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083A -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083A
KR20030062083A KR1020020002505A KR20020002505A KR20030062083A KR 20030062083 A KR20030062083 A KR 20030062083A KR 1020020002505 A KR1020020002505 A KR 1020020002505A KR 20020002505 A KR20020002505 A KR 20020002505A KR 20030062083 A KR20030062083 A KR 20030062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lth
basic
health care
basic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진
Original Assignee
(주)이아이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아이플러스 filed Critical (주)이아이플러스
Priority to KR102002000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2083A/ko
Publication of KR2003006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083A/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버세대 및 정기적으로 기초건강관리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기초건강관련 데이터에 의해, 처방된 전문의의 기초건강 처방정보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해당 진료기관을 찾지 않아도 기초건강관리를 서비스 받을 수 있어 시간절약 및 의료경비를 경감하게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을 포함하는 기초건강 측정 및 그 측정된 기초건강 데이터에 의한 처방과 같은 기초건강관리를 서비스 받는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상기 측정되는 기초건강 데이터를 참조하여 처방을 하는 진료기관별 소속의사들의 신상정보가 저장된 회원정보 DB(110)와, 정기적인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정기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자동응답으로 안내하여 주는 음성정보가 저장된 ARS음성정보 DB(120)와,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접속한 접속요일/시간 정보인 인증확인 내역정보, 정기적으로 전송한 기초건강 측정정보 및 그 기초건강 측정정보에 의해 전문의가 처방한 기초건강 처방정보, 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과거 병력정보가 저장된 건강측정/처방정보 DB(130)와, 정기적인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기초건강관리를 받기 위해 필요한 각종 왑페이지가 저장된 서식정보 DB(140)와, 상기 회원정보 DB(110), ARS음성정보DB(120), 건강측정/처방정보 DB(130), 서식정보 DB(140)를 운영하는 건강관리서버(100)와, 정기적인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전송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참조하여 전문의가 처방하는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생성하는 진료기관서버(200)와,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정기적인 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와 의사의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인증기관서버(300)와, 상기 건강관리서버(100)와 무선망(500)을 통하여 접속되는 생체인식이 가능한 입력수단이 구비된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와, 상기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와 직렬포트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을 측정하는 건강측정단말기(800a)와, 상기 건강관리서버(100)로 기초건강 측정정보가 전송 시, 전송되는 정보인 데이터의 전송안정성을 위해 진료기관 내 10m ∼ 15m 간격으로 설치되는 데이터 송/수신안테나(600a)를 포함하는 인터넷망(600)을 통하여 접속되는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와, 상기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와 직렬포트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기초건강을 측정하는 건강측정단말기(800b)로 구성되며; 상기 건강관리서버(100), 진료기관서버(200), 인증기관서버(300)는 네트워크(400)를 구성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The health care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버세대 및 정기적으로 기초건강관리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기초건강관련 데이터에 의해, 처방된 전문의의 기초건강 처방정보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해당 진료기관을 찾지 않아도 기초건강관리를 서비스 받을 수 있어 시간절약 및 의료경비를 경감하게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노령인구가 크게 증가하면서, 현 사회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노령인구, 즉 실버세대에게 주로 발병하게 되는 뇌졸중, 고혈압, 당뇨병 및 심장질환을 포함하는 노인성 질병은 발병 시, 합병증까지 유발할 수 있어 그 치료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현 의학도 발병에 의한 치료에서, 정기적으로 검진을 함으로써 발병 전의 예방 쪽에 주안점을 두어 발전되고 있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노인성 질병예방기관(보건소, 병·의원, 건강관리센터 등)은 한정되어 있어 급증하고 있는 실버세대에게 노인성 질병예방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정보를 실시간을 통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인터넷상에서 서비스되어 지고 있다.
인터넷상에서 실버세대의 노인성 질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웹사이트 중의 하나인 “www.silverville.co.kr”는 노인성 질병과 관련한 병의 종류, 정의, 증상 및 예방책 등의 게시와 실버세대를 위한 식생활 방법, 운동방법 및 생활습관의 게시와 노인성 질병예방기관의 연락처 게시, 또는 노인성 질병예방기관의 서버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 링크 등과 같은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인터넷상에서 노인성 질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실버세대에게 발병 가능성이 있는 질병들의 증상 및 그에 따른 문헌상의 질병 관리 등의 정보만을 제공할 뿐, 노인성질병을 예방하고자 하는 실버세대, 개개인을 위한 정기적인 기초건강진료 및 그 진료에 의한 전문의의 처방은 서비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기초건강관련 데이터를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진료기관서버에 전송하며, 전송된 기초건강관련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초건강처방 데이터를 열람가능 하도록 전송하여 줌으로써, 실버세대를 포함하는 정기적으로 기초건강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시간 및 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기초건강관련 처방을 받을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진단을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을 포함하는 기초건강 측정 및 그 측정된 기초건강 데이터에 의한 처방과 같은 기초건강관리를 서비스 받는 사용자의 성명, 주민번호, 이동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상정보 및 상기 측정되는 기초건강 데이터를 참조하여 처방을 하는 진료기관별 소속의사들의 전공의료분야, 성명정보, 주민번호, 이동전화번호가 저장된 회원정보 DB와, 정기적으로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정기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자동응답으로 안내하여 주는 음성정보가 저장된 ARS음성정보 DB와,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접속한 접속요일/시간 정보인 인증확인 내역정보, 정기적으로 전송한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을 포함하는 기초건강 측정정보 및 그 기초건강 측정정보에 의해 전문의가 처방한 기초건강 처방정보, 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과거 병력정보가 저장된 건강측정/처방정보 DB와, 정기적인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기초건강관리를 받기 위해 필요한 각종 왑페이지가 저장된 서식정보 DB와, 상기 회원정보 DB, ARS음성정보 DB, 건강측정/처방정보 DB, 서식정보 DB를 운영하는 건강관리서버와, 정기적인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전송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참조하여 전문의가 처방하는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생성하는 진료기관서버와,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정기적인 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및 의사의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인증기관서버와, 상기 건강관리서버와 무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생체인식이 가능한 입력수단이 구비된 환자용 이동단말기와, 상기 환자용 이동단말기와 직렬포트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을 측정하는 건강측정단말기와,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기초건강 측정정보가 전송 시, 전송되는 정보인 데이터의 전송안정성을 위해 진료기관 내 10m ∼ 15m 간격으로 설치되는 데이터 송/수신안테나를 포함하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의사용 이동단말기와, 상기 의사용 이동단말기와 직렬포트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을 측정하는 건강측정단말기로 구성되며; 상기 건강관리서버, 진료기관서버, 인증기관서버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초건강진단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버세대 및 정기적인 기초건강진료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기초건강측정 및 그 측정된 정보를 이용한 전문의의 처방을 받기 위해, 환자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건강관리서버로 접속하는 단계(S100)와, 지문, 홍채, 또는 망막을 인식할 수 있는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110)와, 건강관리서버에 등록된 회원인지 확인하는 단계(S120)와, 건강관리서버에 등록된 회원이 아닌 경우, 회원 가입(S125)을 하고, 건강관리서버에 등록된 회원인 경우, 인증확인 내역정보를 건강관리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130)와,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과 같은 사용자의 기초건강을 건강측정단말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0)와,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환자용 이동단말기를 통하여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50)와, 상기 전송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건강측정/처방정보 DB에 저장함과 동시에 진료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60)와, 상기 전송된 기초건강 측정정보에 의해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70)와, 상기생성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S180)와, 상기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환자용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90)와, 상기 전송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열람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기초건강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진단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의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진료기관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들의 기초건강측정 및 그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의가 처방을 하기 위해, 의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건강관리서버로 접속하는 단계(S300)와, 지문, 홍채, 또는 망막을 인식할 수 있는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310)와, 회원인증에 의해, 생성되는 인증확인 내역정보를 건강관리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320)와, 진료기관별 회원목록에서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과 같은 기초건강측정이 필요한 해당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S330)와, 상기 선택된 해당 환자의 기초건강을 건강측정단말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40)와,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측정정보에 의해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50)와,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S360)와, 상기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환자용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370)와, 상기 전송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열람하는 단계(S380)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도 제시한다.
도 1은 실버세대 및 정기적인 기초건강진료가 필요한 사용자가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기초건강측정 및 그 측정된 정보를 이용한 전문의의 처방을 받기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시스템,
도 2는 실버세대 및 정기적인 기초건강진료가 필요한 사용자가 환자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기초건강측정 및 그 측정된 정보를 이용한 전문의의 처방을 받기 위해 필요한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의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진료기관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들의 기초건강측정 및 그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의가 처방을 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건강관리서버110 : 회원정보 DB
120 : ARS음성정보 DB130 : 건강측정/처방정보 DB
200 : 진료기관서버300 : 인증기관서버
400 : 네트워크500 : 무선망
600 : 인터넷망600a : 데이터 송/수신안테나
700a : 환자용 이동단말기700b : 의사용 이동단말기
800a,800b : 건강측정단말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버세대 및 정기적인 기초건강진료가 필요한 사용자가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기초건강측정 및 그 측정된 정보를 이용한 전문의의 처방을 받기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건강관리 시스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강관리시스템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을 포함하는 기초건강 측정 및 그 측정된 기초건강에 의한 처방과 같은 기초건강관리를 서비스 받는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상기 측정되는 기초건강 데이터를 참조하여 처방을 하는 의사가 진료기관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회원정보 DB(110)와, 정기적으로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정기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자동응답으로 안내하여 주는 음성정보가 저장된 ARS음성정보 DB(120)와,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접속한 접속요일/시간 정보인 인증확인 내역정보, 정기적으로 전송한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을 포함하는 기초건강 측정정보 및 그 기초건강 측정정보에 의해 전문의가 처방한 기초건강 처방정보, 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과거 병력정보가 저장된 건강측정/처방정보 DB(130)와, 정기적인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기초건강관리를 받기 위해 필요한 각종 왑(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페이지가 저장된 서식정보 DB(140)와, 상기 회원정보 DB(110), ARS음성정보 DB(120), 건강측정/처방정보 DB(130), 서식정보 DB(140)를 운영하는 건강관리서버(100)와, 정기적인 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전송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참조하여 전문의가 처방하는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생성하는진료기관서버(200)와,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정기적인 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인증기관서버(300)와, 상기 건강관리서버(100), 진료기관서버(200), 인증기관서버(300)는 네트워크(400)를 구성하며, 상기 건강관리서버(100)와 무선망(500)을 통하여 접속되는 생체인식이 가능한 입력수단이 구비된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와, 상기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와 직렬포트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을 측정하는 건강측정단말기(800a)와, 상기 건강관리서버(100)로 기초건강 측정정보가 전송 시, 전송되는 정보인 데이터의 전송안정성을 위해 진료기관 내 10m ∼ 15m 간격으로 설치되는 데이터 송/수신안테나(600a)를 포함하는 인터넷망(600)을 통하여 접속되는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와, 상기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와 직렬포트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을 측정하는 건강측정단말기(800b)로 구성된다.
상기 회원정보 DB(110)에는 실버세대 및 정기적인 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신상정보와 진료기관 소속별로 구분되는 소속의사들의 신상정보가 각각 저장되어진다.
여기서 실버세대 및 정기적인 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신상정보에는 성명, 주민번호, 연락가능 전화번호(이동전화번호 포함) 등이 저장되어지며, 진료기관별 소속의사들의 신상정보에는 의사가 소속되어 있는 전공의료분야, 성명, 주민번호, 소속진료기관 연락가능 전화번호(이동전화번호 포함) 등이 저장되어진다.
또한, 상기 진료기관별 소속의사들의 신상정보에는 정기적인 건강관리를 체크하는 사람이 간호사인 경우에는 간호사의 신상정보도 함께 저장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건강측정/처방정보 DB(130)에는 정기적인 기초건강관리 측정을 받는 사용자가 건강관리서버(100)에 접속한 접속요일/시간 별로 측정한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과 같은 기초건강 측정정보와, 상기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참조하여 진료를 하는 해당 전문의가 근무하는 진료기관의 명칭정보, 해당 전문의가 소속되어 있는 전공의료분야, 해당 전문의의 성명정보,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토대로 전문의의 진료내용을 나타내는 진료내용정보, 약 또는 약물의 지급이 필요할 경우 생성되는 처방전정보를 포함하는 기초건강 처방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해당 전문의의 소속 전공의료 분야정보 및 성명정보 등이 저장되는 주된 이유는 처방전정보 생성 시, 전문의가 처방을 하였다는 증명을 하는 인증정보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진료기관서버(200)는 노인성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실버세대 및 정기적으로 건강상태와 관련하여 처방을 내릴 수 있는 건강센터, 보건소, 병/의원이 운영하는 서버 중, 하나이다.
상기 무선망(500)은 공지화 된 기술로써, 건강관리서버(100)와 의사용 이동단말기(700a)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이동통신사업체의 서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넷망(600)에 포함되는 데이터 송/수신안테나(600a)는 장기적으로건강관리 체크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인 환자들이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건강센터, 보건소, 또는 병/의원에 10m ∼ 15m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인 불특정다수의 환자들이 건강관리서버(100)로 동시에 접속하거나, 또는 건강관리서버(100)에서 불특정 다수의 환자들에게 동시에 인터넷망(600)을 통하여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전송하여도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의 송/수신 안정성을 보장한다.
건강측정단말기(800a,800b)는 상용화 된 기술로써, 심전도, 혈압, 맥박, 혈당을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의사용 이동단말기(700a,700b)와 직렬포트로 연결되어져 측정된 기초건강 측정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
도 2는 실버세대 및 정기적인 기초건강진료가 필요한 사용자가 환자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기초건강측정 및 그 측정된 정보를 이용한 전문의의 처방을 받기 위해 필요한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버세대 및 정기적인 기초건강진료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기초건강측정 및 그 측정된 정보를 이용한 전문의의 처방을 받기 위해, 환자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건강관리서버로 접속하는 단계(S100)와, 지문, 홍채, 또는 망막을 인식할 수 있는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110)와, 건강관리서버에 등록된 회원인지 확인하는 단계(S120)와, 건강관리서버에 등록된 회원인 경우, 인증확인 내역정보를 건강관리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130)와,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과 같은 사용자의 기초건강을 건강측정단말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0)와,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환자용 이동단말기를 통하여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50)와, 상기 전송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건강측정/처방정보 DB에 저장함과 동시에 진료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60)와, 상기 전송된 기초건강 측정정보에 의해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70)와,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S180)와, 상기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환자용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90)와, 상기 전송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열람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120단계에서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에 등록된 회원이 아닌 경우, 관람자의 신상정보, 생체정보 및 병력정보 등을 서버에 등록하여 회원가입을 수행하는 단계(S125)에서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110)로 돌아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환자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적으로 기초건강을 측정하고, 측정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참조하여 전문의의 처방을 받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버세대 및 정기적인 기초건강 측정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는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셀룰러폰, PCS폰, PDA, 또는 무선 랜이 탑재된 노트북을 포함하는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를 이용하여 무선망(600)을 통하여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100)에 접속(S100)하면, 건강관리서버(100)는 서식정보 DB(140)에서 사용자가 회원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회원인증창 정보를 추출하여 무선망(500)을 통하여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로 전송한다.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는 상기 전송된 회원인증창 정보를 사용자가 열람가능하도록,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의 일측에 구비된 액정에 출력한다.
상기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의 액정에 출력된 회원인증창(WAP 페이지)에는 회원인증 시, 필요한 생체인식 입력메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에 구비된 키조작을 통하여 생체인식 입력메뉴를 클릭한 후,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700b)의 타측면에 구비된 생체인식 입력수단에 관람자의 신체 중 생체를 인식하는 부분을 접촉시키거나, 또는 일정거리로 이격하여 위치시킨 후, 일정시간을 유지하면, 생체인식 입력수단에서 사용자의 생체를 인식한 후, 인식된 관람자의 생체인식 부분을 인증기관서버(300)가 인식할 수 있게 생체인식정보로 데이터화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인증수행을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주된 이유는 사용자 개개인이 측정한 기초건강 측정정보 및 그 측정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기초건강 처방정보가 해당 개개인의 데이터베이스(건강측정/처방정보 DB)에 정확하게 누적되게 함으로써, 기존의 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한 인증과정에 있어서, ID 및 비밀번호의 입력오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진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에 입력된 해당 사용자의 생체인식정보는 무선망(500)을 통하여 건강관리서버(100)로 전송되며, 건강관리서버(100)는 전송된 생체인식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증기관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회원인증을 요청한다.
인증기관서버(300)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의 생체인식정보와 사용자가 회원가입 시, 등록한 생체인식정보와 매칭하여 동일 인물인지를 확인하는 회원인증을 수행(S110)한다.
여기서 매칭되는 생체인식정보가 없을 경우, 인증기관서버(300)는 회원인증 오류정보를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건강관리서버(100)로 전송하며, 건강관리서버(100)는 전송된 회원인증 오류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할 수 있도록, 서식정보 DB(140)에서 회원가입창 정보를 추출하여 무선망(500)을 통하여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로 전송한다.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는 상기 전송된 회원가입창 정보를 사용자가 열람가능하도록,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에 구비된 액정에 출력한다.
상기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의 액정에 출력된 회원가입창에는 사용자의 성명, 주민번호, 연락가능 전화번호 등이 입력되는 신상정보 입력난, 사용자에게 발병한 병력이 입력되는 과거 병력정보 입력난 및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을 스캔(scan)하도록, 명령하는 관람자 생체스캔메뉴 및 입력완료메뉴를 구비하며, 개개의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한 후, 입력완료메뉴를 클릭하여 무선망(600)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상정보, 과거 병력정보 및 생체인식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건강관리서버(100)는 전송된 정보 중, 신상정보는 회원정보 DB(110)에 저장하고, 과거 병력정보는 건강측정/처방정보 DB(130)에 저장하며, 또한 생체인식정보는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인증기관서버(300)로 전송하며, 인증기관서버(300)는전송된 생체인식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회원가입(S125)을 완료한다.
여기서 생체인식에 사용되는 사용자의 신체에는 홍체, 망막 또는 지문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회원인증과정을 수행하여 회원임이 판단되면, 건강관리서버(100)는 사용자가 건강관리서버(100)에 접속한 접속요일/시간 정보와 같은 인증확인 내역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건강측정/처방 정보 DB(130)에 저장(S130)한다.
이와 같이 회원 인증과정 수행 후, 사용자는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와 직렬포트로 연결된 건강측정단말기(800a)를 이용하여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과 같은 사용자의 기초건강을 측정하여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생성(S140)한다.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 측정정보는 직렬포트를 통하여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로 전송되며,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는 전송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무선망(500)을 통하여 건강관리서버(100)로 전송(S150)한다. 이와 같은 기초건강 측정정보의 전송은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에 구비된 키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건강관리서버(100)는 전송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건강측정/처방정보 DB(130)에 저장함과 동시에,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진료기관서버(200)로 전송(S160)한다.
진료기관서버(200)로 전송된 사용자의 기초건강 측정정보는 상기 진료기관서버(200)를 관리하는 관리자인 전문의에 의해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참조하여 진단한 처방내용이 데이터베이스화된 기초건강 처방정보가 생성(S170)된다.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 처방정보에는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참조하여 진료하는 해당 전문의가 근무하는 진료기관의 명칭정보, 해당 전문의가 소속되어 있는 전공의료분야, 해당 전문의의 성명정보,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토대로 전문의의 진료내용을 나타내는 진료내용정보, 약 또는 약물의 지급이 필요할 경우 생성되는 처방전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건강 처방정보에 해당 전문의가 근무하는 진료기관의 명칭정보, 해당 전문의가 소속되어 있는 전공의료분야, 해당 전문의의 성명정보가 저장되는 주된 이유는 처방전정보 생성 시, 전문의가 처방을 하였다는 증명을 하는 인증정보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진료기관서버(200)는 생성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건강관리서버(100)로 전송하며, 건강관리서버(100)는 전송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건강측정/처방정보 DB(130)에 저장(S180)함과 동시에 무선망(500)을 통하여 해당 사용자의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전송(S190)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로 전송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열람(S200)한 후, 처방전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는 처방전정보에 의해 약국에서 약의 조제가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가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를 이용하여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열람 시, 측정된 사용자의 기초건강 측정정보인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을 각각 일별, 또는 월별로 구분하여 그래픽의 이미지로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료기관을 찾지 않아도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기초건강관리를 서비스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간 절약 및 의료경비의 경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100)에는 ARS 음성정보 DB(120)를 구비하여 실버세대 및 정기적으로 기초건강을 측정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기초건강 측정에서부터 처방까지의 일련의 과정들이 상기 ARS 음성정보 DB(120)에서 추출되는 음성정보의 안내에 따라 보다 쉽게 기초건강 측정 및 처방을 받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ARS 자동응답을 이용한 건강측정 및 처방과정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므로 여기서는 언급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의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진료기관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들의 기초건강측정 및 그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의가 처방을 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진료기관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들의 기초건강측정 및 그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의가 처방을 하기 위해, 의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건강관리서버로 접속하는 단계(S300)와, 지문, 홍채, 또는 망막을 인식할 수 있는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310)와, 회원인증에 의해, 생성되는 인증확인 내역정보를 건강관리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320)와, 진료기관별 회원목록에서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과 같은 기초건강측정이 필요한 해당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S330)와, 상기 선택된 해당 환자의 기초건강을 건강측정단말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40)와,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측정정보에 의해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50)와,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S360)와, 상기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환자용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370)와, 상기 전송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열람하는 단계(S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의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적으로 환자들의 기초건강을 측정하고, 측정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참조하여 전문의가 기초건강 처방정보의 생성 및 환자들의 환자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의 기술에 있어서, 상기 언급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회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건강센터 및 병/의원과 같은 진료기관에서 장기적인 치료를 받는 다수의 환자들이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과 같은 기초건강측정이 필요한 경우, 기초건강 측정을 받는 환자 개개인마다, 측정된 기초건강자료들을 입력해야 함으로써,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여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정기검진을 하는 전문의인 의사에게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버(100)에 접속이 가능한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를 제공하고, 의사는 상기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를 이용하여 무선망(600)을 인터넷망(600)을 통하여 건강관리서버(100)에 접속(S300)한다.
이때, 의료기관내에 기초건강측정을 하는 환자들이 많을 경우, 건강관리서버(100)로 전송되는 기초건강 측정정보인 데이터의 전송안정성을 위해 진료기관 내 10m ∼ 15m 간격으로 설치되는 데이터 송/수신안테나(600a)를 설치한다.
상기 건강관리서버(100)에 접속한 후, 수행되는 의사의 인증과정에 있어서, 의사가 인증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인 회원가입은 의사 개개인이 개인적으로 가입하는 것이 아니라, 진료기관 단체별로 가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강관리서버(100)가 운영하는 회원정보 DB(110)에 저장된 의사의 신상정보도 진료기관별로 구분되어 저장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의사가 본 건강관리서버(100)의 진료기관에 속해 있는 의사임이 판명되면, 건강관리서버(100)는 의사가 건강관리서버(100)에 접속한 접속요일/시간 정보와 같은 인증확인 내역정보를 해당 의사의 회원정보 DB(110)에 저장(S130)함과 동시에 건강관리서버(100)는 상기 해당 의사의 전공의료분야에 속하며, 상기 해당 의사에게 정기적인 기초건강관리 측정을 받는 환자인 사용자의 목록정보를 추출하여 인터넷망(600)을 통하여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원정보 DB(110)에 저장되어 있는 진료기관에 입원하고 있는 사용자의 신상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입원하고 있는 진료기관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상위 디렉토리 상에 개개의 진료기관별로 구분하고, 상기 개개의 진료기관별로 구분된 디렉토리의 하부 디렉토리에는 개개의 전공의료분야로 구분하고, 상기 개개의 전공의료분야로 구분된 디렉토리의 하부디렉토리에 다시 해당 의사의 전공의료분야에 포함되고, 그 의사의 디렉토리 내에 정기적인 기초건강관리 측정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가 저장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로 전송된 사용자의 목록정보는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의 액정(미도시)에 출력되어지며, 의사는 기초건강측정을 받고자 하는 해당 사용자의 목록을 키조작을 통하여 선택(S230)하고,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와 직렬포트로 연결된 건강측정단말기(800b)를 이용하여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과 같은 사용자의 기초건강을 측정하여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생성(S240)한다.
의사는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기초건강처방진단을 내린 후에, 상기 내려진 기초건강처방진단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생성(S250)한다.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 처방정보에는 상기 도 2에서 생성된 기초건강 처방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되어진다.
여기서 의사가 아닌 간호사가 건강측정단말기(800b)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기초건강을 측정할 경우, 상기 생성되는 기초건강 처방정보에는 의사와 관련된 정보가 상기 간호사의 신상정보로 대체되어진다.
또한, 의사는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처방 정보를 키조작을 통하여 건강관리서버(100)로 전송요청을 하면,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에 래치되어 있던 기초건강 처방정보는 데이터 송/수신안테나(600a)로 송신되어 인터넷망(600)을 통하여 건강관리서버(100)로 전송된다.
건강관리서버(100)는 상기 전송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건강측정/처방정보 DB(130)에 저장(S260)함과 동시에, 해당 사용자의 이동단말기(700a)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전송(S270)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로 전송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열람(S200)한 후, 처방전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는 처방전정보에 의해 약국에서 약의 조제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에는 건강측정단말기(800a)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버세대 및 정기적으로 기초건강관리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기초건강관련 데이터에 의해, 처방된 전문의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열람을 할 수 있도록 전송하여 줌으로써,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기초건강관리를 서비스 받을 수 있으며, 더욱이 진료기관을 찾지 않아도 기초건강관리를 서비스 받을 수 있어 의료경비를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진단을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을 포함하는 기초건강 측정 및 그 측정된 기초건강 데이터에 의한 처방과 같은 기초건강관리를 서비스 받는 사용자의 성명, 주민번호, 이동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상정보 및 상기 측정되는 기초건강 데이터를 참조하여 처방을 하는 진료기관별 소속의사들의 전공의료분야, 성명정보, 주민번호, 이동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상정보가 저장된 회원정보 DB(110)와,
    정기적인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자동응답으로 안내하여 주는 음성정보가 저장된 ARS음성정보 DB(120)와,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접속한 접속요일/시간 정보인 인증확인 내역정보, 정기적으로 전송한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을 포함하는 기초건강 측정정보 및 그 기초건강 측정정보에 의해 전문의가 처방한 기초건강 처방정보, 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과거 병력정보가 저장된 건강측정/처방정보 DB(130)와,
    정기적인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기초건강관리를 받기 위해 필요한 각종 왑페이지가 저장된 서식정보 DB(140)와,
    상기 회원정보 DB(110), ARS음성정보 DB(120), 건강측정/처방정보 DB(130),서식정보 DB(140)를 운영하는 건강관리서버(100)와,
    정기적인 기초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전송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참조하여 전문의가 처방하는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생성하는 진료기관서버(200)와,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정기적인 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및 의사의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인증기관서버(300)와,
    상기 건강관리서버(100)와 무선망(500)을 통하여 접속되는 생체인식이 가능한 입력수단이 구비된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와,
    상기 환자용 이동단말기(700a)와 직렬포트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을 측정하는 건강측정단말기(800a)와,
    상기 건강관리서버(100)로 기초건강 측정정보가 전송 시, 전송되는 정보인 데이터의 전송안정성을 위해 진료기관 내 10m ∼ 15m 간격으로 설치되는 데이터 송/수신안테나(600a)를 포함하는 인터넷망(600)을 통하여 접속되는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와,
    상기 의사용 이동단말기(700b)와 직렬포트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을 측정하는 건강측정단말기(800b)로 구성되며;
    상기 건강관리서버(100), 진료기관서버(200), 인증기관서버(300)는 네트워크(40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2.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진단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버세대 및 정기적인 기초건강진료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기초건강측정 및 그 측정된 정보를 이용한 전문의의 처방을 받기 위해, 환자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건강관리서버로 접속하는 단계(S100)와,
    지문, 홍채, 또는 망막을 인식할 수 있는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110)와,
    건강관리서버에 등록된 회원인지 확인하는 단계(S120)와,
    건강관리서버에 등록된 회원이 아닌 경우, 회원 가입(S125)을 하고, 건강관리서버에 등록된 회원인 경우, 인증확인 내역정보를 건강관리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130)와,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과 같은 사용자의 기초건강을 건강측정단말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0)와,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환자용 이동단말기를 통하여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50)와,
    상기 전송된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건강측정/처방정보 DB에 저장함과 동시에 진료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60)와,
    상기 전송된 기초건강 측정정보에 의해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70)와,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S180)와,
    상기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환자용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90)와,
    상기 전송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열람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3.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진단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의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진료기관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들의 기초건강측정 및 그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의가 처방을 하기 위해, 의사용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건강관리서버로 접속하는 단계(S300)와,
    지문, 홍채, 또는 망막을 인식할 수 있는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회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310)와,
    회원인증에 의해, 생성되는 인증확인 내역정보를 건강관리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320)와,
    진료기관별 회원목록에서 심전도, 혈압, 혈당 및 맥박 등과 같은 기초건강측정이 필요한 해당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S330)와,
    상기 선택된 해당 환자의 기초건강을 건강측정단말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기초건강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40)와,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측정정보에 의해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50)와,
    상기 생성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S360)와,
    상기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환자용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370)와,
    상기 전송된 기초건강 처방정보를 열람하는 단계(S3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KR1020020002505A 2002-01-16 2002-01-16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62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505A KR20030062083A (ko) 2002-01-16 2002-01-16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505A KR20030062083A (ko) 2002-01-16 2002-01-16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083A true KR20030062083A (ko) 2003-07-23

Family

ID=3221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505A KR20030062083A (ko) 2002-01-16 2002-01-16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20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25B1 (ko) * 2005-07-13 2007-04-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구취/공기 오염 감지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WO2008060043A1 (en) * 2006-11-15 2008-05-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motivating physical exercise using an instant message
KR100914633B1 (ko) * 2007-07-03 2009-09-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25425B1 (ko) * 2004-06-28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131A (ko) * 2000-07-27 2001-02-05 박정일 인터넷 모바일을 신용카드 대용으로 사용하는 방법,개인용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010035237A (ko) * 2001-01-20 2001-05-07 이영기 이동 통신과 네트웍 기술을 연계하여 맥박 등 생체 관련정보를 진단, 분석, 관리하는 방법
KR20010044501A (ko) * 2001-02-28 2001-06-05 천영선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및 그 방법
KR20010095395A (ko) * 2000-03-30 2001-11-07 정윤섭 원격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용 각종 개인 건강정보 측정용 단말기
KR20010097151A (ko) * 2000-04-20 2001-11-08 이광호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7545A (ko) * 2001-04-03 2001-12-07 경두수 지문인식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지문인식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395A (ko) * 2000-03-30 2001-11-07 정윤섭 원격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용 각종 개인 건강정보 측정용 단말기
KR20010097151A (ko) * 2000-04-20 2001-11-08 이광호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08131A (ko) * 2000-07-27 2001-02-05 박정일 인터넷 모바일을 신용카드 대용으로 사용하는 방법,개인용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010035237A (ko) * 2001-01-20 2001-05-07 이영기 이동 통신과 네트웍 기술을 연계하여 맥박 등 생체 관련정보를 진단, 분석, 관리하는 방법
KR20010044501A (ko) * 2001-02-28 2001-06-05 천영선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및 그 방법
KR20010107545A (ko) * 2001-04-03 2001-12-07 경두수 지문인식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지문인식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425B1 (ko) * 2004-06-28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KR100708525B1 (ko) * 2005-07-13 2007-04-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구취/공기 오염 감지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WO2008060043A1 (en) * 2006-11-15 2008-05-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motivating physical exercise using an instant message
KR100914633B1 (ko) * 2007-07-03 2009-09-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8999B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personal health digitizers
US8285560B2 (en) Method for remote medical consultation and care
US6206829B1 (en) Computerized medical diagnostic and treatment advice system including network access
US6022315A (en) Computerized medical diagnostic and treatment advice system including network access
CN110442732A (zh) 一种智能导医方法、系统及存储介质
CA2260838A1 (en) Computerized medical diagnostic and treatment advice system including network access
EP1779280A2 (en) Association of data entries with patient records, customized hospital discharge instructions, and charting by exception for a computerized medical record system
Kudratillayev et al. Scrutiny the effectiveness of using new telehealth methods for primary diagnostics
KR100737382B1 (ko)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EP4128271A1 (en) Fully autonomous medical solution (mydoctor)
US202103344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Negation Expression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KR20040008262A (ko) 의료정보 제공장치 및 휴대 전화기
JP2002049693A (ja) 病気のチェックシステム
KR20030062083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477322A (zh) 一种医疗问诊系统
CN112750512A (zh) 数据处理方法、客户端、服务器、系统及存储介质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61618A (ko) 건강검진 서비스 관리방법
KR20070106942A (ko) 의료 예상 진단 서비스 방법
Hao et al. [Retracted] Design and Optimization of Urinary Real‐Time Nursing Model Based on Medical Internet of Things
Na et al. Designing digital therapeutic content using chronic disease data: a focus on improving urinary dysfunction
CN113903446A (zh) 一种智能服药和血压监控的健康管理系统
CN211628709U (zh) 一种多功能医疗服务系统
KR20100045923A (ko) 데이터베이스 기반 유헬스 널싱 센터를 구비하는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
KR20070055895A (ko)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