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9828A -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9828A
KR20030059828A KR10-2003-7007371A KR20037007371A KR20030059828A KR 20030059828 A KR20030059828 A KR 20030059828A KR 20037007371 A KR20037007371 A KR 20037007371A KR 20030059828 A KR20030059828 A KR 20030059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tor
starting
opening
exc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9513B1 (ko
Inventor
네토 루이즈 마갈레스 메데이로스
필로 조세 페우저
쥴리오 씨저 로드리게즈
Original Assignee
엠프레사 브라질리에라 데 콤프레소레스 에스.아.-엠브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BRPI0103585-1A external-priority patent/BRPI0103585B1/pt
Application filed by 엠프레사 브라질리에라 데 콤프레소레스 에스.아.-엠브라코 filed Critical 엠프레사 브라질리에라 데 콤프레소레스 에스.아.-엠브라코
Priority claimed from PCT/BR2001/00014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47236A2/en
Publication of KR2003005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Abstract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는 커버(20)가 장착된 기본 본체(10)와, 기동 장치(30) 및 전동기 보호기(40, 40')를 포함하며, 상기 기본 본체(10)는 그 외면(11)에, 커패시터 고정용 돌출 봉(12)과, 이 돌출 봉(12)에 결합되는 커패시터(2)의 개개의 단자가 끼워지는 한 쌍의 제1 개구(13)와, 기동 장치(30)로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제1 여자 개구(15); 그리고 전동기 보호기(40)로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제2 여자 개구(16)가 제공되며, 상기 기본 본체(10)에는 기동 장치(3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하우징(1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1 하우징은 돌출 봉(12) 반대쪽 커버(20)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또한 전동기로의 전기 접속을 위한 두개의 핀을 수용하는 두개의 수용 개구(21)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전동기 보호기(40, 40')에는 전동기의 전기 접속용 제3 핀의 도입을 위한 암형 커넥터(41)가 제공되어 있고 제2 하우징(18)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전동기 보호기(40, 40')는 제2 여자 개구(16)와 정렬된 접촉 핀(42, 42')과 전기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CONSTRUCTIVE ARRANGEMENT FOR THE STARTING SYSTEM OF AN ELECTRIC MOTOR}
단상 유도식 전동기가 그 단순성, 강도 및 고성능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단상 유도식 전동기는 일반적으로, 냉장고, 냉동고, 에어컨, 밀폐형 압축기, 세탁기, 펌프, 팬과 같은 가정용 기기 뿐만 아니라 몇몇 산업용 용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공지된 유도 전동기에는 보통, 케이지형 회전자와 코일형 고정자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자는 운전 코일과 기동 코일의 두개의 권선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의 정상 작동 동안, 운전 코일에는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기동 코일에는 기동 작동 시작 시에 순간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고정자의 공기 간극에 회전 자기장을 생성하는 한편, 회전자를 가속시키며 전동기의 기동을 촉진하는 데에 필요한 조건을 형성한다.
이러한 회전 자기장은 바람직하게는 90°에 가까운 각도로, 메인 코일 내에 흐르는 전류에 관하여 시간 변위된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양 코일에 흐르는 전류 사이의 시간 변위량은 코일들의 구성상 특징에 의해 얻어지거나, 외부 임피던스를 코일들 중 하나와 직렬로 설치함으로써, 일반적으로는 기동 코일과 직렬로 설치함으로써 얻어진다. 전동기의 기동 공정 동안 기동 코일에 흐르는 이러한 전류 값은 일반적으로 높으며, 전동기의 가속을 촉진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이 경과한 후 이러한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스위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상당히 높은 효율을 필요로 하는 전동기에 있어서는, 이러한 기동 코일이 기동 주기가 경과한 후 완전히 단절되지 않으며, 커패시터, 즉 운전 커패시터가 기동 코일과 직렬 접속 관계를 유지하여, 전동기의 최대 토크 및 효율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전류를 제공한다.
전동기의 정상 작동 동안 기동 코일과 직렬 관계의 영구 임피던스를 사용하는 전술한 형상을 갖는 전동기용으로, 미국 특허 제5,051,6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PTC 또는 전자식의 몇몇 기동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전동기용의 공지된 기동 및 보호 모듈의 다른 구성요소로 열 보호기가 있는데, 이것은 단락 또는 과부하 상태에서 전동기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구성요소는 압축기의 여자(勵磁) 핀(energizing pin)에 직접 장착되거나, 그 옆에 장착되어 전기 전도체에 의해 압축기에 연결되거나, 예를 들어, 전동기의 권선과 접촉하는 상태로 압축기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기동 시스템용의 몇몇 공지된 구성에 있어서, 기동 시스템은 모듈을 구비하며, 이 모듈은 그 내부에 기동 장치와 전동기 보호기가 장착되고 외부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즉 운전 커패시터를 지탱하고 있다. 상기 운전 커패시터는 커패시터 지지구를 통해 모듈에 고정되거나(미국 특허 제5,170,307호), 모듈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미국 특허 제5,729,416호).
다른 공지된 구성에 있어서, 기동 시스템은 커패시터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운전 커패시터(기동 커패시터가 제공된 경우에는 기동 커패시터)가 적절한 접속 케이블에 의해 기동 시스템의 모듈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WO98/21735).
운전 커패시터가 기동 시스템의 모듈에 직접 또는 지지구를 통해 고정된 구성에 있어서는, 운전 커패시터의 결합 부분을 수용하도록, 그 자유단에 핀을 구비하는 고정형의 또는 분리 가능한 봉이 제공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729,416호에서 제안한 해결책에 있어서, 운전 커패시터의 고정 봉의 단부에는 측방향 홈이 제공되어, 기동 시스템의 모듈에 부착된 커패시터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홈은 모듈에 관한 그 결합 위치로부터의 운전 커패시터의 무의식적인 변위를 막지는 못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 홈이 운전 커패시터의 축방향 유지는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동 시스템의 모듈에 대한 공지된 해결책들이 압축기의 전동기의 기동 및 보호 요소의 조립을 단순화시키긴 하지만, 이러한 공지된 시스템들은 그 개조에 있어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의 형상 및 용례에 따라 달라지기에 충분할만큼 융통성이 있는 것은 아니어서 각각의 경우에 적절한 사양을 갖는 기동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미국 특허 제5,729,416호에 제안된 해결책에 있어서, 구성장치는 기동 장치 및 열 보호기가 장착되어 있는 기본 본체에 의해 형성되는 외피를 포함하는데, 이 외피는 제조 동안 완전히 폐쇄되며, 기동 시스템에 주어지는 용례의 기능에 따라 특정 구성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5,729,416호의 구성 장치는 일단 조립된 후에는 그 구성 요소들의 재배치를 허용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외피가 완전히 폐쇄되며, 제조에 사용되는 기동 장치 및 열 보호기가 그 내부에 동봉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상 특징으로 인해 전동기 구매자는 상이한 용례에 대하여 상이한 유형의 모듈을 비축하여야만 한다. 예를 들어, 열 보호기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모듈 전체가 교체되어야 하며, 기동 장치는 못쓰게 된다. 기동 장치에서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더욱이, 커버가 기본 본체의 외피를 전체적으로 폐쇄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기동 장치 및 열 보호기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 요소 중 어느 것도 교체할 수 없다.
공지된 구성 장치의 다른 특징을 보면, 사용자가 모듈의 전원 단자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보호 장치가 필요한 경우, 전원 단자용 개구를 포함하여, 2중 형태의 관상 연장부를 합체하기 위하여, 외피는 특정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이한 유형의 외피를 제조하기 위해 공구의 개수가 두배로 늘어날 필요가 있어,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한편 생산성이 감소되고, 게다가 비축 품목의 개수도 증가된다.
본 발명은 전동기, 특히 냉동 밀폐형 압축기에 사용되는 단상 유도식 전동기에 사용되는 유형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커패시터가 그 기본 본체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의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의 제1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듈의 상면도.
도 3은 도 2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기동 시스템의 기본 본체의 종단면도.
도 4는 전동기 보호기와, 기동 장치 및 그 접촉 단자가 장착되어 있는, 도 1에 도시된 기동 시스템의 기본 본체의 저면도.
도 5는 제1 하우징이 커버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도 4에 도시된 기본 본체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동 시스템의 기본 본체의 제2 구성의 저면도.
도 7은 도 6의 선 VII-VII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기동 시스템의 기본 본체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동 시스템의 기본 본체의 제3 구성의 상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기본 본체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동 시스템의 기본 본체의 제4 구성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커패시터가 장착된, 도 1의 모듈의 상면도.
도 12는 커패시터 구성을 지탱하고 있는, 도 10의 모듈의 정면도.
도 13은 다른 커패시터 구성을 지탱하고 있는, 도 12의 모듈의 정면도.
도 14는 커패시터를 구비하지 않은, 본 발명의 기동 시스템의 제5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기본 본체의 단면도.
도 16은 전동기 보호기, 기동 장치 및 그 접촉 단자가 장착되어 있는, 도 14에 도시된 기본 본체의 저면도.
도 17은 제1 하우징이 커버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도 16에 도시된 기본 본체의 저면도.
도 18은 커패시터를 지탱하고 있는, 도 14의 모듈의 상면도.
도 19는 관상(管狀) 본체에 결합되는 이중 관상 연장부가 여자(勵磁) 개구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20은 이중 관상 연장부가 조립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기동 시스템의 기본 본체에 커패시터가 추가로 장착되어 있는, 도 20과 유사한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하면서도 구성이 단순하며, 조립이 쉽고, 구성 요소의 손실을 야기하거나 상이한 외피 디자인을 사용하는 일이 없이, 기동 시스템을 형성하는 모듈의 제조 후의 구성 요소의 배치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전원 단자의 전기 절연 보호 수단에 있어 수정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융통성을 갖추고 있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패시터가 기동 시스템의 모듈에 직접 고정적으로 장착된 경우, 상기 모듈과 동일한 유형의 다른 커패시터의 접속을 방지하면서, 이러한 모듈의 여자(勵磁)된 비사용 단자로의 접근을 방지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는, 커버가 장착된 기본 본체와, 기동 장치 및 전동기 보호기를 포함하는 유형이다. 상기 기본 본체는 외면과; 커패시터 고정용 돌출 봉과; 이 돌출 봉에 결합되는 커패시터의 개개의 단자가 끼워지며, 기본 본체의 내측에 제공된 한 쌍의 제1 전기 커넥터와 일렬로 배열되는 한 쌍의 제1 개구와; 기동 장치로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제1 여자 개구; 그리고 전동기 보호기로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제2 여자 개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본 본체에는 기동 장치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 하우징은 돌출 봉의 반대쪽 커버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전동기로의 전기 접속을 위한 두개의 핀을 수용하기 위해 기본 본체 내에 장착된 한 쌍의 암형 커넥터와 정렬되는 두개의 수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전동기 보호기에는 전동기의 전기 접속용 제3 핀의 도입을 위한 암형 커넥터가 제공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에 측방향으로 고정된 제2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다. 전동기 보호기에는 또한, 제2 여자 개구와 정렬되는 접촉 핀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구성에 있어서, 커버는 오직 제1 하우징에만 제공되어, 모듈의 제조 후에도 제2 하우징에 제공된 열 보호기로의 접근은 허용된다. 따라서, 제안된 장치는 기동 시스템에 주어지는 특정 용례에 적당한 열 보호기를 수용할 수도 있는 단 하나의 기동 모듈의 사용을 허용한다. 제조 동안 열 보호기의 개조가 기동 시스템을 사용하는 기기의 생산 라인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최종 사용 장소에서의 밀폐형 압축기와 같은 기기의 유지 관리 동안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숙고할만한 점은 문제가 발생한 바에 따라, 두개의 구성요소 중 각각의 하나의 요소는 재활용 가능하다는 점이다.
본원에서 제안된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들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냉동 시스템용의 밀폐형 압축기에 사용되는 단상 유도식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는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며 커버(20)가 장착되어 있는 기본 본체(10)와, 기동 장치(30), 그리고 암형 커넥터(41)가 제공된 전동기 보호기(4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구성에 따르면, 기본 본체(10)는 그 외면(11)에 커패시터 고정용 돌출 봉(12)과, 운전 커패시터와 같은 커패시터(2)의 단자가 끼워지는 한 쌍의 제1 개구(13) 및 한 쌍의 제2 개구(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개구(13)는 돌출 봉(12)에 장착되는 커패시터(2)의 단자에 꼭 맞는 치수로 형성되고, 제2 개구(14)는 본 발명의 기동 시스템의 기본 본체(1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전동기에 장착된 커패시터(2)에 접속되는 접속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의 단자를 수용하는 치수로 형성된다. 이러한 쌍을 이룬 제1 개구(13) 및 제2 개구(14)는 서로 가까이 배치되어, 한 쌍의 제1 개구(13)를 통해 커패시터가 접속된 경우 다른 한 쌍의 제2 개구(14)를 통한 커패시터(2)의 접속은 방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여자는 되어 있으나 커패시터(2)의 접속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은 다른 한 쌍의 개구로의 접근이 방지되도록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커패시터(2)가 기본 본체(10)의 돌출 봉(12)에 결합됨으로써 기본 본체(10)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경우, 제2 개구(14)는 커패시터(2)에 의해 차폐된다. 커패시터(2)와 돌출 봉(12)의 결합은 예를 들어, 돌출 봉(12)에 대한 커패시터(2)의 간섭(interference)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기본 본체(10)에는 또한, 기동 장치로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제1 여자(勵磁) 개구(15)와, 전동기 보호기(40)로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제2 여자 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여자 개구(15)는 기본 본체(10) 내에 제공되는 전기 접속 탄성 수단과 정렬된다. 이러한 제1 여자 접속부(15)는 제1 및 제2 개구(13, 14)의 측방에 형성되고 있고, 제2 여자 개구(16)는 제1 개구(13)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도 1 내지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 보호기(40)가 기본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그 전동기 보호기(40)의 접촉 핀(42)을 수용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기동 시스템은 기동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하우징(17)과, 사용될 전동기 보호기(40)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되는 제2 하우징(18)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7)은 기본 본체(10) 내에 형성되어 커버(20)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제2 여자 개구(16)가 전동기 보호기(40)의 접촉 핀(42)이 정렬되는 제2 하우징(18)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 형태에 따르면, 제2 하우징(18)은 커버(20)의 평면과 거의 직각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벽(19)에 의해 제1 하우징(17)과 이격되게 기본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구성에 있어서,기본 본체(10)의 제1 하우징(17)과 제2 하우징(18)은 그 사이에 단 하나의 공통 벽(19)만을 구비하는 단일 부분 내에 획정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기동 장치 구성의 경우, 기본 본체(10)의 제2 하우징(18)에 전동기 보호기(40)를 배치하기 전에 커버(20)가 기본 본체(10)에 배치되어 제1 하우징(17)을 폐쇄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전동기 보호기(40)는 제2 하우징(18)의 내측에 위치하는 본체부(43)와, 이 본체부(43)와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기부 돌출부(44)를 포함한다. 이 기부 돌출부(44)는, 기본 본체(10)에 전동기 보호기(40)를 장착하는 동안, 제1 하우징(17)을 폐쇄하는 커버(20)의 인접부에서 그 커버(20)의 외면에 맞대어 안착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기동 장치 구성의 경우, 제2 하우징(18)은 접촉 핀(42')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본체부(43')가 형성되어 있는 전동기 보호기(40')를 수용한다.
도 1 내지 도 7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본체(10)의 제1 하우징(17)의 내측에는 또한, 기동 장치(30)의 한 쌍의 전기 접촉 단자(50)가 제공된다. 각각의 전기 접촉 단자에는 압축기의 전동기의 단자의 개개의 접촉 핀(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암형 커넥터(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각각의 암형 커넥터(51)는 커버(20)에 형성된 개개의 수용 개구(21)와 일렬로 배열된다.
전기 접촉 단자(50)에는 또한, 한 쌍의 제1 전기 커넥터(52)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1 전기 커넥터(52)는 제1 개구(13) 중 하나와 정렬된다. 상기 전기 접촉 단자(50)에는 또한, 각기 개개의 제2 개구(14)와 정렬되는 한 쌍의 제2 전기접점(53)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구성의 선택 사양으로, 기동 장치(30)는 전기 접속 탄성 수단(54)을 가압함으로써 기본 본체(10)의 제1 하우징(17) 내측에 장착되는 전자판 형태로 형성된다. 각각의 전기 접촉 단자(50)는 제1 하우징(17)의 내측에 기동 장치(30)를 위치 설정하여 기동 장치(30)로의 전기 접촉을 이루는 이와 같은 전기 접속 탄성 수단(54)을 하나씩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기 접촉 단자(50) 중 하나는 기본 본체(10)의 제1 여자 개구(15)와 정렬되는 개개의 제2 전기 접점(53)을 구비한다.
기본 본체(10)는 또한, 커버(20)의 안착 가장자리(10a)에 인접하게, 적어도 각각의 측벽에 측방향 플랜지(10b)를 포함하며, 각각의 플랜지에는 예를 들어, 커버(20)에 형성된 창 형태의 고정 수단(23)에 끼워지는 치형부 형태의 커버 유지 수단(60)이 제공되어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기본 본체(10)의 내부에는, 전기 접촉 단자(50)의 개개의 제1 전기 커넥터(52)를 수용하도록 각각의 제1 개구(13)와 정렬되는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구성의 커버(20)는 그 차폐면(26)으로부터 돌출되는 두개 이상의 둘레벽(25)을 구비하며, 이 둘레벽에 고정 수단(23)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패시터 고정용 돌출 봉(12)에는 축방향 유지 수단(70)이 제공되는데, 이것은 기본 본체(10)에 장착된 커패시터(2)를 기본 본체의 제1 개구(13)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동한다. 도시된 구성에서, 축방향 유지 수단(70)은 돌출 봉(12)의 둘레 윤곽선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치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의 선택 사양으로, 도 1에 도시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돌출 봉(12)의 축방향 유지 수단(70)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유지 치형부(71)와 제2 유지 치형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기본 본체(10)의 외면(11)에는 본 발명의 모듈에 직접 장착되는 상태로 커패시터(2)가 배치되고, 이 커패시터(2)의 단부 돌출부(3)에는 커패시터(2)가 돌출 봉(12)에 끼워져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슬롯(4)이 형성되어 있다.
구성의 선택 사양으로, 돌출 봉(12)에 대한 커패시터(2)의 고정은 돌출 봉(12)에 커패시터(2)의 슬롯(4)을 끼우는 동안 전술한 부품들 사이의 간섭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2에 도시된 구성에서, 커패시터(2)는 그 단부 돌출부가 돌출 봉(12)의 하나 이상의 제1 유지 치형부(71)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돌출 봉(12)의 둘레에 고정되며, 이 제1 유지 치형부는 모듈(1)의 기본 본체(10)에 예정된 유형의 커패시터(2)가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크기가 보다 큰 커패시터의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봉(12)에는 제1 유지 치형부(71) 위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유지 치형부(72)가 형성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패시터의 단부 돌출부(3)의 저면은 돌출 봉(12)의 벽부에 안착되며, 본 실시예에서 이 돌출 봉의 벽부는 커패시터(2)의 상기 단부 돌출부(3)용 안착 정지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구성에서, 돌출 봉(12)은 제1 유지 치형부(71)의 아래에서, 단부 돌출부의 안착 영역까지 연장하는 서로 직각의 두개의 돌출 측벽을 구비한다. 이 돌출 측벽은 전술한 안착 영역까지 돌출 봉(12)에 대하여 테이퍼진다. 상기 돌출 측벽 중 제1 벽은 상기 안착 영역에서 끊겨 이 제1 벽에 제공된 제1 유지 치형부(71)를 한정하는데, 이 제1 벽은 기본 본체(10)에 장착된 커패시터(2)의 인접한 측벽에 평행한 돌출 봉(12)의 벽들 중 하나이다. 제1 벽의 반대쪽의 제2 벽은 크기가 보다 큰 커패시터(2)(도 13)의 단부 부분(3)용의 제2 유지 치형부(72)를 한정하는데, 이 제2 벽은 이와 같이 제2 유지 치형부(72)를 한정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끊겨 있다. 이와 같은 돌출 봉(12)의 직각을 이루는 두개의 다른 벽은 예를 들어, 돌출 봉(12)의 자유단까지 일정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동 시스템의 기본 본체(10)는 제2 하우징(18)에 결합 가능한 제1 하우징을 구비하며, 이러한 하우징간의 결합은 제1 하우징(17)과 제2 하우징(18)에 의해 획정되는 부분 중 하나의 부분에 제공되는 결합 수단(8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결합 수단은 상기 부분들 중 다른 하나의 부분에 제공되는 결합 유지 수단(81)과 결합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 하우징(17)과 제2 하우징(18)에 의해 획정되는 각각의 부분은 록킹 수단(90)을 포함하며, 이 록킹 수단은, 상기 부분들이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하나의 부분에 제공된 록킹 수단(90)과 선택적으로 해제 및 결합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록킹 수단(90)은 치형부 형태로 형성되어, 그 각각의 치형부가 상기 부분의 측벽의 오목한 부분에, 제1 하우징(17) 또는 제2 하우징(18)의 개개의 부분에 제공된 가이드(91)에 형성된다. 이러한 치형부는, 치형부의 마주하는 표면 사이의 상호 안착이 이루어질때까지, 제1 및 제2 하우징(17, 18) 부분 사이의 결합 동안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 형태에서, 결합 수단(80)은 상호 활주 가능하게 협동하는 가이드로서, 이들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도브테일 끼워맞춤(dovetail fitting)을 형성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 형태에서, 제1 하우징(17)에는 제2 여자 개구(16)가 형성되어 있는 여자 단자 하우징(17a)이 제공되어, 그 내부에 여자 단자(100)가 장착되는데, 이 여자 단자는 접촉 단부(101)를 구비하고 그 반대쪽 단부에 암형 커넥터(1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여자 단자는 예를 들어 압축기 내측에서, 기본 본체(10)로부터 이격되게 장착된 도시되지 않은 전동기 보호기에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구성에도 기본 본체(10) 내에 전동기 보호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동기 보호기(40) 끼워맞춤용 가이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 내지 도 18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동 시스템용의 다른 가능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구성과 관련하여 이미 기술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
본 구성에 있어서, 기본 본체(10)는 전술한 구성과 유사하지만, 제1 및 제2여자 개구(15, 16)가 돌출 봉(12)이 합체되어 있는 기본 본체(10)의 외면(11)의 측방향 가장자리중 하나에 가까이 나란히 제공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여자 개구(15, 16)가 제1 하우징(17)의 내측에 개방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기본 본체(10)는 또한, 상기 외면(11) 상에,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 봉(12)에 장착되는 커패시터(2)의 단자가 끼워지는 단 한 쌍의 제1 개구(1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1 개구(13)는 돌출 봉(12)의 여자 개구(15, 16) 반대쪽으로 제2 하우징(18)과의 공통 벽(19)에 인접한 그 단부 영역에, 제1 하우징(17)의 내측에 개방되도록 위치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 본체(10)와 커버(20)는, 커패시터가 제한적으로 단 한 쌍의 제1 개구(13)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여자 개구(15, 16)가 제1 하우징(17)에 대응하는 영역에 나란히 제공된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다른 특징에 따라 구성되며, 그 정의에 변경된 점이 없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8의 구성에 있어서, 기본 본체(10)의 제1 하우징(17)의 내측에는 또한, 기동 장치(30)의 두개의 전기 접촉 단자(50)가 제공되고, 각각의 전기 접촉 단자에는 전동기의 개개의 단자 접촉 핀을 수용하기 위한 암형 커넥터(51)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암형 커넥터(51)는 커버(20)에 형성된 개개의 수용 개구(21)와 정렬된다.
전기 접촉 단자(50)에는 또한, 한 쌍의 제1 전기 커넥터(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각각의 전기 커넥터는 개개의 제1 개구(13) 뿐만 아니라, 기동 장치(30)를 제1 하우징(17)의 내측에 위치 설정하여 기동 장치(30)로의 전기 접촉을 초래하는 전기 접속 탄성 수단(54)과 정렬되어 있다. 상기 전기 접촉 단자(50) 중 개개의 제2 전기 접점(53)을 갖는 하나의 전기 접촉 단자는 제1 여자 개구(15)에 의해 여자되도록 기본 본체(10)의 제1 여자 개구(15)와 정렬된다.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구성에서, 제1 하우징(17)은 그 내부에 제3 접촉 단자(55)를 수용하며, 이 제3 접촉 단자에는 열 보호기(40)를 여자시키는 접촉 핀(42)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 접속부(55a)와, 기본 본체(10)의 제2 여자 개구(16)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되는 제2 접속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 도 20 및 도 21에는, 바람직하게는 2중 형태의,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되는 관상 연장부(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관상 연장부(110)는 기본 본체(10)의 외면(11) 상의 여자 개구(15, 16)의 둘레에 안착되는 기부(111)를 구비하며, 이 기부에는 기본 본체(10)의 인접한 측면에 맞대어 안착되는 직각 플랜지(1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플랜지(112)에는, 바람직하게는 소형 창(113) 형태의 유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지 수단의 내부에 예를 들어, 기본 본체(10)의 외부에 합체되는 설부(10')와 같은 록킹 수단이 결합된다. 이러한 2중 형태의 관상 연장부(110)는, 기본 본체(10)에 임의로 장착된 후, 시스템의 전원 단자 둘레에 일종의 보호 슬리브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부주의로 단자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23)

  1. 커버(20)가 장착된 기본 본체(10)와, 기동 장치(30) 및 전동기 보호기(40, 40')를 포함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본 본체(10)는 그 외면(11)에, 커패시터 고정용 돌출 봉(12)과; 이 돌출 봉(12)에 결합되는 커패시터(2)의 개개의 단자가 끼워지며, 기본 본체(10)의 내측에 제공된 한 쌍의 제1 전기 커넥터(52)와 일렬로 배열되는 한 쌍의 제1 개구(13)와; 기동 장치(30)로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제1 여자 개구(15); 그리고 전동기 보호기(40)로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제2 여자 개구(16)가 제공되며, 상기 기본 본체(10)에는 기동 장치(3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하우징(1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1 하우징(17)은 돌출 봉(12)의 반대쪽 커버(20)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두개의 수용 개구(21)가 제공되어 있고, 이들 두개의 수용 개구(21)는 전동기로의 전기 접속을 위한 두개의 핀을 수용하기 위해 각기 제1 전기 커넥터(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기본 본체(10) 내측에 장착된 한 쌍의 암형 커넥터(51)와 정렬되며, 상기 전동기 보호기(40, 40')에는 전동기의 전기 접속용 제3 핀의 도입을 위한 암형 커넥터(41)가 제공되어 있고 제1 하우징(17)에 측방향으로 고정된 제2 하우징(18)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전동기 보호기(40, 40')는 제2 여자 개구(16)와 정렬된 접촉 핀(42, 42')과 전기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본체(10)의 외면(11)에는 한 쌍의 제2 전기 커넥터(53)와 일렬로 정렬된 한 쌍의 제2 개구(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전기 커넥터는 각기 제1 전기 커넥터(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기본 본체(10)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2 개구(14)는 기본 본체(10)로부터 이격된 커패시터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케이블의 개개의 단자에 꼭맞는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개구(13, 14)는 서로에 대해, 제1 개구(13)를 통한 접속이 제2 개구(14)로의 접속 및 접근을 방지하도록 위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14)는 기본 본체(10)와 돌출 봉(12)에 장착된 상태의 커패시터(2)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자 개구(16)는 전동기 보호기(40, 41')에 합체되어 있는 접촉 핀(42, 42')과 일렬로, 제2 하우징(18)의 내측에 개방되도록, 기본 본체(10)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여자 개구(15, 16)는 돌출 봉(12)이 합체되어 있는 기본 본체(10)의 외면(11)의 측방향 가장자리 중 하나에 가까이 나란히 제공되며, 상기 여자 개구(15, 16)는 제1 하우징(17)의 내측에 개방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13)는 돌출 봉(12)에 대하여 여자 개구(15, 16) 위치의 반대쪽으로 제1 하우징(17) 내측의 제2 하우징(18)에 인접한 영역에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7)은 기동 장치(30)용의 두개의 접촉 단자(50)를 수용하며, 각각의 접촉 단자는 전동기 단자의 접촉 핀을 수용하기 위해 커버(20)의 개개의 수용 개구(21)와 정렬된 암형 커넥터(51)와; 각기 개개의 제1 개구(13)와 정렬되는 한 쌍의 제1 전기 커넥터(52)와; 제1 하우징(17)의 내측에 기동 장치(30)를 배치하여 기동 장치(30)와의 전기 접촉을 초래하는 전기 접속 탄성 수단(54)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 접촉 단자(50) 중 하나는 제1 여자 개구(15)와 정렬된 개개의 제2 전기 접점(53)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17)은 또한 열 보호기(40)의 접촉 핀(42)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 접속부(55a)와 기본 본체(10)의 제2 여자 개구(16)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된 제2 접속부(55b)를 구비하는 제3 접촉 단자(55)를 지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관상 연장부(110)에는 여자 개구(15, 16) 둘레의 기본 본체(10)의 상기 단부면(11)에 맞대어 안착되어 체결되는 기부(111)가 형성되어, 시스템의 전원 단자를 감싸는 보호 슬리브를 형성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111)에는 기본 본체(10)의 인접한 측면에 맞대어 안착되는 플랜지(112)가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의 플랜지(112)에는 기본 본체(10)의 외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록킹 수단(10')에 결합되는 유지 수단(113)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봉(12)에는 커패시터용의 축방향 유지 수단(70)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2)는 간섭에 의해 돌출 봉(12)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유지 수단(70)은 돌출 봉(12)의 둘레 윤곽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치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장치(30)는 전기 접속 탄성 수단(54)을 통해 기본 본체(10)의 내측에 장착되는 전자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본체(10)는 커버(20)의 안착 가장자리(10a)에 인접하게, 커버(20)에 제공된 고정 수단(23)을 유지하기 위한 커버 유지 수단(60)이 제공되어 있는 측방향 플랜지(1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18)은 하나 이상의 벽(19)에 의해 제1 하우징(17)으로부터 이격되게 기본 본체(10) 내에 형성되며, 상기 벽은 커버(20)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본체(10)는 단일 부분 내에 제1 및 제2 하우징(17, 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하우징(17, 18)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 중 하나에는 결합 수단(80)이 지탱되어, 이들 부분 중 다른 하나의 부분에 제공된 결합 수용 수단(8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7, 18)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부분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분들 중 다른 하나의 부분에 제공된 록킹 수단(90)과 선택적으로 해제 및 분리되는 록킹 수단(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80)은 가이드와 상호 활주 가능하게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중 적어도 일부는 도브테일 끼워맞춤(dovetail fitting)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7, 18)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 중 하나는 상기 부분들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된 록킹 수단(90)이 활주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 보호기(40, 40')는 제1 하우징(17)을 폐쇄하는 커버(20)의 인접한 부분에 맞대어 안착되는 연장부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7)에는 제2 여자 개구(16)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여자 단자가 제공되며, 이 여자 단자는 기본 본체(1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KR1020037007371A 2000-12-04 2001-11-30 전동기의 시동 시스템용 구조 장치 KR100849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PI0006259 2000-12-04
BRPI0006259-6 2000-12-04
BRPI0103585-1 2001-06-28
BRPI0103585-1A BRPI0103585B1 (pt) 2001-06-28 2001-06-28 Arranjo construtivo para sistema de partida de motor elétrico
PCT/BR2001/000143 WO2002047236A2 (en) 2000-12-04 2001-11-30 Constructive arrangement for the starting system of an electric 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828A true KR20030059828A (ko) 2003-07-10
KR100849513B1 KR100849513B1 (ko) 2008-07-31

Family

ID=4988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371A KR100849513B1 (ko) 2000-12-04 2001-11-30 전동기의 시동 시스템용 구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5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7412A (en) * 1980-10-31 1983-06-07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ination starter-protector device
IT8153530V0 (it) * 1981-08-07 1981-08-07 Aspera Spa Gruppo di alimentazione e protezione di un compressore ermetico di una macchina frigorifera con regolazione termostatica
US5729416A (en) * 1995-05-30 1998-03-17 General Electric Company Motor starter and protector module
IT1285278B1 (it) * 1996-02-29 1998-06-03 Embraco Europ Srl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e protezione di un compressore ermetico di una macchina frigorifera, dispositivo per il collegamento d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513B1 (ko)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3214A (en) Dynamoelectric machine
CN113287233B (zh) 用于插塞连接电连接的装置
EP3525323B1 (en) Compressor driven by an electric motor
KR101936102B1 (ko) 전동 압축기
KR20040023691A (ko) 밀폐형 압축기의 전동기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77180A (ko)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단부 디스크와 대응하는 정류자전동기
CA2748941C (en) Motor assembly with switch module
US6317304B1 (en) Assembly of electric motor-controlling components
JP4444562B2 (ja) 電動モータの始動システム用の構造装置
US7531926B2 (en) Motor protector endshield mounting bracket
GB2333647A (en) Lead wire arrangement in an electric motor stator
KR20030059828A (ko) 전동기의 기동 시스템용 구성 장치
EP1313111A1 (en) Transformer
EP1441433B1 (en) Connection assembly, particular for the stator windings of an electric motor
JP3524356B2 (ja) モータ
CN100582606C (zh) 电动马达启动系统的构建装置
KR102444995B1 (ko) 차량용 전동 압축기
JPS62174581A (ja) 圧縮機用電装品
KR940004435Y1 (ko) 전압전환 커넥터
JPH03245754A (ja) コンデンサ電動機の始動リレー装置
JP2019152195A (ja) 電動圧縮機
BRPI0103585B1 (pt) Arranjo construtivo para sistema de partida de motor elétrico
KR20150031110A (ko) 모터용 커넥터
KR20000011204U (ko) 인버터 냉장고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