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736B1 - 손목 단말기,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손목 단말기,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736B1
KR101064736B1 KR1020040076454A KR20040076454A KR101064736B1 KR 101064736 B1 KR101064736 B1 KR 101064736B1 KR 1020040076454 A KR1020040076454 A KR 1020040076454A KR 20040076454 A KR20040076454 A KR 20040076454A KR 101064736 B1 KR101064736 B1 KR 10106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module
bluetooth module
data
blue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590A (ko
Inventor
박광호
양명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76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7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단말기,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손목 단말기와 개인 건강 정보관리 시스템 사이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손목 단말기의 블루투스 모듈,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체온, 혈압과 같은 개인 정보 및 운동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하는 운동량 측정 모듈,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수신된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손목 단말기와 개인 건강 정보관리 시스템과 손목 단말기 사이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개인 건강 정보관리 시스템의 블루투스 모듈, 사용자의 연령, 체중, 혈압, 체지방, 병력 과 같은 개인 건강 정보를 갖는 개인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근간으로 수신된 운동량 데이터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위험성 판별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뿐 아니라 수신까지 동시에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헬스클럽에서 운동하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운동량(심장 박동수, 체온, 혈압 등)에 대한 분석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조절된 범주 내에 운동량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안정되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본인의 건강 상태보다 무리하게 유산소운동과 중량 운동을 실시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심장마비 등의 돌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 설치비용과 이용 비용이 기존의 헬스클럽 관리시스템보다 훨씬 저렴하여 사용자와 제공자의 가계 부담을 줄여 준다.
블루투스, 헬스클럽, 건강 관리시스템, 운동 관리시스템, 운동량

Description

손목 단말기,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Hand-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hysical exercise in real-time}
도 1은 종래의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의 운동 및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손목 단말기에서 측정되어지는 운동량 데이터를 개인 건강 정보관리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개인 건강 정보관리에 산출되어진 데이터를 손목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손목 단말기와 개인 건강 정보관리 시스템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신호 흐름 도이다.
본 발명은 손목 단말기,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의 운동 및 건강 관리시스템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시스템과 손목 단말기가 상호 송수신하면서 실시간으로 운동 상태 및 건강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는 작고, 저렴한 가격, 적은 전력 소모로 휴대폰, 휴대용 PC등과 같은 휴대 장치들,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기타 주변장치들 근거리 (10m~100m)내의 무선 연결(2.4GHz ISM Open Band)을 위한 기술적 규격으로서 근거리 통신망으로 각광 받고 있는 기술이다.
블루투스는 2.4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랜(Wireless LAN) 전송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 대역에 80MHz 폭의 주파수가 공통으로 할당되어 별도의 정부 허가 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대역은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송신 출력의 크기를 100mW 또는 1mW로 제한하여 상호 간섭을 억제하고 있다. 블루투스의 기본은 패킷 통신이지만 데이터와 음성 통신 모두 가능하다. 두 개의 기기를 일 대 일로 연결하면 단방향 최대 721kbps의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블루투스에서는 여덟 개 이내의 기기들이 모여 피코넷(piconet)이라는 하나의 망을 형성하는데, 이때는 기기 사이에 필요에 따라 전체 용량을 적절히 배분하여 쓰게 된다.
또한, 같은 공간 안에서 여러 개의 독립된 피코넷을 중첩해 형성할 수도 있어 정보처리 및 통신 기기들의 밀도가 높은 장소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전송 오류 정정, 신원 확인, 암호 및 절전 기능들을 갖추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 기술에 따라서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시스템의 구 성을 도시한 블록도로, 운동기구(10),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회원 인식기(20), 운동량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30), 필요한 운동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40), 수집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새로운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50), 신체검사 장비(60)로 구성된다.
종래의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시스템은 회원에게 발급한 회원 카드를 운동 시작할 때 각 운동기구(10)에 있는 회원 인식기(20)에 접촉하여 가입 회원 여부를 판단하고 가입 회원이면 그 회원이 지금 사용하려고 하는 운동기구(10)와 운동 시작 시간 정보를 서버(50)로 보내도록 하고 서버(50)에서는 그 회원에게 필요한 운동 정보를 그 운동기구(1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40)장치에 보낸다. 운동을 시작하면 운동기구(10)에 장착된 센서(30)들을 이용하여 운동량 정보를 수집하여 회원 인식기(20)를 거쳐 서버(50)로 보내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서버(50)에서는 이 운동 정보를 재 가공하여 회원에게 다시 새로운 운동 정보를 제공한다.
또 다른 종래 기술에서는 보호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보호 대상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명될 때 SMS 이동 통신 단말기 문자서비스로 보호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장치가 있다.
한편, 종래의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시스템은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시스템 설치비용과 이용 비용에 따른 제공자와 사용자의 부담이 크며, 사용자가 본인의 건강 상태보다 무리하게 유산소운동과 중량 운동을 실시하면서 발생하는 즉각적인 신체 변화에 따른 돌발 상황에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건강 상태 정보를 SMS 문자 메시지로 전송 받을 수 있는 종래 기술은 응답이 늦고 무선 자원 이용의 비용이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송신뿐 아니라 수신까지 동시에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운동하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운동량(심장 박동수, 체온, 혈압 등)에 대한 분석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조절된 범주 내에 운동량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안정되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본인의 건강 상태보다 무리하게 유산소운동과 중량 운동을 실시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심장마비 등의 돌발 상황을 예방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라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실시간 운동 관리 시스템은 손목 단말기와 개인 건강 정보관리 시스템 사이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손목 단말기의 블루투스 모듈,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체온, 혈압과 같은 개인 정보 및 운동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하는 운동량 측정 모듈,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수신된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손목 단말기와,
개인 건강 정보와 손목 단말기 사이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블루투스 모듈, 사용자의 연령, 체중, 혈압, 체지방, 병력 과 같은 개인 건강 정보 갖는 개인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 건강 정보의 데이터를 근간으로 수신된 운동량 데이터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위험성 판별 모듈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따라서 손목 단말기의 블루투스 모듈은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블루투스 모듈과 장치 식별을 통한 사용자 식별 기능을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세 번째 특징에 따라서 운동량 측정 모듈은 운동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측정 방식 선택 장치를 더 포함하며, 측정 방식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되어진 방식에 따라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에 주기적인 전송을 하거나 특정 임계치초과시 전송을 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네 번째 특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전송 받은 분석 데이터에 알람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알람 장치와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실행하며 알람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만 실행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특징에 따라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실시간 운동 관리 시스템의 손목 단말기 수행 방법은, A)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과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블루투스 모듈 사이에 사용자 인증 및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 B) 운동량 측정 모듈에서 운동량을 측정하는 단계; C) 운동량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운동량 데이터를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에 전송하는 단계; D)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이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 E) 개인 건강 정보 시스 템의 블루투스 모듈이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송신된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F)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에 수신된 분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분석 데이터로 음향 발생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특징에 따라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실시간 운동 관리 시스템에서의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은, A)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블루투스 모듈과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 사이에 사용자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 B)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에서 송신한 운동량 데이터를 개인 건강 정보의 블루투스 모듈에서 수신하는 단계, C)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블루투스 모듈에서 수신된 운동량 데이터를 위험성 판별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D) 위험성 판별 모듈에서 개인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개인 건강 정보 및 운동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E) 위험성 판별 모듈에서 분석 데이터를 개인 건강 정보 블루투스 모듈에 전송하는 단계, F) 상시 개인 건강 정보 블루투스 모듈에서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로 분석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클럽 회원의 운동 및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손목 단말기가 상호 송수신하면서 실시간으로 운동 상태 및 건강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운동 및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운동 및 건강 관리 시스템으로서, 손목 단말기(100)와 개인 건강 정보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손목 단말기(100)는 운동량 측정 모듈(110), 블루투스 모듈(120),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포함한다.
운동량 측정 모듈(110)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체온, 혈압 등을 측정하고, 전송 방식 선택 장치를 포함하여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로 주기적인 전송을 하거나 특정 임계치초과시 전송을 할 수 있게 한다.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120)은 개인 건강 정보 블루투스 모듈(210)과 Mac address, ID등을 이용하여 장치를 식별하고 사용자 인증을 한다. 또한, 운동량 측정 모듈(110)의 데이터를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에 무선으로 송신하며,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블루투스 모듈(1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표시하며 음향신호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200)은 블루투스 모듈(210), 개인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위험성판별 모듈(230)을 포함한다.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블루투스 모듈(210)은 손목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모듈(2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아 위험성 판별 모듈(230)로 전송하며, 위험성 판별 모듈(230)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를 손목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모듈 (120)에 송신한다.
개인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사용자의 연령, 체중, 체지방, 혈압, 병력 등의 개인 건강 정보의 데이터를 지닌다.
위험성 판별 모듈(230)은 개인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의 데이터를 근간으로 측정된 운동량 데이터가 위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운동 및 건강 관리 시스템은 저렴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개인 건강 정보와 손목 단말기가 상호 송수신하면서 실시간으로 운동 상태 및 건강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종래의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시스템에서의 설치비용과 이용 비용에 따른 제공자와 사용자의 부담을 줄이며, 사용자가 본인의 건강 상태보다 무리하게 유산소운동과 중량 운동을 실시하면서 발생하는 즉각적인 신체 변화에 따른 돌발 상황에 대처함으로서, 종래의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의 문제점을 극복한다.
이하, 도 3,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운동 및 건강 관리 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손목 단말기(100)에서 측정되어지는 운동량 데이터를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200)에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 도이다.
헬스클럽 입구에서 손목 단말기(100)를 수령하여 운동 중에 항시 휴대한다.
손목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모듈(120)은 손목 단말기(100)를 수령하여 전 원을 켜면 장치 식별( MAC address, ID등)을 하고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과 사용자 인증을 한다(S10). 사용자 인증이 되면 사용자가 효율적인 운동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데이터전송 방법을 선택을 한다(S20).
운동량 데이터 전송 방법 중에 주기적인 전송을 선택하게 되면(S21), 손목 단말기(100)의 운동량 측정 모듈(110)은 운동 중인 개인의 운동량 변화치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블루투스 모듈(120)로 입력한다(S23, S25)
운동량 데이터 전송 방법 중에 특정 임계치초과시 전송을 선택하게 되면(S22), 손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 모듈(110)은 운동 중인 개인의 운동량 변화치를 측정하여 블루투스 모듈(120)로 특정 임계치 초과 시에 전송을 하고 특정 임계 치에 초과되지 않으면 특정 임계치가 초과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운동량을 측정하며, 측정된 값은 블루투스 모듈(110)로 전송하지 않는다(S24, S30).
손목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모듈(120)은 측정된 운동량 데이터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로 송신한다(S40).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200)에서 수신 후의 처리는 도 4의 순서도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손목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모듈(120)은 개인 건강 정보관리 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에서 송신한 운동량 분석 데이터를 수신한다(S61)
손목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모듈(120)에 수신된 분석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모듈(130)로 전송된다(S62).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전송되어진 데이터에 알람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S63), 알람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알람 음향신호를 발생시키고 분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운동 상태 및 건강 상태가 위험함을 알리고(S64, S65),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분석 데이터만을 디스플레이하여 현재 운동 및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S65).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개인 건강 정보 산출되어진 데이터를 손목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 도이다.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은 손목 단말기(100)의 블루투스(110)와 장치(Mac Address, ID등)식별을 함으로서 사용자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S11)
상기 도3에서 손목 단말기(100)의 운동량 데이터 측정단계를 거쳐 손목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모듈(120)로 송신하고 나면,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120)은 개인 건강 정보 관리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로 수신된 운동량 데이터를 위험성 판별 모듈(230)로 입력한다(S41).
위험성 판별 모듈(230)은 개인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어있는 건강 정보 검색하고(S50), 개인 건강 정보와 입력된 운동량 데이터에 대응시켜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며(S51), 산출되어진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한다(S52). 예를 들어, 고령이거나 심장질환 등의 병력이 있으면 위험 맥박수가 더 낮게 보정되어 분석 데이터가 산출된다.
위험성 판별 모듈(230)에서 판단되어진 위험여부에 따라 위험한 경우, 알람 데이터를 포함한 분석 데이터를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로 전송하고(S53), 위험하지 않을 경우 분석 데이터만을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로 전송한다(S54).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은 분석 데이터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손목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모듈(120)로 송신한다(S6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의 운동 및 건강 관리 방법에 따른 신호 흐름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단말기(100)의 블루투스(100)모듈과 개인 건강 정보관리 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은 장치 식별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한다(S80)
운동량 측정 모듈(110)은 운동량 데이터를 측정하여 손목 단말기(100)의 블루투스(120) 모듈에 운동량 데이터를 전송하고(S81), 손목 단말기(100)의 블루투스(120) 모듈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개인 건강 정보 관리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로 송신한다(S82).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은 수신된 운동량 데이터를 위험성 판별(230)로 전송한다.
위험성 판별(230)은 개인 건강 정보(220)에 저장되어 있는 건강 정보와 운동량 데이터를 근간으로 운동량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며(S84), 산출된 분석 데이터를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로 전송한다(S85).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200)의 블루투스 모듈(210)은 분석 데이터를 손목 단말기 블루투스 모듈(120)에 송신한다(S86).
손목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모듈(120)은 수신된 분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130)로 전송하고(S87),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분석 데이터에 따라 음향신호 및 디스플레이를 하여 운동하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에 발생된 위험성 여부를 바탕으로 조절된 범주 내에서 운동량을 조절함으로써 안정되게 운동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뿐 아니라 수신까지 동시에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헬스클럽에서 운동하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운동량(심장 박동수, 체온, 혈압 등)에 대한 분석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조절된 범주 내에 운동량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안정되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본인의 건강 상태보다 무리하게 유산소운동과 중량 운동을 실시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심장마비 등의 돌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 설치비용과 이용 비용이 기존의 헬스클럽 관리시스템보다 훨씬 저렴하여 사용자와 제공자의 가계 부담을 줄여 준다.

Claims (11)

  1.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과 통신하는 손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은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체온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의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 모듈;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과 장치 식별을 통한 사용자 식별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운동량 측정 모듈이 측정한 적어도 하나의 운동 정보를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하는 제 1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제 2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수신된 분석 데이터-상기 분석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동 정보를 토대로 산출되며, 운동량의 과부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는 손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측정 모듈은 운동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전송 방식 선택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 방식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되어진 방식에 따라 상기 제 1 블루투스 모듈에 주기적인 전송을 하거나 특정 임계치초과시 전송을 하는 손목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전송 받은 분석 데이터에 알람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알람 장치와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실행하며, 알람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만 실행하는 손목 단말기.
  4. 삭제
  5. 운동량을 측정하여 제 1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에 송수신하는 손목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 1 블루투스 모듈과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제 2 블루투스 모듈 사이에 사용자 인증 및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손목 단말기에 포함된 운동량 측정 모듈이 운동량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운동량 측정 모듈이 측정한 운동량 데이터를 상기 제 1 블루투스 모듈로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제 1 블루투스 모듈이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운동량 측정 모듈이 측정한 운동량 데이터를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
    E) 상기 제 2 블루투스 모듈이 상기 운동량 데이터를 토대로 산출된 분석 데이터를 상기 제 1 블루투스 모듈로 송신하면,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이 상기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제 1 블루투스 모듈이 수신된 분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하는 단계; 및
    G)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음향 발생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i) 상기 손목 단말기에서 운동량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및
    ii) 상기 손목 단말기 운동량 전송 방식의 주기적인 측정을 선택하여 상기 운동량 측정 모듈에서 주기적으로 운동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운동량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운동량을 주기적으로 제 1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하는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i) 상기 손목 단말기 운동량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및
    ii) 상기 손목 단말기 운동량 측정 방식의 특정 임계치 초과 시 측정을 선택하여 상기 운동량 측정 모듈에서 특정 임계치 초과 시에 운동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C)단계는,
    상기 운동량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운동량을 임계치 초과 시 제 1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하는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는,
    i)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분석 데이터의 알람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
    ii)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분석 데이터의 알람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알람 음향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분석 데이터의 알람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분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9. 블루투스를 이용한 실시간 운동 관리 시스템에서의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제 2 블루투스 모듈과 손목 단말기의 제 1 블루투스 모듈 사이에 사용자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제 1 블루투스 모듈에서 송신한 운동량 데이터를 상기 제 2 블루투스 모듈에서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제 2 블루투스 모듈에서 수신된 운동량 데이터를 위험성 판별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위험성 판별 모듈에서 개인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개인 건강 정보 및 운동량 데이터에 대응하여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위험성 판별 모듈에서 분석 데이터를 상기 제 2 블루투스 모듈에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 2 블루투스 모듈에서 상기 제 1 블루투스 모듈로 분석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i) 상기 위험성 판별 모듈에서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ii) 상기 위험성 판별 모듈에서 판단되어진 위험 여부에 따라 위험한 경우, 알람 데이터를 포함하여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위험성 판별 모듈에서 판단되어진 위험 여부에 따라 위험하지 않을 경우, 알람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고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11. 손목 단말기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는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손목 단말기의 제1 블루투스 모듈과 사용자 식별을 수행하고,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블루투스 모듈;
    사용자의 연령, 체중, 혈압, 체지방, 병력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 정보를 갖는 개인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개인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기초하여,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이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수신된 운동량 데이터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위험성 판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위험성 판별 모듈이 추출한 분석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하는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
KR1020040076454A 2004-09-23 2004-09-23 손목 단말기,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KR101064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454A KR101064736B1 (ko) 2004-09-23 2004-09-23 손목 단말기,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454A KR101064736B1 (ko) 2004-09-23 2004-09-23 손목 단말기,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590A KR20060027590A (ko) 2006-03-28
KR101064736B1 true KR101064736B1 (ko) 2011-09-14

Family

ID=3713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454A KR101064736B1 (ko) 2004-09-23 2004-09-23 손목 단말기,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7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3671A (zh) * 2012-12-17 2014-06-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383996B1 (ko) 2021-07-29 2022-04-08 (주)듀얼헬스케어 이용자 맞춤형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62214A (ko) 2022-10-28 2024-05-09 (주)듀얼헬스케어 이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프로그램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195B1 (ko) * 2006-04-04 2013-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경고 발생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91702B1 (ko) * 2013-12-31 2016-02-04 (주)허브앤스포크 스텝 보드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조작 장치, 그 시스템 및 방법
KR102313220B1 (ko) 2015-01-09 2021-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103A (ko) * 2000-06-23 2003-02-06 보디미디어 인코퍼레이티드 건강, 건강관리 및 휘트니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103A (ko) * 2000-06-23 2003-02-06 보디미디어 인코퍼레이티드 건강, 건강관리 및 휘트니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3671A (zh) * 2012-12-17 2014-06-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383996B1 (ko) 2021-07-29 2022-04-08 (주)듀얼헬스케어 이용자 맞춤형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62214A (ko) 2022-10-28 2024-05-09 (주)듀얼헬스케어 이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프로그램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590A (ko) 200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5071B2 (en) System for providing physical fitness information
EP2849473B1 (en) Pairing of devices
US9833141B2 (en) Transfer of measurement data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US9017265B2 (en) Transfer of measurement data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EP2880569B1 (en) Transfer of measurement data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CN104835003A (zh) 一种面向移动养老服务的系统及其实现方法
WO2016037012A1 (en) Measuring health and fitness data using proximity sensors and mobile technologies
JP2007054450A (ja) 情報交換装置
US201702097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oscillating movements of exercise equipment to a user of the exercise equipment in a database
RU2018128831A (ru) Беспроводной детектор газа
KR20160026258A (ko)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064736B1 (ko) 손목 단말기, 이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실시간 운동 관리 방법
Valach et al. Exploration of the LoRa technology utilization possibilities in healthcare IoT devices
KR100726606B1 (ko) 운동 기기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70108837A (ko)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운동기기 제어 및 이를 이용한운동관리 시스템
US99079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collecting, and analyzing user data for gyms
Cruz et al. A survey on wearable health monitoring systems
CN103948436B (zh) 一种安全监护云系统
KR101322485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팔 운동 측정 시스템
Bauschlicher et al. Framework for the integration of body sensor networks and social networks to improve health awareness
Suntiamorntut et al. An elderly assisted living system with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1113361B1 (ko) 만보기와 인터넷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2579A (ko) 저전력 기반의 바이오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Nagarkar et al. Zigbee based wireless patient monitoring
JP6382770B2 (ja) 生体情報計測装置および生体情報の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