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8521A -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8521A
KR20030058521A KR1020010088977A KR20010088977A KR20030058521A KR 20030058521 A KR20030058521 A KR 20030058521A KR 1020010088977 A KR1020010088977 A KR 1020010088977A KR 20010088977 A KR20010088977 A KR 20010088977A KR 20030058521 A KR20030058521 A KR 20030058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low control
data flow
mobile communic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to KR102001008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8521A/ko
Publication of KR20030058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5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9Admission control
    • H04L2012/5631Resource management and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2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8Traffic aspects, e.g. arbitration, load balancing, smoothing, buffer management
    • H04L2012/5684Characteristics of traffic f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방식(이하 'ATM'이라 함)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ATM 정합 블럭 또는 피비에이(PBA)와, 에이치디엘씨(HDLC : High-Level Data Link Control)로 연결되는 2차 패스(path)를 제공하여, 데이터 폭주가 발생하는 해당 패스의 소쓰(source)를, 폭주 발생 블럭, 또는 PBA가 해당 HDLC 포트(port)를 통해 통보할 경우, ATM 데이터 소쓰 블럭(data source block), 또는 PBA에 해당 데이터의 폭주 사실을 통보하여 데이터 전송의 완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ATM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시스템 전체의 자원 할당 및 기타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수단;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 및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제어 수단; 및 상기 신호 제어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제어 신호를 다수의 통신 포트(port)로 다중화하기 위한 포트 다중화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of Data Flow in ATM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방식(이하 'ATM'이라 함)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TM 정합 블럭 또는 피비에이(PBA)와, 에이치디엘씨(HDLC : High-Level Data Link Control)로 연결되는 2차 패스(path)를 제공하여, 데이터 폭주가 발생하는 해당 패스의 소스(source)를, 폭주 발생 블럭, 또는 PBA가 해당 HDLC 포트(port)를 통해 통보할 경우, ATM 데이터 스쓰 블럭(data source block), 또는 PBA에 해당 데이터의 폭주 사실을 통보하여 데이터 전송의 완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ATM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망의 구성 일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설명을 위한 도면에서는, IS-2000 시스템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IS-2000 시스템뿐만 아니라 ATM 기술 규격이 적용되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ATM 망의 경우에는 별도의 흐름 제어를 위한 장치나 시스템의 구비없이 바로, ATM 스위치(110)에 ATM 접속 블럭(120 내지 150)이 연결되어 구성되었다.
여기서, 각각의 기능 PBA는 블럭(120 내지 150)을 구성하고, 각각의 블럭간은 ATM 스위치(110)를 통한 ATM 패스를 가지며, BS간 ATM 정합은 별도의 ATM 스위치를 통해 정합하게 된다.
종래의 I.610(ITU-T)에 제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블럭 또는 PBA는 데이터 폭주 발생시 각각의 PBA 간 OEM 메시지를 통해 데이터의 완급을 조절하도록 구현하였으나,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M 스위치 집중식 방식이라 ATM 스위치의 과도한 데이터 폭주가 발생할 경우, ATM 패스 자체의 경로를 통해 폭주 데이터 발생 리소스(resource)에게 부하 제거를 요구하기 까지는 일정 한도의 폭주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적어도 패스에 해당되는 제어용 OEM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I.610(ITU-T)에 오에이엠(Operation and Maintenance Principles and Functions : 이하 'OAM'이라 함)의 기능을 사용한, 데이터 폭주시의 전방 혹은 후방의 흐름 제어에 관한 절차가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경우 종래의 동일한 ATM 물리 매체를 사용함으로써, 패스(path) 단락의 경우에는 그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데이터 폭주의 경우에는 데이터 패킷의 프라이어리티 레벨(priority level)을 이용하여 송출할 때에도 절차상의 시간 지연 및 해당 경로상의 로우 레벨 프라이어리티(low level priority) 패킷 데이터의 상당한 손실이 야기되므로, 시스템 전체가 제공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기능의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ATM 정합 블럭 또는 PBA와, HDLC로 연결되는 2차 패스(path)를 제공하여, 데이터 폭주가 발생하는 해당 패스의 소스(source)를, 폭주 발생 블럭, 또는 PBA가 해당 HDLC 포트(port)를 통해 통보할 경우, ATM 데이터 소스 블럭(data source block), 또는 PBA에 해당 데이터의 폭주 사실을 통보하여 데이터 전송의 완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ATM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시스템 내의 블럭 또는 PBA의 정상 동작이나 오동작 등의 경보 발생 및 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을 위한 여러가지 통계 자료의 제공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필요할 경우, 그 내용을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로 통보하여, 주기적인 자원(resource) 재할당에 필요한 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ATM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망의 구성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 일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프로세서 320 : 메모리
330 : 포트(port) MUX 340 : 통신 포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시스템 전체의 자원 할당 및 기타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수단;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 및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제어 수단; 및 상기 신호 제어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제어 신호를 다수의 통신 포트(port)로 다중화하기 위한 포트 다중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송수신 데이터의 흐름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그로부터 송수신 블럭의 데이터 폭주 발생 신호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폭주 발생 내용이, 시스템 전체에 공지가 필요할 경우 시스템 전체에 공지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해당 송수신 블럭으로만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송수신 데이터의 흐름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그로부터 송수신 블럭의 데이터 폭주 발생 신호를 확인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확인된 폭주 발생 내용이, 시스템 전체에 공지가 필요할 경우 시스템 전체에 공지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해당 송수신 블럭으로만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내의 송수신 블럭 또는 피비에이(PBA)의 정상 동작이나 오동작 등의 경보 발생이 필요할 경우, 그 내용을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로 통보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경보 발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을 위한 통계 자료의 제공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필요할 경우, 그 내용을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로 통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다시 상기 제 1 단계를 수행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시스템 내의 송수신 블럭 또는 피비에이(PBA)의 정상 동작이나 오동작 등의 경보 발생이 필요할 경우, 그 내용을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로 통보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의 경보 발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을 위한 통계 자료의 제공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필요할 경우, 그 내용을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로 통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다시 상기 제 1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 일예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은, 앞서 도 1 에 도시한 종래의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흐름 제어 장치(210)를 추가로 구비한 것으로서, 그 외의 ATM 스위치(220)나 ATM 접속 블럭(230 내지 260)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즉, 종래의 시스템에 흐름 제어 장치(201)를 통한 부가적인 별도의 통신 경로를 구현함으로써, 데이터의 폭주시, 상기 데이터의 목적지(destination) 측에서 즉각적인 폭주 임계치 도달을 상기 흐름 제어 장치(210)에 통보하면, 상기 흐름 제어 장치(210)는 폭주 데이터 발생 장치로 데이터의 폭주를 통보하여 데이터의 완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필요할 경우에는 시스템 전체에 브로드캐스팅 메시지(Broadcasting Message)를 전송할 수도 있도록 하여, 각각의 블럭 혹은 PBA에게 해당 사항에 대한 준비 내지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ATM 단말간의 트래픽(traffic)과 신호량의 산출치를 통보받아 시스템 내의 주제어 블럭으로 해당 부하의 분산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거나, 요구에 의한 각각의 블럭 또는 PBA의 트래픽과 시스널(signal)에 대한 통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시스템 내의 블럭 또는 PBA의 정상 동작이나 오동작 등의 경보 취합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의 구조 및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는,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포트(port) 멀티플렉서(이하 'MUX'라 함, 330) 및 다수의 통신 포트(340)를 구비한다.
상기 각 구성부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HDLC 또는 1 Pin Port 액세스 및 처리 가능한 범용 프로세서(310)로서, 포트 MUX(330)를 통해 각각의 통신 포트(340)를 제어한다.
즉, 데이터 폭주 발생시나, 시스템 내의 블럭 및 PBA의 정상 동작이나 오동작 등의 경보가 필요한 경우, 또는, ATM 단말간의 트래픽(traffic)과 신호량의 산출치를 통보받아 시스템 내의 주제어 블럭으로 해당 부하의 분산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거나, 요구에 의한 각각의 블럭 또는 PBA의 트래픽과 시스널(signal)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포트 MUX(330)를 통해 각각의 통신 포트(34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트 MUX(330)로는, 다중 HDLC MUX 또는 멀티 포트 버퍼(Multi-port Buffer) 등이 주로 사용되며, 통신 포트(340)로는, HDLC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등이 주로 사용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은, 먼저, 데이터를 송신(output)하고자 할 경우에는, 초기화된 시스템이(410) 송신 데이터의 대기 상태에 있다가(420),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하면(421), 흐름 제어 장치로부터 데이터 목적지(destination) 측으로부터의 폭주 정보가 있었는지를 판단하여(422), 상기 데이터 목적지(destination) 측으로부터의 폭주 정보가 있었다면 다시 대기 상태로 돌아가고(420), 그렇지 않다면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를 수신(input)하고자 할 경우에는, 역시, 초기화된 시스템이(410) 수신 데이터의 대기 상태에 있다가(430), 수신할 데이터가 발생하면(431), 현재 시스템에 데이터의 폭주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여(432), 데이터의 폭주가 발생했다면, 그 사실을 상기 흐름 제어 장치에 통보하고(432), 그렇지 않다면,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 후(434), 다시 대기 상태(430)로 돌아가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은, 먼저, 데이터의 폭주 여부 판단을 위해서는, 초기화된 시스템(510)이 대기 상태에 있다가(520), 각각의 송수신 블럭으로부터 입력되는 흐름 제어 정보를 입력받아(521), 송수신 블럭의 폭주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522), 만일 특정 송수신 블럭에 데이터의 폭주가 발생했다면, 시스템 전체로의 브로드캐스팅 메시지(Broadcasting Message) 전송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523).
그 결과, 만일 시스템 전체로의 브로드캐스팅 메시지(Broadcasting Message) 전송이 필요하다면, 메시지를 전송하고(525), 그렇지 않다면, 각각의 블럭 혹은 PBA에게 해당 사항에 대한 준비 내지는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한다(524).
그리고, 다음, 부가적으로 시스템 내의 블럭 또는 PBA의 정상 동작이나 오동작 등의 경보 발생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530), 필요하다면 그 사실을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로 통보하고, 필요하지 않다면, 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을 위한여러가지 통계 자료의 제공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531), 필요할 경우, 그 내용을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로 통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여러가지 통계 자료는, ATM 단말간의 트래픽(traffic)과 신호량의 산출치를 통보받아 시스템 내의 주제어 블럭으로 해당 부하의 분산을 위한 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통계 자료나, 또는, 요구에 의한 각각의 블럭 또는 PBA의 트래픽과 시스널(signal)에 대한 통계 자료를 지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방식(ATM)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폭주 발생시 데이터의 손실 및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자원(resource) 재할당에 필요한 데이터를 구축하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유지,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시스템 전체의 자원 할당 및 기타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수단;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 및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제어 수단; 및
    상기 신호 제어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제어 신호를 다수의 통신 포트(port)로 다중화하기 위한 포트 다중화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 수단은,
    에이치디엘씨(HDLC : High-Level Data Link Control) 또는 1 핀 포트(Pin Port) 액세스 및 처리 가능한 범용 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다중화 수단은,
    다중 에이치디엘씨(HDLC) 멀티플렉서(MUX) 또는 멀티 포트 버퍼(Multi-port Buff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
  4.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송수신 데이터의 흐름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그로부터 송수신 블럭의 데이터 폭주 발생 신호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폭주 발생 내용이, 시스템 전체에 공지가 필요할 경우 시스템 전체에 공지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해당 송수신 블럭으로만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5.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내의 송수신 블럭 또는 피비에이(PBA)의 정상 동작이나 오동작 등의 경보 발생이 필요할 경우, 그 내용을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로 통보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경보 발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을 위한 통계 자료의 제공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필요할 경우, 그 내용을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로 통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다시 상기 제 1 단계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통계 자료는,
    ATM 단말간의 트래픽(traffic)과 신호량의 산출치를 통보받아 시스템 내의 주제어 블럭으로 해당 부하의 분산을 위한 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통계 자료나, 또는, 요구에 의한 각각의 블럭 또는 PBA의 트래픽과 시스널(signal)에 대한 통계 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7. 프로세서를 구비한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송수신 데이터의 흐름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그로부터 송수신 블럭의 데이터 폭주 발생 신호를 확인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확인된 폭주 발생 내용이, 시스템 전체에 공지가 필요할 경우 시스템 전체에 공지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해당 송수신 블럭으로만 정보를 제공하는 제2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프로세서를 구비한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시스템 내의 송수신 블럭 또는 피비에이(PBA)의 정상 동작이나 오동작 등의 경보 발생이 필요할 경우, 그 내용을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로 통보하는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의 경보 발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을 위한 통계 자료의 제공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필요할 경우, 그 내용을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로 통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다시 상기 제 1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88977A 2001-12-31 2001-12-31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58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977A KR20030058521A (ko) 2001-12-31 2001-12-31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977A KR20030058521A (ko) 2001-12-31 2001-12-31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521A true KR20030058521A (ko) 2003-07-07

Family

ID=3221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977A KR20030058521A (ko) 2001-12-31 2001-12-31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85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082B1 (ko) * 2004-09-06 2013-03-18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다양한 액세스 기술을 통한 다중 액세스 통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082B1 (ko) * 2004-09-06 2013-03-18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다양한 액세스 기술을 통한 다중 액세스 통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0063B1 (en) Distributing fault indications and maintaining and using a data structure indicating faults to route traffic in a packet switching system
EP0624015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TM communication systems
US5287535A (en) Switching node in label multiplexing type switching network
US5072440A (en) Self-routing switching system having dual self-routing switch module network structure
US6317414B1 (en) Signal switching method
KR100216370B1 (ko) Atm 스위치 보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JPH11127157A (ja) Atm交換機
US6665263B1 (en) VP protection system and VP protection method
KR20030058521A (ko)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070086467A1 (en) Atm multiplexing apparatus and cell discard method
US7039006B2 (en) Board duplexing apparatus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2866367A (zh) 基于可编程交换机的路由系统
US7120112B1 (en) Redundancy in media stream processing
US75189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a graceful reroute of connections on a link
KR100237452B1 (ko) 기억장치를 이용한 nms와 교환기간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교환기 관리 장치
JP3262247B2 (ja) クロック信号現用予備切替方式
JP2768762B2 (ja) 交換機
US2022008609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JP3244247B2 (ja) クロック信号現用予備切替方式
US6990066B1 (en) Method for using a pre-configured ATM switch and traffic discard to facilitate UPSR selection
CN116419320A (zh) 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3517164B2 (ja) 二重化切替機能を有した通信装置
KR100221536B1 (ko) 연속성 검사 오메이엠 셀 생성기능을 구비한 에이티엠 가입자 정합장치
KR0153921B1 (ko) 에이티엠 가상 경로 교환 시스템에서 가상 경로 대역 변경을 위한 발신 및 착신 처리 방법
JP3148853B2 (ja) パケット輻輳通知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