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618A - 이동전화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전화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618A
KR20030062618A KR1020020002921A KR20020002921A KR20030062618A KR 20030062618 A KR20030062618 A KR 20030062618A KR 1020020002921 A KR1020020002921 A KR 1020020002921A KR 20020002921 A KR20020002921 A KR 20020002921A KR 20030062618 A KR20030062618 A KR 20030062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service
mobile phone
user
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경
Original Assignee
이효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경 filed Critical 이효경
Priority to KR102002000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2618A/ko
Publication of KR2003006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618A/ko

Links

Landscapes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수단인 지하철(이하 전철 포함)의 마지막 차량(이하 막차)을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사전에 이용자가 이동전화 단말기의 무선인터넷이나 PC의 인터넷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유선전화나 이동전화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체의 ARS 시스템에 접속하여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을 등록하면 서비스제공업체는 출발역의 막차시간 전에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막차시간이 임박했음을 알려주는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지하철의 막차를 놓쳐 어쩔 수 없이 값 비싼 택시를 이용해야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이동전화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 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A method helping get on the last subway by using mobile short message service}
본 발명은 지하철의 막차를 이용하길 원하는 사람(이하 이용자)이 이동전화단말기의 무선인터넷이나 PC의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전에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유선전화나 이동전화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체의 ARS 시스템에 접속하여 출발역, 환승역(없을 경우에는 생략), 목적역을 등록하면 서비스 제공업체가 출발역의 막차시간 전에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막차시간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저렴한 지하철의 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여 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지하철의 막차를 이용할 수 있게끔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서비스는 제공되고 있지 않다. 현재 지하철의 경우에는 각 역에 막차 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막차를 이용하도록 하는 소극적인 유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지하철을 주로 이용하는 일반 시민들은 그 역의 막차시간을 눈여겨 보지 않는 이상 의도적으로 막차를 이용하기란 여간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 막차시간을 놓쳐 어쩔 수 없이 택시를 이용함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수십배의 요금을 더 내야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 PC나 이동전화 단말기의 인터넷 기능을 통해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유선전화나 이동전화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체의 ARS 시스템에 접속하여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을 등록하면 출발역의 막차시간 전에 서비스 제공업체가 등록된 이동전화번호로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막차시간이 임박했음을 알려주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막차 이용 유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2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3a는 이용자가 서비스업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등록하는 작업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b는 이용자가 서비스업체의 ARS 시스템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등록하는 작업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이용자의 서비스 등록 절차도이다.
도5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서 이벤트가 활성화되어 서비스 이용자에게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도이다.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자가 미리 PC나 이동전화 단말기의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유선전화나 이동전화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체의 ARS 시스템에 접속하여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을 등록하게 되면, 출발역의 막차 시간 전에 등록된 이동전화 번호로 막차시간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서비스 이용자로 하여금 막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동단말, 이동전화 단말기 등으로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 용어는 모두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동전화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 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막차 이용 유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비스 이용자가 PC나 자신의 이동단말의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유선전화나 이동전화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체의 ARS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가 선행된다. 그리고 자신의 이동전화 번호,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을 입력한 후, 정보이용료를 결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서버는 이용자가 등록한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 정보에 의해 출발역의 막차시간을 계산하고 이용자 DB에 서비스 정책에 의해 미리 정해진 막차시간 20 분전에-이 시간은 서비스 상황에 따라 변경됨- 활성화되는 이벤트를 이용자 이동전화번호와 함께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용자 DB에 저장된 이벤트가 활성화되는 시간이 되면 서버는 이용자 정보에 등록된 이동전화 번호로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1차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정책에 의해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예를 들면, 5분) 경과 후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2차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n차(서비스 정책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전송 횟수)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도1은 이동단말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 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220), 유선전화(230), 인터넷이 가능한 PC(210),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서비스 제공업체의 홈페이지(170), 음성인식 ARS 시스템(180), 서버(100)로 구성된다.
도2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일반적인 컴퓨터의 기본적인 구성 이외에, 데이터 저장장치(150)가 지하철 막차 시간표 DB(155)와 이용자 DB(160)로 구성된다. 각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막차 이용 유도 방법을 설명할 때 설명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지하철 막차 이용 유도 방법에 대한 세가지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계들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실시예
제1단계: 서비스 접속단계.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원하는 이동전화 이용자가 이동전화 단말기(220)의 무선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업체의 서버(100)의 홈페이지(170)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제2단계: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이동전화 단말기 의 입력장치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제3단계: 출발역, 환승역 입력단계. 출발역을 입력하는 화면이 이동전화 단말기 화면에 출력된다. 서비스 이용자는 이동단말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출발할 역명을 입력한다. 출발역을 입력한 후, 환승할 역이 있으면 환승역도 차례로 입력하거나 선택한다.
제4단계: 목적역 입력단계. 제3단계에서 출발역과 환승역(없을 경우 생략)의 입력이 완료되면, 목적역을 입력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제3단계와 마찬가지로 서비스 이용자는 이동단말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목적역명을 입력한다.
제5단계: 정보이용료 결제 단계. 서비스 이용자가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이동통신사업자가 과금을 대신하기 때문에 PC를 이용할 때와 같은 결제단계가 필요없고 서비스 이용을 최종 확인하는 단계만 거친다.
제6단계: 출발역 막차시간 계산단계. 제5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확인한 후에는 제3단계와 제4단계에서 입력된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 정보와 서버의 지하철 막차 시간표 DB(155)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발역의 막차시간을 산출한다.
제7단계: 이벤트 생성단계. 제6단계에서 얻어진 출발역 막차시간 정보와 제2단계에서 입력된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서버의 이용자 DB(160)에 저장하여 서비스 정책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막차시간 몇 분전(예를 들면, 20분전)에 단축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지하철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이벤트를 생성한다.
제8단계: 이벤트 활성화 단계. 제7단계에서 생성된 이벤트가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막차시간 20분전)이 되어 활성화되면,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첫번째 단축문자메시지를 등록된 이동전화 번호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정책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시간(N 분)이 지난 후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두번째 단축문자메시지를 등록된 이동전화 번호로 전송한다. 또 서비스 정책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횟수 만큼 n번째 단축문자메시지를 등록된 이동전화 번호로 전송한다.
두번째 실시예
제1단계: 서비스 접속단계.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원하는 이동전화 이용자가 PC(210)의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업체의 서버(100)의 홈페이지(170)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제2단계: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PC의 입력장치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제3단계: 출발역, 환승역 입력단계. 출발역을 입력하는 화면이 PC 화면에 출력된다. 서비스 이용자는 PC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출발할 역명을 입력한다. 출발역을 입력한 후, 환승할 역이 있으면 환승역도 차례로 입력하거나 선택한다.
제4단계: 목적역 입력단계. 제3단계에서 출발역과 환승역(없을 경우 생략)의 입력이 완료되면, 목적역을 입력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제3단계와 마찬가지로 서비스 이용자는 PC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목적역명을 입력한다.
제5단계: 정보이용료 결제 단계. 서비스 이용자가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PC화면에 인터넷상에서 과금을 하기 위한 서비스 이용료 결제 화면이 출력되어 서비스의 이용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이때 결제수단은 현재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결제 수단을 이용한다.
제6단계: 출발역 막차시간 계산단계. 제5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확인한 후에는 제3단계와 제4단계에서 입력된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 정보와 서버의 지하철 막차 시간표 DB(155)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발역의 막차시간을 산출한다.
제7단계: 이벤트 생성단계. 제6단계에서 얻어진 출발역 막차시간 정보와 제2단계에서 입력된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서버의 이용자 DB(160)에 저장하여 서비스 정책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막차시간 몇 분전(예를 들면, 20분전)에 단축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지하철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이벤트를 생성한다.
제8단계: 이벤트 활성화 단계. 제7단계에서 생성된 이벤트가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막차시간 20분전)이 되어 활성화되면,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첫번째 단축문자메시지를 등록된 이동전화 번호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정책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시간(N 분)이 지난 후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두번째 단축문자메시지를 등록된 이동전화 번호로 전송한다. 또 서비스 정책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횟수 만큼 n번째 단축문자메시지를 등록된 이동전화 번호로 전송한다.
세번째 실시예
제1단계: 서비스 접속단계.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원하는 이동전화 이용자가 유선전화(230)나 이동전화(220)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체의 음성인식 ARS 시스템(180)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제2단계: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이동전화 단말기 또는 유선전화의 입력장치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제3단계: 출발역, 환승역 입력단계. 음성안내에 따라 출발역을 음성으로 입력한다. 출발역을 입력한 후, 환승할 역이 있으면 환승역도 차례로 음성으로 입력한다.
제4단계: 목적역 입력단계. 제3단계에서 출발역과 환승역(없을 경우 생략)의 입력이 완료되면, 제3단계와 마찬가지로 음성안내에 따라 목적역을 음성으로 입력한다.
제5단계: 정보이용료 결제 단계. 서비스 이용자가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통신사업자가 과금을 대신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을 최종 확인하는 단계만 거친다.
제6단계: 출발역 막차시간 계산단계. 제5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확인한 후에는 제3단계와 제4단계에서 입력된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 정보와 서버의 지하철 막차 시간표 DB(155)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발역의 막차시간을 산출한다.
제7단계: 이벤트 생성단계. 제6단계에서 얻어진 출발역 막차시간 정보와 제2단계에서 입력된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서버의 이용자 DB(160)에 저장하여 서비스 정책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막차시간 몇 분전(예를 들면, 20분전)에단축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지하철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이벤트를 생성한다.
제8단계: 이벤트 활성화 단계. 제7단계에서 생성된 이벤트가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막차시간 20분전)이 되어 활성화되면,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첫번째 단축문자메시지를 등록된 이동전화 번호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정책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시간(N 분)이 지난 후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두번째 단축문자메시지를 등록된 이동전화 번호로 전송한다. 또 서비스 정책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횟수 만큼 n번째 단축문자메시지를 등록된 이동전화 번호로 전송한다.
이하, 상기 세가지 실시예의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이동전화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인터넷이 가능한 PC나 이동전화 단말기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 이용 등록을 하는 과정과 유선 또는 이동전화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체의 ARS 시스템에 접속하여 서비스 이용 등록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가 있다. 첫번째 방법은 인터넷이 가능한 PC를 통해 서비스업체의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이다[402]. 두번째 방법은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업체의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이다[414]. 세번째 방법은 유선 또는 이동전화를 통해 서비스업체의 음성인식 ARS 시스템에 접속하는 방법이다[426]. 서비스업체의 서버에 접속이 되거나 ARS 시스템에 접속이 되면 먼저 자신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이 PC의 모니터 또는 이동단말의 LCD 창에 출력되거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하라는 음성 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 PC, 이동전화 단말기 또는 유선전화의 입력장치를 통해 이동전화 번호의 입력을 완료하게 되면[404,416,428] 출발역을 입력하는 화면 또는 음성 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 먼저, 역명을 입력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역명을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고 두번째는 서비스업체 서버의 지하철역명 DB에서 TREE 구조에 의해 원하는 역명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이다. PC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한 경우에는 두번째 방법이 사용하기 편리하고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한 경우에는 첫번째 방법이 편리하며 ARS 시스템에 접속한 경우에는 음성인식 기능을 통한 첫번째 방법이 편리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자가 출발역의 입력을 완료[406,418,430]하게 되면 중간에 환승역이 있는 지를 묻는 화면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가 환승역을 이용하는 경우와 환승역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두가지가 있다. 환승역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착역을 입력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만약 환승역을 이용할 경우에는 환승역을 입력하는 화면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 환승역의 입력이 완료되면[406,418,430], 두번째 환승역이 있는 지를 묻는 화면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 두번째 환승역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착역을 입력하는 화면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가 출력되고 이용할 경우에는 두번째 환승역을 입력하는 화면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406,418,430]. 이렇게 해서 n번째 환승역을 묻는 화면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에서 n번째 환승역을 이용하지 않게 되면 목적역을 입력하는 화면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는 목적역을 입력한다[408,420,432]. 이렇게 하여 출발역, 환승역(없는 경우 생략됨), 목적역의 입력이 완료되면 PC를 통해 접속한 경우에는 서비스 이용에 대한 정보이용료를 결제하는 화면이 출력된다[410]. 현재 인터넷의 유료 정보에 대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결제방법을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을 확정한다[410]. 또한 이동전화 단말기 또는 유선전화를 통해 접속한 경우에는 서비스 이용을 최종 확인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최종 확정하게 되면 통신사업자에 의해 자동적으로 과금이 이루어진다[422]. 현재 유/무선 컨텐츠 제공업체들은 통신사업자와의 계약을 통해 정보이용료의 과금을 통신사업자가 대행해 주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정보에 대한 유료화를 진행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확정하게 되면 서비스제공업체 서버의 CPU(도2의 105)는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 정보와 서버의 지하철 막차시간표 DB(도2의 155)를 이용하여 출발역의 막차시간을 계산한다[434].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가 출발역을 수도권 2호선인 강남역으로, 환승역을 신도림역으로, 목적역을 수도권 경인선 부평역으로 입력했다면, 서버의 CPU(도2의 105)는 지하철 막차 시간표 DB(도2의 155)에서 마지막 환승역인 신도림역에서 목적역인 부평역까지 갈 수 있는 막차 시간을 확인한다. 현재 신도림역에서 탈 수 있는 인천행 지하철(전철) 막차시간은 23시 35분이다. 그 다음으로 환승역인 신도림역에 23시 30분(5분간 환승시간 고려) 이전에 도착하는 지하철의 강남역 출발시간을 계산한다. 현재 강남역에서 22시 57분에 출발하는 지하철이 신도림역에 23시 24분에 도착한다. 그 다음으로 강남역에서 23시 13분에 출발하는 지하철이 신도림역에 23시 39분에 도착한다. 즉, 강남역에서 22시 57분에 출발하는 신도림행 지하철을 탈 수 있어야만 신도림역에서 부평역으로 가는 마지막전철(지하철)을 23시 35분에 탈 수 있다. 서버의 CPU는 이 서비스 이용자의 출발역인 강남역의 막차시간을 22시 57분으로 계산한다. 그리고 CPU는 계산된 출발역 막차시간에서 서비스 업체의 서비스 정책에 의해 미리 입력된 시간(예를 들면 20분)을 뺀 시간정보- 22시 57분에서 20분을 뺀 22시 37분 -와 이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이용자 DB(160)에 저장하고 22시 37분에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1차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벤트를 생성한다[436].
도5는 서버에서 이벤트가 활성화되어 등록된 이동전화번호로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단계 [436]에서 생성된 이벤트가 지정된 시간이 되어 활성화된다[500]. 이벤트가 활성화된 이동전화번호로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1차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502]. 그리고 서비스업체의 서비스 정책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5분)이 흐르면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2차 단축문자메시지를 다시 전송한다[504]. 또 서비스업체의 서비스정책에 의해 미리 정해진 단축문자메시지 전송횟수(예를 들면 3회)만큼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506].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할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로 인해 서울 강남역에서 인천 부평역까지 가야 하는 사람은 강남역에서 22시 57분 신도림행 열차를 탈 경우에 부평역까지 전철 이용요금을 1000원 정도만 지불하지만, 22시 57분 신도림행 열차를 놓칠 경우에는 적게는 다섯배에서 많게는 20배까지의 비용을 부담해야지 부평역까지 갈 수 있다.
본 발명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은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최대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귀가시간을 앞당기고 교통비를 아낄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하는 댓가에 대해서 서비스 이용료를 부과함으로써 수익을 낼 수 있다. 현재 국내의 지하철 서비스 현황은 수도권에는 경인선, 수원선, 그리고 지하철 1호선에서 8호선까지 운행되고 있으며 인천, 대구, 부산에서도 지하철이 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Claims (4)

  1.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이동통신망, 그리고 서비스업체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비스업체 서버는 지하철 막차 시간표 DB, 이용자 DB를 포함하고, 이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 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제1단계: 서비스 접속단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원하는 이동전화 이용자가 이동전화 단말기의 무선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업체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제2단계: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로서, 이동전화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제3단계: 출발역, 환승역 입력단계로서, 이동전화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지하철(전철) 출발역과 환승역이 있을 경우에는 환승역을 입력하는 단계,
    제4단계: 목적역 입력단계로서, 이동전화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지하철(전철) 목적역을 입력하는 단계,
    제5단계: 정보이용료 결제단계로서, 정보이용료를 결제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을 최종 확인하는 단계,
    제6단계: 출발역 막차시간 계산단계로서, 서비스업체 서버가 제5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확인한 후에 제3단계와 제4단계에서 입력된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 정보와 서버의 지하철 막차 시간표 DB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발역의 막차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제7단계: 이벤트 생성단계로서, 제6단계에서 얻어진 출발역 막차시간 정보와 제2단계에서 입력된 이동전화 번호를 서버의 이용자 DB에 저장하고 서비스 정책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막차시간 몇분전에 지하철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
    제8단계: 이벤트 활성화단계로서, 제7단계에서 생성된 이벤트가 활성화되는 단계.
  2. 이동전화 단말기, 인터넷이 가능한 PC, 이동통신망, 인터넷망, 그리고 서비스업체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비스업체 서버는 지하철 막차 시간표 DB, 이용자 DB를 포함하고, 이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 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제1단계: 서비스 접속단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원하는 이동전화 이용자가 PC의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업체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제2단계: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로서, PC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제3단계: 출발역, 환승역 입력단계로서, PC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지하철(전철) 출발역과 환승역이 있을 경우에는 환승역을 입력하는 단계,
    제4단계: 목적역 입력단계로서, PC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지하철(전철) 목적역을 입력하는 단계,
    제5단계: 정보이용료 결제단계로서, 정보이용료를 결제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을 최종 확인하는 단계,
    제6단계: 출발역 막차시간 계산단계로서, 서비스업체 서버가 제5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확인한 후에 제3단계와 제4단계에서 입력된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 정보와 서버의 지하철 막차 시간표 DB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발역의 막차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제7단계: 이벤트 생성단계로서, 제6단계에서 얻어진 출발역 막차시간 정보와 제2단계에서 입력된 이동전화 번호를 서버의 이용자 DB에 저장하고 서비스 정책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막차시간 몇분전에 지하철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
    제8단계: 이벤트 활성화단계로서, 제7단계에서 생성된 이벤트가 활성화되는 단계.
  3. 이동전화 단말기, 유선전화, 음성인식 ARS 시스템, 이동통신망, 그리고 서비스업체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비스업체 서버는 지하철 막차 시간표 DB, 이용자 DB를 포함하고, 이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 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제1단계: 서비스 접속단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원하는 이동전화 이용자가 유선전화나 이동전화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체의 ARS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제2단계: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로서, 이동전화 단말기 또는 유선전화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동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제3단계: 출발역, 환승역 입력단계로서, 음성으로 자신의 지하철(전철) 출발역과 환승역이 있을 경우에는 환승역을 입력하는 단계,
    제4단계: 목적역 입력단계로서, 음성으로 자신의 지하철(전철) 목적역을 입력하는 단계,
    제5단계: 정보이용료 결제단계로서, 정보이용료를 결제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을 최종 확인하는 단계,
    제6단계: 출발역 막차시간 계산단계로서, 서비스제공업체 서버가 제5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확인한 후에 제3단계와 제4단계에서 입력된 출발역, 환승역, 목적역 정보와 서버의 지하철 막차 시간표 DB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발역의 막차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제7단계: 이벤트 생성단계로서, 제6단계에서 얻어진 출발역 막차시간 정보와 제2단계에서 입력된 이동전화 번호를 서버의 이용자 DB에 저장하고 서비스 정책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막차시간 몇분전에 지하철 막차시간 임박을 알리는 단축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
    제8단계: 이벤트 활성화단계로서, 제7단계에서 생성된 이벤트가 활성화되는 단계.
  4. 청구항 1,2,3에서, 상기 제6단계는
    환승역이 있는 경우에는, 목적역과 환승역 정보를 이용하여 환승역에서 목적역까지 갈 수 있는 지하철(전철) 막차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환승역 막차 시간 정보에 의해 출발역의 막차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또는 환승역이 없을 경우에는, 목적역과 출발역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역의 막차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이동전화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 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KR1020020002921A 2002-01-18 2002-01-18 이동전화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KR20030062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921A KR20030062618A (ko) 2002-01-18 2002-01-18 이동전화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921A KR20030062618A (ko) 2002-01-18 2002-01-18 이동전화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618A true KR20030062618A (ko) 2003-07-28

Family

ID=3221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921A KR20030062618A (ko) 2002-01-18 2002-01-18 이동전화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26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3930C (zh) * 2004-03-12 2008-01-23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一种利用便携式终端机提供交通信息的装置及方法
KR101532675B1 (ko) * 2014-02-04 2015-07-01 현대로템 주식회사 지하철의 막차 알림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3930C (zh) * 2004-03-12 2008-01-23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一种利用便携式终端机提供交通信息的装置及方法
KR101532675B1 (ko) * 2014-02-04 2015-07-01 현대로템 주식회사 지하철의 막차 알림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akewood et al. A literature review of the passenger benefits of real-time transit information
US109227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voidance of parking violations
JP516983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101336318B1 (ko) 스마트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AU20063433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language interpretation
JP2008172820A (ja) 携帯通信端末、時間情報通知システム、時間情報通知方法、時間情報通知プログラム
KR20110121591A (ko)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 이동 요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6238B1 (ko)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05900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中継装置および端末装置
CN104157162A (zh) 盲人公交语音导引系统
JP2006276940A (ja) 乗車案内システム、降車案内装置および案内端末装置
JP2002148067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102186275B1 (ko) 안심 가드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62618A (ko) 이동전화의 단축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지하철막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JP2006268604A (ja) 乗車案内システム、情報配信サーバおよび案内端末装置
KR101430716B1 (ko)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00082984A (ko) 의료 서비스와 연계된 통합 관광 서비스 실시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213342281U (zh) 乘客信息处理系统
KR20160086066A (ko) 택시 합석 가이드 방법
KR102533854B1 (ko)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70000A (ko) 스마트 여행일정관리서비스 시스템
JP201606233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169148B1 (ko) 택시 콜 서버 시스템, 그 서버 시스템을 위한 처리방법, 그 서버 시스템 처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매체
KR101168037B1 (ko) 광고를 노출하는 주차번호 연결서비스 제공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687244B1 (ko) 정류장고유번호를 기반으로 한 대중교통코스안내 시스템및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