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997A - 스테레오 영상의 압축 방법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영상의 압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997A
KR20030056997A KR1020010087368A KR20010087368A KR20030056997A KR 20030056997 A KR20030056997 A KR 20030056997A KR 1020010087368 A KR1020010087368 A KR 1020010087368A KR 20010087368 A KR20010087368 A KR 20010087368A KR 20030056997 A KR20030056997 A KR 20030056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window
correlation
compressed
parallax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7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6997A/ko
Publication of KR20030056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9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mpressed domain processing techniques other than decoding, e.g. modification of transform coefficients, variable length coding [VLC] data or run-length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상관도가 있는 두개의 영상 중 하나의 영상은 압축한 후 복원하고, 나머지 영상은 시차 정보를 이용하여 복원할 수 있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상관성을 갖는 제1영상과 제2영상을 포함하는 스테레오 영상을 압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에서 대상 영역과 상관도가 높은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영역을 적응형 윈도우로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적응형 윈도우로부터 시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추출된 시차 정보를 압축하여 전송하여 상기 압축된 제1 영상와 상기 시차 정보를 복호화한후, 상기 복호화된 제1 영상과 상기 시차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영상을 복원하는 것으로서, 속도 향상 및 대역폭의 절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테레오 영상의 압축 방법{Method for Compressing Stero-Image}
본 발명은 높은 상관도가 있는 두개의 영상 중 하나의 영상은 압축한 후 복원하고, 나머지 영상은 시차 정보를 이용하여 복원할 수 있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영상 정보는 디지털 이미지의 형태로 저장되어지고 전송되어지나. 디지털 이미지는 영상이 복잡하거나 영상의 크기가 커지면 그 이미지의 저장 용량은 엄청나게 커지므로 파일로 저장할 경우 많은 기억 용량을 차지하게 되고 영상을 전송할 때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정보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저장 정보량을 압축시켜주는기술, 영상 부호화 기술과 압축된 영상을 원 영상으로 복원해 주는 복호화 기술의 개발은 정보화 시대를 윤택하게 해주는데 있어서 절대 필수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 개발된 영상 압축 기술은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등이 있다.
JPEG는 칼라 및 계조도 정지 영상 신호의 압축을 위해 만들어진 표준으로 평균 압축 비율이 15:1정도이다. MPEG은동영상 압축의 표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JPEG이나 MPEG은 푸리에변환의 변형인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이론을 근간으로 개발되어져 왔다.
영역 정합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상관도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상관도는 영상에 있어서 두 영역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정도를 말한다. 즉, 영상에 있어서 두 영역의 유사성을 주사하기 위해서는 상관도 함수를 두영역에 적용하여 그 결과 값의 크고 작음을 비교하여 두 영역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상관도 함수를 이용하느냐에 따라 그 유사성의 정확도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상관도를 이용함에 있어서, 중요한 또 한가지는 상관 윈도우의 크기이다. 상관도 함수 뿐만아니라 상관 윈도우의 크기도 두 영역의 유사도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상관 윈도우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두 영역을 비교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그 정확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되는데 사실은 그렇지가 않다.
일반적으로 윈도우의 크기가 클수록 좋지만 폐색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전혀 필요치 않는 영역까지 윈도우 내에 포함하게 되어 상관도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며, 영상의 특징점 부분에 있어서는 그 특징점의 정보가 주위의 값들로 인해 사장되어이 경우 역시 상관도의 정확도를 낮추는 결과를 낳는다.
반면에 윈도우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있어서는 폐색 영역으로 인한 영향을 줄일 수 있고 특징점과 같이 정보의 밀도가 높은곳에서는 효과적이지만, 반복적인 패턴을 이루는 영역에 대해서는 큰 오차를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좌우 두개의 영상으로 구성된 스테레오 영상은 공간적으로 많은 중복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중복성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전송시 데이터 양을 줄이려는 연구가 계속되어 왔는데 좌우 영상간에 존재하는 유사성을 찾는 것은 중요하다.
인간의 시각 특성에 입체감을느끼게 하는 스테레오 영상은 다양한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시 의료 영상, 비디오 게임 등에 응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통신 채널이나 저장 매체가 제공하는 전송 용량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효율적인 전송로 이용을 위해서는 신호 압축 기법을 사용하게 되었다.
동일한 대상을 수평으로 배열된 두개의 카메라로 촬영하므로써 얻어지는 스테레오 영상은 좌우 두개의 영상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얻어진 좌우 영상은 서로 간에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시 두 영상간의 공간적인 상관관계를 이용하게 되면, 두 영상을 독립적으로 보내는 것에 비해 많은 데이터양 감축을 얻을 수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좌우 영상 중 한쪽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 하여 적절한 부호화 방법으로 압축하여 보내고 나머지 영상의 각 지점은 앞서 부호화한 우영상에서 가장 유사한 부분을 찾아 두 지점간의 차신호와 유사성 정보만을 보내고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컴퓨터로 합성한 스테레오 영상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영상(100)과 제2영상(110)에는 여러개의 물체가 있는데, 상기 물체는 서로 교차하여 제1영상(100)에서는 보이는 부분이 제2영상(110)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스테레오 영상의 정합에 있어서는 상관 윈도우의 크기가 큰 영향을 미친다.
이하 상관 윈도우의 크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상관 윈도우의 크기를 다르게 한 경우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윈도우 크기를 10으로하고 상관도를 이용하여 영상을 정합한 것이다. 상기 도 2a를 살펴보면, 바닥에 놓인 원뿔과 공은 쉽게 식별할 수 있지만, 천장과 같이 밝기의 변화가 거의 없는 부분과 바닥과 같이 일정 무늬가 반복되는 부분은 많은 오차가 발생한다.
도 2b의 윈도우 크기는 15, 도 2c의 윈도우 크기는 20, 도 2d의 윈도우 크기는 30으로 한 경우이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d를 비교하면, 상기 윈도우 크기를 크게하면 할수록 오차가 줄어듬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윈도우 크기가 커지면 원뿔이나 공과 같은 물체는 주위 결과값들에 흡수되어 잘못된 결과가 나온다. 따라서, 영상 전체에 대해서는 같은 크기의 상관윈도우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보다는 각 픽셀마다 적합한 크기의 윈도우를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도 3은 JPEG를 하는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JPEG를 이용한 영상 압축 부호화기는 이산 코사인 변환부(DCT)(300), 양자화기(310), 양자화 행렬부(320), 엔트로피 부호화기(330)를 포함한다.
상기 이사 코사인 변환부(300)는 소스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데이터를 공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변화가 적으므로 낮은 주파수, 특히 0 주파수(DC)성분이 큰 값을 가지게 되고 높은 주파수 성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갖게 되므로서, 대부분의 정보가 낮은 주파수 쪽으로 몰리게 된다.
상기 DCT(300)는 8*8픽셀들을 하나의 블록으로 설정한 다음 64개의 정수 형태의 계수를 만든다.
양자화기(310)는 상기 DCT(300)를 통해 얻어진 DCT 계수값을 각각의 블록에 대응하는 8*8개의 양자화 행렬부(320)의 계수값으로 나눠준 값(양자화 비트수)을 출력한다. 상기 양자화기(310)는 엔트로피를 더 낮게 하고 압축률을 조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양자화기(310)는 양자화 결과 영상의 질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환 계수들의 진폭을 줄이고, 영(Zero)값을 가지는 계수의 수를 증가시켜준다. 상기 양자화 행렬부(320)의 계수들은 상기 양자화기(310)에서 양자화 할때의 양자화 스텝 크기를 나타낸다.
엔트로피 부호화기(330)는 상기 양자화기(310)의 출력을 이용하여 데이터 압축을 완성하는 부호화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양자화기 출력 결과 큰 값을 가지는 저주파 계수들은 고주파 계수들 앞에 위치시켜 놓고 부호화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는 JPEG, MPEG이 영상 압축에 많이 사용되지만, 3D 스테레오 영상의 압축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떤 상관도 함수를 이용하느냐에 따라 두 영상의 유사성의 정확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윈도우의 크기가 클수록 좋지만 폐색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전혀 필요치 않는 영역까지 윈도우 내에 포함하게 되어 상관도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며, 영상의 특징점 부분에 있어서는 그 특징점의 정보가 주위의 값들로 인해 사장되어 상관도의 정확도를 낮추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윈도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있어서는 폐색 영역으로 인한 영향을 줄일 수 있고 특징점과 같이 정보의 밀도가 높은곳에서는 효과적이지만, 반복적인 패턴을 이루는 영역에 대해서는 큰 오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개의 영상중 하나의 영상은 압축한 후 복원하고, 나머지 영상은 시차 정보를 이용하여 복원하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한된 통신 채널이나 저장매체가 제공하는 전송 용량에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전송로를 이용할 수 있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서로 간에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좌우 영상을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시 두 영상간의 공간적인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전송하므로 많은 데이터양을 감축할 수 있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컴퓨터로 합성한 스테레오 영상를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상관 윈도우의 크기를 다르게 한 경우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JPEG를 하는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윈도우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윈도우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윈도우를 이용한 스테레오 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윈도우를 이용하여 압축된 스테레오 영상을 복호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이산 코사인 변환(DCT) 310 : 양자화기
320 : 양자화 행렬부 330 : 엔트로피 부호화기
400 : 부호화 장치 410 : 복호화 장치
401 : 시차 정보 추출부 402 : JPEG부
403 : 부호화부 411 : DJPEG
412 : 복호화부 413 : 버퍼
414 : 혼합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높은 상관성을 갖는 제1영상과 제2영상을 포함하는 스테레오 영상을 압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에서 대상 영역과 상관도가 높은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영역을 적응형 윈도우로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적응형 윈도우로부터 시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추출된 시차 정보를 압축하여 전송하여 상기 압축된 제1 영상와 상기 시차 정보를 복호화한후, 상기 복호화된 제1 영상과 상기 시차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영상을 복원하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에서 대상 영역과 상관도가 높은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영역을 적응형 윈도우로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적응형 윈도우로부터 시차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상기 대상 영역으로부터 각 방향으로 한 픽셀씩 움직이면서 상기 대상 영역과의 임의의 상관 윈도우를 적용하고, 상관도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과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상기 유사도의 측정 결과 상기 유사도 측정값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영역을 적응형 윈도우로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적응형 윈도우로부터 시차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제 1영상은 JPEG를 이용하여 압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시차 정보는 반복 길이 부호기법에 의해 압축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스테레오 영상의 제1영상은 좌측영상, 제2영상은 우측영상으로 칭하고, 좌측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하여 상기 좌측 영상을 JPEG수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윈도우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응형 윈도우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장치는 부호화장치(400)와 복호화장치(410)를 포함한다.
상기 부호화장치(400)는 시차 정보 추출부(401), JPEG부(402), 부호화부(403)를 포함하고, 상기 복호화장치(410)는 DJPEG부(411), 복호화부(412), 버퍼(413), 혼합부(414)를 포함한다.
시차 정보 추출부(401)는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매칭하기 위해 적응형 윈도우를 이용하여 시차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적응형 윈도우를 설정하는 방법은 도 5a내지 도 5b를 참조한다.
JPEG부(402)는 전송된 좌측 영상을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JPEG부(402)는 상기 도 3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압축하는 방법은 도 3에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부호화부(403)는 상기 시차 정보 추출부(401)에서 추출된 시차 정보의 부호화를 수행한다. 상기 부호화 기법은 반복 길이 부호화 기법(Run Length Coding)일 수 있다. 상기 반복 길이 부화화 기법은 반복되는 픽셀의 블럭을 하나의 값과 그값의 반복 회수로 나타내는 기법이다.
즉, 상기 반복 길이 부호화기법은 2진 영상의 부호화법으로서 연속하는 '0' 또는 '1'의 개수를 하나의 부호로서 나타내는 방법이다. 연속하여 같은 값을 가지는 데이터가 있다면, 그 길이를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방법이다.
DJPEG부(411)는 상기 JPEG부(402)에서 압축되어 전송된 영상을 복원한다. 상기 복원된 영상은 좌측 영상일 수 있다.
복호화부(412)는 상기 부호화부(403)에서 부호화된 시차정보를 복원한다.
버퍼(413)는 상기 DJPEG부(411)에서 복원된 영상을 저장한후, 혼합부(414)에 전송한다.
상기 혼합부(414)는 상기 복원된 시차 정보와 상기 버퍼(413)에 저장된 좌측 영상을 이용하여 우측영상을 예측한다. 즉, 상기 혼합부(414)는 상기 복원된 시차정보를 이용하여 우측 영상을 복원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윈도우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의 정합을 수행하기전에 상관 윈도우를 설정하여야한다. 상기 상관 윈도우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좌측 영상 자체내에서 대상 영역과 상관도가 높은 영역을 추출한다. 그런다음 상기 추출된 영역들을 하나로 묶어 서 하나의 상관 윈도우로 설정한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를 살펴보면, 정합하려는 점이 P라고하면, 상기 P를 중심으로 모든 방향으로 조사하면서 주위의 점들을 윈도우내에 포함시킬지의 여부를 상관함수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상기 픽셀 P로부터 각 방향으로 한 픽셀씩 움직이면서 상기 픽셀 P와 픽셀 P'간에 상관 윈도우를 적용한다. 이때, 상기 픽셀 P와 픽셀 P'간에 상관 윈도우는 작은 상관 윈도우부터 점차적으로 큰 상관 윈도우를 적용한다.
도 5b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픽셀P로부터 각 방향으로 한 픽셀씩 움직이면서 상기 픽셀P와 픽셀P'간에 임의의 상관 윈도우를 적용한다(S500). 상기 상관 윈도우는 작은수부터 차례로 큰수로 대입하게 된다.
그런다음 수학식1과 같은 상관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픽섹 P와 픽셀P'간의 유사도를 측정한다(S501).
단계 501의 수행결과 상기 유사도 측정값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이면(S502), 상기 픽셀P'을 상기 픽셀P와 같은 적응형 윈도우에 포함시킨다(S503).
만약, 단계 502의 수행결과 상기 유사도 측정값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이 아니면, 더큰 상관 윈도우를 적용하여 단계 500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윈도우를 이용한 스테레오 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적응형 윈도우를 이용하여 시차 정보를 추출한다(S600).
그런다음 기준 대상이 되는 좌측 영상을 압축하고(S601), 상기 추출된 시차 정보를 부호화한다(S602). 상기 좌측 영상은 JPEG를 이용하여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시차 정보는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과 RLE(Run Length Coding)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저주파에 대해서는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고주파성분에 대해서는 RLE(Run Length Coding)으로 부호화한다.
상기 DPCM은 예측 압축 기법으로서 픽셀 레벨에서 이루어진다. 직전 픽셀과 비교하여 둘 사이의 차이만을 전송하는 것이다. 이웃한 픽셀들은 종종 동일하거나 이웃한 픽셀들 사이의 차이가 적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새로운 픽셀값 전체를 전송하는 것보다 더 적은 비트를 가지고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반복 길이 부호화 기법은 반복되는 픽셀의 블럭을 하나의 값과 그 값의 반복 회수로 나타내는것이다. 즉, 상기 반복 길이 부호화 기법은 반복되는 횟수가 클때 큰 효과를 낼 수 있으며, 단순히 2번 반복되는 경우의 데이터 흐름이나 연속인 같은 값의 수에 의한 데이터의 흐름은 부호화 할 수 없다.
단계 602를 수행한 후, 상기 압축된 영상과 상기 부호화된 시차 정보를 복호화장치에 전송한다(S603).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윈도우를 이용하여 압축된 스테레오 영상을 복호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부호화장치에서 압축되어 전송된 좌측 영상과 부화화된 시차 정보를 수신한다(S700).
그런 다음 상기 수신된 좌측 영상과 상기 시차정보를 복호화한다(S701). 상기 좌측 영상은 DJPEG를 이용하여 디코딩을 수행한다.
상기 좌측 영상의 디코딩으로 상기 좌측 영상은 복원된다(S702).
단계 702을 수행한 후, 상기 복원된 좌측 영상과 상기 복호화된 시차 정보를 이용하여 우측영상을 복원한다(S703).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상관도가 있는 두개의 영상중 하나의 영상은 압축한 후 복원하고, 나머지 영상은 시차 정보를 이용하여 복원할 수 있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간에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좌우 영상을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시 두 영상간의 공간적인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전송하므로 많은 데이터양을 감축할 수 있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좌측 영상의 압축된 파일과 시차 정보의 압축된 파일을 전송하여 수신단에서 복원하게 되면 좌우 영상을 따로 보내는 것보다 속도 향상 및 대역폭의 절감 효과가 있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 카메라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카메라 보정을 수행하여 정합결과로 얻어진 데이타로부터 실제적인 깊이를 추출함으로써 압축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복원되었을 경우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3차원 영상으로 얼마나 정확하에 재구성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높은 상관성을 갖는 제1영상과 제2영상을 포함하는 스테레오 영상을 압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에서 대상 영역과 상관도가 높은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영역을 적응형 윈도우로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적응형 윈도우로부터 시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추출된 시차 정보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압축된 제1 영상와 상기 시차 정보를 복호화한후, 상기 복호화된 제1 영상과 상기 시차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에서 대상 영역과 상관도가 높은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영역을 적응형 윈도우로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적응형 윈도우로부터 시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영역으로부터 각 방향으로 한 픽셀씩 움직이면서 상기 대상 영역과의 임의의 상관 윈도우를 적용하는 단계;
    상관도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과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유사도의 측정 결과 상기 유사도 측정값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영역을 적응형 윈도우로 설정하는 단계;및
    상기 설정된 적응형 윈도우로부터 시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영상은 JPEG를 이용하여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 정보는 반복 길이 부호기법에 의해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영상 압축 방법.
KR1020010087368A 2001-12-28 2001-12-28 스테레오 영상의 압축 방법 KR20030056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368A KR20030056997A (ko) 2001-12-28 2001-12-28 스테레오 영상의 압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368A KR20030056997A (ko) 2001-12-28 2001-12-28 스테레오 영상의 압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997A true KR20030056997A (ko) 2003-07-04

Family

ID=3221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368A KR20030056997A (ko) 2001-12-28 2001-12-28 스테레오 영상의 압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69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68B1 (ko) * 2004-10-16 2007-05-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계층적 깊이 영상을 이용한 다시점 동영상 부호화/복호화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68B1 (ko) * 2004-10-16 2007-05-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계층적 깊이 영상을 이용한 다시점 동영상 부호화/복호화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0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attern vectors for video and image coding and decoding
US5495538A (en) Segmentation-based JPEG image artifacts reduction
RU2127962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US7558432B2 (en) Adaptive quantization of depth signal in 3D visual coding
JP2527874B2 (ja) 局所的デ―タ損失に対する頑強性を圧縮化画像デ―タに付与するための装置
JP2002152776A (ja) 距離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距離画像復号化方法及び装置
US668097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ext selection of block transform coefficients
US6185253B1 (en) Perceptual compression and robust bit-rate control system
KR101346942B1 (ko) 벡터 임베디드 그래픽 코딩
EP0734168A2 (en) Apparatus for encoding a moving image signal having a still object
US66874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f data
EP0734166A2 (en) Apparatus for encoding an image signal having a still object
JP3234807B2 (ja) デコード方法
US5793428A (en) Self-encoded deltas for digital video data transmission
JP3887043B2 (ja) 輪郭線符号化方法及び輪郭線符号化装置
JP2003061093A (ja) 能動的テーブル生成による量子化/逆量子化方法および装置
KR20030056997A (ko) 스테레오 영상의 압축 방법
Sahu et al. A survey on various medical image compression techniques
Pancholi et al. Tutorial review on existing image compression techniques
Singh et al. A brief introduction on image compression techniques and standards
JPH1028274A (ja) 立体画像符号化装置
Santhosh et al. Compression of medical images based on devils curve coordinate system
Hakami et al. Reversible Color Compression Transform for Big Data System Using Human Visual System
Ayona et al. Progressive DCT Image Compression Based On Quad Tree Decomposition for WSN
WO2021117082A1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