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113A - Mobile phone for photographing pictur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for photographing pi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113A
KR20030056113A KR1020010086274A KR20010086274A KR20030056113A KR 20030056113 A KR20030056113 A KR 20030056113A KR 1020010086274 A KR1020010086274 A KR 1020010086274A KR 20010086274 A KR20010086274 A KR 20010086274A KR 20030056113 A KR20030056113 A KR 20030056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us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6113A/en
Publication of KR2003005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113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aking a photograph is provided so that a user directly photographs a user's own body by adjusting a photographing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CONSTITUTION: A light and darkness sensing unit(31) senses light and darkness in the circumference of a photographed object. A light-emitting unit(32) instantaneously generates a light with a uniform strength. A control unit(21) controls the photographing of the object and controls the light-emission of the light-emitting unit(32), according to the peripheral brightness sensed by the light and darkness sensing unit(31). A photographing unit(24) photographs the objec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21).

Description

사진 촬영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for photographing picture}Mobile phone for photographing picture

본 발명은 사진 촬영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시간 조절 및 어두운 곳에서의 플래쉬(flash)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aking a pi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hooting function and a flash function in a dark place.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 및 경량화 되어 크기가 점차적으로 소형화가 되고있으며,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기능 이외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수신 및 발신, 대금결재 등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일반화 되어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렌즈를 설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역할이 추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이 상용화되고 있다.Recent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increasingly miniaturized due to high sensitivity and light weight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been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consumers. In addition to the call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a game, internet search, E-mail reception and transmission, payment, etc. has been generalized. Recently, a camera lens is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phone having a role of an imag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aking a picture of an object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icture taken with a camera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counterpart has been commercialized.

이와 같이 카메라렌즈가 부착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상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다.Thus, the shap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lens is as shown in Figures 1a and 1b.

도 1a는 종래의 카메라렌즈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 카메라렌즈가 설치된 부분의 내부구성도이다.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mera lens, and FIG. 1B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ion where the camera lens is installed in FIG. 1A.

도 1a를 참조하여 폴더형 카메라렌즈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A,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lamshell lens is as follows.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폴더형 카메라렌즈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는, 힌지부(2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본체(20)와 폴더(21)로 구성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내부면에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송신부(24)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진 키패드(23)가 설치되고, 상기 폴더(21)의 내부면에는 문자 및 숫자를 나타내는 액정표시부(25)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신부(26)와 렌즈홀(27)이 설치되며 상기 렌즈홀(27)의 중앙에 카메라렌즈(28)를 설치하는 구조로 형성되어있다.As shown in FIG. 1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general clamshell camera lens includes a main body 20 and a folder 21 that rotate and open and rotate about a hinge 22. ),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transmitter 24 including a microphone and a keypad 23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 buttons is install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er 21 has letters and numbers. The liquid crystal display 25 and the receiver 26 including the speaker and the lens hole 27 are installed, and the camera lens 28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ens hole 27.

도 1b를 참조하여 폴더형 카메라렌즈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ternal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lamshell camera le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B.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에 회전축(28a)과 결합된 고정기어(29)를 구비하는 카메라렌즈(28)는 렌즈홀(27)에 위치되도록 회전축(28a)을 프레임(30)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기어(29)에는 모터(31)의 구동기어(32)가 맞물리게 설치하며, 상기 모터(31)를 정, 역회전되도록 구동시키는 스위치버튼(33)이 폴더(21)의 일측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B, the camera lens 28 having the fixed gear 29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8a at the bottom thereof has a rotating shaft 28a mounted on the frame 30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lens hole 27. , The drive gear 32 of the motor 31 is meshed with the fixed gear 29, and a switch button 33 for driving the motor 31 to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older 21. do.

또한, 상기 카메라렌즈(28)는 화상이동통신 단말기 및 카메라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31)의 회전에 의해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폴더(21)의 렌즈홀(27)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렌즈(28)는 원통형으로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모터(31)는 정, 역회전을 할 수 있는 스태핑 모터를 사용하고, 상기 카메라렌즈(28)는 스태핑 모터(31)에 의해 중심축(28a)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있다.In addition, the camera lens 28 is installed to change th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31 so as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the imag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amera phone. The lens hole 27 of the folder 2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camera lens 28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as a cylindrical shape. The motor 31 uses a stepping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the camera lens 28 is installed to rotate 180 degrees about the central axis 28a by the stepping motor 31. have.

상기와 같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체(20)로부터 폴더(21)를 열게되면 상측 중앙에 설치된 카메라렌즈(28)가 내부로 향하게 되면 화상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메라폰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일측의 스위치버튼(33)의 상측을 누르면 스태핑 모터(31)가 동작되어 구동기어(32)를 정회전 시키게 된다. 이때 구동기어(32)와 맞물린 카메라렌즈(28)의 고정기어(29)를 역회전시키므로 프레임(30)설치된 중심축(28a)을 중심으로 카메라렌즈(28)가 역회전되어 렌즈부가 반대방향인 180도 위치에 오게 되면 스태핑 모터(31)는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렌즈(28)의 렌즈부가 외부로 향하도록 180도 회전되어 그 위치에서 더 이상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카메라폰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When the folder 21 is opened from the main body 20 in the above-described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amera lens 28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is directed inwards, the folder 21 can be used as an imag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such a state, when the user intends to use the camera phone, pressing the upper side of the switch button 33 on one side causes the stepping motor 31 to operate to rotate the driving gear 32 forward. At this time, since the fixed gear 29 of the camera lens 28 engaged with the drive gear 32 is reversed, the camera lens 28 is reversely rotated about the center axis 28a in which the frame 30 is installed so that the lens portion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stepping motor 31 is stopped when it comes to the 180 degre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ns part of the camera lens 28 is rotated 180 degrees to the outside, and is fixed without being rotated at that position any more so as to be used as a camera phon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카메라렌즈(28)를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일측의 스위치버튼(33)의 하측을 누르면 스태핑 모터(31)가 동작되어 구동기어(32)를 역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구동기어(32)와 맞물린 카메라렌즈(28)의 고정기어(29)를 정회전시키므로 프레임(30)설치된 중심축(28a)을 중심으로 카메라렌즈(28)가 정회전되어 렌즈부가 반대방향인180도 위치인 원위치로 다시 오게 되면 스태핑 모터(31)는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렌즈(28)의 렌즈부가 폴더(21)의 내부로 향하도록 180도 회전되어 그 위치에서 더 이상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화상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camera lens 28 is to be used as the imag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above state, pressing the lower side of the switch button 33 on one side causes the stepping motor 31 to operate to reversely rotate the driving gear 32. At this time, since the fixed gear 29 of the camera lens 28 engaged with the drive gear 32 is rotated forward, the camera lens 28 is rotat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28a in which the frame 30 is installed. The stepping motor 31 is stopped when it comes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which is a 180 degre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ns unit of the camera lens 28 is rotated 180 degrees to face the inside of the folder 21 and is fixed without being rotated at that position, so that it can be used as an imag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렌즈가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사진 촬영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타이머 기능 및 어두운 곳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래시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게때문에, 사용자가 촬영 지시키를 눌러놓고 촬영 위치까지는데 시간이 부족하여 사용자 자신을 촬영할 수 없었고, 또한 어두운 곳에서는 사진을 찍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lens as described above is not equipped with a timer function for taking pictures at regular time intervals when taking pictures and a flash function for taking pictures in a dark place. Because of the lack of time to the user to press the shooting position to the shooting position was not enough to take the user himself,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can not take a picture in a dark pla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자신을 촬영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irectly photographing a user by adjusting a shooting tim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플래쉬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aking pictures in a dark place by implementing a flash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도 1a는 종래의 카메라렌즈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mera lens.

도 1b는 도 1a에서 카메라렌즈가 설치된 부분의 내부구성 단면도.Figur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lens is installed in Figure 1a.

도 2는 일반적인 사진 촬영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aking a general pictur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사진 촬영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 제어부 22: 키패드21: control unit 22: keypad

23: 액정화면 24: 촬영부23: LCD 24: Shooting section

25: 압축부 26: 이미지파일 저장부25: compression unit 26: image file storage unit

27: 인터페이스 28: 송수신 처리부27: interface 28: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ing unit

31: 명암 감지부 32: 발광부31: contrast detector 32: light emitting uni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대상물의 영상 촬영 및 촬영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hotographing an object, comprising: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and photographing time of the object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And 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본 발명은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진 촬명의 대상물이 위치한 주변의 명암을 감지하기 위한 명암 감지수단; 일정한 세기의 빛을 순간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발광수단; 상기 명암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사진 촬영을 제어하고 상기 발광수단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an object, the apparatus comprising: contrast means for detecting contrast between a location where an object of photography is located; Light emitting means for instantaneously generating light of a constant intensity;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of the object and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sensed by the contrast detecting means; And 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the image of the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본 발명은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진 촬명의 대상물이 위치한 주변의 명암을 감지하기 위한 명암 감지수단; 일정한 세기의 빛을 순간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발광수단;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영상 촬영 및 촬영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명암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사진 촬영시 상기 발광수단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an object, the apparatus comprising: contrast means for detecting contrast between a location where an object of photography is located; Light emitting means for instantaneously generating light of a constant intensity;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and capturing time of the object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and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means when photographing the object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sensed by the contrast detecting means; And 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the image of the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일반적인 사진 촬영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로서, 제어부(21), 키패드(22), 액정화면(LCD)(23), 촬영부(24), 압축부(25), 이미지파일 저장부(26), 인터페이스(27), 그리고 송수신 처리부(28)로 구성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eneral picture capturing function, which includes a control unit 21, a keypad 22,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23, a photographing unit 24, a compression unit 25, and an image file. It consists of a storage unit 26, an interface 27,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unit 28.

제어부(21)는 송수신 처리부(28)를 통한 무선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또한 사진 촬영 및 촬영한 이미지파일의 출력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1 control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adio frequency signals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ing unit 28, and also controls the photographing and output of the captured image file.

키패드(22)는 사진 촬영 및 촬영한 사진의 출력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21)로 전달한다.The keypad 22 receives a user command for taking a picture and outputting the taken pictur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21.

액정화면(23)은 제어부(21)로부터 전달되는 사진 촬영에 관련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또한 액정화면(23)은 제어부(23)로부터 전달되는 동화상 및 정지화상 데이터 등과 같은 화상 데이터와 날씨, 뉴스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The LCD screen 23 displays the contents related to photographing taken from the control unit 21 and informs the user, and the LCD screen 23 displays image data such as moving image and still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23 and the weather. Displays news information, etc.

촬영부(24)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 렌즈를 통해 대상물을 촬영하여 촬영한 대상물에 대한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고 연속되는 디지털 신호를 정지화상으로 캡처(Capture)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거나 연속되는 영상을 일정시간 동안 캡처하여 동화상 파일을 생성한 후 이 동화상 파일을 압축부(25)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21)는 키패드(22)를 통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촬영부(24)의 촬영 기능을 제어한다.The photographing unit 24 captures an object through a camera le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 converts an image of the photographed object into a digital signal, and captures a continuous digital signal as a still image to capture an image file. After generating or capturing a continuous image for a predetermined time to generate a moving image file, the moving image file is output to the compression unit 25. Here, the controller 21 controls the photographing func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24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through the keypad 22.

압축부(25)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촬영부(24)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이미지 파일이나 동화상 파일 등과 같은 화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압축하여 이미지파일 저장부(26)에 저장시킨다.The compression unit 25 receives image data such as a predetermined image file or a moving image file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2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 compresses the image data, and stores the image data in the image file storage unit 26.

인터페이스(27)는 이미지파일 저장부(26)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현상하기 위한 컴퓨터 등에 접속된다. 즉, 제어부(21)는 이미지파일 저장부(26)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인터페이스(27)에 접속된 컴퓨터 등으로 출력시켜, 이 이미지파일이 컴퓨터 등을 통해 현상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interface 27 is connected to a computer or the like for developing an image file stored in the image file storage 26. That is, the control unit 21 outputs the image file stored in the image file storage unit 26 to a computer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interface 27 so that the image file is developed through a computer or the lik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진 촬영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촬영시간 조얼을 위한 타이머 기능과 플래쉬 기능을 구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timer function and a flash function for observing a shooting tim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uch a photographing function, as shown in FIG. 3.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촬영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제어부(21), 키패드(22), 액정화면(LCD)(23), 촬영부(24), 압축부(25), 이미지파일 저장부(26), 인터페이스(27) 및 송수신 처리부(28)를 구비하며, 그리고 주변의 명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명암 감지부(31) 및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일시적으로 점멸되는 발광부(32)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21, a keypad 22,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23, a photographing unit 24, and compression as in FIG. 2. A unit 25, an image file storage unit 26, an interface 27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unit 28, and controls the contrast detection unit 31 and the control unit 21 for detecting the contrast state of the surroundings. The light emitting part 32 which flashes temporarily is provided.

여기서, 발광부(32)는 어두운 곳에서 사진촬영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조도 크기를 발생시킨다.Here, the light emitter 32 generates an illuminance size that is sufficient to normally take a photograph in a dark place.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 촬영에 대한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촬영시간 조절 및 플래쉬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n operation for taking a pi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e following describes the shooting time adjustment and the flash function to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시간 조절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First, it looks at the shooting time adjustment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촬영시간을 일정시간 동안 지연시키기 위해 키패드(21)를 누르면, 제어부(21)는 키패드(22)를 통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촬영부(24)에 의한 촬영시간을 3초 정도 지연시킨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키패드(22)를 통해 촬영시간 지연 명령을 입력한 후 촬영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21)는 촬영 명령이 입력된 때로부터 3초 정도 경과한 후 촬영부(24)를 동작시켜 대상물을 촬영한다. 여기서, 촬영지연 시간은 3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키패드(22)를 통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시간이다.When the user presses the keypad 21 to delay the shooting tim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21 delays the shooting time by the photographing unit 24 for about 3 seconds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through the keypad 22. Specifically, when the user inputs a shooting time delay command through the keypad 22 and then inputs a shooting command, the control unit 21 operates the shooting unit 24 after about 3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shooting command is input. To shoot the object. Here, the shooting delay time is not limited to 3 seconds, but is a time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set through the keypad 22.

이와 같이 사용자의 촬영 지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자신도 사진 촬영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uch,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user's shooting instruction, the user can take a picture, so that the user can take a picture.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쉬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Next, a flash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키패드(22)를 눌러 플래쉬 기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면, 제어부(21)는 사용자의 별도 지시없이도 사진 촬영시 명암 감지부(31)에 의해 감지된 주변의 밝기에 따라 발광부(32)를 순간적으로 점멸시킨다.When the user sets the flash function automatically by pressing the keypad 22, the control unit 21 according to the ambient brightness detected by the contrast detecting unit 31 at the time of taking a picture without the user's separate instruction, the light emitting unit 32 Flashes momentarily.

즉, 이와 같은 자동 플래쉬 기능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2)를 눌러 사진 촬영을 지시할 경우, 제어부(21)는 명암 감지부(31)에 의해 감지된 주변의 밝기를 판단하여 주변이 사진을 촬영하기에 어둡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1)는 촬영부(24)을 동작시켜 대상물을 촬영하면서 동시에 발광부(32)를 순간적으로 점멸시킨다.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keypad 22 to instruct the photographing in the state of the automatic flash function, the controller 21 determines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sensed by the contrast detecting unit 31 and the surrounding photographs are taken. If it is determined to be dark later, the control unit 21 operates the photographing unit 24 to photograph the object and at the same time flashes the light emitting unit 32 at the same time.

만일, 제어부(21)는 명암 감지부(31)에 의해 감지된 주변의 명암이 사진을 촬영하기에 적합할 정도로 밝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1)는 발광부(32)를 동작시키지 않고 촬영부(24)만을 동작시켜 대상물을 촬영한다.If the control unit 21 determines that the surrounding contrast detected by the contrast detecting unit 31 is bright enough to take a picture, the control unit 21 does not operate the light emitting unit 32 and does not operate the light emitting unit 32. 24) Shoot only the object by operating.

이와 같이 자동 플레쉬모드에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배터리가 일정레벨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제어부(21)는 사진 촬영시 발광부(32)를 동작시키지 않는다.As such, in the automatic flash mode, when the battery attach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below a certain level, the controller 21 does not operate the light emitter 32 when taking a picture.

한편, 사용자가 키패드(22)를 눌러 플래쉬 기능의 수동모드를 설정하면, 제어부(21)는 명암 감지부(31)의 감지 결과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발광부(32)를 발광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ts the manual mode of the flash function by pressing the keypad 22, the control unit 21 emits the light emitting unit 32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s regardless of the detection result of the contrast detection unit 31.

이와 같은 플래쉬 기능의 수동모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2)를 눌러 사진 촬영을 지시할 경우, 제어부(21)는 사용자의 플래쉬 기능을 설정 지시가 있으면 촬영부(24)을 동작시켜 대상물을 촬영하면서 동시에 발광부(32)를 순간적으로 점멸시킨다.In the manual mode of such a flash func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keypad 22 to instruct the photographing, the control unit 21 operates the photographing unit 24 to photograph the object when the user sets the flash function. At the same time, the light emitting section 32 flashes instantaneously.

여기서, 사용자의 플래쉬 기능의 설정 지시가 없으면, 제어부(21)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촬명부(24)만을 동작시켜 대상물을 촬영한다.Here, if there is no instruction for setting the flash function by the user, the controller 21 operates only the photographing unit 24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to photograph the object.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시간 조절 및 어두운 곳에서의 플래쉬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자신을 촬영할 수 있고 어두운 곳에서도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상품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can adjust a shooting time and a flash function in a dark place,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photograph themselves and can take a picture in a dark place. The merchandise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Claims (7)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aking an image of the object,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대상물의 영상 촬영 및 촬영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and capturing time of an object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And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object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aking an image of the object, 사진 촬명의 대상물이 위치한 주변의 명암을 감지하기 위한 명암 감지수단;Contras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contrast of the surrounding area of the object to take a photograph; 일정한 세기의 빛을 순간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발광수단;Light emitting means for instantaneously generating light of a constant intensity; 상기 명암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사진 촬영을 제어하고 상기 발광수단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of the object and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sensed by the contrast detecting means; And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aking an image of the object, 사진 촬명의 대상물이 위치한 주변의 명암을 감지하기 위한 명암 감지수단;Contras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contrast of the surrounding area of the object to take a photograph; 일정한 세기의 빛을 순간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발광수단;Light emitting means for instantaneously generating light of a constant intensity;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영상 촬영 및 촬영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명암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사진 촬영시 상기 발광수단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and capturing time of the object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and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means when photographing the object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sensed by the contrast detecting means; And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키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촬영시간 지연 지시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사진 촬영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있는 때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촬영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대상물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photographing the object by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means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when a user command for photographing the object is issued, according to a user's photographing time delay instruction through a keypa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수단에 의한 사진촬영의 지연시간은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delay time for taking a picture by the control means is set by the user through a keypad.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사용자가 키패드를 눌러 플래쉬 기능의 자동 수행을 지시하였으면, 사진 촬영시 상기 명암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발광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when the user instructs to automatically execute the flash function by pressing a keypa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detected by the contrast detecting means when taking a pictur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사용자가 키패드를 눌러 플래쉬 기능의 수동모드를 설정하였으면, 사진 촬영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발광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If the user has set the manual mode of the flash function by pressing the keypa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s when taking a picture.
KR1020010086274A 2001-12-27 2001-12-27 Mobile phone for photographing picture KR200300561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274A KR20030056113A (en) 2001-12-27 2001-12-27 Mobile phone for photographing pi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274A KR20030056113A (en) 2001-12-27 2001-12-27 Mobile phone for photographing pi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113A true KR20030056113A (en) 2003-07-04

Family

ID=3221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274A KR20030056113A (en) 2001-12-27 2001-12-27 Mobile phone for photographing pi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611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567B1 (en) * 2004-05-04 2006-08-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with appropriate exposure of built-in flash
KR20100132656A (en) * 2009-06-10 2010-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260A (en) * 1992-08-17 1994-03-11 Nikon Corp Camera with self-timer photographing function.
JPH1184491A (en) * 1997-09-03 1999-03-26 Canon Inc Image pickup device provided with illumination
KR20010073637A (en) * 2000-01-19 2001-08-01 구자홍 Method and apparatus for on/off controlling side lighting of the image terminal
KR200249959Y1 (en) * 2001-07-20 2001-11-17 최공주 Apparatus for lighting of mobile phone using circumference illumin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260A (en) * 1992-08-17 1994-03-11 Nikon Corp Camera with self-timer photographing function.
JPH1184491A (en) * 1997-09-03 1999-03-26 Canon Inc Image pickup device provided with illumination
KR20010073637A (en) * 2000-01-19 2001-08-01 구자홍 Method and apparatus for on/off controlling side lighting of the image terminal
KR200249959Y1 (en) * 2001-07-20 2001-11-17 최공주 Apparatus for lighting of mobile phone using circumference illuminan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567B1 (en) * 2004-05-04 2006-08-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with appropriate exposure of built-in flash
KR20100132656A (en) * 2009-06-10 2010-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9759B1 (en) Remote control unit with previewing device for an image-capturing device
US7173665B2 (en)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625323B2 (en) 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camera function
US20040116167A1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636452B1 (en) Portable terminal and announcement method thereof
JP2004282399A (en)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self-timer photographing function with count-down indicator
JP4662902B2 (en) Shooting system
EP1503579A1 (en) Placement of light-emitting section in image sensing apparatus
JP5031205B2 (en) Mobile phone,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program
JP2004187154A (en) Camera-mounted mobile terminal
KR20030056113A (en) Mobile phone for photographing picture
JP428135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maging function
JP2002057934A (en) Preview system and method having remote function compatible with bluetooth protocol
KR100467894B1 (en) Mobile phone including flash for camera
JP2006324926A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10060272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lightness automatically
JP4069681B2 (en) Mobile terminal and notification method thereof
KR20040026297A (en) Mobile phone including flash for camera
KR100531162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which having the control of display as a direction of LCD and which method
KR100451207B1 (en) Apparatus for display of mobile image phone
KR10061356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with appropriate exposure of built-in flash
JP2003264619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ith camera
JP2006108982A (en) Image pickup device
JP4416783B2 (en) Mobile terminal and notification method thereof
JP2012070374A (en) Portable telephone, and photograph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