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3492A -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 - Google Patents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3492A
KR20030053492A KR1020030036541A KR20030036541A KR20030053492A KR 20030053492 A KR20030053492 A KR 20030053492A KR 1020030036541 A KR1020030036541 A KR 1020030036541A KR 20030036541 A KR20030036541 A KR 20030036541A KR 20030053492 A KR20030053492 A KR 20030053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cii
circuit
differential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형우
Original Assignee
차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형우 filed Critical 차형우
Priority to KR102003003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3492A/ko
Publication of KR20030053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49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Universal Instrumentation amplifier : UIA)의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압 계측 증폭 및 전류 계측 증폭을 위해 제 2세대 정극성 전류 콘베이어(second generation current conveyor:CCII+) 2 개와 4개의 저항기로 구성되며 계측 입력 신호에 따라 저항기만 변경하여 전압 또는 전류를 계측할 수 있도록 설계된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UIA)는, 정합된 두개의 정극성 전류 콘베이어(CCII+)와 4개의 저항기로 구성되어 있고, 전압 또는 전류 입력 신호에 따라 저항기의 연결을 변경함으로 완전-차동형 전압, 단일-전류 차동전압, 그리고 차동-전류 단일 전압 계측 증폭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의 우수성은 종래의 3개의 연산 증폭기와 7개의 저항기로 구성된 계측 증폭기가가 갖는 문제점, 즉 차동 전압만 증폭, 저항기의 부정합에 의한 오차 발생, 그리고 회로가 복잡하여 반도체 칩(chip)화 할 경우 생산성이 낮아지는 특징들을 개선하여 차동전압, 차동전류, 그리고 단일전류 등을 계측 증폭이 가능, 저항기의 정합이 필요 없고, 그리고 회로가 간단한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회로를 반도체 칩으로 상용할 경우 종래의 계측 증폭기를 대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파급 효과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Universal Instrumentation amplifier}
종래의 계측 증폭기의 대표적인 회로도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연산 증폭기와 7개의 저항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연산 증폭기가 이상적이라고 가정하면 차동 전압 Vl과 V2에 대한 출력 전압 Vo는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이 식으로부터, 도 1의 회로는 차동 전압만 증폭하고, 저항기의 부정합(반드시 두개의 R2와 R3가 같은 값을 갖고 있어야 함)에 의한 오차 발생하고 회로가 복잡하여 반도체 칩(chip)화 할 경우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의 계측 증폭기는 차동 전압만 증폭하여 정극성 전압을 출력하기 때문에 부극성 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반전 증폭기를 추가하여야 하고, 정확한 이득을 얻기위해서는 저항기들이 정합이 반드시 선결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인 과제이다.
도 1은 종래의 계측 증폭기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의 회로도.
도 3은 도2를 완전-차동형 전압 계측 증폭기로 사용할 경우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도2를 단일-전류 차동 전압 계측 중폭기로 사용할 경우의 회로 구성도.
도 5는 도2를 차동-전류 단일-전압 계측 증폭기로 사용할 경우의 회로 구성도.
본 발명의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UIA)는 전압 또는 전류 입력 신호에 따라 저항기의 연결을 변경함으로 완전-차동형 전압, 단일-전류 차동전압, 그리고 차동-전류 단일 전압 계측 증폭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의 회로를 도 1에 나타냈다. 회로는 두개의 제 2세대 정극성 전류 콘베이어(CCII+)와 4개의 저항기로 구성된다. 이상적인 CCII+는 X 단자와 Y 단자 사이에 vX= vY(전압 폴로워 특성), X 단자와 Z 단자 사이에 iX= iZ(전류 폴로워)의 전달 특성을 갖고 있고 Y 단자와 Z 단자의 임피던스는 무한대, X단자의 임피던스는 영(zero)의 임피던스를 갖고 있다. 도 2에서 두개의 CCII+가 이상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다면 입력 신호의 연결과 저항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다양한 계측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도 2에 나타낸 회로로 실현가능한 계측 회로를 설명한다.
[실시 예 1] 완전-차동형 전압 계측 증폭기 회로
도 2의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UIA)의 회로 구성을 도 3과 같이 재구성하면 완전-차동형 전압 계측 증폭기의 회로가 된다. 도 3에서 상하의 두개의 CCII+가 정합되었다고 가정하면 저항 R1에 흐르는 전류는 아래와 같이 주어지고,
이 전류는 상위 CCII+의 Z 출력 단자로 IZU=iR1, 하위 CCII+의 Z 출력 단자로 IZD=-iR1으로 각각 출력된다. 따라서, Z 단자의 출력 전압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위 식으로부터 도 3의 회로는 두 입력 전압의 차를 완전-차동 출력 형태로 변환시키고 있을 뿐만아니라, 그 이득이 두 개의 저항의 크기에만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 예 2] 단일-전류 차동 전압 계측 증폭기 회로
도 2의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UIA)의 회로 구성을 도 4와 같이 재구성하면 단일-전류 차동 전압 계측 증폭기 회로가 된다. 도 4에서 상하의 두개의 CCII+가 정합되었다고 가정하면 X 단자로 들어오는 입력 전류 Ii는 상위 CCII+의 Z 출력 단자로 IZU=-Ii, 하위 CCII+의 Z 출력 단자로 IZD=Ii으로 각각 출력된다. 따라서, Z단자의 출력 전압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위 식으로부터 도 4의 회로는 입력 전류 신호를 검출하여 차동 전압 출력을 갖는다는것을 알 수 있다.
[실시 예 3] 차동-전류 단일 전압 계측 증폭기 회로
도 2의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UIA)의 회로 구성을 도 5과 같이 재구성하면 차동-전류 단일 전압 계 증폭기의 회로가 된다. 도 4에서 상하의 두개의 CCII+가 정합되었다고 가정하면 X 단자로 입력되는 전류 신호 I1와 I2는 상위 CCII+의 Z 출력 단자로 IZU=-I1, 하위 CCII+의 Z 출력 단자로 IZD=I2으로 각각 출력된다. 따라서, Z 단자의 출력 전압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위 식으로부터 도 5의 회로는 두 입력 전류의 차를 단일 전압 형태로 변환시키고 있을 뿐만아니라, 그 이득이 1개의 저항의 크기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의 우수성은 종래의 3개의 연산 증폭기와 7개의 저항기로 구성된 계측 증폭기가가 갖는 문제점, 즉 차동 전압만 증폭, 저항기의 부정합에 의한 오차 발생, 그리고 회로가 복잡하여 반도체 칩(chip)화 할 경우 생산성이 낮아지는 특징들을 개선하여 차동 전압, 차 동전류, 그리고 단일 전류 등을 증폭 가능하고, 저항기의 정합이 필요 없고, 그리고 회로가 간단한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회로를 반도체 칩으로 상용할 경우 종래의 계측 증폭기를 대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파급 효과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Claims (4)

  1.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 회로에 있어서, 두 개의 제 2세대 정극성 전류 콘베이어(CCII+)가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고, 두 CCII+의 X 단자 사이에 1개의 저항기가 연결되고, 두 CCII+의 Z단자와 접지 사이에 저항기가 각각 1개쌕 연결되고, 두 CCII+의 Z와 접지 사이에 1개의 저항기가 연결되어 있고 입력 신호(전압 또는 전류)에 따라, 회로의 구성을 변경하면 완전-차동형 전압, 단일-전류 차동전압, 그리고 차동-전류 단일 전압 계측 증폭 기능을 회로가 될수 있는 특징을 갖는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차동 전압이 두 개의 CCII+의 Y단자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고 두 X 단자 사이에 1개의 저항기가 연결되고, 두 CCII+의 Z단자와 접지 사이에 저항기가 각각 1개쌕 연결되고 두 개의 Z에서 차동 전압이 출력되도록 회로를 재구성하여 완전-차동형 전압 계측기 회로로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 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두 개의 CCII+의 Y단자가 접지로 연결되고 두개의 X 단자사이에 전류 신호를 입력하고, 두 CCII+의 Z단자와 접지 사이에 저항기가 각각 1개쌕 연결되고 두 개의 Z에서 차동 전압이 출력되도록 회로를 재구성하여 단일-전류 차동 전압 계측기 회로로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 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두 개의 CCII+의 Y단자가 접지로 연결되고 두 개의 X 단자와 접지 사이에 두 전류 신호를 각각 입력하고, 두 CCII+의 Z단자가 접지 사이에 1개의 저항기가 연결되고, 같이 연결된 Z에서 단일 전압이 출력되도록 회로를 재구성하여 차동-전류 단일 전압 계측기 회로로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회로
KR1020030036541A 2003-06-05 2003-06-05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 KR20030053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541A KR20030053492A (ko) 2003-06-05 2003-06-05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541A KR20030053492A (ko) 2003-06-05 2003-06-05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492A true KR20030053492A (ko) 2003-06-28

Family

ID=2957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541A KR20030053492A (ko) 2003-06-05 2003-06-05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349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30761A1 (en) * 2009-03-18 2010-09-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urrent conveyor based instrumentation amplifier
US8081030B2 (en) 2008-12-19 2011-12-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mode amplifier
US8368464B2 (en) 2011-03-14 2013-02-05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Balanced output signal generator
KR101349372B1 (ko) * 2012-11-06 2014-01-1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완전-차동 선형 ota를 사용한 계측 증폭기
KR101360648B1 (ko) * 2012-11-06 2014-02-1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2세대 전류 컨베이어를 이용한 계측 증폭기
US9112462B2 (en) 2013-05-15 2015-08-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Variable-gain dual-output transconductance amplifier-based instrumentation amplifiers
KR20160139414A (ko) * 2015-05-27 2016-12-07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동 차이 증폭기를 이용한 직류 파라메터 측정 유닛
CN106877821A (zh) * 2017-02-21 2017-06-20 湖南师范大学 一种基于电流模有源器件的宽带射频混频器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1030B2 (en) 2008-12-19 2011-12-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mode amplifier
EP2230761A1 (en) * 2009-03-18 2010-09-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urrent conveyor based instrumentation amplifier
US7893759B1 (en) 2009-03-18 2011-02-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urrent conveyor based instrumentation amplifier
US8368464B2 (en) 2011-03-14 2013-02-05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Balanced output signal generator
KR101349372B1 (ko) * 2012-11-06 2014-01-1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완전-차동 선형 ota를 사용한 계측 증폭기
KR101360648B1 (ko) * 2012-11-06 2014-02-1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2세대 전류 컨베이어를 이용한 계측 증폭기
US9112462B2 (en) 2013-05-15 2015-08-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Variable-gain dual-output transconductance amplifier-based instrumentation amplifiers
KR20160139414A (ko) * 2015-05-27 2016-12-07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동 차이 증폭기를 이용한 직류 파라메터 측정 유닛
CN106877821A (zh) * 2017-02-21 2017-06-20 湖南师范大学 一种基于电流模有源器件的宽带射频混频器
CN106877821B (zh) * 2017-02-21 2019-11-22 湖南师范大学 一种基于电流模有源器件的宽带射频混频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9471B1 (en) Power measurement system
CN103560760B (zh) 放大电路以及测量装置
US20070257733A1 (en) Amplifier system with current-mode servo feedback
JPH04351969A (ja) 電流測定回路
CN207817038U (zh) 一种电流测量电路和万用表
CN110361646A (zh) 一种运算放大器测试电路及测试方法
KR20030053492A (ko) 유니버셜 계측 증폭기
KR20080111494A (ko) 전력 인가 회로 및 시험 장치
JPH0344447B2 (ko)
CN102590632A (zh) 电路板绝缘电阻测试电路
JP2003066074A (ja) 抵抗測定方法および抵抗測定装置
CN211785771U (zh) 电流采样电路和风机驱动系统
CN113514690A (zh) 一种高精度大量程电流测量系统
EP2878927B1 (en) Sensor circuit for measuring a physical quantity
US6680642B2 (en) Analog bipolar current source
CN210803660U (zh) 一种ate系统的微弱电流测量装置
CN105680810B (zh) 放大电路、信号放大方法及传感信号处理装置
CN105116022A (zh) 一种基于单电源四运算放大器设计的水质检测电路
JP2013150199A (ja) プッシュプル型利得増幅器
CN204989091U (zh) 一种基于单电源四运算放大器设计的水质检测电路
CN110412485A (zh) 一种输出电流检测电路
CN100517959C (zh) 高共模抑制比前置放大器
CN111122961A (zh) 电流采样电路和风机驱动系统
CN210578439U (zh) 信号放大电路、信号放大器及信号放大器芯片
CN100514001C (zh) 用于双桥换能器的差动放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