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283A -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 - Google Patents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283A
KR20030063283A KR1020030044049A KR20030044049A KR20030063283A KR 20030063283 A KR20030063283 A KR 20030063283A KR 1020030044049 A KR1020030044049 A KR 1020030044049A KR 20030044049 A KR20030044049 A KR 20030044049A KR 20030063283 A KR20030063283 A KR 20030063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usset
gusset portion
pouch container
type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정민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3004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3283A/ko
Publication of KR2003006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28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3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the non-integral spout having an elongate cross-sectional shape, e.g. canoe or boat 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
(2)발명의 목적
종래 양측 거싯 방식은 본 발명과는 기술적 사상이 상이하고, 일측부 거싯 용기는 진열시나 개봉후 보관시 용기의 상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며, 본 발명은 교차형 거싯부를 두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3)발명의 구성
필름전면과 필름배면이 만나고, 그 저부에는 저부 거싯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저부 거싯부와 교차하여는 상부로 길게 연장된 거싯부가 형성된다.
(4)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거싯부가 교차된 바, 스탠딩성과 자립유지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omitted}
본 발명은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것으로는 양측 거싯 또는 일측부 거싯 용기가 있었다.
종래 양측 거싯 방식은 본 발명과는 기술적 사상이 상이하고, 일측부 거싯 용기는 진열시나 개봉후 보관시 용기의 상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는 패단이 있었던 것이며, 본 발명은 교차형 거싯부를 두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인 거싯부 교차형 용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거싯부 교차형 용기의 접철된 상태도.
도 3, 도 4 는 본 발명의 응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10 : 필름전면
11 : 필름배면 12, 13 : 거싯부
14 : 봉합부 20 : 배출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의 저부에 스탠딩이 되도록 거싯부가 형성되고, 그 거싯부의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교차형 거싯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파우치 용기(1)는 필름전면(10)과 필름배면(11)이 만나고 그 사이인 저부에는 저부 거싯부(12)가 형성되고, 그 저부 거싯부(12)와 꼭지점이 교차되게는 측면부에 거싯부(13)가 형성되며, 그 각 외단은 선택적으로 봉합부(14)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용기(1)에 내용물을 주입하고자 할때는 비교적 상단부를 미봉합부로 형성하여 두었다가, 그 미봉합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넣고 봉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도 3), 본 발명의 용기(1)에는 배출대(20)를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일예를 보인 것이 도 3, 도 4 와 같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거싯부가 교차된 바, 스탠딩성과 자립유지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필름전면과 필름배면이 만나고, 그 저부에는 저부 거싯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저부 거싯부와 교차하여는 상부로 길게 연장된 거싯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구조의 용기 외단은 선택적으로 봉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조의 용기에는 배출대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는 용기의 모서리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
KR1020030044049A 2003-06-25 2003-06-25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 KR20030063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049A KR20030063283A (ko) 2003-06-25 2003-06-25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049A KR20030063283A (ko) 2003-06-25 2003-06-25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283A true KR20030063283A (ko) 2003-07-28

Family

ID=3222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049A KR20030063283A (ko) 2003-06-25 2003-06-25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32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8600A (en) Plastic bag
CA2352353A1 (en) Side gusset bag with convenient carry handle
CA2396647C (en) Butt- ended bag with a buckle-over closing element
KR20030063283A (ko)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
ES2384613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sellar paquetes
JP2008143526A (ja) パウチ容器
JP2003312684A (ja) マチ付きプラスチック袋
RO105933B1 (ro) Recipient
KR20030061755A (ko) 상하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
CN112278572B (zh) 一种带翻折顶盖的购物纸袋
JP2002173149A (ja) 破損のない側マチ付きプラスチック袋体
KR20040009450A (ko) 끈 수납수단을 구비한 조임끈이 부착된 플라스틱 시트 자루
KR20030062284A (ko) 양측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형성하는 구조
KR200322700Y1 (ko) 핀홀이 형성된 세제 포장용 엠-자형 파우치
KR20030053497A (ko) 접철식 배출부를 갖고 있는 파우치 용기
JP4619564B2 (ja) 吊り紐付きプラスチックシート袋体及びその吊り紐収納方法
KR20030044962A (ko) 상면접철부가 형성된 스탠딩 파우치 용기
KR20030051538A (ko) 측면 거싯부형 용기에 형상(형태)을 표현하는 용기의 구조
KR970006310Y1 (ko) 용기와 리필을 겸용한 개량형 스탠드파우치(Stand-up Pouch)
KR20030059059A (ko) 양측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형성하는 구조
KR200343341Y1 (ko) 포장물 투입 부분의 개방이 용이한 포대
KR20030062282A (ko) 양측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형성하는 구조
JPH08258846A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KR20020028965A (ko) 접철식 포장용기의 구조
KR20030040329A (ko) 배출대를 갖고 있는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