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985A -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985A
KR20030063985A KR1020020004371A KR20020004371A KR20030063985A KR 20030063985 A KR20030063985 A KR 20030063985A KR 1020020004371 A KR1020020004371 A KR 1020020004371A KR 20020004371 A KR20020004371 A KR 20020004371A KR 20030063985 A KR20030063985 A KR 20030063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quicklime
cement admixture
admixture composition
fly 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9608B1 (ko
Inventor
성길모
Original Assignee
(주)유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테크 filed Critical (주)유성테크
Priority to KR10-2002-0004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608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입도를 갖도록 플라이애쉬, 고로슬러그, 불산무수석고, 가네트 및 생석회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쇄하여 각 조성물에 대응되는 개별적인 계량호퍼에 저장하고, 플라이애쉬, 고로슬러그, 불산무수석고, 가네트 및 생석회를 각각의 계량호퍼로 계량화시켜 각 일정비율에 맞게 교반기에 투입하여 균일한 혼합비를 이룰 수 있으며, 또한 분쇄공정, 계량공정 및 혼합공정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A Composition Of Cement compound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멘트 콘크리트 등에 사용하여 강도 및 다른 특성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조성물들이 일정한 분말도를 갖도록 개별적으로 분쇄하여 저장용기인 각 사일로에 저장한 후, 이를 다시 각 계량호퍼에 투입하여 각 중량%로 계량하고 마지막으로 교반기에서 교반 및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비를 갖는 조성물을 완성할 수 있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혼화재는 고로에서 부산되는 슬래그의 분말도에 따라 고로시멘트원료, 레미콘 혼화재 및 특수시멘트 등에 다양한 용도 사용되고 있는 고로쇄슬래그와, 물분자가 없는 석고로 포틀랜드 시멘트의 응결조절제 및 특수시멘트의 고강도, 팽창용 및 슬래그 시멘트의 자극제로 사용되고 있는 무수석고와, 콘크리트의 피로와 마모 등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밀성 향상을 위하여 콘크리트에 첨가되는 플라이애쉬와, 콘크리트 타설시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확보하기 위해서 물 및 시멘트비를 타설 후에 잉여 수분을 다량 흡착하여 시멘트의 수화작용시 물 및 시멘트비를 낮추고, 팽창하면서 콘크리트 미세 공극의 완전 충진으로 강도를증대시킬 수 있는 불산무수석고 등이 널리 쓰이고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의 분쇄과정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의 분쇄과정을 도시한 간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은 각각의 거친 원재료를 저장용기인 제 1사일(1a)로 및 제 2사일로(1b)에 각각 저장시킨후 이를 다시 교반기에 투입하여 상기 분쇄기(3)의 내재된 분쇄스크류(3a)의 회전에 의해서 분쇄공정 및 교반공정을 동시에 하여 완성한다.
이와 같이 분쇄기(3)에서 분쇄된 조성물은 저장탱크(5)에 저장되어져 출하시 일정한 중량으로 포장되어져 완성된다.
이러한 상기 조성물은 각각의 원재료의 경도 및 비중 차이로 인하여 분쇄시에 일정한 분말도를 갖지 못하며, 또한 이러한 각기 입자가 다른 분말도로 인하여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는 제조과정에서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의 불균일한 제조와 품질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의 초고층빌딩이나 원자력발전소 등 건축물의 고강도가 요구되면서 실리카흄(Silica fume), 메타카올린(Metacaoline), CSA계 클링커(Clinker) 등을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혼화재들은 그 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이 혼화재의 사용에 따른 시공단가를 줄이기 위하여 산업폐기물인 플라이애쉬와, 슬래그분말, 폐제올라이트 등의 포졸란 재료를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혼화재는 입도가 낮기 때문에 포졸란 반응이 매우 느려 초기강도가 낮게 나타나고, 이에 따라 상기 혼화재의 시멘트 치환량을 증가시키게 되어 건설현장에서 공기단축에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각각의 개별적으로 분쇄된 조성물을 정량화된 혼합비에 의해 각 중량%로 계량한 후 교반기에 투입하여 균일한 혼합비를 이룰 수 있도록 분쇄공정, 계량공정 및 혼합공정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시멘트 혼화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개별적으로 분쇄되어져 각각의 분말도를 갖는 조성물이 각 소정중량%로 계량되어 개별적으로 교반기 투입될 수 있도록 계량호퍼를 갖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40중량% ∼ 80중량%의 플라이애쉬;
1중량% ∼ 40중량%의 고로슬러그;
1중량% ∼ 40중량%의 불산무수석고
1중량% ∼ 20중량%의 가네트; 및
1중량% ∼ 5중량%의 생석회;가 분말상태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불산무수석고는 균일한 입도를 갖도록 불산무수석고 전체중량에서 1중량% ∼ 5중량%를 차지하는 소석회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생석회는 생석회 전체중량에서 산화칼슘이 차지하는 비율이 7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러그와, 불산무수석고와, 가네트 및 생석회가 각각 2,500 ∼ 4,000㎠/g, 3,500 ∼ 6,000㎠/g, 3,500 ∼ 6,000㎠/g, 8,000 ∼ 12,000㎠/g 및 2,500 ∼ 5,000㎠/g의 입도를 갖도록 개별적으로 교반하여 분말화하는 단계(S100);
분말상태인 상기 플라이 애쉬와, 고로슬러그와, 불산무수석고와, 가네트 및 생석회가 각각 40중량% ∼ 80중량%, 1중량% ∼ 40중량%, 1중량% ∼ 40중량%, 1중량% ∼ 20중량% 및 1중량% ∼ 5중량%의 중량비율을 갖도록 개별적으로 계량하는 단계(S200); 및
각각 일정 중량비로 계량된 플라이 애쉬와, 고로슬러그와, 불산무수석고와, 가네트 및 생석회를 교반 및 혼합하여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을 완성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불산무수석고의 교반가 보다 용이하도록 불산무수석고 전체중량에서 1중량%∼5중량%를 차지하는 소석회가 상기 불산무수석고의 교반시 더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생석회는 생석회 전체중량에서 산화칼슘이 차지하는 비율이 7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의 분쇄과정을 도시한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의 단계별 공정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혼화재 제조장치의 간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a: 제 1사일로1b: 제 2사일로
3: 분쇄기3a: 분쇄 스크류
5: 저장탱크11: 제 1분쇄기
12: 제 2분쇄기13: 제 3분쇄기
14: 제 4분쇄기15: 제 5분쇄기
21: 제 1사일로22: 제 2사일로
23: 제 3사일로24: 제 4사일로
25: 제 5사일로31: 제 1계량호퍼
32: 제 2계량호퍼33: 제 3계량호퍼
34: 제 4계량호퍼35: 제 5계량호퍼
40: 교반기41: 교반 스크류
50: 저장탱크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혼합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의 단계별 공정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조방법은 시멘트의 성능개선을 요할 때 사용되는 혼화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혼화재라 함은 콘크리트의 일부를 대체하는데 있어서, 콘크리트의 비빔 용적에 삽입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그 사용량으로 볼 때 단순 첨가재가 아닌 용적 계산시 고려될 만큼 그 사용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기 제조방법은 각 구성요소들을 분쇄하여 개별적으로 사일로(Silo)라는 저장창고에 임시적으로 보관하였다가 각각 일정 중량비율로 계량한 뒤, 최종적으로 교반 및 혼합하는 과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완성된 상기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은 플라이 애쉬, 슬러그와, 불산무수석고, 가네트 및 생석회 등과 같은 무기질 재료가 대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슬러그는 용광로 등에서 채취된 고로슬러그이며, 상기 플라이 애쉬와 더불어 일종의 포졸란재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생석회는 생석회 전체에서 산화칼슘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약 75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플라이 애쉬와, 고로슬러그와, 가네트와, 불산무수석고 및 생석회가 각각 약 2,500 ∼ 4,000㎠/g, 3,500 ∼ 6,000㎠/g, 3,500 ∼ 6,000㎠/g, 8,000 ∼ 12,000㎠/g 및 2,500 ∼ 5,000㎠/g 정도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하여 분말화 한다.
아울러, 각 구성요소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쇄과정은 개별적인 분쇄기에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불산무수석고는 분쇄시 입자들간의 응집현상이 발생되어 분쇄 후 입도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입도의 균일성을 고려하여 불산무수석고의 분쇄시 소석회(Ca(OH)2)를 더 첨가하게 되는데, 이 때 첨가되는 소석회는 불산무수석고 전체 중량에서 약 1중량% ∼ 5중량% 정도를 갖도록 한다.(S100)
다음으로 상기 각 구성요소가 각기 일정한 중량비율을 갖도록 계량되게 계량호퍼에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에서는 상기 가네트는 약 1중량% ∼ 20중량% 정도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생석회는 약 1중량% ∼ 5중량% 정도의 중량비를 갖도록 계량되어진다. 이 때 계량된 상기 플라이애쉬의 비율은 약 40중량% ∼ 80중량%이고, 고로슬러그는 약 1중량% ∼ 40중량% 정도이며, 불산무수석고는 1중량% ∼ 40중량%이다.(S200)
다음으로 각각 일정비율로 계량되어진 상기 플라이 애쉬와, 고로슬러그와, 가네트와, 불산무수석고 및 생석회를 교반 및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로 완성된다.(S300)
이와 같이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혼화재의 조성물은 일단 저장탱크(50)에 보관되었다가 일정량씩 포장되어 출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혼화재 제조장치의 간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의 제조시에는 각 구성요소들을 개별적으로 분쇄와 저장하기 위한 개별적인 분쇄기(11, 12, 13, 14, 15) 및 사일로(21, 22, 23, 24, 25)가 구비되고, 각 사일로(21, 22, 23, 24, 25)에 저장한 이후에는 각 구성요소들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호퍼(31, 32, 33, 34, 35)가 개별적으로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계량화된 구성요소들은 교반기(40)에 투입하여 교반 및 혼합된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은 콘크리트구조의 타설시 다지기와 양생을 동시에 이루므로써 콘크리트의 구조물에서 그 특성이 발휘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혼합비와 분말도를 갖도록 분쇄공정, 계량공정 및 혼합공정이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우선 상기 각 구성요소들은 일정한 입도를 갖도록 분쇄되어지는데, 이 때 각구성요소들에 대응하는 분쇄수단이 구비된다.
즉, 플라이애쉬, 고로슬러그, 불산무수석고, 가네트, 생석회는 각기 제 1분쇄기(11), 제 2분쇄기(12), 제 3분쇄기(13), 제 4분쇄기(14) 및 제 5분쇄기(15)에서 개별적으로 분쇄된다.
이러한 분쇄과정으로 상기 각 구성인 플라이애쉬, 고로슬러그, 불산무수석고, 가네트, 생석회는 약 2,500 ∼ 4,000㎠/g, 3,500 ∼ 6,000㎠/g, 3,500 ∼ 6,000㎠/g, 8,000 ∼ 12,000㎠/g 및 2,500 ∼ 5,000㎠/g 정도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된다.
이 때 상기 불산무수석고의 분쇄를 위한 제 3분쇄기(13)에는 상기 불산무수석고의 응집현상을 막아 균일한 입도로 분쇄되도록 하기 위해 소석회를 더 첨가하는데, 그 첨가비율은 상기 불산무수석고 전체에서 약 1중량% 내지 5중량%를 차지한다.
이러한, 상기 소석회는 백색분말의 강한 알칼리성으로 상기 불산무수석고의 산성을 중화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소석회는 액체상태에서는 불산무수석고 입자의 표면으로 전달되는 전자의 이동을 차단하여 이전까지 존재하던 입자 상호간의 전기적 반발력을 없애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렇게 상기 제 3분쇄기(13)에 상기 불산무수석고와 더불어 첨가된 소석회로 인하여 상기 불산무수석고 입자의 강한 산성을 중화시키면서 분쇄과정시 균일한 입도를 갖도록 작용하는 촉진제 역할을 해준다.
그리고, 상기 생석회는 전체 구성요소 중에서 산화칼슘이 전체중량%의 75%를 차지하도록 배합하여 상기 제 5분쇄기(15)에 투입되어 약 2500 ∼ 5,000㎠/g 정도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된다.
이와 같이 단일분쇄되어진 각각의 플라이애쉬, 고로슬러그, 불산무수석고, 가네트, 생석회들은 일련의 분쇄공정을를 거치면서 각각의 분쇄기(11, 12, 13, 14, 15)에 대응되는 제 1사일(21)로, 제 2사일로(22), 제 3사일로(23), 제 4사일(24)로 및 제 5사일로(25)에 임시 저장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저장된 각각의 조성물들은 각각의 일정한 혼합비로 나누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각 사일로(21, 22, 23, 24, 25)에서 각각의 제 1계량호퍼(31), 제 2계량호퍼(32), 제 3계량호퍼(33), 제 4계량호퍼(34) 및 제 5계량호퍼(35)로 투입되어 진다.
상기 각 계량호퍼(31, 32, 33, 34, 35)에 투입되어진 플라이애쉬, 고로슬러그, 가네트, 불산무수석고 및 생석회는 시멘트 혼합재 조성물의 전체중량%에서 약 40중량% ∼ 80중량% 정도, 약 1중량% ∼ 40중량% 정도, 약 1중량% ∼ 20중량% 정도, 약 1중량% ∼ 40중량% 정도 및 약 1중량% ∼ 5중량% 정도를 갖도록 계량시켜준다.
다음으로는 상기 각 계량호퍼(31, 32, 33, 34, 35)에서 계량되어진 중량%에 따라 균일한 분말도를 갖는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교반기(40)에 모든 조성물들이 투입되어 진다.
이 때 상기 교반기(40)에 내재되는 한쌍의 교반스크류(41)는 투입된 각 조성물이 균일한 배합 및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정/역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련의 과정을 거처서 조성되어 상기 시멘트 혼화제 조성물들은 저장탱크(50)에 저장되어 출하시 일정한 중량으로 포장되어져 완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혼화재 조정물들의 화학작용 및 역할에 대해 간단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불수산무수석고는 시멘트의 잉여 수분을 다량 흡착하여 시멘트의 수화작용시 물 및 시멘트비를 낮추고, 팽창하면서 콘크리트 미세 공극의 완전 충진으로 강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해준다.
상기 플라이애쉬는 미립자의 포졸란 반응으로 인해 일반 시멘트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비해 굳지 않은 콘크리트와 경화된 콘크리트의 물성을 모두 증진시켜 시멘트의 일부를 비산재(플라이애쉬)로 치환하였을 때 내구성, 수밀성의 증대시키는 역할을 해준다.
상기 고로수쇄슬러그는 고로에서 부산되는 쇄슬래그를 분말화한 것으로 콘크리트에 타설시 내산성 및 내해수성을 증진시켜주고 주로 고로시멘트원료, 고화재원료 및 보강재원료로 쓰이고 있다.
상기 생석회는 물에 반응하며, 타설시 물과 접촉되면 콘크리트를 발열(發熱)시켜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해준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은 포틀랜드시멘트의 코졸란 콘크리트 경화를 촉진시키고 강도를 강화시킬 목적으로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을 이루는 플라이애쉬와, 고로수쇄슬러그와, 불산무수석고와, 가네트 및 생석회 이외에, 헵토글루콘산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염화나트륨, 실리카흄, 메타카올린, CSA계 클링커 및 폐제올라이트의 일정 비율 또는 일정량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은 분쇄공정, 계량공정 및 혼합공정이 각각 분리됨으로 균일한 분말도와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산업폐기물인 폐제올라이트, 슬러그분말, 플라이애쉬 등을 재활용하여 토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연환경보호 측면에서도 큰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1. 40중량% ∼ 80중량%의 플라이 애쉬;
    1중량% ∼ 40중량%의 고로슬러그;
    1중량% ∼ 40중량%의 불산무수석고
    1중량% ∼ 20중량%의 가네트; 및
    1중량% ∼ 5중량%의 생석회;가 분말상태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산무수석고는 균일한 입도를 갖도록 불산무수석고 전체중량에서 1중량% ∼ 5중량%를 차지하는 소석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석회는 생석회 전체중량에서 산화칼슘이 차지하는 비율이 7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4.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러그와, 불산무수석고와, 가네트 및 생석회가 각각 2,500 ∼ 4,000㎠/g, 3,500 ∼ 6,000㎠/g, 3,500 ∼ 6,000㎠/g, 8,000 ∼12,000㎠/g 및 2,500 ∼ 5,000㎠/g의 입도를 갖도록 개별적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S100);
    분말상태인 상기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러그와, 불산무수석고와, 가네트 및 생석회가 각각 40중량% ∼ 80중량%, 1중량% ∼ 40중량%, 1중량% ∼ 40중량%, 1중량% ∼ 20중량% 및 1중량% ∼ 5중량%의 중량비율을 갖도록 개별적으로 계량하는 단계(S200); 및
    각각 일정 중량비율로 계량된 플라이 애쉬와, 고로슬러그와, 불산무수석고와, 가네트 및 생석회를 교반 및 혼합하여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을 완성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산무수석고의 교반이 보다 용이하도록 불산무수석고 전체중량에서 1중량%∼5중량%를 차지하는 소석회가 상기 불산무수석고의 분쇄시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석회는 생석회 전체중량에서 산화칼슘이 차지하는 비율이 7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2-0004371A 2002-01-25 2002-01-25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459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371A KR100459608B1 (ko) 2002-01-25 2002-01-25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371A KR100459608B1 (ko) 2002-01-25 2002-01-25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985A true KR20030063985A (ko) 2003-07-31
KR100459608B1 KR100459608B1 (ko) 2004-12-04

Family

ID=3221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371A KR100459608B1 (ko) 2002-01-25 2002-01-25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6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26B1 (ko) * 2010-02-19 2010-07-20 최상릉 도로 포장 및 보수용 내염성 시멘트 혼합물
CN104140217A (zh) * 2014-01-15 2014-11-12 龚家玉 一种混凝土用防裂抗渗剂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61110A0 (fi) * 1986-03-17 1986-03-17 Kautar Oy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haerdad stenmaterialprodukt, isynnerhet betong.
JPH07121821B2 (ja) * 1991-05-27 1995-12-25 秩父小野田株式会社 コンクリ−ト又はモルタル用混和材及びこれを含む混練物
JP2001048615A (ja) * 1999-08-13 2001-02-20 Onoda Co セメント混和材及びそれを用いたセメント組成物
KR20010069158A (ko) * 2000-01-12 2001-07-23 성길모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KR100421250B1 (ko) * 2000-02-07 2004-03-04 손연자 콘크리트 제조용 시멘트 혼화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26B1 (ko) * 2010-02-19 2010-07-20 최상릉 도로 포장 및 보수용 내염성 시멘트 혼합물
CN104140217A (zh) * 2014-01-15 2014-11-12 龚家玉 一种混凝土用防裂抗渗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9608B1 (ko) 200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vi et al.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rice husk ash particle size on strength, water permeability and workability of binary blended concrete
Ferdosian et al. High-volume fly ash paste for developing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
US5084102A (en) Cement, method of preparing such cement and method of making products using such cement
US7727330B2 (en) Universal hydraulic binder based on fly ash type F
US8323398B2 (en) Construction material based on activated fly ash
JP4558281B2 (ja) 固化体製造方法
US112199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nd applying a non-portland cement-based material
CN1955140A (zh) 干粉砂浆及其加工工艺
CN102285773A (zh) 一种磷石膏水泥缓凝剂及制备方法
JP2006175827A (ja) 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造の標準化システム
Singh et al. Utilization of waste lime sludge as building materials
KR100459608B1 (ko)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4630690B2 (ja) セメント回収方法、該方法により回収されたセメント、及びセメント再利用方法
JP7178767B2 (ja) セメント組成物、及び、モルタル又はコンクリートの表面の黒色化防止方法
CN109081626A (zh) 一种混凝土外加剂、制备方法、使用方法及应用
US6514334B1 (en) Cementitious mixture
JP3864762B2 (ja) コンクリート組成物およびモルタル組成物
JP4014400B2 (ja) 土壌処理材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folayan et al. Effects of combining rice husk ash and cement kiln dust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JPH11228209A (ja) 水硬性セメント組成物
JP2000191353A (ja) ガラス骨材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り得られたガラス骨材
WO2024048682A1 (ja) ジオポリ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
JPH10273661A (ja) 低アルカリ固化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08585B1 (ko) 칼슘-마그네슘(Ca-Mg)시멘트 조성물
JPH11268938A (ja) コンクリート用混合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