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9976A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9976A
KR20030059976A KR1020020000557A KR20020000557A KR20030059976A KR 20030059976 A KR20030059976 A KR 20030059976A KR 1020020000557 A KR1020020000557 A KR 1020020000557A KR 20020000557 A KR20020000557 A KR 20020000557A KR 20030059976 A KR20030059976 A KR 20030059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ase
flange
cooking chamber
re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익
김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9976A/ko
Publication of KR20030059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97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리실에 배치된 히터를 자동으로 위치 가변시켜 이의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에 의하면, 조리실(30)에 나란하게 배치된 제1히터(50L)와 제2히터(50R)가 모터(62)의 구동에 의해 스윙되면서 조리실(30) 측벽에 근접하거나 또는 수평상태로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제1히터(50L)와 제2히터(50R)의 위치 가변을 안전하면서 손쉽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제1,제2히터(50L)(50R)가 편심되게 고정되는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는 적은 중량을 갖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외측에 미끄럼부재(58)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스윙동작이 부드럽게 진행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의 후면인 내부케이스(20)의 후면판(22)과 히터캡(54L)(54R)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링형상의 고주파 누설차단부재(59)와 리테이너(59a)에 의해 고주파 누설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렌지{Micro 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에서 히터의 위치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히터 위치조절장치를 갖춘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서 기본파 2450MHz의 고주파를 조리실로 방사하여 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 변환시킴으로써, 분자들간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물을 조리하는 기구인데, 최근에는 조리실에 전기히터를 추가로 설치하여 그릴기능을 갖춘 전자렌지가 시판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그릴기능을 갖춘 전자렌지는 내부에 조리실(1)이 형성된 내부케이스(2)와, 이 내부케이스(2)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마그네트론(미도시) 및 고압트랜스(3)와 같은 전장품이 설치되도록 전장품실(4)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5)와, 조리실(1)의 바닥에 배치되는 턴테이블 방식의 조리접시(6)와, 조리실(1)의 천정에 소정각도 스윙 가능하게 배치되며 "U" 형상으로 벤딩된 전기히터(7)를 갖추고 있다.
이 전기히터(7)는 열에 의해 조리가 진행되도록 조리실(1)에 열을 가하는 것인데, 이의 일측 단부는 내부케이스(2) 측면을 통해 전장품실(4)로 연장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전기히터(7)의 단부에는 내부케이스(2) 측면판에 스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지부재(8)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기히터(7)는 플랜지부재(8)를 통해 상하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스윙되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의 천정에는 전기히터(7)의 스윙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9)가 매달려 설치된다. 이 지지부재(9)는 내열성이 우수한 알루미나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의 일단은 내부케이스(2) 상면에 고정되고 이의 타단에는 전기히터(7)의 타측 단부가 걸려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렌지가 작동되면,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된 고주파가 조리실(1)로 방사되며, 턴테이블 방식의 조리접시(6)에 놓인 조리물이 회전되면서 균일하게 조리된다.
아울러 전기히터(7)에 전원이 공급되면 여기에서 발생된 복사열에 의한 조리가 이루어지며, 이것에 의해 생선 또는 식빵 등을 손쉽게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에 따라 전기히터(7)를 스윙시켜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로 위치를 가변시키면, 조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자렌지에서는 전기히터(7)의 위치 가변을 별도의 도구를 통해 수동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또한, 조리가 완료된 후 가열된 전기히터(7)를 복원되는 방향으로 스윙시킬 때, 상당한 주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실에 배치된 전기히터의 위치를 자동으로 가변시킴으로써 제품의 사용 편리성 및 신뢰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히터위치조절장치를 갖춘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자렌지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 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 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위치조절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의 수평상태 위치시 위치조절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의 수직상태 위치시 위치조절장치의 작동상태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가 수직되게 위치된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외부케이스 20..내부케이스 30..조리실
50L,50R..히터 51L,51R..플랜지부재 54L,54R..히터캡
57L,57R..스윙축 58..미끄럼부재 59..고주파 누설차단부재
60..위치조절장치 61..브래킷 62..모터
63..구동기어 64L,64R..피동기어 66L,66R..연결링크
67L,67R..마이크로 스위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함체 상의 케이스와, 조리실내에서 양측에 배치된 제1히터 및 제2히터와, 케이스의 후면판 일측을 관통하여 스윙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장자리 부위에 제1히터가 고정되는 제1플랜지부재와, 케이스의 후면판 타측을 관통하여 스윙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장자리 부위에 제2히터가 고정되는 제2플랜지부재와, 케이스의 후면판 외부로 노출된 제1플랜지부재 및 제2플랜지부재의 후면을 덮도록 결합되어 제1,제2플랜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중심부에 회전축이 마련된 제1,제2히터캡과, 케이스의 후면판 외측에 마련되며 제1,제2히터캡을 소정각도 스윙시켜 제1,제2히터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위치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치조절장치는 케이스의 후면판 외부에 장착되며 양측에 제1,제2히터캡의 회전축들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가 배치된 브래킷과, 모터의 회전축에 마련된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와 이물림되어 회전하며 가장자리 부위에 돌설부가 편심되게 형성된 제1,제2피동기어와, 제1,제2히터캡의 가장자리 부위에 제1,제2히터의 고정위치와 대응하게 마련된 제1,제2스윙축과, 제1피동기어의 돌설부와 제1히터캡의 제1스윙축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플랜지부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1연결링크와, 제2피동기어의 돌설부와 제2히터캡의 제2스윙축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플랜지부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하여; 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제1,제2히터의 위치가 조리실의 벽면에 인접하거나 조리실에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제2피동기어는 브래킷의 중앙부위에 서로 이물림되도록 배치되며, 구동기어는 제1,제2피동기어 중에서 어느 하나와 이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치조절장치는 브래킷에 장착되며 제1,제2피동기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제2플랜지부재는 제1,제2히터의 단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버링 가공부가 형성된 원형판재와, 원형판재의 일면에 접합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의 플랜지면이 형성된 캡부재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제2플랜지부재의 플랜지면과 케이스의 후면판 사이에는 제1,제2플랜지부재의 스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링 형상의 미끄럼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제2플랜지부재는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의 플랜지면을 갖도록 다이케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의 후면판과 제1,제2히터캡 사이에는 링 형상의 고주파 누설차단부재와 리테이너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내부에 조리실(30)이 형성된 내부케이스(20)와, 이 내부케이스(20)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도록 결합되며 조리실(20)과 구획되게 전장품실(40)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10)와, 조리실(30)을 개폐하도록 내부케이스(20)의 전면판(21)에 힌지 결합된 도어(24)와, 조리실(30) 내부에 스윙 가능하게 배치된 전기히터(50L)(50R) 및 이를 스윙시켜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위치조절장치(60)를 갖추고 있다.
내부케이스(20)는 조리실(30)의 개방부를 가진 전면판(21)과, 조리실(30)의 후방을 폐쇄하는 후면판(22)과, 전면판(21)과 후면판(22)이 전 후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조리실(30)을 형성하는 함체 상의 몸체(23)를 포함한다. 전면판(21)과 후면판(22)은 전장품실(40)의 전방과 후방을 외부와 구획하도록 소정 폭 만큼 연장되어 있다. 이 전면판(21) 일측에는 도어(24)가 힌지 결합되어 조리실(30)을 개폐하게 되며, 전장품실(40)과 인접하는 전면판(21)의 타측면에는 후술하는 마그네트론(41)과 전기히터(50L)(50R) 및 이의 위치조절장치(60) 구동여부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25a)을 갖춘 콘트롤패널(25)이 장착된다. 또한, 조리실(30) 바닥에는 턴테이블 방식으로 회전하는 원판형 조리접시(31)가 배치되어, 조리물에 고주파가 균일하게 조사되게 된다.
외부케이스(10)는 양단이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내부케이스(20) 양 측방을 감싸는 좌 우측판부(11L)(11R)와 내부케이스(20) 상방을 덮는 상판부(12)로 정의되며, 가장자리 선단과 후단이 각각 내부케이스(20)의 전면판(21)과 후면판(22)에 결합되어 전자렌지의 외관을 이루면서 전장품실(40)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장품실(40)에는 조리실(30)로 고주파를 방사하는 마그네트론(41)과, 이 마그네트론(41)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42)와, 전장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43) 등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장품들은 외부케이스(10)가 결합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보호되게 된다.
한편, 전기히터(50L)(50R)는 조리실(30)의 내부 양측에 대응하게 설치되며 중앙부가 "U" 형상으로 벤딩된 제1히터(50L)와 제2히터(50R)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내부케이스(20)의 후면판(22) 외부에 배치된 위치조절장치(60)를 통해 스윙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히터(50L)와 제2히터(50R)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리실(30)의 측벽에 인접하게 위치되거나 또는 스윙되어 조리실(30)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데, 이들의 상세한 구조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1히터(50L)와 제2히터(50R)의 각 단부는 나란하게 이루어지며, 이들은 각각 제1플랜지부재(51L)와 제2플랜지부재(51R)의 가장자리 부위에 편심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는 각각 제1,제2히터(50L)(50R)의 단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버링 가공부(52a)가 형성된 금속재질의 원형판재(52)와, 이 원형판재(52)의 배면에 결합되며 가장자리부위를 따라 원형의 플랜지면(53a)이 형성된 캡부재(53)로 이루어져 있다. 이 원형판재(52)와 캡부재(53)는 가장자리를 따라 프로젝션 용접을 통해 접합되어,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제1플랜지부재(51L)와 제2플랜지부재(51R)는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이의 내부는 텅 빈 중공부로 이루어져 비교적 적은 중량을 갖게 되는데, 이는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의 무게를 최소한 줄여 스윙 작동을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를 플랜지면(53a)을 갖도록 아연 다이케스트(die casting) 또는 알루미늄 다이케스트 공법으로 제작하면, 중량이 가볍게 되는 것은 물론이며 기계적 다듬질이 필요 없어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며 부품 일원화로 제조비용 역시 절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는 내부케이스(20)의 후면판(22) 양측에 천공된 제1관통홀(26L)과 제2관통홀(26R)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이것에 의해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의 후면은 내부케이스(20) 후면판(2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또한,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의 후면에는 각각 중심부에 회전축(56)이 돌출되게 마련된 제1히터캡(54L)과 제2히터캡(54R)이 스크류(55)를 통해 견실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는 제1,제2히터캡(54L)(54R)에 의해 내부케이스(20)의 후면판(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1,2관통홀(26L)(26R)에서 스윙가능하게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제1,제2히터캡(54L)(54R)의 회전축(56)은 후술하는 위치조절장치(60)의 브래킷(60)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또한, 제1,제2히터캡(54L)(54R)의 가장자리에는 제1,제2히터(50L)(50R)가 고정된 위치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제1스윙축(57L)과 제2스윙축(57R)이 돌출되게 마련되는데, 이 제1,제2스윙축(57L)(57R)은 위치조절장치(60)를 이루는 구성의 하나로 후술하는 연결링크(66L)(66R)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의 플랜지면(53a)과 내부케이스(20)의 후면판(22) 사이에는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의 스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링 형상의 미끄럼부재(58)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미끄럼부재(58)는 내열성이 우수하며 마찰계수가 0.2 ~ 0.04로서 고체 중에서 최저인 테플론(POLYTETRAFLUOROETYLENE)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내부케이스(20)의 후면판(22)과 제1,제2히터캡(54L)(54R) 사이에는 링 형상의 고주파 누설차단부재(59)와 황동제 리테이너(59a)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제1,제2관통홀(26L)(26R)을 통해 고주파가 내부케이스(2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 고주파 누설차단부재(59)와 리테이너(59a)는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의 후면에 제1,제2히터캡(54L)(54R)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내부케이스(20) 후면판(22)과 제1,제2히터캡(54L)(54R) 사이에 압착되게 배치된다.
한편,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위치조절장치(60)는 내부케이스(20)의 후면판(22) 외측에서 제1히터캡(54L)과 제2히터캡(54R)을 동시에 소정각도 스윙시켜 제1,제2히터(50L)(50R)를 조리실(30) 벽면에 인접하게 위치시키거나 또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위치조절장치(60)는 내부케이스(20)의 후면판(22) 외부에 장착되며 양측에 제1,제2히터캡(54L)(54R)의 회전축(56)들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위 상측에 모터(62)가 장착된 브래킷(61)과, 모터(61)의 회전축 단부에 압입되어 일체로 회전 운동하는 구동기어(63)와, 이 구동기어(63)와 이물림되어 회전하며 가장자리 부위에 돌설부(65)가 편심되게 형성된 제1피동기어(64L) 및 제2피동기어(64R)와, 이 제1피동기어(64L)의 돌설부(65)와 제1히터캡(54L)의 제1스윙축(57L)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연결링크(66L)와, 제2피동기어(64R)의 돌설부(65)와 제2히터캡(54R)의 제2스윙축(57R)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연결링크(66R)를 갖추고 있다.
브래킷(61)은 금속 판상으로 제작되며 양단이 스크류를 통해 내부케이스(20)의 후면판(22)에 견실하게 조립된다. 이러한 브래킷(61)의 양측에는 제1,제2히터캡(54L)(54R)의 회전축(56)이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축지지공(61a)과 제2축지지공(61b)이 마련되며, 이 제1,제2축지지공(61a)(61b)의 상하측 주변에는 제1,제2히터(50L)(50R)의 단부 및 제1,제2스윙축(57L)(57R)이 각각 여유 있게 관통하도록 제1개방부(61c)와 제2개방부(61d)가 반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제2개방부(61c)(61d)는 제1,제2스윙축(57L)(57R) 및 제1,제2히터(50L)(50R)의 스윙반경에 걸리지 않도록 여유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제2피동기어(64L)(64R)는 상호 이물림되도록 브래킷(61)의 중앙부위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여기에는 각각 축모양으로 돌출된 돌설부(65)가 편심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제2피동기어(64L)(64R) 중의 어느 하나에 구동기어(63)가 이물림되어 있어서, 모터(62)의 구동 시 제1,제2피동기어(64L)(64R)는 이물림되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기어(63)는 제1피동기어(64L)와 이물림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2피동기어(64R)의 상 하측에는 제1,제2히터(50L)(50R)의 스윙위치에 따라 모터(6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67L)(67R)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2피동기어(64R)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걸림턱(69)이 돌출되게 마련되며,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67L)(67R)는 제2피동기어(64R)의 회전반경과 근접한 위치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피동기어(64R)가 반회전할 때마다 걸림턱(69)이 각 마이크로 스위치(67L)(67R)의 스위칭부(68)와 접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 콘트롤패널(25)에 내장된 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어 모터(62)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제1연결링크(66L)의 일단은 제1히터캡(54L)의 제1스윙축(57L)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의 타단은 제1피동기어(64L)의 돌설부(6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피동기어(64L)의 회전동력이 제1히터캡(54L)에 전달되며 이것에 의해 제1히터(50L)가 소정각도 스윙되게 된다.
또한, 제2연결링크(66R)의 일단은 제2히터캡(54R)의 제2스윙축(57R)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의 타단은 제2피동기어(64R)의 돌설부(6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2피동기어(64R)의 회전동력이 제2히터캡(54R)에 전달되며 이것에 의해 제2히터(50R)가 소정각도 스윙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조리실(30)의 조리접시(31) 위에 조리물을 올려놓고 도어(24)를 닫은 상태에서 전자렌지를 작동시키면, 마그네트론(41)에서 조리실(30)로 고주파가 방사되며 이것에 의해 조리물은 수분의 급속한 분자변환에 의한 마찰열로 조리된다.이 때, 조리물은 조리접시(31)와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균일한 조리가 진행된다.
한편, 그릴 조리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리실(30) 벽면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1히터(50L)와 제2히터(50R)를 조리실(30)에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킨다. 즉, 콘트롤패널(25)의 버튼(25a)을 조작하여 위치조절장치(60)의 모터(62)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기어(63)가 회전됨과 동시에 이와 이물림된 제1피동기어(64L)와 제2피동기어(64R)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계속하여 제1,제2피동기어(64L)(64R)의 회전 동력이 제1,제2연결링크(66L)(66R)를 통해 제1,제2히터캡(54L)(54R)으로 전달되며, 이것에 의해 제1,제2히터캡(54L)(54R)과 함께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 및 제1,제2히터(50L)(50R)가 정방향으로 소정각도(약 90도) 스윙된다.
따라서 도 3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히터(50L)와 제2히터(50R)는 조리실(30)에서 수평상태로 위치된다. 이 때의 스윙동작은 제1히터(5L)와 제2히터(50R)가 조리실(30)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될 때까지만 진행되는데, 이것은 제2피동기어(64R)의 걸림턱(69)이 회전하면서 하측 제1마이크로 스위치(67R)의 스위칭부(68)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모터(62)의 구동이 정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히터(50L)와 제2히터(50R)에 전원이 인가되면 조리실(30)에 복사열이 가해지며, 이것에 의해 식빵 등을 용이하게 구울 수 있다.
그리고 전자렌지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바비큐 조리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히터(50L)와 제2히터(50R)를 조리실(30)의 측벽과 인접하게 수직상태로 위치시킨다. 즉, 콘트롤패널(25)의 다른 버튼(25a)을 조작하여 모터(62)에 전원을또다시 인가하면, 구동기어(63)가 회전됨과 동시에 이와 이물림된 제1피동기어(64L)와 제2피동기어(64R)는 또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계속하여 제1,제2피동기어(64L)(64R)의 회전동력이 제1,제2연결링크(66L)(66R)를 통해 제1,제2히터캡(54L)(54R)으로 전달되며, 이것에 의해 제1,제2히터캡(54L)(54R)과 함께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 및 제1,제2히터(50L)(50R)가 역방향으로 소정각도(약 90도) 스윙된다.
따라서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히터(50L)와 제2히터(50R)는 조리실(30)의 측벽과 인접하도록 수직상태로 위치된다. 이 때의 스윙동작은 제1히터(50L)와 제2히터(50R)가 조리실(30) 측벽에 근접하여 수직되게 위치될 때까지만 진행되는데, 이는 제2피동기어(64R)의 걸림턱(69)이 회전하면서 상측 제1마이크로 스위치(67L)의 스위칭부(68)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모터(62)의 구동이 정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히터(50L)와 제2히터(50R)에 전원이 인가되면, 조리물의 측면에 복사열을 가하여 바비큐 조리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히터(50L)와 제2히터(50R)가 조리실(30) 측벽에 근접되게 위치됨으로써, 청소 역시 손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는 자체 중량을 줄이기 위해 원형판재(52)와 캡부재(53)를 접합하여 내부가 비어 있도록 제작되며, 제1,제2플랜지부재(51L)(51R)와 내부케이스(20)의 후면판(22) 사이에 테플론으로 제작된 미끄럼부재(58)가 배치되기 때문에, 이의 스윙동작이 부드럽게 진행된다.
또한, 내부케이스(20)의 후면판(22)과 제1,제2히터캡(54L)(54R) 사이에는 압착되게 배치된 고주파 누설차단부재(59)에 의해 제1관통홀(26L) 및 제2관통홀(26R)을 통한 고주파 누설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에 의하면, 조리실에 나란하게 배치된 제1히터와 제2히터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윙되면서 조리실 측벽에 근접하거나 또는 수평상태로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제1히터와 제2히터의 위치 가변을 안전하면서 손쉽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제1,제2히터가 편심되게 고정되는 제1,제2플랜지부재는 적은 중량을 갖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외측에 미끄럼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스윙동작이 부드럽게 진행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제1,제2플랜지부재의 후면인 내부케이스의 후면판과 히터캡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링형상의 고주파 누설차단부재와 리테이너에 의해 고주파 누설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함체 상의 케이스와,
    상기 조리실내에서 양측에 배치된 제1히터 및 제2히터와,
    상기 케이스의 후면판 일측을 관통하여 스윙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장자리 부위에 상기 제1히터가 고정되는 제1플랜지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후면판 타측을 관통하여 스윙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장자리 부위에 상기 제2히터가 고정되는 제2플랜지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후면판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제2플랜지부재의 후면을 덮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제2플랜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중심부에 회전축이 마련된 제1,제2히터캡과,
    상기 케이스의 후면판 외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제2히터캡을 소정각도 스윙시켜 상기 제1,제2히터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위치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판 외부에 장착되며 양측에 상기 제1,제2히터캡의 회전축들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가 배치된 브래킷과,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마련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이물림되어 회전하며 가장자리 부위에 돌설부가 편심되게 형성된 제1,제2피동기어와, 상기 제1,제2히터캡의 가장자리 부위에 상기 제1,제2히터의 고정위치와 대응하게 마련된 제1,제2스윙축과, 상기 제1피동기어의 돌설부와 상기 제1히터캡의 제1스윙축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1연결링크와, 상기 제2피동기어의 돌설부와 상기 제2히터캡의 제2스윙축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플랜지부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제1,제2히터의 위치가 상기 조리실의 벽면에 인접하거나 상기 조리실에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피동기어는 상기 브래킷의 중앙부위에 서로 이물림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제1,제2피동기어 중에서 어느 하나와 이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장치는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며 상기 제1,제2피동기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플랜지부재는,
    상기 제1,제2히터의 단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버링 가공부가 형성된 원형판재와, 상기 원형판재의 일면에 접합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의 플랜지면이 형성된 캡부재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플랜지부재의 플랜지면과 상기 케이스의 후면판 사이에는 상기 제1,제2플랜지부재의 스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링 형상의 미끄럼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플랜지부재는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의 플랜지면을 갖도록 다이케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면판과 상기 제1,제2히터캡 사이에는 링 형상의 고주파 누설차단부재와 리테이너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20020000557A 2002-01-05 2002-01-05 전자렌지 KR20030059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557A KR20030059976A (ko) 2002-01-05 2002-01-05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557A KR20030059976A (ko) 2002-01-05 2002-01-05 전자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976A true KR20030059976A (ko) 2003-07-12

Family

ID=3221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557A KR20030059976A (ko) 2002-01-05 2002-01-05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997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849U (ko) * 1994-05-12 1995-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히터위치조절장치
KR960035111U (ko) * 1995-04-29 1996-11-21 전자레인지 가동히터 고정구조
KR970024654U (ko) * 1995-11-09 199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히터고정장치
KR19990015213U (ko) * 1997-10-14 1999-05-15 윤홍구 전자레인지의 하부히터 구동장치
KR19990023083U (ko) * 1997-12-03 1999-07-05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전자파 누설 방지구조
KR19990033858U (ko) * 1997-12-23 1999-08-16 윤홍구 복합 전자렌지의 히터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849U (ko) * 1994-05-12 1995-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히터위치조절장치
KR960035111U (ko) * 1995-04-29 1996-11-21 전자레인지 가동히터 고정구조
KR970024654U (ko) * 1995-11-09 199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히터고정장치
KR19990015213U (ko) * 1997-10-14 1999-05-15 윤홍구 전자레인지의 하부히터 구동장치
KR19990023083U (ko) * 1997-12-03 1999-07-05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전자파 누설 방지구조
KR19990033858U (ko) * 1997-12-23 1999-08-16 윤홍구 복합 전자렌지의 히터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702B2 (en) Cooking apparatus
US5747781A (en) Microwave oven with turntable and swingable electrical heater
WO2002013664A1 (en) Cooking appliance
KR100212857B1 (ko) 고주파가열장치
US20060081623A1 (en) Microwave oven provided with a separate heater cooking chamber
KR20180080060A (ko) 오븐
JPH0849862A (ja) 回動が可能なグリルヒータを有する電子レンジ
US7049567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having an exhaust mechanism
KR20030059976A (ko) 전자렌지
JPH01184332A (ja) 調理器
KR0135713B1 (ko) 전자레인지의 출력조절장치
KR20030061865A (ko) 전자렌지
JP2003106534A (ja) トースター機能付電子レンジ
KR100224447B1 (ko) 전자렌지의 히터회전장치
KR200390575Y1 (ko) 전자레인지의 회전식 히터시스템
JP2004340513A (ja) 電子レンジ
KR102348573B1 (ko) 멀티 가열방식의 회전 그릴장치
JP3634877B2 (ja) 加熱調理器
JPH07318073A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機能付き電子レンジ
KR100618229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베이스 장착구조
JPH089531Y2 (ja) 調理装置
JP2526859Y2 (ja) 調理器
JPH0694245A (ja) 加熱調理器
KR100685987B1 (ko) 전자 레인지
KR100420359B1 (ko) 전자레인지용 토스터부 도어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