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3404A -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3404A
KR20030053404A KR1020010083716A KR20010083716A KR20030053404A KR 20030053404 A KR20030053404 A KR 20030053404A KR 1020010083716 A KR1020010083716 A KR 1020010083716A KR 20010083716 A KR20010083716 A KR 20010083716A KR 20030053404 A KR20030053404 A KR 20030053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asting
brush
foreign matter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4750B1 (ko
Inventor
김완수
문희경
박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750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8Casting surfaces
    • B22D11/066Side d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65Accessories therefor for treating the casting surfaces, e.g. calibrating, cleaning, dressing, pre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으로부터 스케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브러쉬롤(9)에 의해서 탈락되거나 주조롤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서 외주면에 흡착하도록 롤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롤(9)과 매니커스실드(6)사이에서 상기 주조롤(3)(3a)과 일정간격(G)을 두고 배치되어 일방향 회전구동되는 자석롤(91)과, 상기 자석롤(91)의 외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롤길이방향으로 선단부가 접하고, 상기 자석롤의 롤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챔버(93)의 하부개구부(94)에 설치되는 브러쉬부재(95) 및 상기 자석롤(91)로부터 탈락된 이물질이 집적되는 상기 롤챔버(93)의 하부채널(96)에 흡입력을 전달하여 탈락된 이물질을 외부배출하는 흡입기(97)를 포함하여, 주조시 주편표면 산화물과 같은 미세 이물질이 주조롤 표면에 부착되어 응고계면에 국부적인 응고불균일로 작용하여 주편에 크랙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자력으로서 흡착하고, 흡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킨후 집진처리할수 있도록 개선된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AN APPARATUS FOR REMOVING THE SCALE ON A SURFACE OF ROLL IN TWIN ROLL STRIP CASTER}
본 발명은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으로부터 스케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보다 상세히는 주조시 주편표면 산화물과 같은 미세 이물질이 주조롤 표면에 부착되어 응고계면에 국부적인 응고불균일로 작용하여 주편에 크랙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자력으로서 흡착하고, 흡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킨후 집진처리할수 있도록 개선된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쌍롤식 연속박판주조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노즐(1)로부터 공급된 용강(2)을 내부가 수냉되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주조롤(3)(3a)사이를 통과시켜 직접 주편(5)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주조기에서 주편(5)의 품질 및 형상은 응고가 개시되는 탕면/롤 접점에서의 초기응고의 조건에 크게 의존한다.
즉, 초기응고계면(4)에 관계되는 주요한 인자로는 상기 주조롤(3)(3a)의 표면조건과 응고계면에서의 분위기 가스의 조성 및 용강상태등을 들수 있는데, 건전한 주편(5)을 얻기 위한 주조롤(3)(3a) 표면의 조건으로는 응고시 수반되는 열응력으로 인한 크랙을 효과적으로 분산화해줄수 있는 적절한 표면조도를 형성하고, 상기 주조롤(3)(3a)의 표면에서의 용강응고에 지연을 주는 이물질이 없을 것 등이 요구된다.
여기서, 상기 분위기 가스조건은 가스중 이물질(예를 들어 Mn을 함유한 강종주조시 Mn의 증발으로 인한 분위기 가스오염)이 많이 포함될 경우, 응고계면에서 응고불균일의 역할을 하면서 건전한 주편형성에 악영향을 주게된다. 특히 탕면 분위기 실링에 문제가 발생하여 일반공기와 같은 산화성 가스가 탕면에 일정 수준이상을 차지하게 되는 경우는 고온의 용강이 손쉽게 산화되어 용강탕면에 산화성 스컴등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컴이 응고계면에 유입되게 되면 주편에 혼입되어 주편결함 및 과도한 롤 반발력등을 발생시켜 상기 주편품질에 큰 악영향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대부분의 쌍롤식 연속박판주조기(100)에는 안정성 있는 응고계면의 확보를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먼저, 상기 주조롤(3)(3a)과 미도시된 에지댐사이에 형성되는 용강풀의 탕면에서의 불활성 분위기 확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탕면 위를 전반적으로 실링할수 있는 매니커스실드(6)가 설치되며, 그 내부공간의 불활성가스분위기 유지는 용강공급용 노즐(1)이 삽입된 상태에서 밀봉이 될 수 있는 구조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상기 불활성가스는 상기 매니커스실드(6)의 상부 또는 측면을 통해서 불어 넣어주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상기 매니커스실드(6)의 상부면에 가스공급용 노즐(8)을 설치하고, 상기 주주롤(3)(3a)과 매니커스실드(6)사이의 밀봉은 실링용 커튼(7)을 롤 위에 설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주조롤(3)(3a)의 외주표면에는 응고시 수반되는 열응력의 효과적인 분산을 위해서는 적절한 크기의 롤 표면조도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져 숏브라스팅(shot blasting)법등으로 롤표면에 적정한 조도를 부여하고, 이를 위한 수많은 장치 및 고안이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주조롤(3)(3a)표면에 발생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브러쉬롤에 대해서도 일본 특개평 5-177311호, 특개평 5-174203호등에서와 같이 브러쉬롤(brush roll)의 구동방법, 접촉방법 및 브러싱(brushing)방법에 대한 많은 방법이 고안되어 왔다.
상기 주조롤(3)(3a)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브러쉬롤(9)의 주요 기능은 상기 주조롤(3)(3a)표면에 형성되는 딤플(12)에 부착되어 있는 주성분이 산화스케일인 이물질을 주조롤(3)(3a)표면에 접촉시킨 상기 브러쉬롤(9)의 브리스틀(bristle) (13)을 통해 제거하는 것으로서 적절한 브리스틀 크기 및 재질의 선정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주조롤(3)(3a)표면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일반적으로 브러쉬롤(9)을 사용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문제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있다.
먼저, 상기 주조롤(3)(3a)의 외주면과 접하는 브리스틀(13)의 세기가 문제가 되는데, 상기 브러쉬롤(9)과 주조롤(3)(3a)간의 표면 밀착 정도가 큰 경우나 굵고 강도가 브리스틀(13)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상기 주조롤(3)(3a)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딤플조도에 영향을 주게된다.
즉, 주조중 상기 주조롤(3)(3a)표면이 상기 브러쉬롤(9)에 의해 마모되어 조도가 손상이 되면, 용강의 응고시 열응력해소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그 손상정도가 크면 주편(5)에 크랙이 발생하게 되어 롤을 재연마해야 하는 등 조업 및 제조단가에 큰 악영향을 가져오게 된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상기 브러쉬롤(9)을 브러싱되어 탈락된 이물질의 효과적인 제거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브러쉬롤(9)을 통해 상기 주조롤(3)(3a)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은 브러쉬롤(9)자체 또는 이에 인접한 곳에 설치된 집진장치를 통해 집진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기 브러쉬롤(9)을 통해서는 상기 주조롤(3)(3a)표면에 어느 정도 접착력을 지니고 붙어있는 일정 크기(수 mm) 이상의 이물질은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주조롤(3)(3a)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한 입자 (1~ 100㎛크기)인 경우는 제거가 용이하지 않는데, 이는 미세한 입자인 이물질이 상당히 가벼워서 상기 브리스틀(13)과 접촉하고 난 뒤 상기 브러쉬롤 (9)의 중앙집진부나 그 상부에 설치된 별도의 집진장치등으로 안정적으로 가질 않기 때문이다.
도 2에서는 주조롤(3)(3a)표면이 용강과 접하기전 브러쉬롤(9)에 의하여 브러슁이 되고난후 롤표면에 형성된 딤플(12)에 서의 미세한 입자크기를 갖는 철계이물질이 분포하는 상태를 상세히 도시하고, 도시한 바와같이, 미세한 이물질들은 상기 주조롤(3)(3a)의 표면에 형성된 딤플의 산과 골에 모두 존재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브러쉬롤(9)의 외부면에 장착된 털부재인 브리스틀(13)에 의해서 주조롤(3)(3a)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상기 브러쉬롤(9)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모두 주조롤(3)(3a)의 회전방향으로 미세 입자인 이물질이 날리는 것을 알수 있다.
이러한 미세한 입자인 이물질중 상기 주조롤(3)(3a)표면 상부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는 M/S 실링용으로 사용되는 커튼에서 어느 정도 제거가 가능하지만 골에 있는 미세입자는 제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딤플(12)의 골부분에 존재하는 미세입자인 이물질이 용강과 접하게 되면 응고계면에서 일종의 개재물로서 작용하게 되어 불균일 응고를 야기시키게 되고, 이로 이하여 주조되는 주편표면에 균열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미세입자인 이물질에 의한 주편균열의 발생확률은 미세입자의 수가 많을수록 커지게 됨에 따라, 두꺼운 판두께로 주편을 주조하는 경우는 주조롤(3)(3a)의 회전속도가 늦어져 롤표면에 미세입자가 쌓일 시간이 많아지고, 이로 인하여 주편결함이 발생하는 빈도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조롤 외부면에 접하여 회전되는 브러쉬롤에 의해서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고, 주조롤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한 스케일등을 자력으로서 흡착하고, 흡착시킨 이물질을 강제탈락시켜 집진처리하여 박판주조시 용강과 주조롤사이에 건전한 응고계면을 형성시켜 표면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은 양호한 주편을 제조할수 있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쌍롤식 박판주조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의 표면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상세도,
도 3은 일반적인 쌍롤식 박판주조기에 채용되는 브러쉬롤로서 롤표면의 이물질을 브러싱하는 작업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3a ... 주조롤6 ..... 매니커스실드
9 ..... 브러쉬롤13 .... 브리스틀
91 .... 자석롤91a ... 롤축
93 .... 롤챔버94 .... 하부개구부
95 .... 탈락부재96 .... 하부채널
97 .... 흡입기G ..... 간격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에지댐과의 사이에 용강이 채워지는 용강풀을 형성하고, 서로 다른방향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주조롤과, 상기 주조롤 외주면에 접하는 브리스틀로서 롤표면의이물질을 브러싱하는 브러쉬롤을 갖추어 주편을 주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롤에 의해서 탈락되거나 주조롤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서 외주면에 흡착하도록 롤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롤과 매니커스실드사이에서 상기 주조롤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일방향 회전구동되는 자석롤과,
상기 자석롤의 외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롤길이방향으로 선단부가 접하고, 상기 자석롤의 롤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챔버의 하부개구부에 설치되는 브러쉬부재 및
상기 자석롤로부터 탈락된 이물질이 집적되는 상기 롤챔버의 하부채널에 흡입력을 전달하여 탈락된 이물질을 외부배출하는 흡입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제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90)는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조롤(3)(3a)의 외주면과 털부재인 브리스틀(13)이 접하도록 배치된 브러쉬롤(9)에 의해서 미쳐 제거되지 못하고, 롤표면의 딤플(12)의 골부위에 잔류하거나 브러싱되어 비산하는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인 스케일을 완전히 자력으로서 흡착제거하도록 매니커스쉴드(6)의 좌우양단과 상기 각 주조롤(3)(3a)에 설치되는 브러쉬롤(9)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90)는 자석롤(91), 탈락부재(95) 및 흡입기(97)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자석롤(91)은 상기 주조롤(3)(3a)의 외주면과 접하는 브리스틀(13)을 갖는 브러쉬롤(9)에 의해서 브러싱되어 비산되는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이나 브러쉬롤(9)에 의해서 미처 탈락되지 못한 롤표면의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을 자력으로서 외부면에 흡착하도록 일정세기의 자력을 갖는 원통형 영구자석부재로 갖추어진다.
그리고, 상기 자석롤(91)은 상기 각 주조롤(3)(3a)의 외부면과 접하지 않도록 일정간격(G)을 두고, 주조롤(3)(3a) 및 브러쉬롤(9)과 나란하도록 롤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좌우양단의 롤축(91a)이 롤챔버(93)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구동부(80)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주조롤(3)(3a)마다 설치되는 자석롤(91)은 서로 일대일 대응하는 주조롤(3)(3a)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구동부(80)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며, 상기 구동부(80)는 상기 자석롤(91)의 롤축(91a)에 장착되는 피동스프로켓(81)과, 상기 롤챔버(93)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84)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구동스프로켓(83)사이에 연결되는 체인부재(82)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84)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자석롤(91)에 전달한다.
이러한 구동부(9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기어구조가 다양하게 채용될수 있다.
또한, 상기 롤챔버(93)는 상기 자석롤(91)외부면 일부가 하부노출되도록 상기 주조롤(3)(3a)과 대응하는 하부면에 하부개구부(94)를 개구형성하여 상기 주조롤(3)(3a)의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내부수용되는 자석롤(91)의 롤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일측면은 상기 자석롤(91)의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개폐식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탈락부재(95)는 자력에 의해서 상기 자석롤(91)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강제로 제거하도록 그 외주면과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선단부가 탄력적으로 접하도록 상기 롤챔버(93)에 설치된다.
이러한 탈락부재(95)는 상기 자석롤(9)에 부착된 이물질을 브러싱하여 제거하는 브러쉬소재나 긁음제거하는 브레이드(blade)로 갖추어질수 있으며, 상기 자석롤(91)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탈락이 용이하도록 회전방향에 대향하도록 상기 롤챔버(93)의 하부면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판(93a)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자석롤(91)의 외주면에 선단부가 항상 접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흡입기(97)는 상기 자석롤(9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탈락부재(95)로서 강제로 탈락시킨 이물질을 집적시킬수 있도록 상기 자석롤(91)이 수용되는 롤챔버(93)의 하부채널(96)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미도시)과 호스부재(97a)로서 플랜지연결되는 파이프부재로 갖추어지며, 상기 흡입기(97)의 하부단은 상기 하부채널(96)까지 흡입력을 전달할수 있도록 이에 근접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채널(96)에 탈락제거되어 수집된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은 상기 주조롤(3)(3a)에 재부착되지 않도록 외부배출되고, 집진처리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장치(90)를 이용하여 브러쉬롤(9)에 의해서 미처 제거되지 못하고, 주조롤(3)(3a)표면에 잔류하는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인 스케일을 제거하는 작업은, 상기 주조롤(3)(3a)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 주편을 주조하는 공정중 상기 각 주조롤(3)(3a)에 설치된 브러쉬롤(9)을 미도시된 구동원으로서 회전구동시켜 주조롤(3)(3a)표면에 부착된 흑피와 같은 이물질을 강제로 탈락제거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브러쉬롤(9)과 매니커스실드(6)사이에 배치된 자석롤(91)은 일측단에 설치된 구동부(80)의 구동모터(84)에 의해서 일방향, 대응하는 주조롤(3)(3a)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쉬롤(9)에 의해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미세한 입자인 이물질을 상기 자석롤(91)의 자력으로서 흡착하여 제거한다.
이때, 상기 미세한 입자인 이물질의 주성분은 산화철이며, 이러한 산화철은 주조중 롤닙부를 빠져나온 고온의 주편표면에 형성되었던 것이 주편이송중 박리되어 상승기류를 타고, 주조롤(3)(3a)하부표면에 붙는 경우가 있으며, 일부는 응고시 롤조도인 딤플(12)의 골안쪽형성된 부위가 롤닙을 지나면서 전단력(shear force)에 의해 주편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이 상기 딤플(12)의 골쪽에 머물면서 발생되며, 이러한 미세한 철계입자는 적절한 크기의 자력을 가지며, 상기 주조롤(3)(3a)과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자석롤(91)에 의해서 모두 흡착된다.
여기서, 상기 자석롤(91)의 자력이 너무 약하거나 상기 주조롤(3)(3a)간의간격(G)이 너무 크면, 자력이 주조롤(3)(3a)의 표면에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미세한 이물입자가 상기 자석롤(91)의 외부면에 부착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기 표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석롤(91)과 주조롤(3)(3a)간의 간격(G)은 2~5mm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주종중 자석롤(91)에 부착되는 미세한 입자인 철계미립자는 주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 부착되는 양이 증가하지만, 상기 자석롤(91)을 수용하는 롤챔버(93)의 경사판(93a)에는 상기 자석롤(91)의 외주면과 선단부가 밀착되는 브러쉬나 브레이드와 같은 탈락부재(95)가 롤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자석롤(91)에 자력에 의해서 붙어 있던 미세입자는 상기 탈락부재(95)의 간섭에 의해서 상기 자석롤(91)의 외부면으로브터 강제로 탈락된다.
이어서, 상기 자석롤(91)로부터 탈락된 이물질은 상기 롤챔버(93)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채널(96)에 집적되어 점차 쌓이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채널(96)의 직상부에는 파이부재로 이루어진 흡입기(97)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흡입기(97)는 흡입팬(미도시)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흡입팬의 구동시 발생되는 흡입력을 상기 하부채널(96)까지 전달하여 상기 탈락부재(95)에 의해서 탈락되어 상기 하부채널(96)에 집적된 이물질을 흡입력으로서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자석롤사용여부 주조주께(mm) 주조속도(m/min) 자석롤 자계(Oe) 자석롤과 주조롤 간격 (mm) 주편결함정도
1 X 2.1 110 - - 비교적 적음
2 X 3.4 45 - - 많음
3 O 2.1 110 200~500 2~5 비교적적음
4 O 2.1 110 1000~1500 2~5 없음
5 O 3.4 45 200~500 2~5 없음
6 O 3.4 45 1000~1500 2~5 없음
상기 표 1은 미세한 입자를 제거하는 자석롤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 주조조건에 따라 자석롤(91)이 주편 결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나는 것으로서, 상기 표에서 자석롤(91)을 사용하고, 자석롤(91)과 주조롤(3)(3a)간의 간격(G)이 2 내지 5mm 사이를 유지할 때 주편의 결함이 발생되지 않음 알수 있다.
이때, 주조작업에 사용되는 주조롤(3)(3a)의 직경은 1250mm, 롤길이가 1300 mm 이며, 제조되는 주편강종은 STS 304이며, 자석롤(91)의 직경은 200 mm이었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쌍롤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박판을 주조하는 장치에서 용강의 초기응고시 롤과 용강이 접하는 초기응고계면에서의 응고 조건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롤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브러싱할 때 미처 제거되지 않고 잔류하는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을 자력으로서 완전제거하여 배출처리함으로써, 용강의 초기응고조건에 악영향을 미치는 미세한 이물질을 롤표면에서 완전제거하여 품질이 우수한 박판을 제조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에지댐과의 사이에 용강이 채워지는 용강풀을 형성하고, 서로 다른방향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주조롤(3)(3a)과, 상기 주조롤(3)(3a)의 외주면에 접하는 브리스틀(13)로서 롤표면의 이물질을 브러싱하는 브러쉬롤(9)을 갖추어 주편을 주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롤(9)에 의해서 탈락되거나 주조롤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서 외주면에 흡착하도록 롤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롤(9)과 매니커스실드(6)사이에서 상기 주조롤(3)(3a)과 일정간격(G)을 두고 배치되어 일방향 회전구동되는 자석롤(91)과,
    상기 자석롤(91)의 외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롤길이방향으로 선단부가 접하고, 상기 자석롤의 롤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챔버(93)의 하부개구부(94)에 설치되는 브러쉬부재(95) 및
    상기 자석롤(91)로부터 탈락된 이물질이 집적되는 상기 롤챔버(93)의 하부채널(96)에 흡입력을 전달하여 탈락된 이물질을 외부배출하는 흡입기(9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롤(3)(3a)마다 설치되는 자석롤(91)은 서로 일대일 대응하는 주조롤(3)(3a)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구동부(80)에 의해서 회전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80)는 상기 자석롤(91)의 롤축(91a)에 장착되는 피동스프로켓(81)과, 상기 롤챔버(93)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84)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구동스프로켓(83)사이에 연결되는 체인부재(8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부재(95)는 상기 자석롤(91)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탈락이 용이하도록 회전방향에 대향하도록 상기 롤챔버(93)의 하부면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판(93a)의 단부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부재(95)는 상기 자석롤(9)에 부착된 이물질을 브러싱하여 제거하는 브러쉬소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제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부재(95)는 상기 자석롤(9)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음제거하는 브레이드로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제거장치.
KR1020010083716A 2001-12-22 2001-12-22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 KR100584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716A KR100584750B1 (ko) 2001-12-22 2001-12-22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716A KR100584750B1 (ko) 2001-12-22 2001-12-22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404A true KR20030053404A (ko) 2003-06-28
KR100584750B1 KR100584750B1 (ko) 2006-05-30

Family

ID=2957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716A KR100584750B1 (ko) 2001-12-22 2001-12-22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7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1349A (zh) * 2010-08-23 2012-03-1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薄带连铸熔池表面污染的方法及装置
KR20160078579A (ko)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제조공정의 주조롤 세척용 브러쉬롤 제어장치 및 방법
CN107921528A (zh) * 2015-08-05 2018-04-17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金属薄带制造装置
KR20220115270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필옵틱스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CN117123679A (zh) * 2023-10-27 2023-11-28 常州纺兴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基于醋酸纤维异形孔喷丝帽成型冲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3400A (en) * 1987-11-24 1988-12-27 Battelle Development Corporation Double brushing of grooved casting wheels
JPH0377748A (ja) * 1989-08-18 1991-04-03 Nippon Steel Corp 薄板連続鋳造機用のブラシ装置
JP3188134B2 (ja) * 1995-05-15 2001-07-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双ドラム式鋳造装置用ブラシ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1349A (zh) * 2010-08-23 2012-03-1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薄带连铸熔池表面污染的方法及装置
CN102371349B (zh) * 2010-08-23 2013-10-3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薄带连铸熔池表面污染的方法及装置
KR20160078579A (ko)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제조공정의 주조롤 세척용 브러쉬롤 제어장치 및 방법
CN107921528A (zh) * 2015-08-05 2018-04-17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金属薄带制造装置
EP3332888A4 (en) * 2015-08-05 2018-06-13 JFE Steel Corporation Device for manufacturing metal thin strip
US20180221941A1 (en) * 2015-08-05 2018-08-09 Jfe Steel Corpora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tal thin strip
US10730102B2 (en) 2015-08-05 2020-08-04 Jfe Steel Corpora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tal thin strip
KR20220115270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필옵틱스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필름용 커팅 작업대 클린닝 장치
CN117123679A (zh) * 2023-10-27 2023-11-28 常州纺兴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基于醋酸纤维异形孔喷丝帽成型冲孔装置
CN117123679B (zh) * 2023-10-27 2024-01-19 常州纺兴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基于醋酸纤维异形孔喷丝帽成型冲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4750B1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750B1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주조롤표면 스케일 제거장치
JP5320733B2 (ja) 冷却ロール清掃装置
RU2685619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тонкой полосы
JPH0929393A (ja) 薄帯状鋳片鋳造用冷却ドラムの清浄化方法及び装置
EP1670598A1 (en) Printing web cleaner
JPH05162296A (ja) 印刷シリンダの洗浄装置
JPH0929394A (ja) 薄帯状鋳片鋳造用冷却ドラムの清浄化方法
JPH05278887A (ja) シート搬送ロールの掃除装置
JP2001038880A (ja) ダンボール紙印刷機用除塵装置
KR100544051B1 (ko) 벨트 컨베이어 부착광 제거장치
JP3188134B2 (ja) 双ドラム式鋳造装置用ブラシ装置
KR20030053408A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에서 주조롤 표면 흑피제거장치
JPH07276001A (ja) 薄鋳片の連続鋳造方法
KR20000013973A (ko) 스트립이송용 롤 표면의 철분 제거장치
JP4263801B2 (ja) 金属ストリップ鋳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双ロール鋳造装置
JP2010207656A (ja) 除塵装置
CN220223996U (zh) 输送装置以及切割设备
JPH09108786A (ja) 双ドラム式連続鋳造装置
KR20000006247A (ko) 스트립캐스팅장치
KR100605699B1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롤 엣지 크리닝장치
KR100977773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의 주조롤 브러싱 장치
JPH0639420A (ja) 帯板のプロセスラインのロール手入れ装置
JPH0377748A (ja) 薄板連続鋳造機用のブラシ装置
JP2005230871A (ja) 圧延機におけるロールポリッシ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4441387U (zh) 一种钻头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