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501A -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501A
KR20010044501A KR1020010010531A KR20010010531A KR20010044501A KR 20010044501 A KR20010044501 A KR 20010044501A KR 1020010010531 A KR1020010010531 A KR 1020010010531A KR 20010010531 A KR20010010531 A KR 20010010531A KR 20010044501 A KR20010044501 A KR 20010044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lth care
mobile communication
care ser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979B1 (ko
Inventor
천영선
조기배
김대순
Original Assignee
천영선
김대순
조기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영선, 김대순, 조기배 filed Critical 천영선
Priority to KR10-2001-001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979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하여 건강관리서비스를 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의 개인건강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장치를 일체로 구성하고 감지장치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에 전송하면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은 개인건강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된 자료와 관련된 건강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이용자컴퓨터의 웹브라우저 상에 제공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서비스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USING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OR INTERNET}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하여 건강관리서비스를 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의 개인건강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장치를 일체로 구성하고 감지장치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에 전송하면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은 개인건강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된 자료와 관련된 건강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이용자컴퓨터의 웹브라우저 상에 제공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서비스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용자의 보행에 따른 진동을 감지하여 이용자가 일정한 시간동안에 보행한 보행수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시켜주는 일명 만보기라는 보행수측정기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보행수측정기는 디스플레이되는 일정한 시간동안의 보행수를 이용자가 단지 일회성으로 확인하는 것에 불과하며 이용자가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개인건강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보행수 뿐만 아니라 동시에 심장박동수 같은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어왔다. 또 한편 최근에 개인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같은 개인건강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개인의 건강관리를 주기적으로 서비스해 줄 뿐만 아니라 개인의 건강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비스해주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절실히 필요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에 의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에게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같은 개인건강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이용자가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각종 개인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에게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같은 개인건강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개인의 건강관리를 주기적으로 서비스해 줄 뿐만 아니라 개인의 건강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비스해주는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감지장치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방법의 정보데이터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시스템으로서, 진동센서부, 저주파수신부, 복수의 입력단, 저장매체, 직렬/병렬포트, 마이크로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 감지장치의 직렬/병렬포트에 접속되며, 직렬/병렬포트, 마이크로프로세서부, 송신부, 수신부, 듀플랙서, 안테나를 포함하며, 감지장치로부터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기지국에 정보데이터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이용자컴퓨터; 이용자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데이터저장수단에 접근하여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건강관리프로그램을 탑재한 운영자웹서버와 데이터저장수단에 데이터를 직접 기록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서버를 포함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을 포함하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정보데이터신호는 기지국, 기지국제어기, 교환기의 무선채널을 통해 공중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공중데이터교환망(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등의 통신망을 거쳐 데이터베이스서버를 통해 데이터저장수단에 기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는 건강관리시스템의 감지장치로서, 이용자가 걸을 때마다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펄스신호로 변환하여주는 진동센서부; 진동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펄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 이용자의 심장박동시에 발생하는 저주파신호를 수신하여 펄스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저주파수신부; 저주파수신부에서 수신된 저주파펄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 각각의 입력단을 통해서 입력된 진동펄스신호 및 저주파펄스신호를 전송 받아 각 신호들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진동펄스신호로 이용자의 보행수를 계수하고 저주파펄스신호로 이용자의 심장박동수를 계수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감지장치의 전체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 마이크로프로세서부에 연결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된 정보데이터나 외부의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직렬/병렬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건강관리시스템의 이동통신단말기로서, 감지장치의 직렬/병렬포트에 접속되어 감지장치로부터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직렬/병렬포트, 직렬/병렬포트를 통해 전송된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신호를 변조하고 증폭하기 위한 송신부, 송신부의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듀플렉서, 이동통신기지국으로부터 안테나를 거쳐 상기 듀플렉서를 통해 분리된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복조하는 수신부, 직렬/병렬포트 및 송/수신부에 각각 연결되어 직렬/병렬포트로/로부터의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신호와 송/수신부로/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감지장치는 각각의 직렬/병렬포트를 통해 결합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방법으로서,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이용자컴퓨터, 감지장치와 일체화로 결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이용자시스템, 이용자컴퓨터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고 데이터저장수단에 연결되며 건강관리프로그램을 탑재한 운영자웹서버 및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데이터저장수단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서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을 이용하는 건강관리서비스방법으로서, 이용자시스템은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사이트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후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비스회원등록화면을 통해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번호를 포함하는 회원등록정보를 입력하여 회원등록하는 단계; 입력된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번호를 포함한 회원등록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되고,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은 회원에게 이동통신단말기번호와 대응되는 회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개인식별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이용자시스템의 이용자는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보행에 따른 보행수 및 이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여 감지장치내의 저장매체에 측정된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감지장치와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를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번호와 함께 무선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전송하고 전송된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데이터와 이동통신단말기번호를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 데이터저장수단에 기록하여 저장하거나,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이용자컴퓨터를 이용하여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사이트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후 건강관리프로그램에 따라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에 만보기/심장박동측정장치 또는 감지장치를 통해 측정된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를 이용자이동통신단말기번호 또는 개인식별번호와 함께 입력하면 입력된 데이터는 인터넷망을 통해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웹서버에 전송되어 관계형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 데이터저장수단에 기록되어 저장되는 단계; 무선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건강관리시스템의 데이터저장수단에 전송되어 저장된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를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은 건강관리프로그램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은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이용자의 건강상태분석정보 및 건강상태분석정보와 관련되는 건강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조회화면을 이용자컴퓨터의 웹브라우저 상에 제공하는 단계; 이용자컴퓨터의 이용자는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사이트에 인터넷접속하여 조회화면에 로그인하고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번호 또는 개인식별번호를 입력하여 회원조회를 하면, 건강관리시스템은 입력된 이동통신단말기번호 또는 개인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이용자의 건강상태분석정보 및 건강상태분석정보와 관련되는 건강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이용자컴퓨터의 웹브라우저 상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와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보행에 따른 보행수를 측정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한다는 것은 이용자가 활동할 때 발생하는 모든 진동을 감지하고 모든 진동 중에서 이용자가 보행이나 운동할 때 발생되는 진동만을 계수하고, 보행수의 측정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한 때부터 시작하여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기록하며,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기록된 보행수를 날짜 및 시간 데이터와 함께 기록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와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심장박동에 따른 심장박동수를 측정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한다는 것은 이용자의 심장이 박동할 때 발생하는 저주파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저주파신호의 진폭을 변/복조하여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계수하고, 연속적인 심장박동수를 일정회수 이상 계수하여 일정회수의 평균값을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산정하며, 심장박동수의 측정은 이용자가 일정한 시간동안 활동을 한 후에 측정을 시작하며,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산정된 심장박동수를 날짜 및 시간 데이터와 함께 기록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일정한 시간간격은 1시간 간격이며,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한 시간이 24시간 이상일 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타이머부를 이용하여 오전 9시에 측정을 시작하고 당일 오후 8시에 측정을 종료하게 기본설정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속적인 심장박동수를 일정회수 계수한다는 것의 일정회수는 5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이용자의 건강상태분석정보는 이용자의 당일 운동량, 소모칼로리, 다이어트효과 같은 정보이며, 상기 건강상태분석정보와 관련되는 건강정보는 타사이트와 연계되는 건강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은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이용자의 건강상태분석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서비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감지장치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1과 도 2를 설명함에 있어, 연결되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도 1과 도 2를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우선 도 2에서 예시된 이용자시스템(100)의 감지장치(103)는 진동센서부(301)로 이용자가 걸을 때마다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펄스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펄스신호를 입력단(302)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부(305)에 전송하고, 저주파수신부(303)로 이용자의 심장박동시에 발생하는 저주파신호를 수신하여 펄스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펄스신호를 입력단(304)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부(305)에 전송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부(305)는 이들 진동센서부(301) 및 저주파수신부(303)로부터 각각 펄스신호를 받아 이들 펄스신호들의 이상여부를 판별한 후, 진동펄스신호로 이용자의 보행수를 계수하고 저주파펄스신호로 이용자의 심장박동수를 계수하여 저장매체(E2PROM)(306)에 저장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부(305)에 각각 접속된 직렬포트(307)/병렬포트(308)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4)의 마이크로프로세서부(403)에 접속된 직렬포트(401)/병렬포트(402)와 각각 접속한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4)의 마이크로프로세서부(403)의 제어신호에 따라 직렬포트(401)/병렬포트(402)를 통해 감지장치(103)로부터 입력된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부(403)에 접속되어 있는 송신부(404)에 의해 변조하고 증폭한 후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번호와 함께 , 송신부(404)와 접속된 듀플렉서(405)로 보내고, 듀플렉서(405)는 이 신호를 안테나(AT)를 통해 무선통신망의 이동통신기지국과 통신하여 전송한다. 이때 이동통신기지국에 전송된 이용자의 보행수데이터, 심장박동수데이터, 및 이동통신단말기번호데이터는 기지국제어기 및 교환기를 거쳐 공중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공중데이터교환망(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등의 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의 데이터베이스서버(204)를 거쳐 데이터저장수단(203)에 기록되어 저장된다.
한편 도 2의 감지장치(103)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104)를 이용하여 자신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를 측정한 이용자시스템(100)의 이용자는 이용자컴퓨터(102)의 웹브라우저를 이용하고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기반 인터넷망을 통하여 물리적으로는 LAN(Local Area Network)라인 또는 모뎀을 사용하는 전화라인을 통하여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의 운영자웹서버(201)에 인터넷 접속을 하며, 운영자웹서버(201)는 인터넷 연결이 요청되면 건강관리서비스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이용자컴퓨터(102)의 웹브라우저화면에 출력하고, 이용자컴퓨터(102)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는 운영자웹서버(201)에 탑재된 건강관리프로그램(202)에 따라 관계형데이터베이스(RDB; Relational DataBase)를 거쳐 데이터저장수단(203)에 실시간으로 저장되거나 독출되어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방법의 정보데이터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3과 도 4를 설명함에 있어, 중복되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도 3과 도 4를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강관리서비스체계는 감지장치(103)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104)와 이용자컴퓨터(102)를 포함하는 이용자시스템(100), 데이터저장수단(203)에 연결되며 건강관리프로그램(202)을 탑재한 운영자웹서버(201)와 데이터저장수단(203)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서버(204)를 포함하는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으로 구성된다.
우선, 이용자시스템(100)의 이용자는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건강관리서비스화면에 로그인 접속하면(S11, S101),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은 건강관리서비스회원등록화면을 이용자컴퓨터(102)의 웹브라우저 상에 제공하고(S12), 이용자는 건강관리서비스회원등록화면을 통해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번호와 함께 회원등록정보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등록하면(S13, S102), 입력된 데이터정보는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의 운영자웹서버(201)와 관계형데이터베이스를 거쳐 데이터저장수단(203)에 저장되고(S14),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은 회원으로 등록한 이용자에게 이동통신단말기번호와 대응되는 건강관리서비스에 등록된 회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개인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장치(103)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104)의 사용방법에 대한 안내문을 제공하며(S15, S103), 이용자시스템(100)의 이용자는 감지장치(103)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104)의 사용방법에 대한 안내문에 따라 감지장치(103)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104)를 사용함으로써 감지장치(103)에 의해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가 측정되어 저장되고(S16, S104), 측정되어 저장된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신호와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번호신호는 감지장치(103)와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104)에 의해 이동통신기지국에 전송되고(S17, S105), 이동통신기지국에 전송된 이 데이터신호들은 기지국제어기 및 교환기를 거쳐 공중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공중데이터교환망(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등의 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의 데이터베이스서버(204)에 전송되어 데이터저장수단(203)에 기록되어 저장된다(S18, S106). 만약 이용자시스템(100)의 이용자가 감지장치(103)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104)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일 때는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건강관리서비스화면의 개인건강데이터입력창을 통하여 수동으로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만보기 및 심장박동측정장치를 사용한 후 측정된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S16), 혹은 감지장치(103)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104)의 사용방법에 대한 안내문에 따라 감지장치(103)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104)를 사용한 후 이동통신단말기(104)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나타나는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S16)를 이용자이동통신단말기번호 또는 개인식별번호와 함께 입력하면(S17), 인터넷을 통해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의 운영자웹서버(201)와 관계형데이터베이스를 거쳐 데이터저장수단(203)에 전송되어 저장된다(S18). 이와 같이 무선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의 데이터저장수단(203)에 전송되어 저장된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를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은 건강관리프로그램(202)에 따라 분석하고(S19, S107),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은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이용자의 건강상태분석정보 및 건강상태분석정보와 관련되는 건강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조회화면을 이용자컴퓨터(102)의 웹브라우저 상에 제공한다(S20). 한편 이용자컴퓨터(102)의 이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분석정보 및 건강정보를 조회하고자 할 때,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의 사이트에 접속한 후 개인건강관리서비스조회화면에 로그인하여 회원조회창을 통해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번호나 개인식별번호를 입력하여 회원조회를 하면(S21),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은 데이터저장수단(203)에 있는 회원정보테이블에서 회원임을 체크하여 회원인증을 하고(S22), 이용자컴퓨터(102)의 이용자는 개인건강관리서비스조회화면을 통해 건강상태분석정보 및 건강정보조회를 요청하여(S23) 전송하면,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200)은 입력된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번호나 개인식별번호에 해당되는 이용자의 건강상태분석정보 및 건강정보를 검색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며(S24, S108), 이용자는 자신의 건강상태분석정보 및 건강정보를 조회한다(S25, S109).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이용자는 매일 연속적으로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이 측정된 개인건강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개인의 건강관리서비스를 주기적 및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개인건강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관련 건강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건강관리시스템으로서,
    진동센서부, 저주파수신부, 복수의 입력단, 저장매체, 직렬/병렬포트, 마이크로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의 직렬/병렬포트에 접속되며, 직렬/병렬포트, 마이크로프로세서부, 송신부, 수신부, 듀플랙서,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기지국에 상기 정보데이터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이용자컴퓨터; 및
    상기 이용자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데이터저장수단에 접근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이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건강관리프로그램을 탑재한 운영자웹서버와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데이터를 직접 기록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서버를 포함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정보데이터신호는 무선통신망을 거쳐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를 통해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기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이용자가 걸을 때마다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펄스신호로 변환하여주는 진동센서부; 상기 진동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펄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 이용자의 심장박동시에 발생하는 저주파신호를 수신하여 펄스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저주파수신부; 상기 저주파수신부에서 수신된 저주파펄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 상기 각각의 입력단을 통해서 입력된 진동펄스신호 및 저주파펄스신호를 전송 받아 각 신호들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진동펄스신호로 이용자의 보행수를 계수하고 상기 저주파펄스신호로 이용자의 심장박동수를 계수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감지장치의 전체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정보데이터나 외부의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직렬/병렬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감지장치의 직렬/병렬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직렬/병렬포트, 상기 직렬/병렬포트를 통해 전송된 상기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신호를 변조하고 증폭하기 위한 송신부, 상기 송신부의 상기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듀플렉서, 상기 이동통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안테나를 거쳐 상기 듀플렉서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복조하는 수신부, 상기 직렬/병렬포트 및 상기 송/수신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직렬/병렬포트로/로부터의 상기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신호와 상기 송/수신부로/로부터의 상기 데이터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시스템.
  4. 제 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감지장치는 각각의 직렬/병렬포트를 통해 결합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망은 기지국, 기지국제어기, 교환기의 무선채널을 통해 공중전화망, 종합정보통신망, 공중데이터교환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시스템.
  6.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이용자컴퓨터, 감지장치와 일체화로 결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이용자시스템, 상기 이용자컴퓨터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고 데이터저장수단에 연결되며 건강관리프로그램을 탑재한 운영자웹서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서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을 이용하는 건강관리서비스방법으로서,
    상기 이용자시스템은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사이트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후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비스회원등록화면을 통해 상기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번호를 포함하는 회원등록정보를 입력하여 회원등록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번호를 포함한 회원등록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되고,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은 상기 회원에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번호와 대응되는 상기 회원임을 식별하기 위한 개인식별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시스템의 이용자는 상기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보행에 따른 보행수 및 이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여 상기 감지장치내의 저장매체에 상기 측정된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상기 감지장치와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를 상기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번호와 함께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데이터와 이동통신단말기번호를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데이터저장수단에 기록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이용자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사이트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후 상기 건강관리프로그램에 따라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상기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에 만보기 및 심장박동측정장치 또는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측정된 상기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를 상기 이용자이동통신단말기번호 또는 상기 개인식별번호와 함께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상기 데이터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웹서버에 전송되어 관계형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 데이터저장수단에 기록되어 저장되는 단계;
    상기 무선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데이터저장수단에 전송되어 저장된 상기 이용자의 보행수 및 심장박동수 데이터를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은 상기 건강관리프로그램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은 상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이용자의 건강상태분석정보 및 상기 건강상태분석정보와 관련되는 건강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조회화면을 상기 이용자컴퓨터의 웹브라우저 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컴퓨터의 이용자는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사이트에 인터넷접속하여 상기 조회화면에 로그인하고 상기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번호 또는 상기 개인식별번호를 입력하여 회원조회를 하면,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은 상기 입력된 이동통신단말기번호 또는 개인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이용자의 건강상태분석정보 및 상기 건강상태분석정보와 관련되는 건강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용자컴퓨터의 웹브라우저 상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서비스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보행에 따른 보행수를 측정하여 상기 감지장치내의 기록매체에 상기 측정된 보행수데이터를 기록하여 저장한다는 것은 상기 이용자가 활동할 때 발생하는 모든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모든 진동 중에서 상기 이용자가 보행이나 운동할 때 발생되는 진동만을 계수하고, 상기 보행수의 측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한 때부터 시작하여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기록하며, 상기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기록된 보행수를 날짜 및 시간 데이터와 함께 기록하여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서비스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측정된 심장박동수데이터를 기록하여 저장한다는 것은 상기 이용자의 심장이 박동할 때 발생하는 저주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저주파신호의 진폭을 변/복조하여 이용자의 심장박동수를 계수하고, 상기 연속적인 심장박동수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일정회수 계수하여 상기 일정회수의 심장박동수의 평균값을 산정하며, 상기 심장박동수의 측정은 상기 이용자가 일정한 시간동안 활동을 한 후에 측정을 시작하며, 상기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산정된 심장박동수를 날짜 및 시간 데이터와 함께 기록하여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서비스방법.
  9. 제 7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시간간격은 1시간 간격이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한 시간이 24시간 이상일 때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타이머부를 이용하여 오전 9시에 측정을 시작하고 당일 오후 8시에 측정을 종료하게 기본설정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서비스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심장박동수를 일정회수 이상 계수한다는 것의 일정회수는 5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서비스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이용자의 건강상태분석정보는 이용자의 당일 운동량, 소모칼로리, 다이어트효과 정보이며, 상기 건강상태분석정보와 관련되는 건강정보는 타사이트와 연계되는 건강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서비스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은 상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이용자의 건강상태분석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서비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서비스방법.
KR10-2001-0010531A 2001-02-28 2001-02-28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74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31A KR100374979B1 (ko) 2001-02-28 2001-02-28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31A KR100374979B1 (ko) 2001-02-28 2001-02-28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501A true KR20010044501A (ko) 2001-06-05
KR100374979B1 KR100374979B1 (ko) 2003-03-06

Family

ID=1970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531A KR100374979B1 (ko) 2001-02-28 2001-02-28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979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966A (ko) * 2001-06-16 2001-09-07 김재훈 아로마테라피를 이용한 만보계장치 및 이의 구현방법
KR20020029054A (ko) * 2002-04-01 2002-04-17 김덕형 휴대용 건강 진단 장치
KR20020071156A (ko) * 2001-03-05 2002-09-12 주식회사 세우시스템 보행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20090548A (ko) * 2001-05-28 2002-12-05 최두희 휴대폰 장착용 비트 발생장치를 통한 칼로리 소모 측정장치와 웹 다이어트 서비스
WO2002101627A1 (en) * 2001-06-12 2002-12-19 Codisoft,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evaluating physical health state using a game
KR20030018953A (ko) * 2001-08-31 2003-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 진단 시스템
WO2003041290A1 (en) * 2001-11-07 2003-05-15 Byung-Hoon Lee Mobile phone capable of alarming
KR20030062083A (ko) * 2002-01-16 2003-07-23 (주)이아이플러스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90358A (ko) * 2002-05-23 2003-11-28 최정도 칼로리 소비량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030096572A (ko) * 2002-06-14 2003-12-31 박종오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생체신호탐지 경보시스템
KR20040025333A (ko) * 2002-09-19 2004-03-24 강보형 이동통신단말기와 결합되는 만보기 및 이를 이용한다이어트관리방법
WO2007061185A1 (en) * 2005-11-28 2007-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ercise management func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100735474B1 (ko) * 2005-06-01 2007-07-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86817B1 (ko) * 2006-06-12 2007-12-18 주식회사 헬스피아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156739B1 (ko) * 2010-10-25 2012-06-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유아이 및 사용자 맞춤형 건강 콘텐츠를 제공하는 아이피티브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49274B1 (ko) * 2011-08-24 2013-11-11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생체신호 자가진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89B1 (ko) 2003-12-12 2011-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만보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747521B1 (ko) 2015-06-09 2017-06-1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636A (ko) * 1998-11-25 1999-02-25 박지성 환자 실시간 원격관찰시스템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156A (ko) * 2001-03-05 2002-09-12 주식회사 세우시스템 보행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20090548A (ko) * 2001-05-28 2002-12-05 최두희 휴대폰 장착용 비트 발생장치를 통한 칼로리 소모 측정장치와 웹 다이어트 서비스
WO2002101627A1 (en) * 2001-06-12 2002-12-19 Codisoft,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evaluating physical health state using a game
KR20010084966A (ko) * 2001-06-16 2001-09-07 김재훈 아로마테라피를 이용한 만보계장치 및 이의 구현방법
KR20030018953A (ko) * 2001-08-31 2003-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 진단 시스템
WO2003041290A1 (en) * 2001-11-07 2003-05-15 Byung-Hoon Lee Mobile phone capable of alarming
KR20030062083A (ko) * 2002-01-16 2003-07-23 (주)이아이플러스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9054A (ko) * 2002-04-01 2002-04-17 김덕형 휴대용 건강 진단 장치
KR20030090358A (ko) * 2002-05-23 2003-11-28 최정도 칼로리 소비량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030096572A (ko) * 2002-06-14 2003-12-31 박종오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생체신호탐지 경보시스템
KR20040025333A (ko) * 2002-09-19 2004-03-24 강보형 이동통신단말기와 결합되는 만보기 및 이를 이용한다이어트관리방법
KR100735474B1 (ko) * 2005-06-01 2007-07-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7061185A1 (en) * 2005-11-28 2007-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ercise management func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7713173B2 (en) 2005-11-28 2010-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ercise management func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100786817B1 (ko) * 2006-06-12 2007-12-18 주식회사 헬스피아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US7764170B2 (en) 2006-06-12 2010-07-27 Seyfarth Shaw LLP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alarm
KR101156739B1 (ko) * 2010-10-25 2012-06-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유아이 및 사용자 맞춤형 건강 콘텐츠를 제공하는 아이피티브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49274B1 (ko) * 2011-08-24 2013-11-11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생체신호 자가진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4979B1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4501A (ko)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및 그 방법
US6893396B2 (en) Wireless internet bio-telemetry monitoring system and interface
US6891936B2 (en) Remote data control system and measuring data gathering method
CN101467878B (zh) 基于Zigbee的健康监测装置
CN101477128B (zh) 血糖测试系统
US8882666B1 (en) Personal health monitoring and/or communication system
US8160836B2 (en) Wireless transmission of temperature data for a geographic area
CN101483690B (zh) 移动通讯终端及健康信息采集方法
CN201101523Y (zh) 一种远程健康监测及跟踪系统
US20060293571A1 (en)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and caring
EP1410206A4 (en) SYSTEM AND INTERFACE FOR MONITORING BIO-TELEMETRY BY INTERNET HERTZIEN
KR100691513B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CN104523252A (zh) 一种移动健康服务方法及系统、移动终端
CN101363843B (zh) 生理状况信息采集管理系统以及管理服务器和管理终端
KR100883744B1 (ko) Wpan을 기반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CA2174774A1 (en) System for the detection and/or transmission of signals representing vital functions
CN1985763A (zh) 一种便携式血氧计及无线血氧监护系统
KR100554006B1 (ko) 태그와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들을 이용한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WO2004052204A1 (en)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0735474B1 (ko)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1346906A (ja) 歩行訓練方法、歩行訓練装置、歩行訓練情報提供方法、並びに歩行訓練情報提供装置
KR20020008532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0221539Y1 (ko) 건강 체크용 통신 단말 장치
KR101064736B1 (ko) 손목 단말기,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JP2004174067A (ja) 通信機能付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