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986A - 보강재 - Google Patents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986A
KR20030060986A KR10-2003-7007791A KR20037007791A KR20030060986A KR 20030060986 A KR20030060986 A KR 20030060986A KR 20037007791 A KR20037007791 A KR 20037007791A KR 20030060986 A KR20030060986 A KR 20030060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reinforcing member
reinforcement
stretched
condu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프린유리레오니도비치
듀비닌블라디미르스테파노비치
Original Assignee
인텔리크라프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리크라프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인텔리크라프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6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98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71Ceramic products contain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74Ceramic products contain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containing shaped metallic materials
    • C04B35/76Fibres, filaments, whiskers, platel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4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2Composite materials, e.g. having 1-3 or 2-2 type conne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교차홀(1) 및 상기 홀 내에 배치된 복수의 연신 고체 보강부재(2)를 가지는 솔리드체를 포함하는 보강재로서,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2)는 서로 교차하는 곳에서 유연 접합(3)에 의해 상호 접합된다.

Description

보강재 {REINFORCED MATERIAL}
RU 2056492에서는 보강 매트릭스로서 제공되는 연신 막대 및 세로방향의 나선 구조를 가지는 교차홀(intersecting hole)이 내장된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를 제시하고 있다. 보강 매트릭스의 구성 성분들은 함께 단단히 용접된다. 이 재료는 다양한 용도에 대해 중분한 강도 및 탄성을 갖지 못한다.
본 발명은 고강도 및 고탄성 구조를 가지는 보강재(reinforced material)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낳은 이해를 돕고, 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대한 실례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현형태의 보강재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구현형태의 보강재의 개략적인 단면도.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교차홀, 및 상기 홀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신 고체 보강부재(elogate solid state reinforced member)를 가지는 솔리드체(solid body)를 포함하는 보강재가 제공되며,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서로 교차하는 곳에서 유연하게 상호 접합되며, 상기 홀 및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마이크로미터 규모의 단면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 및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나노미터 규모, 즉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단면 크기(예를 들면, 두께 또는 직경 등)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교차홀, 및 상기 홀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신 고체 보강부재를 가지는 솔리드체를 포함하는 보강재가 제공되며,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들은 서로 교차하는 곳에서 유연하게 상호 접합되며,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들은 그들의 길이를 따라 상기 솔리드체에 부착되지 않는다.
물론,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홀 및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미터 규모뿐 아니라 거시적 규모의 단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구현형태는 보강재의 강도 및 탄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현형태는 예를 들어 내부에 형성되는 금속 보강재를 가지는 보강 콘크리트와 같은 거시적인 구조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상된 것이나, 본 발명의 다른 구현형태는 내부에 형성되는 미시적 규모, 보다 바람직하게는 나노미터 규모의 보강체를 가지는 보강재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중요한 점은 이들 보강부재들이 서로 교차하는 곳에서 유연하게 접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유연성은, 예를 들면 용접을 통해 단단하게 상호 연결된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기존의 보강재에 비해 증대된 탄성의 보강재를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이렇게 증대된 탄성은 인가된 응력에 대한 반응 시에 보강재를 유연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파괴 또는 손상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강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거시적 규모의 구현형태에서, 상기 보강부재는 피벗형 또는 힌지형의 기계적 접합을 통해, 혹은 원자간, 분자간 또는 분자내 힘을 포함하는 자기력, 전자기력 또는 정전기력, 예를 들면 이온 결합, 공유 결합 또는그 밖의 화학 결합 혹은 반데르발스의 힘을 통해, 혹은 경화 시에도 유연성을 유지하는 적합한 접착제 화합물을 이용해 이들 보강부재들을 그들의 교차점에서 서로 유연하게 부착시킴으로써 상호 접합시킬 수 있다.
미시적 또는 나노미터 규모의 구현형태에서, 상기 보강부재는 정전기력 및 전자기력, 예를 들면 이온 결합, 공유 결합 또는 그 밖의 화학 결합 혹은 반데르발스의 힘, 그리고 자기력을 포함하는 원자간, 분자간 또는 분자내 힘을 통해 그들의 교차점에서 상호 접합시킬 수 있다. 어떤 힘이 적합한지는 통상 보강부재의 성질 및 조성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거시적 구현형태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부재들을 접합하는 데는 유연성 접착제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거시적 규모의 구현형태 및 미시적 규모의 구현형태 모두에서, 보강부재들은 홀의 길이를 따라 고체 재료에 고정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과를 달성하는 한가지 방법은 보강부재의 외주와 홀의 내면 사이에 갭을 배치하는 것이다. 이 갭은 에어 갭일 수 있으며, 이들 갭을 홀에 삽입하기에 앞서 보강부재를 슬리브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제공할 수도 있다. 슬리브는 보강부재가 그들의 교차부에서 유연하게 접합되도록 배열함으로써, 개별적인 세로 구획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보강 콘크리트는 통상 금속 보강부재의 골격(skeletal framework)을 조립한 후, 보강부재 주위에 콘크리트를 캐스팅(casting)함으로써 형성한다. 통상의 구조체에서, 보강부재는 콘크리트 내에 부동 상태로 매립되어(embedded) 콘크리트에 부착된다. 이를테면, 플라스틱 슬리브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보유된 유연하게 상호 접합된 보강부재의 골격을 제공함으로써, 보강부재가 콘크리트에 부착되지는 않으나, 그와 관련된 정도의 유연성 이동은 유지하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골격 주위에 콘크리트를 캐스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강재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솔리드체 내의 교차홀 또는 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축조될 수 있다. 한 구현형태에서는, 이에 이어 유연 접합을 통해 일련의 고체 보강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보강 체인을 형성한다. 이어서, 솔리드체를 따라 제1 전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 세트의 홀로 제1 세트의 보강 체인을 삽입한 뒤, 제2 전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2 세트의 홀로 제2 세트의 보강 체인을 삽입한다. 이어서, 이들 체인을 상술한 기술을 이용해 그들이 교차하는 곳에서 함께 유연하게 접합시킨다.
몇몇 구현형태에서, 이러한 유연 접합은 보강부재 사이의 교차부에 아교를 적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아교는 경화된 후에도 탄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선택한다.
상기 교차홀은 기공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시적 구현형태 및 나노미터 규모의 구현형태는 특정 구조재를 이용하는 경우 특히 유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교차홀을 가지는 솔리드는 유전성 재료, 반전도성 재료 또는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유전성 재료, 반전도성 재료 또는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일부는 유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부는 반전도성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일부는 유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부는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일부는 반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부는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일부는 유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부는 반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일부는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솔리드체 또는 보강부재 중 하나에 유전성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유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는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솔리드체 또는 보강부재 중 하나에 전도성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는 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솔리드체 또는 보강부재 중 하나에 전도성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는 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솔리드체 또는 보강부재 중 하나에 전도성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는 플래티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솔리드체 또는 보강부재 중 하나에 전도성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는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 또는 기공, 및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10 내지 200 나노미터의 폭 또는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또는 기공, 및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100 내지 1000 나노미터의 길이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이격된 거리에 대해 작용하는 힘(이 경우는 전자기력)에 의해 교차부(3)에서 유연하게 접합된 복수의 교차홀을 함유하는 연신 고체 보강부재로 형성된 솔리드체(1)를 나타낸다.
상기 보강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다. 먼저,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솔리드(1) 내부에 교차홀을 안출한다. 이어서, 유연 접합을 통해 다수의 연신 고체 보강부재들(2)을 함께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체인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1 세트의 체인을 주어진 제1 방향(A)으로 제1 세트의 홀에 삽입한 뒤, 제2 세트의 체인을 주어진 제2 방향(B)으로 제2 세트의 홀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이격된 거리에서 작용하는 힘의 메커니즘을 이용해 체인이 교차하는 곳에서 추가의 유연 접합(3)을 만들어 낸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유연 접합은 응고 또는 경화 후에도 그들의 탄성을 보존하는 아교를 이용해 만들어 낼 수도 있다.
홀이 기공 형태인 경우, 솔리드체(1) 내부의 연신 고체 보강부재(2)의 유연접합(3)은 솔리드체(1)의 표면에 증착되어 그 용적을 확장시키는 다른 재료의 투과에서 비롯될 수 있다.
솔리드체(1) 및 연신 고체 보강부재(2)용 재료, 그리고 유연 접합의 유형은 보강재의 선택적 특성에 특이적으로 요구되는 조건을 기준으로 선택될 수 있다.
1) 나노미터 규모:
표준 기술을 이용해, 예를 들면 BaCO319.8 몰%, TiO222.5 몰%, PbO 4.7 몰%, ZrO23.1 몰%, CaO 0.75 몰%의 조성을 가지는 압전세라믹 블랭크(piezoceramic blank)를 제조한다(결합제를 포함하는 프레스 처리된 압전세라믹 장입물을 1300-1450℃의 온도에서 소성한 뒤, 점진적으로 일정하게 냉각시킴).
예를 들면, 안티몬 설포요오다이드(SbSI)로 이루어진 직경 20 nm의 예리한 프로브를 이용해 전기부식(electroerosion)법에 의해 압전세라믹 블랭크의 한쪽 면에 나노-기공을 형성한다. 전기부식 처리는 네거티브 펄스를 통해 600 nm의 스캐닝 단계, 4V의 수정 전압(modifying voltage) 및 400ns의 기공당 프로세싱 시간으로 실시한다.
이어서, (직경 10 nm의 예리한 점을 가지는) 예를 들면 은으로 만들어진 제2 프로브를 이용해 나노-기공 내에 은 나노-섬유를 형성한다. 포지티브 펄스를 인가하는 동안 이온 침적법에 의해 나노-섬유를 제조한다(처리 단계 - 600 nm, 수정 전압 - 2V, 처리 시간 - 600ns). 제1 및 제2 프로브를 스캐닝 터널링 전자 현미경을 이용해 배치한다.
이어서, 강도 6 kV/mm의 외부 전기장 하에 기계적 변형을 인가한다. 그 결과, 재료의 내부 구조가 접합에 의해 연결된 나노-섬유를 가지는 기공의 네트로 전환된다.
"나노-기공 내의 나노-섬유" 구조의 쌍을 형성한 후, Ag 함유 페이스트를 이용해 주입 및 배출 전극을 형성한다. 이어서, 블랭크 편광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압전세라믹은 20 내지 100 nm의 단면 및 300 내지 1000 nm의 깊이를 가지는 나노-기공을 갖는다. 300 내지 1000 nm의 길이 및 10 내지 100 nm의 단면을 가지는 나노-섬유가 기공 내에 삽입된다. 기공의 콘센트레이션은 ㎛2당 평균 7개의 기공이다. 나노-섬유는 은으로 이루어진다.
"나노-기공 내의 나노-섬유" 구조를 갖지 않는 원료 압전세라믹 플레이트의 인장 강도는 2200 N/mm2이다. "나노-기공 내의 나노-섬유" 구조의 프로비젼은 인장 강도를 3100 N/mm2로 증가시킨다. 교차하는 나노-섬유들 사이에 유연 접합을 제공하면, 인장 강도를 추가 4400 N/mm2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i) 기공 내에 매립된 반전도성 섬유를 가지는 금속
원재료로서 텅스텐을 이용한다. 기계적 변형을 통해(2 mm 간격으로 20 mm 길이의 와이어를 벤딩함으로써) 텅스텐 와이어 표면의 300 내지 1000 nm의 깊이에 20 내지 100 nm의 단면을 가지는 기공 네트를 형성한다. 나노-섬유는 기공 내에 300 내지 1000 nm 깊이 및 10 내지 100 nm의 단면으로 매립된다. 기공의 콘센트레이션은 ㎛2당 평균 5개 기공이다. 나노-섬유는 규소로 이루어진다.
"나노-기공 중의 나노-섬유" 구조를 갖지 않는 원료 텅스텐 와이어의 인장 강도는 3600 N/mm2이다. "나노-기공 중의 나노-섬유" 구조를 사용하면, 강도가 4400 N/mm2까지 증가된다. 상술한 '보강재'는 5400 N/mm2의 강도를 갖는다.
ii) 기공 내에 매립된 유전성 섬유를 가지는 금속
원재료로서 텅스텐을 이용한다. 기계적 변형을 통해(2 mm 간격으로 20 mm 길이의 와이어를 벤딩함으로써) 텅스텐 와이어 표면의 300 내지 1000 nm의 깊이에 20 내지 100 nm의 단면을 가지는 기공 네트를 형성한다. 나노-섬유는 기공 내에 300 내지 1000 nm 깊이 및 10 내지 100 nm의 단면으로 매립된다. 기공의 콘션트레이션은 ㎛2당 평균 4개의 기공이다. 나노-섬유는 황으로 이루어진다.
원료 텅스텐 와이어의 인장 강도는 3600 N/mm2이다. "나노-기공 중의 나노-섬유" 구조를 사용하면 강도가 4100 N/mm2까지 증가한다. 상술한 보강재는 4600 N/mm2의 강도를 갖는다.
2) 거시적 규모:
시멘트 혼합물은 15 중량%의 포틀랜드 시멘트, 45 중량%의 모래, 1 중량%의 가소제, 및 39 중량%의 쇄석(crushed stone)(쇄석의 평균 입자 중량 75 g)으로 이루어진다. 이 혼합물을 50 중량%의 물과 혼합해 콘크리트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2와 관련하여, 강 보강 막대(4, 5)의 매트릭스를 구축한다. 이때 이들 막대(4, 5)가 그 내부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1 mm 두께의 PVC 슬리브(6)가 각각의 막대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매트릭스는 주요 세로 보강막대(4)와 보조 가로 보강막대(5)를 포함한다.
이어서, 보강 매트릭스를 몰드 내에 배치하고, 콘크리트 혼합물(7)을 상기 매트릭스 상에서 몰드로 쏟아 붓는다. 대략 10 내지 15분 동안 진동기를 적용해 콘크리트 혼합물(7)을 적당히 응고시킨 뒤, 몰드를 30분 동안 700℃로 가열해 콘크리트(7)를 응고시킨다.
콘크리트(7)가 응고될 때,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 보강 막대(4, 5)의 PVC 슬리브(6)를 콘크리트(7)로 함께 단단히 프레스한다. 화살표 A의 방향으로 6000 N/m2에 달하는 횡결합 강도를 가지며 화살표 B의 방향으로 500 N/m2의 상대적으로 낮은 종결합 강도를 갖는 전정기적 공유 결합을 통해 PVC 슬리브(6)을 그들의 교차점(8)에서 접합시킨다. 상대적으로 낮은 종결합 강도는 접합에 요구되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보강 막대가 서로 단단히 연결되는 등가의 종래의 보강 콘크리트 블록의 인장 강도 4700 N/m2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보강 콘크리트 구조는 5600 N/m2의 인장 강도는 갖는다.

Claims (24)

  1.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교차홀, 및 상기 홀 내에 배치된 복수의 연신 고체 보강부재(elogate solid state reinforced member)를 가지는 솔리드체(solid body)를 포함하는 보강재로서,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서로 교차하는 곳에서 유연하게 상호 접합되며, 상기 홀 및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마이크로미터 규모의 단면 크기를 가지는 보강재.
  2.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교차홀, 및 상기 홀 내에 배치된 복수의 연신 고체 보강부재를 가지는 솔리드체를 포함하는 보강재로서,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들은 서로 교차하는 곳에서 유연하게 상호 접합되며, 그들의 길이를 따라 상기 솔리드체에 부착되지 않는 보강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홀이 기공(pore) 형태인 보강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체가 유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체가 반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체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가 유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가 반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가 일부는 유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부는 반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가 일부는 유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부는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가 일부는 반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부는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가 일부는 유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부는 반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일부는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14. 제4항, 제7항, 제10항, 제11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15. 제6항, 제9항, 제11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은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16. 제6항, 제9항, 제11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금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17. 제6항, 제9항, 제11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플래티늄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18. 제6항, 제9항, 제11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구리로 이루어지는 보강재.
  19. 제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 및 연신 고체 보강부재가 10 내지 200 나노미터의 폭 또는 단면을 가지는 보강재.
  20. 제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 및 연신 고체 보강부재가 100 내지 1000 나노미터의 길이를 가지는 보강재.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가 연신 홀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는 보강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와 그들이 관련된 연신 홀 사이에 시야 계측(perimetral) 에어 갭이 제공되는 보강재.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들 중 적어도 몇몇이 각각 그들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내부 부재 및 외부 슬리브를 포함하는 보강재.
  24. 제2항, 제21항, 제22항, 및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재료는 콘크리트이고, 상기 연신 고체 보강부재는 금속인 보강재.
KR10-2003-7007791A 2000-12-12 2001-12-04 보강재 KR200300609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030254A GB2370587B (en) 2000-12-12 2000-12-12 Reinforced material
GB0030254.7 2000-12-12
PCT/GB2001/005366 WO2002047878A1 (en) 2000-12-12 2001-12-04 Reinforced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986A true KR20030060986A (ko) 2003-07-16

Family

ID=990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791A KR20030060986A (ko) 2000-12-12 2001-12-04 보강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40188715A1 (ko)
EP (1) EP1341651A1 (ko)
JP (1) JP2004528185A (ko)
KR (1) KR20030060986A (ko)
CN (1) CN1479669A (ko)
AU (1) AU2002222124A1 (ko)
CA (1) CA2429823A1 (ko)
GB (2) GB2371327B (ko)
HK (1) HK1045350B (ko)
WO (1) WO20020478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3747B1 (fr) * 2007-03-16 2009-04-24 Messier Dowty Sa Sa Procede de realisation de raidisseurs en materiau composite
JP5562279B2 (ja) * 2011-03-17 2014-07-30 株式会社安部日鋼工業 Pc鋼材用シースの連結装置
DE102018109501A1 (de) * 2018-04-20 2019-10-24 Peri Gmbh Bewehrung von 3D-gedruckten Betonkörper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7237B1 (de) * 1981-06-12 1984-09-05 Werner Vogel Armierung in Form eines kunststoffüberzogenen Fadengitters
DE3411591C1 (de) * 1984-03-29 1985-06-13 Hochtief Ag Vorm. Gebr. Helfmann, 4300 Essen Schubbewehrungselement fuer Stahlbetonkonstruktionen
DE3444645A1 (de) * 1984-12-07 1986-06-19 Hochtemperatur-Reaktorbau GmbH, 4600 Dortmund Herstellung einer bewehrung
US5326525A (en) * 1988-07-11 1994-07-05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Consolidation of fiber materials with particulate metal aluminide alloys
US5763043A (en) * 1990-07-05 1998-06-09 Bay Mills Limited Open grid fabric for reinforcing wall systems, wall segment product and methods of making same
RU2056492C1 (ru) 1992-12-31 1996-03-20 Олег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адачкория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GB2365875B (en) * 1998-12-30 2003-03-26 Intellikraft Ltd Solid state material
US6265046B1 (en) * 1999-04-30 2001-07-24 Xerox Corporation Electrical component having fibers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US6461528B1 (en) * 1999-10-29 2002-10-0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of fabricating lateral nanopores, directed pore growth and pore interconnects and filter device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28185A (ja) 2004-09-16
GB2370587B (en) 2002-11-13
GB2371327B (en) 2002-11-13
GB2371327A (en) 2002-07-24
HK1045350A1 (en) 2002-11-22
GB2370587A (en) 2002-07-03
EP1341651A1 (en) 2003-09-10
GB0030254D0 (en) 2001-01-24
WO2002047878A1 (en) 2002-06-20
CN1479669A (zh) 2004-03-03
CA2429823A1 (en) 2002-06-20
US20040188715A1 (en) 2004-09-30
HK1045350B (zh) 2003-02-28
GB0129072D0 (en) 2002-01-23
AU2002222124A1 (en) 200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m et al. Improving flexur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ed geopolymer composites with in-process steel cable reinforcement
CN100595384C (zh) 用于建造拼装预应力混凝土梁的分段及其制造方法
US4642830A (en) Bridge truss, bridge span including such truss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truss
KR20090039500A (ko) 3차원 트러스 타입 다공질 재료의 보강재를 구비한 구조물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60986A (ko) 보강재
JP4022205B2 (ja) 部材の接合構造
Turk et al. Bond strength of reinforcement in splices in beams
DE60211412T2 (de) Tragkonstruktion für Gebäudeherstellung
EP0924359A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orgefertigten Wandelementen für die Errichtung von Bauwerk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JP3308664B2 (ja) 遠心成型鋼管コンクリート柱とその製造方法
JP3762143B2 (ja) 無補強・無アンカーの耐震補強壁の施工法
JP4388208B2 (ja) コンクリートのひずみ計測器
Burns Development of continuity between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beams
JPH01122942A (ja) コンクリート補強材
Bos et al. 3D Concrete Printing for Structural Applications
KR101585745B1 (ko)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CN103953034B (zh) 具有钢绞线的h型桩及制造方法
JP2002013196A (ja) Rc系構造物の自己免震構法及び自己免震構造
DE10039830B4 (de) Verwendung von ringförmigen Faserverbundwerkstoffen als Bewehrungselemente in Beton
EP2395164A2 (de) Bauteil für ein Gebäude, insbesondere Wand-, Decken- oder Dachelementbauteil, und zugehöriges Herstellverfahren
DE202010009045U1 (de) Bauteil für ein Gebäude, insbesondere Wand-, Decken- oder Dachelementbauteil
Dhasarathan et al. Experimental study on the ductile characteristics of hybrid ferrocement slabs
KR200274079Y1 (ko)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탄소섬유
DE2520549A1 (de) Verfahren, bauweise und bauelementensatz fuer hoch- und tiefbauaufgaben wie bruecken, durchlaesse, waende, decken und tragjoche
DE1609907C3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