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77Y1 -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 - Google Patents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77Y1
KR200300577Y1 KR20-2002-0030397U KR20020030397U KR200300577Y1 KR 200300577 Y1 KR200300577 Y1 KR 200300577Y1 KR 20020030397 U KR20020030397 U KR 20020030397U KR 200300577 Y1 KR200300577 Y1 KR 200300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horse
air
air cell
saddl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균
Original Assignee
(주)엘씨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씨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엘씨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2-0030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CSADDLES; STIRRUPS
    • B68C1/00Saddling equipment for riding- or pack-animals
    • B68C1/12Bottom pads for saddles; Saddle cl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구(馬具)의 일종인 안장깔개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가죽재질로 고형화되어 있는 말의 안장이 말등에 장착되는 데, 특히 사람이 말 위로 기승(騎乘)할 경우에는 기수(騎手)의 몸무게 하중까지 얹혀지게 되어 딱딱한 안장과 말등 간의 마찰이 발생하여 말등에 상해를 입히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말안장과 말등 사이에 탄력성이 좋은 공기를 매개체로 한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saddle pad)를 삽입하여 민감성 동물인 말(馬)에 불쾌감이나 상해를 입히지 않고 승마 혹은 경마 등 말을 이용한 레포츠를 즐길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Horse saddle pad with air cell}
본 고안은 마구의 일종인 안장깔개에 관한 것으로, 안장과 말등 사이에 탄성력이 뛰어난 공기를 매개체로 한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로 말에 상해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안장깔개에 관한 것이다.
말(馬)에 기승(騎乘)하여 행하는 레포츠, 예컨대 승마 혹은 경마 등을 즐기기 위해서는 다양한 마구(馬具)들을 말에 장착하여 사람이 이러한 마구들을 사용하여 말에 지시를 내리거나 안정성을 확보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말잔등에 올라타서 즐길 수 있는 레포츠이기 때문에, 이러한 마구들이 말보다는 사람에게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마구 중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안장은 말잔등에 얹혀 놓고 고정시킨 후에 사람이 말잔등 위로 올라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 그 재질은 일반적으로 가죽으로 되어 있으나, 사람의 둔부가 이 안장에 안착될 수 있도록 둔부 윤곽선을 따라 형성된 단단하게 고형(固形)화시킨 재질을 이용하게 된다. 이런 단단한 재질로 되어 있는 안장을 말잔등 위로 그대로 얹혀 사용하게 되면, 민감한 기질을 갖는 말에게 상당한 불쾌감과 상해의 위험성을 다분히 가지게 된다. 이에 일반적으로 안장깔개를 말잔등과 안장사이에 삽입하여 어느 정도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려 천 또는 젤(gel) 등의 소재로 된 패드를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천 또는 젤로 만들어진 부드러운 안장깔개는 단단한 안장과 말등 상이에 위치되어 사용되는데, 기승했을 때에는 단단한 안장 밑에 위치된 안장깔개는 말잔등의 피부에 안장의 딱딱한 느낌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순 있지만 안장에 위해 눌려진 안장깔개에 위해 말등에 지속적으로 마찰을 가하게 되어 상피조직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며, 말잔등에 안장의 확실한 장착을 위해서 안장을 말등에 밀착되게 위치고정시키므로 안장 밑에 놓인 안장깔개의 덮인 면적에서는 통기성이 좋지 않아 말등에 땀이 차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표출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는 공기로 채워진 다수의 에어셀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말등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며, 이 에어셀내에 있는 공기는 다른 소재들보다 탄력성이 뛰어나므로 사람이 기승한 상태에서 말에 가하는 충격의 완화 및 통기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절취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의 단면도,
도 3은 말등에 안장과 함께 안착시킨 도면의 원호부분을 절개하여 확대한 부분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장깔개, 2 ----- 돌출부,
3 ----- 에어셀, 4 ----- 외피,
5,5' ----- 열가소성 탄성재, 6 ----- 안장,
7 ----- 말, 8 ----- 내피.
본 고안에 따른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형상으로 되어 있는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1)는 적어도 한쪽면 상에 공기로 채워진 에어셀(3)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2)를 갖춘다. 이와 같이, 일면에 다수의 돌출부(2)를 구비하는 한편, 다른 실례로는 상부면과 하부면, 즉 양면에 돌출부(2)를 구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안장깔개(1)의 하부면은 에어셀(3)로 된 돌출부(2)를 갖추게 되는데, 이는 안장깔개(1)와 말등 사이에 약간의 틈새를 제공한다. 즉, 돌출부(2)는 안장깔개(1)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어서, 말등에 안장깔개(1)가 완전하게 맞닿게 되는 것이 아니라 돌출된 돌출부(2)의 끝부분에서만 말등과 맞닿게 된다. 이로 인해서, 말등과 안장깔개(1) 간의 접촉면적이 상당히 최소화되어, 그 접촉면적 사이로 약간의 틈새가 제공된다(도 3참조). 이 틈새는 안장깔개(1)와 말등 사이에 공기를 원활하게 소통하게 하는 통기성을 위한 경로로서 사용되며 더욱이, 안장깔개(1)와 말등과의 접촉면적의 감소로 말등에 안장깔개(1)와 안장(6)으로 쓸리게 되는 부분이 줄어들어 상처를 내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특별하게는, 본 안장깔개(1)는 전술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돌출부(2)를 갖추고 있어서, 다양한 굴곡면을 갖는 말등에 펼쳐져서 안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종래의 천 혹은 젤로 만들어진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패드는 굴곡된 면을 따라 위치될 경우에 굴곡되는 지점에서 패드가 겹쳐지거나 구겨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며, 패드가 겹쳐진 상태로 말등에 얹혀지면 말이 균일한 접촉감 혹은 감촉을 느끼지 못할 뿐더러 구져지게 되면 제품에 상당한 무리가 가해지므로 사용수명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상기 안장깔개(1)의 외부에 돌출부(2)는 돌출되지 않은 부분과 돌출된 부분의 두께의 상이함으로 구져지거나 겹쳐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아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절취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의 단면도로서, 안장깔개(1)의 외피(4)는 말에 부담을 주지 않는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돌출부(2)는 공기로 채워진 에어셀(3)에 위해 돌출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에어셀(3)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그리고 말등의 굴곡면을 따라 유연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열가소성 탄성재(5,5')를 이용하되, 이 열가소성 탄성재(5,5')는 기밀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평한 패드형상인 열가소성 탄성재(5)와 공기를 함유시킨 에어셀(3)의 외형을 갖춘 열가소성 탄성재(5')를 맞붙여 고주파처리를 함으로써, 이 열가소성 탄성재(5,5')간의 봉합부분을 견고히 하여 공기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게 하며, 또한 장시간 동안 에어셀(3)이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말등에 안장과 함께 안착시킨 도면의 원호부분을 절개하여 확대한 부분상세도이다. 말등 위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셀(3)을 갖춘 안장깔개(1)를 얹혀 놓고 그 위로 사람이 기승할 자리를 마련하는 안장(6)을 위치고정시킨다.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2)로 말등과 완전하게 맞닿지 않는 틈새가 형성되어 그 사이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제공하여 말등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틈새를 제공한다.
더욱이, 탄력성이 좋은 공기를 함유한 에어셀(3)은 안장과 사람의 무게로 가압되는 말등에 완충력을 제공하여, 말에 가해지는 압력이 완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반대로 사람의 둔부에 맞춰져 외형을 갖춘 딱딱한 안장(6)아래에 에어셀(3)을 갖춰 상당한 쿠션효과를 갖춘 안장깔개(1)가 놓여 있어 기마한 사람에게 편안한 착승감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전술된 안장깔개(1)는 일면에만 에어셀(3)을 갖춘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더욱 효과적인 특성을 성취하기 위해서 상부면과 하부면 상의 양면에 에어셀(3)을 갖춰 양면에 돌출부(2)를 형성시킨 안장깔개(1)를 제공한다.
특히, 도 4는 양면에 돌출부(2)를 형성한 안장깔개(1)의 단면도로서, 편평한 열가소성 탄성재(5)를 사이에 두고 그 위와 그 아래로 공기를 함유하는 에어셀(3)의 외형을 갖춘 2개의 열가소성 탄성재(5')를 서로 맞붙여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진 고주파처리를 통해 봉합한 기밀성을 극대화시킨 안장깔개(1)를 도해한 것이다. 또한, 양면으로 돌출부(2)를 형성한 안장깔개(1)는 편평한 열가소성 탄성재(5)를 제외한 2개의 열가소성 탄성재(5')만을 이용하여 에어셀(3)을 형성할 부분을 잘 맞붙여 에어셀(3)을 갖춘 안장깔개(1)를 형성할 수도 있다(도시되지 않음).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해한 것이다. 외피(4)와 유사한 소재를 사용한 내피(8)를 중심으로 상부면과 하부면의 양면에 각각 편평한 열가소성 탄성재(5)를 부착하고, 공기를 함유한 에어셀(3)의 외형을 갖춘 2개의 열가소성 탄성재(5')들을 각 편평한 열가소성 탄성재(5) 위로 부착한다. 이는 도 2로 도시된 안장깔개 위로 또 다른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를 덧붙인 형상으로 임의의 일면이 사용상에 문제점, 예컨대 일면의 에어셀의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어도 반대면의 에어셀로 전술된 본 고안의 특징을 실현시킬 수 있게 된다.
추가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셀(3)을 갖춘 안장깔개(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이루나, 말등에 얹혀 놓은 안장의 면적의 외형을 따른 형상 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말등에 얹혀 놓는 안장 아래에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를 삽입시켜, 안장깔개와 말등 사이에 통기 가능한 틈새를 제공하여 말등에 땀이 차는 현상을 방지하며 탄력성과 충격흡수력을 갖춘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에 놓인 안장 위에 기승했을 때 더욱 편안한 느낌과 안정성을 사람과 말에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탄력성과 기밀성이 좋은 열가소성 탄성재(5,5')로 이루어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에어셀(3)을 구비하되,
    상기 각각의 에어셀(3)은 열가소성 탄성재(5,5')의 접합된 사이의 공간에 충격흡수력이 좋은 공기로 채워진 상기 에어셀(3)로 형성된 돌출부(2)는 말등과 안장 사이에 틈새를 제공하고, 상기 에어셀(3)을 갖춰 돌출되어 있는 열가소성 탄성재(5,5')의 외형에 잘 맞추어지면서 말등에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하는 소재로 되어 있는 외피(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셀(3)은 안장깔개(1)의 적어도 한쪽 면상에 위치될 수 있는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
KR20-2002-0030397U 2002-10-11 2002-10-11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 KR200300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397U KR200300577Y1 (ko) 2002-10-11 2002-10-11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397U KR200300577Y1 (ko) 2002-10-11 2002-10-11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7Y1 true KR200300577Y1 (ko) 2003-01-14

Family

ID=4939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397U KR200300577Y1 (ko) 2002-10-11 2002-10-11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22Y1 (ko) * 2008-11-28 2012-01-05 서명운 승궁용 안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22Y1 (ko) * 2008-11-28 2012-01-05 서명운 승궁용 안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8076B2 (en) Self-equalizing resilient orthopaedic support
US5823981A (en) Resilient orthopaedic support with independently stretchable layers
US4573216A (en) Impact dissipator
EP0824337B1 (en) Formed resilient orthopaedic device
US5922023A (en) Breast prosthesis
JP4317257B2 (ja) 折畳み式頚椎保護帯
EP1583437B1 (en) Kneepad
US7448088B2 (en) Knee pad
US20070108808A1 (en) Bicycle saddle
TWI651232B (zh) 自行車座墊
KR100970759B1 (ko) 관절 보호대
US10143311B2 (en) Knee pillow
JP2000054218A (ja) ヘルメット
US4067330A (en) Bed sore bandage cover
KR200300577Y1 (ko) 에어셀을 갖춘 안장깔개
US2646795A (en) Corn cushion
TWM545081U (zh) 自行車座墊
KR200486922Y1 (ko) 수경 보호 패드
KR200351286Y1 (ko) 무릎보호대
KR20060034514A (ko) 에어 튜브가 부착된 허리보호대
CN218978084U (zh) 腰垫及安全带
CN209808833U (zh) 一种足跟压疮防护垫
CN217184927U (zh) 一种护膝
CN215124779U (zh) 护头盔内衬
US20240099400A1 (en) Protective Knee 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