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691A -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691A
KR20030063691A KR1020020003940A KR20020003940A KR20030063691A KR 20030063691 A KR20030063691 A KR 20030063691A KR 1020020003940 A KR1020020003940 A KR 1020020003940A KR 20020003940 A KR20020003940 A KR 20020003940A KR 20030063691 A KR20030063691 A KR 20030063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lution
video signal
test pattern
us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4929B1 (ko
Inventor
임주빈
구은정
윤강식
안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20003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9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영상출력기기는 그 기본 디스플레이 영상신호와 해상도의 선택을 후면의 딥스위치를 사용하여 결정하므로, 그 조작이 불편하고, 딥스위치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등 그 사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영상출력기기의 전면판에 위치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눌림에 따라 영상신호의 종류 및 해상도를 룩업테이블에서 순차적으로 찾아 변경하며, 그 설정된 영상신호의 종류 및 해상도에 적당한 영상출력신호를 지정된 포트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설정된 영상신호의 종류 및 해상도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현재 설정된 영상신호의 종류 및 해상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현하여, 사용자가 변경한 설정에 따른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여 가장 적당한 영상출력포맷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

Description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SET UP UNIT FOR ACTION MODE OF VIDEO OUTPUT APPARATUS AND SET UP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출력기기의 기본적인 영상신호종류, 해상도, 디스플레이 화면 비율 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셋톱박스, DVD 플레이어 등 표시수단을 가지지 않는 영상출력기기는 그 표시수단의 종류에 따라 그 출력 영상의 해상도와 영상신호의 종류를 결정하여 출력하여야 한다. 즉, 표시수단이 아날로그 텔레비전인지 디지털 텔레비전인지에 따라 그 영상신호의 종류가 변경되어야 하며, 각 표시수단이 지원하는 해상도에 적합한 해상도로 출력영상을 맞춰야 한다.
종래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는 그 영상출력기기의 후면에 위치하는 딥 스위치(DIP SWITCH)를 사용하여 조절하였으며, 이와 같은 종래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영상출력기기의 후면에 위치하는 딥스위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RGB, YPbPr)를 선택할 수 있는 딥스위치(DIP1)와; 상기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해상도(480i, 480p, 1080i)를 선택할 수 있는 딥스위치(DIP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밖에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1에서는 아날로그 영상신호(RGB)를 I080i의 해상도로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예이며, 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딥스위치(DIP1, DIP2)의 스위치를 변경하여 원하는 영상신호를 특정 해상도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처럼 특정한 영상신호 포맷과 해상도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는 영상출력기기의 출력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가 지원하는 영상신호의 종류와 해상도에 따라 가장 적합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영상신호의 종류는 COMPOSITE, S-VIDEO, COMPONENT, RGB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해상도 포맷인 480i, 480p, 720p, 1080i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의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 기본적인 영상신호의 표시 설정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와 표준비율의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16:9의 화면비를 가지는 영상신호와 4:3의 화면비를 가지는 영상신호롤 혼돈할 수 있으며, 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면, 잘린 화면이 확대되거나(CROPPED FORMAT -> WIDE FORMAT), 늘어진 화면이 가로로 더욱 늘어진 포맷(LETTER BOX FORMAT->LETTER BOX FORMAT)이 되는 등 이상한 포맷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신호와 해상도를 결정하는 딥스위치가 영상출력기기의 후면에 위치하고 있어,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고 딥스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영상출력기기를 이동시키거나, 후면으로로 손을 넣어 조작해야 하며,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된다.
이처럼 종래 영상출력기기는 그 기본 디스플레이 영상신호와 해상도의 선택을 후면의 딥스위치를 사용하여 결정하므로, 그 조작이 불편하고, 딥스위치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등 그 사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영상신호의 종류와 해상도를 외부장치와 부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영상출력기기의 후면 구조도.
도2는 본 발명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방법의 일실시 순서도.
도4는 도3에서 사용되는 룩업테이블의 일실시예도.
도5는 본 발명 영상출력장치의 동작모드 설정방법의 다른 실시 순서도.
도6은 도5에 있어서, 영상신호 설정단계의 상세 순서도.
도7은 도5에 있어서, 해상도 설정단계의 상세 순서도.
도8은 도5에 있어서, 화면비 설정단계의 상세 순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은 영상출력기기의 전면판에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을 마련하고, 그 버튼의 조작에 따라 변경되는 해상도와 영상신호를 사용자가 눈으로 보고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출력기기의 전면판에 출력 해상도와 포트를 조절하는 버튼(BUTTON)이 구비되어 있으며, 현재 설정된 해상도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DISPLAY)가 위치한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BUTTON)을 누르면 내장된 룩업테이블을 매핑하여 그 버튼의 누름 회수에 따라 그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해상도와 영상신호포트를 변경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3은 상기와 같은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출력기기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2에 도시한 출력 해상도와 포트를 조절하는 버튼(BUTTON)을 누르면, 룩업테이블에 정의된 순서로 그 출력해상도와 출력포트를 검색한다.
도4는 상기 룩업 테이블의 일실시예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인덱스(0~6) 마다 출력해상도 480i, 480p, 720p, 1080i와 영상신호가 출력될 포트(YPbPr, RGB)가 설정되어 있다.
이처럼 선택되어지는 영상신호의 출력포트와 그 해상도는 상기 표시부(DISPLAY)에 표시된다.
즉, 현재 영상출력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종류와 그 해상도를 표시하며, 사용자는 현재 영상출력기기가 연결된 표시수단에 가장적당한 영상신호 및 그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버튼(BUTTON)의 조작에 의해 변경되는 영상신호와 그 해상도에 따라 영상출력기기에서 그 영상신호 및 해상도를 변경하여 출력하며, 이는 그 영상출력기기에 연결된 표시수단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고, 현재의 영상신호 종류와 해상도가 적당한 것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버튼(BUTTON)을 다시 눌러 영상신호의 종류와 해상도를 상기 룩업테이블에 기재된 순서에 입각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가장 적당한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영상신호 및 해상도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룩업 테이블은 영상출력기기의 저장수단에 저장되며, 현재의 설정 상태는 표시부(DISPLAY)에 표시된다.
상기 영상출력기기의 전원이 오프되었을때 현재 설정 상태는 EEPROM에 저장되고, 다음 전원의 인가시에는 그 EEPROM에 저장된 설정을 읽어 들여 출력해상도 및 포트 세팅부에서 관련 레지스터를 세팅한다.
즉, 특정한 영상신호와 그 해상도를 사용자가 설정하면, 사용자가 그 영상신호와 해상도를 변경하기 이전에는 계속 그 설정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하나의 버튼을 사용하여 방송국에서 보내온 영상신호를 적절한 해상도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720p(YPbPr)인 스트림을 최적의 상태로 보기 위해서 사용자는 버튼(BUTTON)을 눌러 표시부(DISPLAY)에 출력 해상도가 720p와 YPbPr이 선택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영상출력기기의 영상출력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은 고해상도 모니터, SD(STANDARD DEFINITION)급 모니터 또는 아날로그 텔레비전과 같이 다양하며, 그 각각이 지원하는 영상신호의 종류와 해상도에 차이가 있으며, 각 표시수단에 적당한 영상신호와 그 해상도를 상기 버튼(BUTTON)을 조작하여 원하는 해상도 및 영상신호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와는 차이가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본 발명 영상출력장치의 동작모드 설정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할 영상신호의 종류를 설정하고, 판단하여 그 영상신호가 적당한 것인지 판단하여 적당한 것이 아니면 영상신호의 종류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와; 영상신호의 종류가 설정되었으면, 영상신호의 포맷을 설정하고, 그 포맷이 적당한 것인지 판단하여 적당한 것이 아니면 다른 포맷으로 순차적으로변환하면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 포맷이 설정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설정을 저장하고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6은 상기 도5에서 영상신호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의 상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포지트(COMPOSITE) 출력모드의 테스트 패턴을 출력하고, 그 테트트 패턴에 적당한 것이면 그 컴포지트(COMPOSITE) 출력모드를 영상신호의 종류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컴포지트 테스트 패턴이 적당하지 않은 경우 컴포넌트(COMPONENT) 출력모드의 480i신호에 대한 테스트 패턴을 출력하여, 정상인 경우 이를 영상신호의 종류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480i의 컴포넌트 출력모드가 아니면 컴포넌트 480p의 테스트패턴을 표시하여 적당한 것이면, 이를 영상신호의 종류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480p의 테스트 패턴이 적당하게 표시되지 않으면 RGB 출력모드의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고, 이 표시 상태가 적당한 것이면 이를 영상신호의 종류로 결정함과 아울러 적당하지 않으면 상기의 모든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반복 수행의 회수가 설정회수(N) 이상이면 영상출력기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는 영상출력기기와 연결하고자 하는 표시수단의 신호중 하나를 특정한 신호 케이블에 연결한다.
이때, 사용자가 신호의 종류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므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방식인 색상에 의한 분류를 이용한다. 즉 컴포지트신호는 노란색 케이블, 컴포넌트의 Y신호는 녹색 케이블, Pb는 파란색 케이블, Pr은 빨간색 케이블을 사용하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영상출력기기와 아날로그 텔레비전, 모니터, 디지털 텔레비전을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영상출력기기의 전면판에 부착된 전원키와 상기 버튼(BUTTON)을 누르는 등의 키 시퀀스에 따라 영상출력기기는 전원이 켜지면서 출력 설정모드로 들어간다.
상기 도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의 종류를 먼저 검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한 각 케이블에 순차적으로 영상출력기기의 출력 영상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표시수단에 그 신호의 테스트 패턴이 표시된다.
먼저, 컴포지트 신호, 즉 상기 노란색 케이블을 통해 영상신호를 인가받은 표시수단은 테스트 패턴을 표시한다.
상기 테스트 패턴은 기본 색상과 일정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 패턴이 정상적으로 표시될때 사용자는 리모콘 또는 상기 전면판의 버튼(BUTTON)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사용자의 선택이 없으면 자동으로 다음 영상신호에 대한 테스트 패턴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테스트 패턴은 영상출력기기의 기본 신호 인터페이스로 선택된다. 즉, 상기 선택되어진 케이블을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모드로 설정된다.
그 다음, 도7은 상기 도5에 있어서, 해상도를 설정하는 단계의 상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신호의 종류가 선택되면, 1080i 출력모드의테스트 패턴을 출력하고, 정상적인 경우 그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1080i 출력모드의 테스트 패턴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을때 720p 출력모드의 테스트 패턴을 출력하고, 그 테스트 패턴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그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720p 출력모드 테스트 패턴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480p 출력모드의 테스트 패턴을 출력하며, 그 테스트 패턴이 정상적인 경우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480p 출력모드의 테스트 패턴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 480i 출력 모드의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고, 정상적인 경우 포맷으로 선택함과 아울러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 다시 상기한 모든 단계를 반복 수행하며, 그 반복 수행의 회수가 설정회수 이상인 경우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도6에서의 과정을 통해 영상신호의 종류가 결정되면, 그 영상신호를 표시할때 표시수단이 나타낼 수 있는 해상도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포맷 1080i, 720p, 480i, 480p 각각에 대한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여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포맷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 및 선택과정은 영상신호를 선택하는 과정과 동일하며, 상기 해상도의 예는 미국 디지털 텔레비전의 표준인 ATSC 해상도를 예로 한 것이다.
그리고, 가장 높은 해상도부터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상기 표시수단이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를 선택한다.
그리고, 도8은 상기 도5에 도시한 화면비 설정단계의 상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상도가 1080i 또는 720p로 설정된 경우 16:9의 와이드 테스트 패턴을 출력하고, 그 테스트 패턴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이를 선택하여기본 화면비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패턴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 4:3의 화면비를 가지는 크롭드(CROPPED)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고, 이 테스트 패턴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그 화면비를 기본 화면비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패턴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비를 조정하여 그 조정된 화면비가 적당한 경우 조정된 화면비를 기본 화면비로 선택하며,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화면비 설정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화면비를 결정하며, 그 반복 회수가 설정회수 이상인 경우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신호의 종류와 표시수단이 표시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를 검출한 후,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 화면비를 선택한다.
이는 사용자가 영상신호 자체의 화면비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를 사용자가 혼동하는 경우가 많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도입한다.
즉, 표시수단이 16:9의 화면비를 가지는 수단인 경우에 사용자가 그 와이드 모드의 포맷을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경우가 있으나, 영상신호 자체에서 와이드 포맷이 아닌 경우 정확한 표시를 할 수 없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와이드 표준신호와 4:3의 표준신호에 대한 테스트 패턴을 순차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여 정상적인 포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여지는 테스트 패턴을 선택하는 방법은 상기 영상출력기기의 전면판에 부착된 버튼(BUTTON)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확인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다양한 표시수단의 특성에 적당한 영상출력기기의 영상출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상기와 같이 설정된 영상신호의 종류, 해상도 및 화면비에 대한 정보는 영상출력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그 영상출력기기의 기본 동작 정보로 이용된다.
이후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사용자가 바꾼 경우에는 상기의 과정을 재 수행하여 그 바뀐 표시수단에 적당한 영상출력기기의 기본 동작정보를 재설정하게 된다.
이때까지 상기 최초 설정한 기본 동작 정보는 변경되거나 소멸되지 않아, 사용자는 그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정은 NVRAM(NON VOLATILE RAM)에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은 영상출력기기의 영상출력포맷을 다양한 표시수단에 적당하도록 매칭시키기 위해, 종래와 같이 딥스위치를 이용한 수동 설정이 아닌 영상출력기기에서 지원하는 테스트 패턴에 의해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여 가장 적당한 영상출력포맷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며, 메이커 입장에서는 사용자가 정확한 영상출력포맷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오설정에 의한 서비스의 신청, 신뢰성 저하 등 불필요한 업무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영상출력기기의 전면판에 위치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눌림에 따라 영상신호의 종류 및 해상도를 룩업테이블에서 순차적으로 찾아 변경하며, 그 설정된 영상신호의 종류 및 해상도에 적당한 영상출력신호를 지정된 포트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설정된 영상신호의 종류 및 해상도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현재 설정된 영상신호의 종류 및 해상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2. 사용자의 버튼 토글 조작을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버튼 토글 조작이 감지되면 룩업테이블에 기재된 다음의 영상신호 종류 및 해상도로 영상신호를 출력하여, 표시기기에 표시되도록하는 영상신호 설정단계와; 상기 버튼 토글 조작이 없으면 상기 영상신호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영상신호 종류 및 해상도를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영상신호 종류 및 해상도 정보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영상출력기기가 재 시동되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영상신호 종류 및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방법.
  4.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동작모드 설정모드로 동작하여, 각 영상신호의 종류에 따른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는 영상신호 설정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영상신호 종류에 따른 테스트 패턴 중 가장 적당한 테스트 패턴을 선택하면, 그 영상신호가 표시할 수 있는 해상도에 따른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는 해상도 설정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가장 적당한 해상도에 따른 테스트 패턴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영상신호와 해상도에서 화면비가 다른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는 화면비 설정단계와; 사용자가 그 화면비 테스트 패턴 중 적당한 테스트 패턴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영상신호의 종류, 해상도 및 화면비의 정보를 저장하여 영상출력기기의 기본 동작모드로 설정하는 설정저장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설정단계는 컴포지트(COMPOSITE) 출력모드의 테스트 패턴과, 컴포넌트(COMPONENT) 출력모드 480i의 테스트 패턴과, 컴포넌트 출력모드 480p의 테스트 패턴과, RGB 출력모드의 테스트 패턴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순차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그 선택된 영상신호를 기본 영상신호로 설정하며,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상기 테스트 패턴을 반복 표시하며, 그 반복 회수가 설정회수 이상인 경우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설정단계는 선택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변경하여 1080i 출력모드의 테스트 패턴과, 720p 출력모드의 테스트 패턴과, 480p 출력모드의 테스트 패턴과, 480i 출력모드의 테스트 패턴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순차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그 선택된 해상도를 기본 해상도로 설정하며,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그 테스트 패턴을 반복 표시하며, 그 반복 회수가 설정회수 이상인 경우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비 설정단계는 선택된 영상신호 및 해상도의 영상출력신호의 화면비 설정하기 위해 16:9와 4:3의 비를 가지는 테스트 패턴을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선택된 화면비를 기본 화면비로 설정하며,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그 테스트 패턴을 반복 표시하고, 그 반복 회수가 설정회수 이상인 경우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방법.
KR1020020003940A 2002-01-23 2002-01-23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874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940A KR100874929B1 (ko) 2002-01-23 2002-01-23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940A KR100874929B1 (ko) 2002-01-23 2002-01-23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691A true KR20030063691A (ko) 2003-07-31
KR100874929B1 KR100874929B1 (ko) 2008-12-19

Family

ID=3221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940A KR100874929B1 (ko) 2002-01-23 2002-01-23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9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620Y1 (ko) * 2012-03-19 2013-06-24 이백무 해상도 조절이 가능한 노래반주기
KR200469910Y1 (ko) * 2012-02-03 2013-11-13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외부신호 출력 테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167B1 (ko) 2009-02-26 2010-06-09 엠디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영상출력기기 인터페이스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506B1 (ko) * 1993-10-12 1996-02-17 대우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화면을 이용한 동작모드선택장치
KR100209909B1 (ko) * 1996-11-12 1999-07-15 윤종용 화질조정장치 및 방법
KR19990001257A (ko) * 1997-06-13 1999-01-15 배순훈 단일버튼구조를 채용한 텔레비전의 기능설정제어방법
KR100226109B1 (ko) * 1997-06-20 1999-10-15 전주범 단일 버튼인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텔레비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9990043340A (ko) * 1997-11-29 1999-06-15 전주범 텔레비전의 테스트 패턴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10Y1 (ko) * 2012-02-03 2013-11-13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외부신호 출력 테스트 장치
KR200467620Y1 (ko) * 2012-03-19 2013-06-24 이백무 해상도 조절이 가능한 노래반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929B1 (ko) 200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140B1 (ko) 입력 신호의 검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방송 수신기
KR100510142B1 (ko)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다중 비디오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장치 및 방법
US8319894B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iscriminating the type of input signal from different signals
US20040155982A1 (en) Video display appliance capable of adjusting a sub-picture and method thereof
JP5656337B2 (ja) 表示装置
US74280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screen
US798272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hecking input signals
US20070279603A1 (en) Video device that sets extended device connected to interface, display method by the video device and processing program for the video device
US20050210503A1 (en) Remote control unit guide display
KR100874929B1 (ko) 영상출력기기의 동작모드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561386B1 (ko) Tv의 외부기기 소스 인터페이싱 시스템
KR20010039340A (ko) 외부입력 연결인식장치 및 입력선택방법
TWI404041B (zh) 自動調整螢幕上顯示資訊的裝置與方法
US20050117059A1 (en) Video-processing apparatus
KR100408069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방법 및 장치
JP2004021054A (ja) 映像表示装置
KR10060726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화면비 설정방법
JP2003195415A (ja) プロジェクタ、プロジェクタにおける画像切替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406303B1 (ko)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모드수동설정방법
JP3918272B2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2004134963A (ja) スキャンコンバータを内蔵したマトリックススイッチ
JP2008085561A (ja) 表示装置
KR100518821B1 (ko) 입력신호 절환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56957A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osd 밝기 조정장치
KR2006011606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