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1755A - 상하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상하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1755A
KR20030061755A KR1020030041316A KR20030041316A KR20030061755A KR 20030061755 A KR20030061755 A KR 20030061755A KR 1020030041316 A KR1020030041316 A KR 1020030041316A KR 20030041316 A KR20030041316 A KR 20030041316A KR 20030061755 A KR20030061755 A KR 20030061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sset
discharge port
discharge
container
bo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정민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3004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1755A/ko
Publication of KR2003006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755A/ko
Priority to PCT/KR2004/000948 priority patent/WO2004094252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3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the non-integral spout having an elongate cross-sectional shape, e.g. canoe or boat 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상하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
(2)발명의 목적
종래 양면 대응 방식의 방법은 그 실바가 개폐되는 식으로 배출대를 용기본체의 해당 부위에 접착하는 바, 그 응용의 한계가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3)발명의 구성
필름전면과 필름배면의 상하로 거싯부가 내접되어 그 각 외단이 선택적 봉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방향에 배출대를 접착하고 있는 기술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를 접착하는 것은 배출대가 접착되는 거싯부가 그 거싯부와 마주보는 거싯부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그 마주보는 거싯부가 평평하게되 전체적인 형상이 T형이 되게 하여 배출대를 접착하는 것이다.
(4)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배출대가 접착되는 거싯부를 평평하게 하고, 그 평평하게 펼쳐진 거싯부를 중심으로 배출대를 접착하는 바, 그 접착성이 양호하고, 배출대를 자동화 공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상하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omitted}
본 발명은 상하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종래에는 일반적인 양면 대응 방식의 접착 방법이 사용되었다.
종래 양면 대응 방식의 방법은 실바가 1조를 이루고, 그 실바가 개폐되는 식으로 배출대를 용기본체의 해당 부위에 접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용기의 형태를 다양하게 하는 데에 그 한계가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은 용기본체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것을 구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한 패단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완성된 용기의 일측면도.
도 2 는 도 1 과 같은 용기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용기본체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4 는 용기본체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과정을 보인 또 다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10 : 용기본체
11 : 필름전면 12 : 필름배면
13, 14 : 거싯부 15 : 봉합부
16 : 배출대접착부 17 : 미봉합부
20 : 배출대 30 : 접착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출대가 접착되는 방향의 대응되는 거싯부가 펼쳐저 그 배출대에 실바가 접촉되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용기본체의 상방에 형성된 거싯부가 「T」형으로 펼쳐지고, 그 펼쳐진 상태의 거싯부중 임의 부위를 벌려서 배출대를 삽입하고 접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 마주보는 방향의 거싯부의 단부도 임의 형태로 봉합하거나 또는 임의 형태로 절단한후 봉합하는 등의 형태를 자유롭게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출대가 접착되는 부위의 거싯부도 자유롭게 절단하여 형태를 표현하고, 그 부위나 주위를 벌려 배출대를 삽입하고 접착시킬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본체(10)에 배출대(20)가 접착된 완성된 용기(1)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파우치 용기(1)는 내용물을 담는 용기본체(10)와 그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을 흡배출하는 배출대(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용기본체(10)는 필름전면(11)과 필름배면(12)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거싯부(13,14)를 두며, 상기한 거싯부(13)중 임의 부위에는 내용물 배출용 배출대(20)가 임의 각도로 접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필름전면(11)과 필름배면(12)이 거싯부(13, 14)와 만나고, 그 각 외단부가 기밀되도록 봉합부(15)를 선택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것중 용기(1)내에 내용물을 용이하게 주입하기 위하여 상단이나 하단의 봉합부(15)중 어느 한군데의 봉합부(15)는 미봉합부로 되어 있다가 그 미봉합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주입하고, 그 미봉합부를 봉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그 일 예를 들면, 도 1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상단부를 미봉합부(17)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배출대(20)를 통하여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배출대(20)는 원피스나 투피스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용기(1)의 내부로 배출유도부가 위치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용기(1)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본 사항이며, 상기한 용기본체(10)에 배출대(20)를 접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이하 논하고자 한다.
도 3 은 용기본체(10)에 있어서, 배출대(20)가 접착될 부위가 일련의 기계장치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접철된 거싯부(13)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보인 것이며 이를 측방에서 볼때는 「T」형에 가까운 형상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거싯부(13)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배출대(20)를 접착하고자 하는 부위를 절단하는 등의 행위를 선택적으로 한후, 그 부위를 일련의 기계장치로 벌려 형성된 공간에 배출대(20)를 삽입하고 접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일실시가 도 3 과 같은 것이며, 동 과정에 그 상대되는 거싯부(13)도 선택적으로 봉합부(15)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용기본체(10)에 내용물을 넣기 위한 미봉합부(17) 부위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과정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접착대(30)가 거싯부(13)를 지지하고, 접착대(30)의 상부에 고정 지지된 거싯부(13)를 일련의 기계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기밀(봉합부(15), 배출대접착부(16))을 시킬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배출대(20)는 다양한 각도의 위치에 접착될 수 있는 것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접착대(30)는 배출대(20)가 고정될 부위의 구성 또는 접착대(30)상에서 봉합(접착)부가 형성된 부위에 열선등이 배선 되는 등의 기술적 구성은 당업자에 의해 추이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방의 거싯부를 펼친 상태에서 배출대를 접착할 수 있는 바, 그 접착성이 양호하고, 배출대를 자동화 공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필름전면과 필름배면의 상하로는 거싯부가 내접되어 그 각 외단이 선택된 봉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방향의 거싯부에 배출대를 접착하고 있는 기술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를 접착하는 것은 배출대가 접착되는 거싯부가 접착대상에서 펼쳐지고, 배출대를 접착하고자 하는 부위의 거싯부를 벌려 형성된 공간에 배출대를 삽입한후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상하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대상에서 펼쳐진 거싯부는 선택적으로 임의 형태로 봉합(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상하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
KR1020030041316A 2003-04-23 2003-06-21 상하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 KR20030061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316A KR20030061755A (ko) 2003-06-21 2003-06-21 상하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
PCT/KR2004/000948 WO2004094252A1 (en) 2003-04-23 2004-04-23 Pouch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316A KR20030061755A (ko) 2003-06-21 2003-06-21 상하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755A true KR20030061755A (ko) 2003-07-22

Family

ID=3222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316A KR20030061755A (ko) 2003-04-23 2003-06-21 상하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17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836B1 (ko) * 2008-01-09 2011-01-3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송전 제어 장치, 송전 장치, 무접점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전자 기기
KR101101766B1 (ko) * 2010-12-03 2012-01-05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무선 에너지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WO2024004376A1 (ja) * 2022-06-30 2024-01-04 ライオン株式会社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836B1 (ko) * 2008-01-09 2011-01-3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송전 제어 장치, 송전 장치, 무접점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전자 기기
KR101101766B1 (ko) * 2010-12-03 2012-01-05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무선 에너지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WO2024004376A1 (ja) * 2022-06-30 2024-01-04 ライオン株式会社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03718A1 (en) Vented package
US2499528A (en) Receptacle
ES2640966T3 (es) Envase flexible con característica de cierre reutilizable interno
ATE425922T1 (de) Beutel mit einer kammer zur befullung mit gas,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verfahren zum einschliessen von gas in denselben und verfahren zu dessen befullung
DE69815129D1 (de) Offenmaschiger beutel und herstellungsverfahren
US3528600A (en) Plastic bag
DE59010640D1 (de) Kunststoffbehälter mit Verschluss aus Folienmaterial und Verfahren zum Verbinden von Behälterunterteil und Verschlussteil
KR20030061755A (ko) 상하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
DK1077186T3 (da) Genlukkelig, lagdelt emballagefolie og emballage fremstillet deraf
KR20030066491A (ko) 양측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
JP3783154B2 (ja) 墓石の水平出し兼接着装置および方法
KR20030095364A (ko) 양측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접착하는 방법
ATE371582T1 (de) Kunststoffverpackung
KR20030062284A (ko) 양측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형성하는 구조
JP2008120573A (ja) ゴミ容器
JPH0343361A (ja) 反復開閉可能な密封包装体及びその製法
KR20020036976A (ko) 접철식 액체충전용기
KR20030044993A (ko)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용기
KR20030063283A (ko) 거싯부 교차형 파우치 용기
KR20030051538A (ko) 측면 거싯부형 용기에 형상(형태)을 표현하는 용기의 구조
JP2000335595A (ja) 折襞付き包装袋
CN109850361A (zh) 可重复封口的塑料包装袋
SE0103775L (sv) Förpackning samt anordning och metod för framställning därav
JPH11278557A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袋
TWM575429U (zh) Glued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