱(20)이 자유 회동 가능하도록 나사(23a) 체결되며, 지지바(11)에는 원형 코일 스프링(21)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스틱(10)과 회전스틱(20)을 지지하여 음식물을 집기 위한 젓가락의 단부(10a)(20a)가 통상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음식물을 집기 위한 젓가락의 단부(10a)(20a)는 음식물을 집기 용이하도록 접촉 시에 두 대향면이 서로 면접촉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 지지바(11)의 나사체결부(23a)에는 검지손가락과 면접촉하여 회전스틱(20)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받침패드(23)가 추가로 구성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젓가락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에 각각 고정스틱(10)과, 회전스틱(20)을 파지한 후에 검지손가락을 오므리기만 하면회전스틱(20)이 회전하여 젓가락의 단부(10a)(20a)를 통해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가 있게 된다. 이때, 검지손가락을 약간 벌리게 되면 리턴스프링(21)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스틱(10)과, 회전스틱(20)은 벌어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제2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제1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젓가락에 있어서, 고정스틱(10)과, 회전스틱(20)에 각각 가이드바(12)와, 가이드돌기(22)를 구비하여 회전스틱(20)의 회전 동작을 가이드함으로써, 젓가락의 끝단(10a)(20a)이 어긋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을 집기에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을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스틱(20)에는 가이드돌기(22)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스틱(1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2)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원호 형상의 가이드홈(12a)이 형성된 가이드바(12)가 추가로 구성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지지바(11)의 나사체결부(23a)를 축으로 회전스틱(20)이 회동 시에 회전스틱(20)을 가이드함으로써 젓가락의 끝단(10a)(20a)이 어긋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을 집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젓가락은 나사체결부(23a)와, 고정스틱(10)에 고정된 가이드바(12)의 체결부(13)를 나사식으로 조립 또는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여 세척시에 분해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젓가락의 조작 각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나사체결부(23a)의 위치를 지지바(11)의 일측 끝부분 또는 가운데 부분으로 이동하여 조립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젓가락은 고정스틱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스틱으로 구성됨으로써, 어린이 또는 외국인과 같이 젓가락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이 용이하며, 특히 회전스틱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바와, 조작이 편리하도록 받침패드를 구비함으로써, 젓가락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도 음식물을 흘리지 않으면서 사용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지지바가 구비된 고정스틱과;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 리턴스프링이 탄지되어 자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스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틱에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스틱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원호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바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틱에는 손가락에 면접촉하여 지지되도록 받침패드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KR1020020004383A 2002-01-25 2002-01-25 젓가락 KR20030063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383A KR20030063991A (ko) 2002-01-25 2002-01-25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383A KR20030063991A (ko) 2002-01-25 2002-01-25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991A true KR20030063991A (ko) 2003-07-31

Family

ID=3221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383A KR20030063991A (ko) 2002-01-25 2002-01-25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39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015B1 (ko) * 2006-01-06 2007-03-12 김성훈 젓가락
KR100750418B1 (ko) * 2006-03-08 2007-08-21 선남규 지능형 학습 젓가락
KR100890777B1 (ko) * 2007-10-10 2009-03-31 최완성 교육용 젓가락
KR20210043272A (ko) * 2019-10-11 2021-04-21 신향주 교정용 젓가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8087U (ko) * 1976-06-12 1977-12-20
JPS57194376U (ko) * 1981-03-03 1982-12-09
JPS60109477U (ja) * 1983-12-28 1985-07-25 マスセツト株式会社
US5697659A (en) * 1996-05-13 1997-12-16 Calagui; Juanito Eating utens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8087U (ko) * 1976-06-12 1977-12-20
JPS57194376U (ko) * 1981-03-03 1982-12-09
JPS60109477U (ja) * 1983-12-28 1985-07-25 マスセツト株式会社
US5697659A (en) * 1996-05-13 1997-12-16 Calagui; Juanito Eating utensi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015B1 (ko) * 2006-01-06 2007-03-12 김성훈 젓가락
KR100750418B1 (ko) * 2006-03-08 2007-08-21 선남규 지능형 학습 젓가락
KR100890777B1 (ko) * 2007-10-10 2009-03-31 최완성 교육용 젓가락
KR20210043272A (ko) * 2019-10-11 2021-04-21 신향주 교정용 젓가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25682A1 (en) Foldable device
AU7822500A (en) Holder device for toothbrush, table knives, forks and spoons and the like
KR20030063991A (ko) 젓가락
CA2169420C (en) Chopstick holder
TW347543B (en) Circuit breaker
MXPA03004867A (es) Dispositivo limpiador con porcion limpiadora que comprende superficie adhesiva y superficie de tela limpiadora.
CN111938342B (zh) 一种基于光感控制原理的化妆品收纳装置
EP1702855B8 (en) Container with displaceable handle
KR100693015B1 (ko) 젓가락
CN219089077U (zh) 双面擦洗器
GB2420971B (en) Foldable clothes hanger
JPH0748180Y2 (ja) 片手鍋
KR950001551Y1 (ko) 낚시용 리일의 베일아암반전장치
CN217902392U (zh) 一种多功能键盘手托
KR200225433Y1 (ko) 필기구
GB2338403A (en) A food collecting and dispensing utensil
JP3429710B2 (ja) 手障害者用箸保持具
KR200209652Y1 (ko) 자동으로 악보를 넘기는 악보대
KR200331210Y1 (ko) 마우스 패드
KR940005083Y1 (ko) 악력기
KR950010086Y1 (ko) 휴대용 컴퓨터
KR102035038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KR200276598Y1 (ko) 이미용 가위
KR200143787Y1 (ko) 낚시용 릴의 원터치 핸들장치
KR20240015849A (ko) 사용자 모션 보조형 젓가락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