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56Y1 - 숯불 점화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숯불 점화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56Y1
KR200300556Y1 KR20-2002-0029962U KR20020029962U KR200300556Y1 KR 200300556 Y1 KR200300556 Y1 KR 200300556Y1 KR 20020029962 U KR20020029962 U KR 20020029962U KR 200300556 Y1 KR200300556 Y1 KR 200300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ignition
main body
fir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만
Original Assignee
김인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만 filed Critical 김인만
Priority to KR20-2002-0029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15Means for removing ash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구이용이나 기타 가열용으로 활용되는 숯을 미리 점화, 보관시켰다가 필요시에 즉시 꺼내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숯불 점화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엔 대부분 숯불을 피우면서 재, 먼지, 냄새 등이 비산되어 외부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불을 피울 때마다 착화탄을 사용하는 경우 그 소모량이 많아지고 일일히 불을 피우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고, 숯불의 강제 점화 과정에서 숯의 소모가 많을뿐 아니라 일단 사용하고 남게 되는 숯은 거의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숯의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착화된 숯은 하부에서 꺼내서 활용하고, 사용하고 남는 숯은 본체의 내부로 투입시켜 최소한의 연소 또는 소화상태로 보관하였다가 착화된 숯의 배출에 따라 내부보관상태의 숯이 순차로 하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착화 및 배출 활용이 이루어져 숯의 소모량을 절감하고, 착화시간을 절약하여 인건비의 절감이 가능하며, 내부에서 숯의 연소시에 발생되는 오염원은 하향 연통로와 수조를 경유하면서 포집 내지 정화시켜 외부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숯불 점화 보관 장치{An Apparatus for Storage and Making a Fire with Charcoal}
본 고안은 각종 구이용이나 기타 가열용으로 활용되는 숯을 미리 점화, 보관시켰다가 필요시에 즉시 꺼내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숯불 점화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엔 대부분 일일히 숯불을 피우고자 하는 화덕에 점화용 숯의 일종인 착화탄을 넣고 불을 착화시킨 다음, 그 상부에 가열용 숯을 적당량 쌓아 놓은 후 화덕의 하부에 마련된 송풍구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송풍기에 의하여 강제로 바람을 불어 넣어 숯불을 피운 다음 그때 그때마다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불을 피우면서 재, 먼지, 냄새 등이 비산되어 외부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불을 피울 때마다 착화탄을 사용하는 경우 그 소모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필요할 때마다 일일히 불을 피우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숯불의 강제 점화 과정에서 숯의 소모가 많을뿐 아니라 일단 사용하고 남게 되는 회수하더라도 별도로 보관하거나 그때 바로 필요한 경우가 아니 경우에는 자연 연소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되므로 숯은 거의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되고 결국 숯의 낭비가 심하여 아주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더우기, 대량의 숯을 한꺼번에 넣고 하부에서 점화시킨 다음 하부의 점화된 숯으로부터 불을 피우기 위하여 하부로부터 강제적으로 바람을 불어 넣어 확산시켰다가 필요한 경우에 상부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와 같은 점화방식은 항상 숯이 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하므로 숯의 소모량이 더욱 커지게 되고, 착화 및 연소시에 발생되는 악취나 먼지, 기타 재 등이 외부를 오염시키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내부에서 연소되는 숯의 특성상 바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활활 타는 상태를 유지하는 숯은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를 상부로부터 꺼내서 화로에 담기 위하여는 집게를 이용하여 상부에 위치한 숯을 헤치고 하부에 위치한 사용하고자 하는 숯을 꺼내야 하므로 작업자는 이러한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부주의에 의하여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되기도 하며, 하절기와 같이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작업하기가 더욱 어려운 단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본체의 상부로부터 사용하고자 하는 숯을 투입하고 일단 그 하부에 위치한 일부만을 점화시키고 숯이 꺼지지 않고 연소가 최소한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보관하다가 필요한 경우에 내부의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여 하부에 위치한 배출구에서 착화된 숯을 꺼내서 활용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숯의 소모량을 크게 절감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한 다음에 남게 되는 숯은 다시 본체의 상부로부터 내부로 투입시켜 최소한의 연소상태나 아니면 소화시킨 상태로 보관하였다가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하부로부터 배출되는 착화된 숯의 배출에 따라 내부에 보관되어 있던 숯이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착화 및 배출 활용이 이루어져 숯의 소모량을 절감하면서, 필요시 그때 그때마다 착화된 숯을 바로 바로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착화시간을 크게 절약하고 항상 작업자가 장치를 돌보지는 않고 수시로 필요한 경우에만 일을 해도 유지가 가능하여 인건비의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내부에서 숯의 착화 연소시에 발생되는 냄새나 먼지, 재 등은 별도로 마련된 하향 배출관을 거친 다음 별도로 마련된 수조를 거치도록 하여 외부로 직접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의 외주연은 2중 형태로서 단열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하절기와 같이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손쉽고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일부 생략하여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인 장치의 본체에 대한 변형례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인 장치에 사용되는 뚜껑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5는 본 고안인 일례에 대한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인 다른 일례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저장공간,
3:투입구, 4:숯배출구,
5:재배출구, 6:뚜껑,
7:중간받침, 8:상부 개폐문,
9:하부 개폐문, 10:뚜껑받침,
12:송풍구, 14:하향배출관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에 다리가 위치하고 내부엔 중간받침을 중심으로 상부에 저장공간을 갖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부 개폐문이 마련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서 숯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숯배출구와;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에 위치하고 석쇠 형태로 구성되는 중간받침과; 상기 중간받침의 하부 공간과 연통되고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송풍구와; 상기 숯배출구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부 개폐문이 마련되며 내부에서 재를 배출시키고 숯을 점화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재배출구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투입구의 상부를 덮어 씌우거나 개방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되는 뚜껑과;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과 연통되고 외측 하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하향 배출관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숯불 점화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의 후부로서 하향배출관의 상부 위치에 뚜껑받침을 수평으로 고정 설치하여 뚜껑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숯불 점화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의 외주연을 2중으로 이격되게 내,외측 통체를 구성하고, 상기 내,외측 통체의 사이엔 단열재를 채워 넣어 이루어지는 숯불 점화 보관 장치를 제공한다.
더우기, 상기 뚜껑이 본체와의 사이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결합하고,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에 의한 변위가 이루어져 개폐를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숯불 전화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장치의 경우에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하부에 복수개의 다리(16)가 위치하고 내부엔 중간받침(7)을 중심으로 상부에 저장공간(2)을 갖춘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부 개폐문(8)이 마련되며 상기 저장공간(2)의 내부에서 숯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숯배출구(4)와; 상기 저장공간(2)의 하부에 위치하고 석쇠 형태로 구성되는 중간받침(7)과; 상기 중간받침(7)의 하부 공간과 연통되고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는 송풍구(12)와; 상기 숯배출구(4)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부 개폐문(9)이 마련되며 내부에서 재를 배출시키고 숯을 점화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재배출구(5)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위치하는 투입구(3)의 상부를 덮어 씌우거나 개방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되는 뚜껑(6)과;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2)의 일측과 연통되고 외측에서 하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하향 배출관(14)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향 배출관(14)의 하부엔 별도의 수조(15)를 마련하여 본체(1)의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연소 가스, 냄새, 분진, 재 등이 수조(15) 내부로 낙하하고 가스는 수조(15) 내부에서 여과가 된 다음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체(1)의 후부로서 하향배출관(14)의 상부 위치에 뚜껑받침(6)을 수평으로 고정 설치하여 뚜껑(6)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 내지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외주연을 2중으로 이격되게 내,외측 통체(1a,1b)를 구성하고, 상기 내,외측 통체(1a,1b)의 사이엔 단열재(1c)를 채워 넣어 본체(1)의 내부에 위치한 점화된 숯(18)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차단되어 하절기와 같은 시기엔 사용자가 불편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도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6)이 본체(1)와의 사이에 힌지부(6a)를 중심으로 결합하고, 상기 힌지부(6a)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에 의한 변위가 이루어져 개폐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겠다.
물론, 본 고안인 장치는 도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1)를 원통형으로 하여 제작하거나 아니면 도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1)를 4각통형으로 하여 제작하여활용할수도 있으며, 별도로 예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그 이외에도 다양하게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인 장치의 경우, 사용시엔 뚜껑(6)을 열고 저장공간(2)의 내부에 투입구(3)를 통하여 숯불을 피우고자 하는 숯(18)을 적정량 넣고, 뚜껑(6)을 닫아 놓은 다음, 필요시 하향 배출관(14)의 하부에 위치한 수조(15)의 내부에 물을 채워 놓는다.
다음, 숯불을 피우고자 하는 경우엔 재배출구(5)를 열고 내측 공간에 숯(18)에 점화를 시키기 위한 착화탄이나 다른 적절한 불쏘시개를 넣고 점화시키면, 이들 불쏘시개가 타면서 숯(18)에 점화가 이루어지되, 숯배출구(4)와 인접하고 중간받침(7)의 바로 상부 위치로서 저장공간(2)의 하부에 위치한 숯(18)부터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점화 후에 곧바로 숯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엔 미도시된 송풍기를 송풍구(12)와 연결 설치하였다가 이를 가동시켜 강제적으로 외기를 본체(1)의 내부로 급송시키게 되면 숯(18)의 점화 속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와 같이 숯이 점화되면 숯배출구(4)를 열고 점화된 숯(18)을 집게를 이용하여 외부로 꺼내서 필요한 화로나 기타 용기에 담아 활용하면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점화과정에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숯가루, 먼지, 재, 연소가스 등은 하양배출관(14)을 거쳐 수조(15)의 내부로 낙하하게 되고 그중 기체 상태인 가스는 물을 통과하면서 정화가 된 후에 외부로 배출되며 나머지 고체 상태의 이물질은 수중으로 침적되게 되고, 정정한 시기에 이를 인출하여 별도로 처리하고수조(15) 내부의 물은 적덜히 교환하여 주면 된다.
그러나, 점화된 숯을 곧바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엔 중간받침(7)의 상부에 근접하여 위치한 숯만이 점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하부 개폐문(8,9)를 모두 닫고, 상부의 뚜껑(6)도 닫은 상태에서 하부 개폐문(9)의 여는 정도를 조절하거나, 뚜껑(6)을 열어 놓는 정도를 조절하여 외기가 점화된 숯(18)에 공급되는 량을 조절하여 꺼지지 아니하고 겨우 불이 피워져 있는 점화 상태를 유지하고 그 상부에 위치하고 아직 점화가 되지 않은 숯에는 점화가 확산되지 않도록 조절하여 숯이 연소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단순히 보관하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숯이 필요한 경우에만 상,하부 개폐문(8,9)을 개폐 조절하면서 필요한 만큼의 점화된 숯을 숯배출구(4)를 경유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면 된다.
물론, 외부에서 사용하다가 남게 되는 숯은 뚜껑(6)을 열고 본체(1)의 내부 저장공간(2)에 투입하고 다시 뚜껑(6)을 닫아 놓게 되면 별도의 외기가 공급되지 않는 한 곧바로 소화되어 저장중인 다른 숯과 같이 대기하였다가 하부에서 점화된 숯이 사용되어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숯들이 자연적으로 하강하면서 점화가 되고 대기 및 인출 사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저장공간(20 내부의 숯의 보관량이 부족한 경우엔 역시 뚜껑(6)을 열고 별도의 숯을 보충하여 계속적으로 활용하면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장치에 의하면,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본체(1)의 상부로부터 사용하고자 하는 숯을 투입하고 일단 그 하부에 위치한 일부만을 점화시키고 숯이 꺼지지 않고 연소가 최소한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보관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는 내부의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여 하부에 위치한 숯배출구(4)에서 순차적으로 점화된 숯을 꺼내서 활용하면 되므로, 사용이 아주 편리하고 불필요시엔 숯의 내부 연소를 최소화시켜 숯의 소모량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한 다음에 남게 되는 숯은 다시 본체(1)의 상부로부터 투입구(3)를 거쳐 저장공간(2)의 내부로 투입시켜 최소한의 연소상태나 아니면 소화시킨 상태로 보관하였다가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하부에 위치한 숯배출구(4)로부터 배출되는 착화된 숯의 배출에 따라 내부에 보관되어 있던 숯이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착화 및 배출 활용이 이루어져 숯의 소모량을 절감하면서, 필요시 그때 그때마다 착화된 숯을 바로 바로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착화시간을 크게 절약하고 항상 작업자가 장치를 돌보지는 않고 수시로 필요한 경우에만 일을 해도 유지가 가능하여 인건비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본체(1)의 내부에서 숯의 착화 연소시에 발생되는 냄새나 먼지, 재 등은 별도로 마련된 하향 배출관(14)을 거친 다음 별도로 마련된 수조(15)를 거치도록 하여 외부로 직접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1)의 외주연은 2중 형태로서 단열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하절기와 같이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손쉽고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하부에 복수개의 다리(16)가 위치하고 내부엔 중간받침(7)을 중심으로 상부에 저장공간(2)을 갖춘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부 개폐문(8)이 마련되며 상기 저장공간(2)의 내부에서 숯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숯배출구(4)와;
    상기 저장공간(2)의 하부에 위치하고 석쇠 형태로 구성되는 중간받침(7)과;
    상기 중간받침(7)의 하부 공간과 연통되고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는 송풍구(12)와;
    상기 숯배출구(4)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부 개폐문(9)이 마련되며 내부에서 재를 배출시키고 숯을 점화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재배출구(5)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위치하는 투입구(3)의 상부를 덮어 씌우거나 개방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되는 뚜껑(6)과;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2)의 일측과 연통되고 외측에서 하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하향 배출관(14)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점화 보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배출관(14)의 하부엔 별도의 수조(15)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점화 보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후부로서 하향배출관(14)의 상부 위치에 뚜껑받침(6)을 수평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외주연을 2중으로 이격되게 내,외측 통체(1a,1b)를 구성하고, 상기 내,외측 통체(1a,1b)의 사이엔 단열재(1c)를 채워 넣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점화 보관 장치.
KR20-2002-0029962U 2002-10-08 2002-10-08 숯불 점화 보관 장치 KR200300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962U KR200300556Y1 (ko) 2002-10-08 2002-10-08 숯불 점화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962U KR200300556Y1 (ko) 2002-10-08 2002-10-08 숯불 점화 보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175A Division KR20040032237A (ko) 2002-10-08 2002-10-08 숯불 점화 보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6Y1 true KR200300556Y1 (ko) 2003-01-10

Family

ID=4939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962U KR200300556Y1 (ko) 2002-10-08 2002-10-08 숯불 점화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0724A (en) Burning apparatus having burn promoting plate
CN208577669U (zh) 生活垃圾热解处理系统
KR200300556Y1 (ko) 숯불 점화 보관 장치
CN206507806U (zh) 烟熏炉
KR19990007892U (ko) 목재용 온수 보일러
KR20040032237A (ko) 숯불 점화 보관 장치
CN206507805U (zh) 烟熏炉
CN202973178U (zh) 负压吸储温式下烟道节能气化炉
CN201434418Y (zh) 多功能环保节能热水汽化炉
CN206507807U (zh) 烟熏炉
CN205641506U (zh) 一种多功能玉米芯燃烧装置
KR910001229Y1 (ko) 연탄용 온수 보일러
CN2641486Y (zh) 存柴式烧柴民用炉
CN201129758Y (zh) 一种柴草采暖炉
KR100857528B1 (ko) 고체연료보일러
CN205447830U (zh) 一种玉米芯燃烧装置
CN201866768U (zh) 一种低碳高效节能燃烧器
CN206507211U (zh) 烟熏炉
JP2529760Y2 (ja) 温水ボイラ
CN2233066Y (zh) 家用自动加煤采暖炉
CN206151280U (zh) 一种带鼓风装置的炭烤炉
KR920008407A (ko) 소각로 및 그것을 사용한 소각방법
KR200325374Y1 (ko) 코-크스 연료를 이용한 난방용 난로
CN2828593Y (zh) 煤电炉
CN109539263A (zh) 一种吊丝窑式焚烧垃圾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