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404A -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404A
KR20030056404A KR1020010086608A KR20010086608A KR20030056404A KR 20030056404 A KR20030056404 A KR 20030056404A KR 1020010086608 A KR1020010086608 A KR 1020010086608A KR 20010086608 A KR20010086608 A KR 20010086608A KR 20030056404 A KR20030056404 A KR 20030056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aring
track roller
oil
nippl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6487B1 (ko
Inventor
박동주
Original Assignee
잘만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잘만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잘만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6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4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6Details of distribution or circulation inside the bearings, e.g. details of the bearing surfaces to affect flow or pressure of the liquid
    • F16C33/1065Grooves on a bearing surface for distributing or collecting the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2Structural composition; Use of special materials or surface treatments, e.g. for rust-proof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트랙롤러 베어링 양측으로 니플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트랙로러 베어링을 장착시에 타부품과의 간섭등으로 창착이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니플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측에 육각렌치홈(111)을 형성하여 샤프트(120) 내부의 오일통로(140)와 연결되도록 한 트랙롤러 베어링(100)과, 상기 육각렌치홈(111)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일단 플랜지부(220)에는 노즐삽입공(221)이 형성되고 타측 삽입부(210)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삽입공(221)과 연결되는 통로(211)가 구비되며 상기 통로(211)에는 스프링(213)과 함께 볼(212)이 설치되어 상기 볼(212)에 의해 노즐삽입공(221)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한 니플(200)을 구성하므로서, 니플(200)이 트랙롤러 베어링(1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트랙롤러 베어링(100)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오일 공급을 트랙롤러 베어링의 양쪽으로 공급할 수 있어 트렉롤러 베어링에 오일 공급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며, 니플을 통해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문제점 또한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공급장치{Device for providing oil of a stud trackroller bearing}
본 발명은 산업기계장치에 널리 사용되는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화장치나 주차장, 엘리베이터 등의 산업기계장치에 널리 사용되는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양측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오일 공급장치인 니플을 설치하므로서 타부품에 간섭없이 트랙롤러 베어링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오일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니플을 통해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장치나 주차기, 엘리베이터, 자동차의 생산라인 등 각종 산업장치에 널리 사용되는 트랙롤러 베어링은 고도의 정밀한 롤러와 샤프트 사이에 니들롤러를 설치한 원통형의 롤러 베어링으로서, 직선 및 축선 회전운동에 적합한 베어링이며, 높은 경도와 내마모성, 내식성이 좋은 정밀도가 우수한 부품의 조립체이다.
또한, 상기 트랙롤러 베어링은 내부의 니들롤러와 외부롤러의 접촉 회전운동에 의하여 작동되며, 저속 및 중고속에 위격하중과 단하중 및 중하중에 적합한 베어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트랙롤러 베어링 중에는 샤프트의 중심축부와 볼트의 헤드가 0.25㎜∼1.0㎜ 정도 편심되어 볼트를 돌리면 간단히 중심축의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외경마모 보완기능을 갖춘 편심 캠형의 트랙롤러 베어링도 있다.
한편, 도 1a 와 1b 는 종래의 트랙롤러 베어링을 도시한 것으로서, 트랙롤러 베어링(10)의 샤프트(12) 끝단 외주면에는 나선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의 헤드부(11) 중앙에는 드라이버홈(11a)이 형성되어 있어 트랙롤러 베어링(10)을 장착물(60)에 장착할 때 트랙롤러 베어링(10) 일측 헤드부(11)의 드라이버홈(11a)에 드라이버(30)를 끼워넣고 타측 나선부(13)는 장착물(60)의 구멍에 맞추어 끼워넣은 후 그 이면에서 너트(50)를 체결함에 따라 트랙롤러 베어링(10)을 장착물(6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트랙롤러 베어링(10)을 장착함에 있어서, 트랙롤러 베어링(10)의 주변에 다른 부품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길이가 긴 드라이버(30)를 헤드부(11)의 드라이버홈(11a)에 끼워넣지 못하게 됨에 따라 너트(50)를 제대로 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트랙롤러 베어링(10) 내부의 니들롤러(15)에 오일이 공급되지 못하면 니들롤러(15)가 쉽게 마모되고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며 수명 또한 단축되므로 고가의 트랙롤러 베어링(10)을 수시로 교체하기 위해 기계장치나 생산라인이 가동을 중단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6)은 외륜이다.
따라서 트랙롤러 베어링(10)의 샤프트(12) 내부에는 오일통로(14)가 형성되고 트랙롤러 베어링(10)의 헤드부(11)와 나선부(13)에는 각각 외부와 관통되는 오일주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오일통로(14)와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일주입구를 통해 오일을 주입할 경우에 오일공급을 용이하기 위한 오일공급장치인 니플(20)을 상기 오일주입구에 설치하게 되며, 상기 니플(20)에는 오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이 쉽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도면중 미도시)을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트랙롤러 베어링(10)이 장착물(60)에 설치될 경우 트랙롤러 헤드부(11)와 나선부(13) 선단에 니플(20)이 돌출되어 있어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받게 되면서 장착이나 오일의 주입이 용이해지지 못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캡을 설치 및 분리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11)에 육각렌치홈(11b)이 형성되고 타측 나선부(13)의 선단에만 오일주입구가 형성되면서 트랙롤러 베어링(10)의 샤프트(12) 내부에 구비되는 오일통로(14)와 연결되도록 하고 니플(20)은 나선부(13)쪽에만 설치됨에 따라 트랙롤러 베어링(10)을 장착시 타부품에 간섭을 받을 경우 육각렌치(4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트랙롤러 베어링(10)의 경우에는 헤드부(11)에 니플(20)이 설치되지 않으며 나선부(13) 선단에만 니플(20)이 설치됨에 따라 어느 정도 장착의 유리한 점은 있지만 오일공급이 나선부(13) 한쪽에서만 이루어지며, 헤드부(11)쪽으로는 오일이 공급되지 못하므로 트랙롤러 베어링(10)의 오일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필요에 따라 니플(20)에 캡을 설치하거나 분리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랙롤러 베어링의 양측에 삽입형태의 니플을 설치하여 니플이 트랙롤러 베어링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트랙롤러 베어링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트랙롤러 베어링의 타부품의 간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오일 공급 또한 용이하고 적절하게 할 수 있으며 트랙롤러 베어링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 또한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 헤드부와 타측 나선부 선단에 내측으로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육각렌치홈을 형성하여 샤프트 내부의 오일통로와 연결되도록 한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과, 일단 플랜지부에는 노즐삽입공이 형성되고 타측 삽입부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삽입공과 연결되는 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통로에는 스프링과 함께 볼이 설치되어 상기 볼에 의해 노즐삽입공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한 니플을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트랙롤러 베어링의 헤드부와 나선부의 육각렌치홈에 니플이 끼워지면서 니플의 삽입부는 오일통로에 끼워지게 되고 니플의 플랜지부는 육각렌치홈에 일정 깊이로 끼워져 고정됨에 따라 니플이 트랙롤러 베어링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트랙롤러 베어링의 장착시 타부품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오일을 트랙롤러 베어링에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오일 공급용 노즐을 트랙롤러 베어링의 일측 또는 타측의 육각렌치홈에 집어넣어 노즐이 니플의 노즐삽입공을 눌러주게 하면 노즐에 의해 볼이 압축되면서 노즐삽입공과 통로가 연결되어 오일이 노즐삽입공을 따라 통로를 거쳐 오일통로로 이동됨에 따라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 급유를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a 와 1b 는 종래 트랙롤러 베어링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2a 와 도 2b 는 종래 다른 형태의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롤러 베어링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롤러 베어링에 니플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롤러 베어링에 오일이 공급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b 는 도 4a 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트랙롤러 베어링110 : 헤드부
111 : 육각렌치홈120 : 샤프트
130 : 나선부140 : 오일통로
200 : 니플210 : 삽입부
211 : 통로212 : 볼
213 : 스프링220 : 플랜지부
221 : 노즐삽입공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롤러 베어링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라 트랙롤러 베어링에 오일이 공급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4b 는 도 4a 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에 오일 공급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트랙롤러 베어링(100)의 일측 헤드부(110)와 타측 나선부(130)에 각각 일정한 깊이를 가지면서 샤프트(120) 내부의 오일통로(140)와 연결되는 육각렌치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육각렌치홈(111)에는 일정한 깊이로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니플(200)을 형성하되, 일단에는 삽입부(210)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플랜지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220)의 노즐삽입공(221)은 삽입부(210)의 통로(211)와 연결되며 상기 삽입부(210)에는 스프링(213)과 볼(212)이 설치되어 스프링(213)에 의해 볼(212)이 상기 노즐삽입공(22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된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11)은 트랙롤러 베어링(100)의 샤프트(120)에 구비된 오일통로(140)와 육각렌치홈(111)이 이루는 단턱부이며, (150)은 니들롤러이고, (160)은 외륜이며, (400)은 육각렌치이고, (800)은 오일공급용 노즐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트랙롤러 베어링(100)의 일측 헤드부(110)와 타측 나선부(130)에 각각 일정한 깊이의 육각렌치홈(111)을 형성하되, 상기 육각렌치홈 (111)은 트랙롤러 베어링(100)의 샤프트(120) 내부에 구비된 오일통로(140)의 양끝단과 서로 연결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육각렌치홈(111)을 통해 니플(20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니플(200)은 일측에 삽입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플랜지부 (220)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220)에는 오일공급용 노즐(800)이 끼어질 수 있는 노즐삽입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삽입공(221)은 삽입부(210)에 구비된 통로 (211)와 서로 관통된 상태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210)의 통로(211) 내부에는 스프링(213)이 설치되고 그 상단으로는 볼(212)이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213)이 압축되지 않을 경우에는 볼(212)이 노즐삽입공(221)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며, 노즐삽입공(221)으로 오일공급용 노즐(800)이 끼어지게 되면 상기 노즐(800)이 볼(212)을 눌러주게 되면서 스프링 (213)이 압축됨과 동시에 볼(212)이 노즐삽입공(221)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노즐삽입공과 통로(211)가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니플(200)이 육각렌치홈(111)으로 강제끼움방식으로 끼워넣게 되면 니플(200)의 삽입부(210)는 오일통로(140)에 끼워지게 되고 플랜지부(220)는 오일통로(140)와 육각렌치홈(111)의 연결부인 단턱부(112)에 의해 지지되면서 고정됨에 따라 니플(200)이 트랙롤러 베어링(100)의 헤드부(110) 또는 나선부(1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트랙롤러 베어링(100)이 장착될 때 다른 부품의 간섭을 최대한 덜 받게 되므로 트랙롤러 베어링(100)의 장착 및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니플(20)을 통해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을 설치해야 하며 오일 공급시에는 다시 캡을 제거하는 등 불편한 점이 많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니플(200)은 평상시에 볼(212)에 의해 노즐삽입공(221)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오일공급용 노즐이 삽입될 때만 노즐삽입공(221)이 개방되면서 오일통로(140)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이물질이 오일통로(140)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육각렌치홈(111)에 니플(200)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육각렌치홈(111)이 일정한 깊이로 계속 유지됨에 따라 트랙롤러 베어링(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된 육각렌치홈(111)을 통해 육각렌치(400)를 집어넣어 트랙롤러 베어링(100)을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함께 오일이 트랙롤러베어링(100)의 헤드부(110) 또는 나선부(130)를 통해 모두 공급될 수 있으므로 트랙롤러 베어링(100)의 오일 공급 또한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랙롤러 베어링의 양쪽에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육각렌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육각렌치홈에는 니플을 설치하여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통로와 연결되도록 함에 따라 트랙롤러 베어링에 니플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지 않아 타부품의 영향을 받지 않고 트랙롤러 베어링을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이며, 니플에 형성된 노즐삽입공은 평상시에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오일 공급시에만 노즐삽입공과 오일통로가 연결되면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이물질이 니플을 통해 트랙롤러 베어링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트랙롤러 베어링의 헤드부 또는 나선부 양쪽 모두 오일을 공급할 수 있어 오일의 공급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 헤드부(110)와 타측 나선부(130)를 연결하는 샤프트(120)의 내부에는 외부와 관통되는 오일통로(140)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10) 외측에는 니들롤러 (150)와 외륜(160)이 설치된 트랙롤러 베어링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20)의 오일통로(140) 양 끝단인 헤드부(110)와 나선부(130)에 각각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육각렌치홈(111)이 구비된 트랙롤러 베어링(100);
    상기 육각렌치홈(111)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일단에는 내부에 통로 (211)가 구비된 삽입부(2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전면에 노즐삽입공(221)이 구비된 플랜지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211)에는 스프링(213)과 함께 볼(212)이 설치되어 상기 볼(212)에 의해 노즐삽입공(221)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한 니플(200);
    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공급장치.
KR1020010086608A 2001-12-28 2001-12-28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 공급장치 KR100726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608A KR100726487B1 (ko) 2001-12-28 2001-12-28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608A KR100726487B1 (ko) 2001-12-28 2001-12-28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 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488U Division KR200271396Y1 (ko) 2001-12-28 2001-12-28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404A true KR20030056404A (ko) 2003-07-04
KR100726487B1 KR100726487B1 (ko) 2007-06-12

Family

ID=3221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608A KR100726487B1 (ko) 2001-12-28 2001-12-28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4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1822B2 (en) 2007-05-16 2012-05-08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Reducer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7191773A (zh) * 2017-05-05 2017-09-22 武汉理工大学 一种用于渐进成形的自动供油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4479B2 (ja) * 1997-01-14 2007-01-31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スタッド付トラックローラ軸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1822B2 (en) 2007-05-16 2012-05-08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Reducer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7191773A (zh) * 2017-05-05 2017-09-22 武汉理工大学 一种用于渐进成形的自动供油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6487B1 (ko) 200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5237A (en) Track roller bearing with stud
US6056444A (en) Track roller bearing with stud
US7823697B2 (en) Lubricating plug and stud-type tracking wheel with the same
CA1042370A (en) Reversible lubricant pump
JP2007138963A (ja) 真空用転がり軸受装置
US6017152A (en) Track roller bearing with stud and lubrication plug
KR100726487B1 (ko)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 공급장치
KR200271396Y1 (ko)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의 오일공급장치
JPH109256A (ja) ホィールスピンドル用アキシャル転がり軸受
CN204610558U (zh) 一种双法兰直线轴承组件
KR200286013Y1 (ko)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
KR20030087753A (ko) 스터드 타입 트랙롤러 베어링
US5362201A (en) Water pump lubricating chamber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KR200198832Y1 (ko) 스터드 타입트랙롤러 베어링의 그리스 오일 공급장치
KR0137601Y1 (ko) 산업기계용 트랙롤러 베어링
US6809447B1 (en) Windshield wiper motor with molded sleeve and thrust elements
KR200441720Y1 (ko) 오일주입용 노즐결합체
JP4853665B2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CN112128343B (zh) 减速器及具有其的机器人
JPS62106177A (ja) 軸部材の給油装置
US6641324B2 (en) Joint assembly and joint socket sleeve
JPH11280418A (ja) ロッカーアームの潤滑構造
KR200167035Y1 (ko) 내륜과 축이 일체형구조를 갖는 볼베어링
KR20050071370A (ko) 베어링 링과 샤프트 사이의 정적 시일
JPH0251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