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1151A -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1151A
KR20030061151A KR1020020001682A KR20020001682A KR20030061151A KR 20030061151 A KR20030061151 A KR 20030061151A KR 1020020001682 A KR1020020001682 A KR 1020020001682A KR 20020001682 A KR20020001682 A KR 20020001682A KR 20030061151 A KR20030061151 A KR 20030061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path
subscriber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8767B1 (ko
Inventor
강영현
김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1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767B1/ko
Priority to US10/330,286 priority patent/US20030133410A1/en
Priority to TW91138119A priority patent/TWI231674B/zh
Priority to CN03101650A priority patent/CN1433188A/zh
Priority to JP2003006217A priority patent/JP3940365B2/ja
Publication of KR2003006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10Routing in connection-oriented networks, e.g. X.25 or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4Shortest path evaluation using a combination of met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02Route determination based on requeste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1Identifying conges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multipoint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5QOS or priority a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2Collecting or measuring resource availabi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9Topology 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9Network Node Interface, e.g. tandem connections, transit switching
    • H04L2012/562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04L2012/5626Network management, e.g. Intelligent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관리장치에 수집된 경보정보와 각 통신망 구성요소(NE)에 할당된 모든 가입자 별로 트래픽 디스크립터(Traffic Descriptor), CoS, QoS, ToS 를 가중치로 하여 트랙픽 등급을 분류한 후, 얻어낸 가중치를 NE 별 새로운 가입자 접속 서비스를 할 때, 망관리장치에서 자동으로 가장 트래픽이 적은 유니트 혹은 포트를 선정하고, 선정된 유니트/포트에서 가능한 가입자 접속 VPI/VCI 를 찾아내는 과정을 수행하여, 망관리 장치를 통해서 가입자 연결을 할 때, 여러 가지 변수)와 트래픽 팩터를 고려하여 트래픽을 사전에 예측하고 로드(Load)를 분산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method and recorded media for setting the subscriber routing using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모드(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이라 함)통신망에서 통신망 구성요소(Network Element:이하 'NE'라 함)의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망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Element Management System: 이하 'NMS'/'EMS'라 함)로부터 얻어지는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망관리 장치의 전체적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적인 망관리를 수행하는 망관리 서버(10)와, 망관리 서버(1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제공받고, 가입자의 라우팅 경로의 설정 및 조회를 할 수 있는 NMS 클라이언트(2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NMS 서버(10)는 연결된 다수의 NE의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즉, 장비의 실제적인 상태를 운용자에게 알려주고,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망 관리 시스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NMS서버(10)에서는 가입자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각 NE로 구성된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 경로설정 명령을 내린다. 따라서, 이전에 설정된 경로(L1)에 혼잡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다른 대체경로(L2)로 설정할 수 도 있다.
이때, 가입자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영구 가상 회선(Permanant vertual circuit: 이하 'PVC'라 함)와 교환 가상 회선(switched vertual circuit: 이하, 'SVC'라 함)을 사용한다.
PVC 의 경우, NE별로 각 NE에서 경로를 설정하므로 대체 경로를 설정하기 전에는 트래픽 혼잡(Traffic Congestion)이 발생하면 에러(Error) 혹은 셀(Cell) 손실로 이어진다.
SVC의 경우, NE에서 접속 수락제어(connection admissioncontrol:CAC)와 이용 파라미터 제어(Usage Parameter Control: UPC)를 통해 최적의 라우트를 찾아 경로를 설정하지만, 인접 NE 의 트래픽 혼잡이 발생하거나 발생된 상태를 수신하여 절체를 하거나 경로를 변경한다.
종래에 각 NE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식에는 적응 제어(Reactive Control)방식과 예방제어(Preventive Control)방식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적응 제어방식 및 예방 제어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적응 제어방식 및 예방 제어방식에 대하여 살펴보자.
적응제어 방식은 다수개의 NE(1-6)가 연결된 네트워크망에서, 사전에 설정된 경로(1,2,3,4)에 있는 NE들을 경유하여 셀을 전송하다가, 도중에 하나의 NE(3)에서 혼잡이 발생되는 경우에, 그 NE(3)에서는 그에 따른 셀손실이 일어나고, 트래픽 혼잡이 발생되었다는 알람을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그 알람을 수신한 NE(1)에서는 새로운 대체 경로(5, 6)를 찾거나, 트래픽 혼잡이 발생된 NE가 존재하는 경로를 폐쇄하도록 제어한다. 즉, 후단에 있는 NE의 상태를 보고받고 그 다음에 액션을 취하게 됨에 따라 적응제어라고 한다.
한편, 예방제어 방식은 인접 NE(2-6)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인접 NE의 상태의 양호여부를 판단하여 혼잡이 발생한 NE(3)를 경유하지 않고, 양호한NE(4, 5, 6)를 경유하는 라우트를 설정하여 셀을 전송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접한 NE의 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혼잡이 발생한 NE로 인한 셀 손실을 예방함에 따라 예방제어라고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인접 NE의 정보밖에 알지 못한다. 즉, NE(6)의 이후에 있는 망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도 이를 알지 못하게 된다. 만일, 전체 네트워크의 상황을 다 알려고 하면 연산이 많이 필요함에 따라 연산지연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셀손실이 일어남에 따라 초고속 통신에서는 적절하지가 않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적응제어나 예방제어의 경우, 경로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각 NE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연산지연이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모든 네트워크의 트래픽 혼잡상태를 파악하면서 경로를 찾아가는 것은 현실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즉, 적응제어는 이미 에러가 발생하거나 셀 손실로 이어진 후, 조치를 취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예방제어는 실시간으로 모든 네트워크의 트래픽 상태를 파악해야 하므로 현재 인접 NE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후단의 NE에 트래픽 혼잡 상태가 발생하면 적응제어와 마찬가지로 에러가 발생하거나 셀 손실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각 NE에서 라우팅을 설정하는 것이 아닌 망관리장치를 이용하여 현재의 각 NE별 트래픽을 계산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 뷰어(Network Topology Viewer)에 표시하고 새롭게 접속되는 가입자 접속서비스를 수행할 때, 가장 좋은 경로를 찾아내고 가입자에게 보다 적은 트래픽 혼잡이 발생하는 라우트를 제공하기 위한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망관리 장치의 전체적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적응 제어 방식 및 예방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망의 라우팅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NMS 서버에 의해 수집된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가입자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NMS 서버에 의해 수집된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트래픽 혼잡에 의한 에러가 발생되었을 때 우회경로를 검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NMS 서버20 : NMS 클라이언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의 일측면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각 NE의 구성현황 및 접속상태에 대하여 수집된 제 1 정보와, 각 NE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 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된 제 2 정보로부터 각 NE의 트래픽 정보를 획득하여 각 NE의 이용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트래픽 등급을 분류하는 단계와, 네트워크를 통해 신규 가입자에 대한 접속 라우팅 경로 설정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그 분류된 트래픽 등급에 의하여 트래픽이 적은 유니트 또는 포트를 선정하는 단계와, 그 선정된 유니트/포트에서 사용 가능한 가입자 접속을 위한 가상 경로 식별자/가상채널 식별자(virtual path identifier/virtual channel Identifier, 이하 VPI/VCI라고 함)를 선택하여 최종 접속 라우팅 경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의 일측면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망관리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NE의 시작점 및 종단점을 입력받아 시작점 및 종단점간에 링크 및 토폴로지에 따라 설정 가능한 경로를 선택하는단계와, 그 선택된 경로에 대하여 경로별 대상 유니트, 그 유니트별 보유 포트, 해당 포트별 가입자 접속 현황을 분석하는 단계와, 해당 포트별 해당 가입자의 트래픽 혼잡도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여 가중치가 최하인 포트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포트에서 시작점과 종단점의 VPI/VCI를 설정하는 단계와, 그 설정된 경로정보를 해당 NE에 전송하여 해당 구간간의 크로스-커넥션(Cross-Connection)을 설정하게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의 일측면에 따르면,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탈 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탈 처리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네트워크를 통해 각 NE의 구성현황 및 접속상태에 대하여 수집된 제 1 정보와, 각 NE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 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된 제 2 정보로부터 각 NE의 트래픽 정보를 획득하여 각 NE의 이용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트래픽 등급을 분류하는 단계와, 네트워크를 통해 신규 가입자에 대한 접속 라우팅 경로 설정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그 분류된 트래픽 등급에 의하여 트래픽이 적은 유니트 또는 포트를 선정하는 단계와, 그 선정된 유니트/포트에서 사용 가능한 가입자 접속 VPI/VCI를 선택하여 최종 접속 라우팅 경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의 일측면에 따르면,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탈 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탈 처리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망관리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NE의 시작점 및 종단점을 입력받아 시작점 및 종단점간에 링크 및 토폴로지에 따라 설정 가능한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와, 그 선택된 경로에 대하여 경로별 대상 유니트, 그 유니트별 보유 포트, 해당 포트별 가입자 접속 현황을 분석하는 단계와, 해당 포트별 해당 가입자의 트래픽 혼잡도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여 가중치가 최하인 포트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포트에서 시작점과 종단점의 VPI/VCI를 설정하는 단계와, 그 설정된 경로정보를 해당 NE에 전송하여 해당 구간간의 크로스-커넥션을 설정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보자.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망의 라우팅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NMS 서버(10)에서는 DB에 수집된 경보정보와 각 NE에 할당된 모든 가입자 별로 트래픽 디스크립터(Traffic Descriptor), 가입자 등급(Class of Service: CoS), 품질 등급(Quality of Service: QoS), 서비스 종류(Type of Service: ToS)를 가입자별로 계산하여 가중치 산정 가중치로 하여 트래픽 등급을 분류한 후, 얻어낸 가중치를 NE 별(Shelf 별 : 지역별)로 새로운 가입자 접속 서비스를 할 때, 망관리장치에서 자동으로 가장 트래픽이 적은 유니트 혹은 포트를 선정하고, 선정된 유니트/포트에서 가능한 가입자 접속 VPI/VCI 를 검색하여 최적의 VPI/VCI(L1, L2, L3, L4)를 제공한다. NMS 클라이언트(20)에서는 그 모든 라우트중하나의 라우트를 선택하여 최적의 PVC/SVC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NMS 서버(10)에 의한 이러한 망제어 방식을 "예측 제어"(Forecasting Control)라고 하기로 하자. 즉, 적응제어에서와 같이 미리 라우트를 설정해 놓되, 예방제어에서 인접한 NE의 정보를 참조하여 라우팅을 수행하는 것을 확대하여 인접 NE 뿐만 아니라 망관리장치를 이용하여 모든 NE의 정보를 파악하여 그중에서 최적의 라우팅경로를 설정하게 한다는 것이다.
NMS 서버(10)는 통신망을 관리할 때, 네트워크를 통해 각 NE의 구성현황 및 접속상태에 대하여 수집된 정보들과, 각 NE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 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각 통신망 NE의 이용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트래픽 등급을 분류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망 관리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NE에 대하여 수집된 정보들과 트래픽 등급을 이용하여 명령에 따른 통신망 관리를 수행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각 NE의 구성현황 및 접속상태에 대하여 수집되는 정보에는 알람발생 여부 정보, 각 NE간의 홉(Hop)수 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각 NE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 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된 정보에는 여러 가지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즉, 각 NE에 할당된 가입자별 트래픽 디스크립터(Traffic Descriptor), CoS, QoS, ToS 들이 포함될 수 있다.
가중치에 의한 트래픽 혼잡도를 계산하기 위한 트래픽 파라메터를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변수 세부항목
알람 정보 Critical / Major / Minor
홉(Hop)수 최대 12 Hop
대역폭 사용량 [ ] bps
트래픽 디스크립터 PCR / SCR / MBS / CDVT
CoS CBR/UBR/rt-VBR/nrt-VBR/ABR/GFR
QoS TM 3.0/4.0
ToS POTS/ISDN/xDSL/VoDSL/ATM
표 1에 열거된 각 트래픽 파라메터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은 각 트래픽 파라메터가 각 NE의 트래픽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가 되기 때문이다.
즉, 새로운 가입자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함에 있어, 보다 트래픽량이 적은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주기 위해서는 기존에 동작하고 있는 각 NE에 대한 사전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해당 NE간에 홉수가 얼마가 되는지의 여부, 해당 NE에 어떠한 알람이 발생했으며, 그 알람의 정도는 어떠한지, 해당 NE에 할당된 가입자의 대역폭 사용량, 트래픽 디스크립터의 특성, CoS, QoS, ToS는 어떤지에 대한 사전 정보가 필요한 것이다.
해당 NE에 알람이 발생했을 경우, 그 알람의 심각도가 다를 것이다. 따라서, 여러단계로 구분하여 예를 들면, 치명적인 알람(Critical) / 중대한 알람(Major) / 경보적인 알람(Minor)등으로 구분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알람이 발생되지 않은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에 따라 일단 알람이 발생된 경로는 제외시켜 놓되, 각 알람의 단계에 따라 차선적인 후속조치로 고려해 볼 수 있다.
한편, 해당 NE간의 홉수가 가능한한 적은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최대 홉수가 12홉수 이상이면 곤란할 것이다. 따라서, 홉수가 적은 경로중에서 먼저 택하고, 홉수가 동일한 경우라면 다른 변수의 가중치를 계산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대역폭 사용량에 있어서, 기존의 통신망을 운영함에 있어서 해당 NE의 대역폭 사용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살펴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대역폭 사용량이 가능한 5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대역폭 사용량이 70% 이상인 경우에는 증설이 필요한 회선으로 판단해도 좋을 것이다. 왜냐하면, 대역폭 사용량이 70%이상이 된다는 것은, 대역폭 사용량에 있어서 앞으로도 그 이상일 가능성이 더 많은 것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CoS에 따라, 해당 NE의 트래픽 사용량을 미리 파악할 수 있게 된다. CoS는 가입자가 회선을 신설할때 설정되는 것으로, 해당 NE에 할당된 가입자 회선이 사용하는 트래픽량을 명확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CoS가 CBR인 경우에는 대역폭의 사용량에 있어서 가변적이지 않고, 실제 가입자가 사용하는 대역폭이 어느정인가에 상관없이 고정되어 있는 양의 대역폭을 차지 하고 있음에 따라, 해당 NE의 트래픽량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트래픽 등급을 분류할 때는, 각 NE의 구성현황 및 접속상태에 대하여 수집된 정보에 의하여 해당 NE에 대한 사용 가능성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사용가능한 경우에, 기설정된 각 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된 정보를 사용하여 각 NE에 대한 트래픽 등급을 분류하게 된다.
NMS 서버(10)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각 명령에 따라 여러 가지 통신망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가입자에 대한 접속 라우팅 경로 설정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위에서 분류된 트래픽 등급에 의하여 트래픽이 적은 유니트 또는 포트를 선정하고, 그 선정된 유니트/포트에서 사용 가능한 가입자 접속 VPI/VCI를 선택하여 최종 접속 라우팅 경로로 설정하게 된다.
또한, 회선 증설이 필요한 통신망 구간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NE에 대하여 각 NE의 정보와 트래픽 등급을 이용하여 회선 증설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NMS 서버에 의해 수집된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가입자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NMS 서버에 의해 수집된 트래픽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가입자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흐름을 살펴보자.
우선, 네트워크를 통해 NMS 클라이언트(20)로부터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NE의 시작점 및 종단점을 입력받는다(S1). NE의 시작점 및 종단점이 입력되면, 링크 및 토폴로지에 따라 그 시작점 및 종단점간에 설정 가능한 경로를 검색한다(S2). 이에 따라 여러 개의 경로가 선택될 수 있다. 이렇게 선택된 경로에 대하여 경로별 대상 유니트, 그 유니트별 보유 포트, 해당 포트별 가입자 접속 현황을 분석하게 된다(S3).
해당 포트별 가입자 접속 현황을 분석할 때는 알람정보를 각 유니트별/포트별로 분석하여 각 경로별로 트래픽 항목에서 분류한다. 아울러, 포트/유니트의 대역 사용량(Bandwidth Utilization)을 계산하여 가장 적은 사용 유니트/포트를 계산한다.
링크 및 토폴로지에 따라 설정 가능한 경로를 선택할때는 시작점과 종단점간의 가장 적은 수의 홉을 통과하는 경로를 우선적으로 선택의 조건으로 삼는다. 만일, 같은 수의 홉을 통과하는 경로가 복수인 경우에는, 대역폭 사용량이 가장 낮은 트렁크를 차지하고 있는 경로를 선택하게 된다.
이렇게 큰 경로가 선택되면, 이제는 각 경로에 대하여 해당 포트별 해당 가입자의 트래픽 혼잡도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한다(S4). 가중치를 계산한 후에는 그 가중치가 최하인 포트를 선택하여(S5) 그 선택된 포트에서 시작점과 종단점의 VPI/VCI를 설정한다(S6). VPI/VCI를 2개 이상 선정해야 하는 경우라면, 추가로 VPI/VCI를 선정하도록 한다.
시작점과 종단점의 VPI/VCI를 설정할 때는, 트래픽 디스크립터를 제 1우선 순위로 하고, 가입자 등급, 품질 등급, 서비스 종류를 제 2 우선순위으로 하여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렇게 부여된 가중치를 가입자별로 합산하여 전체 가중치의 평균을 계산한다.
이렇게 시작점과 종단점의 VPI/VCI가 설정되면, 그 설정된 경로가 허용 임계치내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S7). 설정된 경로가 허용 임게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그 설정된 경로정보를 해당 NE에 전송하여 해당 구간간의 크로스-커넥션을 설정하게 한다(S8).
최종적인 경로가 선택되기까지 NE/셀프/슬롯/포트의 VPI/VCI를 순차적으로NMS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뷰어 표시하게 하여, 운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경로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설정된 라우팅 결과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고, 차후의 트래픽 가중치에 반영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NMS 서버에 의해 수집된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트래픽 혼잡에 의한 에러가 발생되었을 때 우회경로를 검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NMS 서버에 의해 수집된 트래픽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가입자의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흐름을 살펴보자.
트래픽 혼잡에 의하여 에러가 발생된 NE로부터 에러가 발생되거나 셀손실이 접수되는 경우(S11), NMS 클라이언트(20)로 해당 NE의 에러 발생 사실을 통보한다( S11). 그 후 NMS 클라이언트(20)로부터 우회 경로을 검색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13), 우회 경로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NMS 클라이언트(20)로부터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NE의 시작점 및 종단점을 입력받는다(S14). 아울러, NMS 클라이언트(20)로부터 우회경로 검색에 사용할 트래픽 파라메터에 대한 설정을 받는다(S15). 이 때 설정받을 트래픽 파라메터에는 각 NE에 할당된 가입자 별 트래픽 디스크립터(Traffic Descriptor), CoS, QoS, ToS 등이 포함된다. 즉, 우회 경로 검색시 각 파라메터에 대한 가중치 설정하는데 있어서 NMS 클라이언트(20)로부터 입력되는 값을 반영하여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NE의 시작점 및 종단점과 그에 따라 각 트래픽 파라메터들이 입력되면, 링크 및 토폴로지에 따라 그 시작점 및 종단점간에 설정 가능한 경로를 검색하여적절한 경로를 선택한다(S16). 이에 따라 여러개의 경로가 선택될 수 있다. 이렇게 선택된 경로에 대하여 경로별 대상 유니트, 그 유니트별 보유 포트, 해당 포트별 가입자 접속 현황을 분석하게 된다(S17).
해당 포트별 가입자 접속 현황을 분석할때는 알람정보를 각 유니트별/포트별로 분석하여 각 경로별로 트래픽 항목에서 분류한다.
링크 및 토폴로지에 따라 설정 가능한 경로를 선택할때는 시작점과 종단점간의 가장 적은 수의 홉을 통과하는 경로를 우선적으로 선택의 조건으로 삼는다. 만일, 같은 수의 홉을 통과하는 경로가 복수인 경우에는, 대역폭 사용량이 가장 낮은 트렁크를 차지하고 있는 경로를 선택하게 된다.
이렇게 중간 경로가 선택되면, 이제는 각 경로에 대하여 해당 포트별 해당 가입자의 트래픽 혼잡도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한다(S18). 가중치를 계산한 후에는 그 가중치가 최하인 포트를 선택하여(S19) 그 선택된 포트에서 시작점과 종단점의 VPI/VCI를 설정한다(S20).
시작점과 종단점의 VPI/VCI를 설정할 때는, 트래픽 디스크립터를 제 1우선 순위로 하고, 가입자 등급, 품질 등급, 서비스 종류를 제 2 우선순위으로 하여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렇게 시작점과 종단점의 VPI/VCI가 설정되면, 그 설정된 경로가 허용 임계치내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S21). 설정된 경로가 허용 임게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그 설정된 경로정보를 NMS 클라이언트(20)에 전송하여 어떠한 경로가 설정되었지를 알려주고, NMS 클라이언트(20)로부터 그 경로를 사용해도 좋다고 하는 경로확인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S23), 경로확인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설정된 경로를 해당 NE에 전송하여 해당 구간간의 크로스-커넥션을 설정하게 한다(S24). 한편, NMS 클라이언트(20)로부터 그 경로를 사용해도 좋다고 하는 경로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우회 경로 검색에 사용할 트래픽 파라메터를 설정받는 모드를 수행하여 다른 경로를 찾아보도록 한다.
한편, NMS 클라이언트(20)에서는 NMS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전체 NE의 트래픽 정보를 조회할 수 있음에 따라 각종 망정보를 조회 또는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알람 정보를 관리할 수 도 있다. NMS 클라이언트(20)에서는 망관리 뷰어를 구동시켜 운용자의 입력을 받아 망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메인 화면 경보관리 메뉴를 구동한다. 메뉴는 메뉴바 혹은 네트워크 토폴로지 아이콘의 팝업메뉴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단 아이콘위에서 팝업 메뉴를 구동하는 경우, 자동으로 구동된 위치에서 위치정보를 필터링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구동한 위치의 경보만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필터링 조건 설정 화면에서 다른 위치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경보관리의 탭윈도우에서 선택된 위치정보에 대한 실시간 경보관리를 선택한다. 시스템에서 발생된 경보가 실시간으로 SNMP 트랩에 의해 NMS 서버(10)에 송신된다.
이에 따라, 트랩을 수신한 NMS 서버(10)는 데이터 베이스에 수신 경보 정보를 저장하고, 세션이 등록된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경보를 송신한다. NMS 클라이언트(20)는 그 수신한 경보를 뷰어의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NMS 클라이언트(20)에서는 네트워크-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NE-랙-셀프-슬롯(유니트) 및 포트, 채널(VPI/VCI, DLCI, 타임 슬롯, IP, AID 등)별로 트래픽을 측정할 수 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NMS 클라이언트(20)는 뷰어의 메인 화면 메뉴에서 운용자의 입력에 따라 "트래픽 관리"를 위한 메뉴항목을 구동한다.
랙(Rack)/셀프(Shelf) 네트워크 토폴로지 뷰어(NE Viewer)화면에서 트래픽 측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랙/셀프 아이콘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팝업 메뉴를 구동한다. 팝업 메뉴에서 트래픽 관리/트래픽 측정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화면이 표시된다. 그 표시된 항목중에서 선택하여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측정 항목에는 다음의 요소들이 있을 수 있다.
위치별 : (네트워크-서브네트워크)-NE-랙-셀프-슬롯(유니트)-포트
조건별: 업링크/다운링크 셀 카운트, QoS, PCR,/SCR/BT/CDVT
측정 동작여부: 스타트/스톱
다른 위치 정보에 대한 트래픽을 측정하고자 한다면, 화면의 소정위치에 표시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트리에서 원하는 위치 항목을 선택한다.
트래픽 측정 결과는 그래프 혹은 테이블로 화면의 소정위치에 표시한다. 측정된 트래픽 정보는 구성관리, 연결관리, 성능관리, 가입자 관리에 반영하여 향후, 트래픽의 동향을 분석하는데 이용된다.
아울러, NMS 서버(1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NE 정보와 링크 접속 정보를 조회하여 소스(Source) NE와 목적지(Destination) NE를 지정하면, 소스에서 목적지까지 연결된 경로중에서 최소의 NE를 거치는 경로를 찾는다.
검색한 경로중에서 가입자 접속정보를 지정할 포트의 QoS값을 조회하여 QoS가 가장 작게 지정된 포트를 찾아서 설정한다. 즉, 가중치가 최소인 값을 갖는 포트를 검색한다.
또한, NMS 클라이언트(20)에서는 각종 트래픽 파라메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뷰어의 연결관리 화면이 표시되면,소정의 트리에서 가입자 종단점의 셀프를 선택한 후, 뷰어 화면에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는 경로가 표시되면, 경로중에서 작업을 수행할 경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가능한 경로의 셀프, 경보정보, 유니트 실장정보가 표시되면, 경로별 유니트를 선택하여 포트를 나타나게 한 후, 마우스를 이용하여 드래그(시작) 또는 드롭(종료)을 한다. 단 시작점은 반드시 CO/CS이 된다. 윈도우에 표시된 설정 파라메터에 값을 입력하거나 선택한다. 선택할 수 있는 파라메타는 다음과 같다.
VP/VC의 선택, PVC를 위한 경로별 ATM VPI/VCI의 설정, 중첩 여부 자동확인, xDSL 종단점 포트 프로비젼 윈도우(Port Provision Window)의 실행, CoS를 선택(CBR, rt-VBR, nrt-VBR, UBR, GFR), ToS(POTS, PSTN, ISDN-BRI, ISDN-PRI, Nx64, ADSL, VDSL, SHDSL, LAN VoIP, VoDSL, VoATM, VoIPoATM) 등 다양한 파라메터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라우트 설정이 NE에 의존하던 것과 다르게 망관리장치 (NMS/EMS)를 통해 전체 네트워크의 상태를 분석하여 라우팅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정확한 라우팅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망관리장치를 이용하면 분석된 통계적 정보와 실시간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라우트 설정기능에 의존하던 기존의 방법보다 다양하고 빠르고 손쉽게 네트워크 크로스-커넥션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결 정보는 망관리장치에 의해 소스와 목적지만 입력하면 중간 경로의 모든 정보와 가능한 포트/채널(VPI/VCI)이 자동으로 설정되고 가입자의 선택에 의해 가능한 채널(VPI/VCI)을 찾아준다. 이렇게 찾은 VPI/VCI 의 개수는 운용자가 선택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10 개가 주어지고 운용자는 10개중에 하나의 연결을 선택하면 된다.
이와 같이, 망관리 장치를 통해서 가입자 연결을 할 때, 여러 가지 변수(Parameter)와 트래픽 팩터(Traffic Factor)를 고려하여 트래픽을 사전에 예측하고 로드(Load)를 분산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1)

  1.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망관리를 위한 네트워크를 통해 각 통신망 구성요소의 구성현황 및 접속상태에 대하여 수집된 제 1 정보와, 각 통신망 구성요소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 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된 제 2 정보로부터 각 통신망 구성요소의 트래픽 정보를 획득하여 각 통신망 구성요소의 이용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트래픽 등급을 분류하는 단계와,
    네트워크를 통해 신규 가입자에 대한 접속 라우팅 경로 설정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분류된 트래픽 등급에 의하여 트래픽이 적은 유니트 또는 포트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유니트/포트에서 사용 가능한 가입자 접속 VPI/VCI를 선택하여 최종 접속 라우팅 경로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등급을 분류하는 단계에서,
    상기 망관리를 위한 네트워크는, 망관리 장치(NMS/EMS) 네트워크인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알람발생 여부 정보, 각 통신망 구성요소간의 홉수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각 통신망 구성요소에 할당된 가입자 별 트래픽 디스크립터(Traffic Descriptor), CoS, QoS, To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등급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에 의하여 해당 통신망 구성요소에 대한 사용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사용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 2 정보를 사용하여 각 통신망 구성요소에 대한 트래픽 등급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6.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망관리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통신망 구성요소의 시작점 및 종단점을 입력받아 상기 시작점 및 종단점간에 링크 및 토폴로지에 따라 설정 가능한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와,
    그 선택된 경로에 대하여 경로별 대상 유니트, 그 유니트별 보유 포트, 해당 포트별 가입자 접속 현황을 분석하는 단계와,
    해당 포트별 해당 가입자의 트래픽 혼잡도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여 가중치가 최하인 포트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포트에서 시작점과 종단점의 VPI/VCI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해당 통신망 구성요소에 전송하여 해당 구간간의 크로스-커넥션을 설정하게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및 토폴로지에 따라 설정 가능한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점과 종단점간의 가장 적은 수의 홉을 통과하는 경로는 선택하는 단계와,
    같은 수의 홉을 통과하는 경로가 복수인 경우, 대역폭 사용량이 가장 낮은 트렁크를 차지하고 있는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해당 포트별 가입자 접속 현황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알람정보를 각 유니트별/포트별로 분석하여 각 경로별로 트래픽 항목에서 분류하는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과 종단점의 VPI/VCI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트래픽 디스크립터를 제 1우선 순위로 하고, 가입자 등급, 품질 등급, 서비스 종류를 제 2 우선순위으로 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10.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탈 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탈 처리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망관리를 위한 네트워크를 통해 각 통신망 구성요소의 구성현황 및 접속상태에 대하여 수집된 제 1 정보와, 각 통신망 구성요소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 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된 제 2 정보로부터 각 통신망 구성요소의 트래픽 정보를획득하여 각 통신망 구성요소의 이용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트래픽 등급을 분류하는 단계와,
    네트워크를 통해 신규 가입자에 대한 접속 라우팅 경로 설정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분류된 트래픽 등급에 의하여 트래픽이 적은 유니트 또는 포트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유니트/포트에서 사용 가능한 가입자 접속 VPI/VCI를 선택하여 최종 접속 라우팅 경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11.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탈 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탈 처리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망관리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통신망 구성요소의 시작점 및 종단점을 입력받아 상기 시작점 및 종단점간에 링크 및 토폴로지에 따라 설정 가능한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와,
    그 선택된 경로에 대하여 경로별 대상 유니트, 그 유니트별 보유 포트, 해당 포트별 가입자 접속 현황을 분석하는 단계와,
    해당 포트별 해당 가입자의 트래픽 혼잡도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여 가중치가 최하인 포트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포트에서 시작점과 종단점의 VPI/VCI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경로정보를 해당 통신망 구성요소에 전송하여 해당 구간간의 크로스-커넥션을 설정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02-0001682A 2002-01-11 2002-01-11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KR100428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682A KR100428767B1 (ko) 2002-01-11 2002-01-11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US10/330,286 US20030133410A1 (en) 2002-01-11 2002-12-30 Subscriber routing setting method and recoding device using traffic information
TW91138119A TWI231674B (en) 2002-01-11 2002-12-31 Method for setting subscriber routing using traffic information through networks
CN03101650A CN1433188A (zh) 2002-01-11 2003-01-13 使用业务量信息设置用户路由的方法和记录装置
JP2003006217A JP3940365B2 (ja) 2002-01-11 2003-01-14 トラヒック情報を利用した加入者ルーティング設定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682A KR100428767B1 (ko) 2002-01-11 2002-01-11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151A true KR20030061151A (ko) 2003-07-18
KR100428767B1 KR100428767B1 (ko) 2004-04-28

Family

ID=3612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682A KR100428767B1 (ko) 2002-01-11 2002-01-11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133410A1 (ko)
JP (1) JP3940365B2 (ko)
KR (1) KR100428767B1 (ko)
CN (1) CN1433188A (ko)
TW (1) TWI231674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518B1 (ko) * 2004-01-16 2006-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프로세서에서의 ecmp 구현장치
KR100785932B1 (ko) * 2006-01-09 2007-12-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망 관리장치의 운영 데이터 관리 방법
KR100901521B1 (ko) * 2007-08-28 2009-06-08 광주과학기술원 휴리스틱 트래픽 로드 밸런스된 채널 공유 방법과 장치,상기 채널 공유 방법을 이용한 매체 접속 방법, 상기 채널공유 장치를 이용한 매체 접속망 시스템 그리고 상기방법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032523B1 (ko) * 2008-08-19 2011-05-04 최재구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교통 신호등
KR101373859B1 (ko) * 2007-02-16 201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셀 트래픽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40050460A (ko) * 2012-10-19 2014-04-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오픈 플로우 스위치와 컨트롤러를 사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07825A (ko) * 2015-03-05 2016-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로우 제어 관리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0772B2 (en) 2000-12-15 2004-07-06 Qualcomm, Inc. Generating and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protocol and interface for high data rate signal transfer
US8812706B1 (en) 2001-09-06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mismatched delays in signals of a mobile display interface (MDDI) system
US20050125483A1 (en) * 2002-05-06 2005-06-09 Pilotfish Networks Ab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information transfer
KR101168839B1 (ko) 2003-06-02 2012-07-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고속 데이터 레이트를 위한 신호 프로토콜 및 인터페이스의 생성 및 구현
US20050058130A1 (en) * 2003-08-04 2005-03-17 Christ Chris B.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data traffic classes to virtual channels in communications networks
EP2363992A1 (en) 2003-08-13 2011-09-07 Qualcomm Incorporated A signal interface for higher data rates
KR100951158B1 (ko) 2003-09-10 2010-04-0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고속 데이터 인터페이스
WO2005039148A1 (en) 2003-10-15 2005-04-28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CN101827074B (zh) 2003-10-29 2013-07-31 高通股份有限公司 高数据速率接口
EP2242231A1 (en) 2003-11-12 2010-10-20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with improved link control
BRPI0416895A (pt) 2003-11-25 2007-03-06 Qualcomm Inc interface de alta taxa de dados com sincronização de link melhorada
EP1698146A1 (en) 2003-12-08 2006-09-06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with improved link synchronization
WO2005062553A1 (en) * 2003-12-23 2005-07-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traffic in ad hoc networks
MXPA06010312A (es) 2004-03-10 2007-01-19 Qualcomm Inc Aparato y metodo de interfaz de velocidad de datos elevada.
AU2005223960B2 (en) 2004-03-17 2009-04-09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EP1735988A1 (en) 2004-03-24 2006-12-27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20060029035A1 (en) * 2004-03-25 2006-02-09 Chase Christopher J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routes for distribution within IP networks
ATE511282T1 (de) 2004-06-04 2011-06-15 Qualcomm Inc Schnittstellen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hohe datenraten
US8650304B2 (en) 2004-06-04 2014-02-11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 pre skew and post skew calibration data rate in a 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MDDI)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92941A1 (en) * 2004-11-01 2006-05-04 Kazuhiro Kusama Communication path monitoring system and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8667363B2 (en) 2004-11-24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cyclic redundancy checks
US8692838B2 (en) 2004-11-24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a buffer
US8539119B2 (en) 2004-11-24 2013-09-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messages having a digital data interface device message format
US8723705B2 (en) 2004-11-24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Low output skew double data rate serial encoder
US8699330B2 (en) 2004-11-24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data transmission rate control
US8873584B2 (en) 2004-11-24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 data interface device
CN100365995C (zh) * 2005-04-04 2008-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以太网业务的开通方法
US8692839B2 (en) 2005-11-23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a buffer
US8730069B2 (en) 2005-11-23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Double data rate serial encoder
CN100396011C (zh) * 2006-02-15 2008-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检测网元连接状态的方法
CN100450099C (zh) * 2006-08-24 2009-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光网络业务流量生成业务路由的方法
US8750133B2 (en) * 2007-10-16 2014-06-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monitoring component for network traffic monitoring
US8756340B2 (en) 2007-12-20 2014-06-17 Yahoo! Inc. DNS wildcard beaconing to determine client location and resolver load for global traffic load balancing
US7962631B2 (en) * 2007-12-21 2011-06-14 Yahoo! Inc. Method for determining network proximity for global traffic load balancing using passive TCP performance instrumentation
US20090172192A1 (en) * 2007-12-28 2009-07-02 Christian Michael F Mapless Global Traffic Load Balancing Via Anycast
US20090245114A1 (en) * 2008-04-01 2009-10-01 Jayanth Vijayaraghavan Methods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network performance data
KR101860486B1 (ko) * 2011-10-28 2018-07-02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라우팅 테이블을 편집하는 방법
US9876737B2 (en) 2014-07-11 2018-01-2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efficient load-balancing in a high performance computing (HPC) environment
US9787560B2 (en) 2015-06-04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ffective service node traffic routing
CN106172109B (zh) * 2016-07-13 2019-01-01 海阳市黄海水产有限公司 鲆鲽个体区分标记方法
CN108155981B (zh) * 2016-12-05 2022-05-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snmp服务器及封装snmp通信数据的方法
US10135917B2 (en) 2017-04-20 2018-11-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customers to network elements
US10887217B2 (en) * 2018-06-29 2021-01-0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Routing packets based on congestion metric thresholds and weigh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1775B1 (en) * 1997-05-30 2002-0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ading balancing across servers in a computer network
US6667956B2 (en) * 1998-05-01 2003-12-23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class network
JP3609256B2 (ja) * 1998-05-19 2005-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ノード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US7126911B2 (en) * 2001-08-06 2006-10-24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Timer rollover handling mechanism for traffic polic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518B1 (ko) * 2004-01-16 2006-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프로세서에서의 ecmp 구현장치
KR100785932B1 (ko) * 2006-01-09 2007-12-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망 관리장치의 운영 데이터 관리 방법
KR101373859B1 (ko) * 2007-02-16 201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셀 트래픽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901521B1 (ko) * 2007-08-28 2009-06-08 광주과학기술원 휴리스틱 트래픽 로드 밸런스된 채널 공유 방법과 장치,상기 채널 공유 방법을 이용한 매체 접속 방법, 상기 채널공유 장치를 이용한 매체 접속망 시스템 그리고 상기방법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032523B1 (ko) * 2008-08-19 2011-05-04 최재구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교통 신호등
KR20140050460A (ko) * 2012-10-19 2014-04-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오픈 플로우 스위치와 컨트롤러를 사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07825A (ko) * 2015-03-05 2016-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로우 제어 관리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3188A (zh) 2003-07-30
KR100428767B1 (ko) 2004-04-28
TW200302008A (en) 2003-07-16
US20030133410A1 (en) 2003-07-17
TWI231674B (en) 2005-04-21
JP3940365B2 (ja) 2007-07-04
JP2003218919A (ja)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767B1 (ko)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가입자 라우팅 설정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US82435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rerouting data in a data network
US8937856B2 (en) Methods and systems to reroute data in a data network
US833998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ing logical circuits for intermittent use in a data network
US894208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rerouting logical circuit data in a data network
US6842463B1 (en) Automated and adaptive management of bandwidth capacity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80316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simultaneous monitoring of logical circuits in a data network
US871167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 logical circuit failure in a data network
EP0981261B1 (en) Load balanced UBR routing in ATM networks
US2015027804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rerouting logical circuit data
US72751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on demand selective rerouting of logical circuit data in a data network
US73429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bandwidth estimation
US76303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failover circuit for rerouting logical circuit data in a data network
US73103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rallel connection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6498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rallel connection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H11275079A (ja) 非同期転送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非同期転送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品質管理方法
Larsson Capacity management with logical li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