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3088A - 타일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타일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3088A
KR20030053088A KR1020010083124A KR20010083124A KR20030053088A KR 20030053088 A KR20030053088 A KR 20030053088A KR 1020010083124 A KR1020010083124 A KR 1020010083124A KR 20010083124 A KR20010083124 A KR 20010083124A KR 20030053088 A KR20030053088 A KR 20030053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ile
sheet member
oil
press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0042B1 (ko
Inventor
양복인
Original Assignee
양복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복인 filed Critical 양복인
Priority to KR10-2001-0083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0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4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the pressure on the material being transmitted through flexible or resilient wall parts, e.g. flexible cushions on the ramming surface, resilient wall parts pressing as a result of deformation caused by ram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4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with one ram per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타일 성형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타일 성형장치는 타일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물이 충전되는 제1 금형과, 상기 성형물을 가압하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의 일측에 결합되어, 내부압력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로 상기 성형물을 가압하는 표면가압판과, 그리고 상기 제2 금형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표면가압판에 의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금형으로부터 발생하는 압력을 상기 표면가압판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표면가압판에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시트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일 성형장치{APPARATUS FOR PRESSING TILES}
본 발명은 타일을 성형하는 타일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2 금형에 다수의 오일챔버(Oil Chamber)를 형성하지 않고 그 내부를 연통하여 하나의 오일챔버를 형성함으로써 오일이 각 부분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타일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일 성형시 오일이 가압부의 내부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신속하게 작용하도록 함으로서 효과적으로 타일을 성형가공할 수 있는 타일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 성형장치는 타일의 재료가 충전되는 제1 금형과, 상기 재료를 고압(대략 300∼400kg/㎠의 사용 압력)으로 프레싱하는 제2 금형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금형에는 통상 러버나 우레탄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져 타일 재료의 표면을 가압하는 표면가압판이 구비되고, 제2 금형의 내부에는 타일 재료에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복수의 오일챔버가 구비된다. 따라서, 타일재료면에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타일 성형 후에 치수 불규칙이나 균열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1 에는 이러한 종래의 타일 성형장치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성형장치는 타일 성형물(9)이 충전되는 제1 금형(1)과, 상기 타일 성형물(9)을 고압(대략 300∼400kg/㎠의 사용 압력)으로 프레싱하는 제2 금형(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금형(3)에는 통상 러버(Rubber)나 우레탄(Urethane)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져 타일 성형물(9)의 표면을 가압하는 표면가압판(5)이 구비되고, 제2 금형(3)의 내부에는 타일 성형물(9)에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복수의 오일챔버(6)가 구비된다.
복수의 오일챔버(6)는 인접하는 또 다른 오일 챔버와 오일 통로(8)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일챔버(6)중 하나의 오일챔버에 오일이 공급되면, 상기 오일은 오일통로(8)를 통하여 다른 모든 오일챔버로 공급됨으로써, 모든 오일챔버에 오일이 충전된다. 따라서, 제2 금형(3)을 하강시켜 제1 금형(1)에 충전된 타일 성형물을 가압하면 제2 금형(3)의 표면가압판(5)이 유압에 의하여 성형물에 밀착됨으로 타일을 성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타일 성형장치는 오일챔버가 복수개 구비되고, 모든 오일챔버에 오일이 공급되어 유압이 발생하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으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 금형에 복수개의 오일챔버를 가공하여야 함으로 성형장치 제작시간과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표면가압판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표면가압판이 제2 금형에 들러붙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2 금형에 별도의 오일챔버를 형성하지 않고 그 내부 전체를 오일챔버로 함으로써 오일이 각 부분으로 공급되는 시간이 절약되는 타일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오일챔버를 가공할 필요가 없음으로 장치제작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타일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가압판과 오일챔버의 사이에 시트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표면가압판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타일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일성형장치의 구성도.
도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성형장치의 구성도.
도3 은 도 2에 도시된 타일 성형장치의 제2 금형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4 는 도 2에 도시된 타일 성형장치의 제2 금형을 도시하는 사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일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물이 충전되는 제1 금형과; 상기 성형물을 가압하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의 일측에 결합되어, 내부압력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로 상기 성형물을 가압하는 표면가압판과; 그리고 상기 제2 금형의 일측에배치되어 상기 표면가압판에 의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금형으로부터 발생하는 압력을 상기 표면가압판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표면가압판에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타일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 공동 오일층에는 시트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공동 오일층은 오일 공급부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유출구와, 그리고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를 서로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함으로써, 오일이 상기 바닥면과 시트부재의 사이에 공급되어 상기 공동 오일층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시트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면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홀이 형성됨으로써, 표면가압판 재질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충전될 때 상기 관통홀 및 수납홀을 관통하여 충전됨으로써 상기 시트부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성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타일 성형장치는, 성형물(10)이 안착되는 제1 금형(12)과, 제1 금형(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성형물(10)을 고압(대략 300∼400kg/㎠)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승, 하강하는 제2 금형(1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타일 성형장치는, 상기 제2 금형(20)의 저면에 유압에 의하여 가압되는 표면가압판(22)이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제2 금형(20)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표면가압판(22)이 제1 금형(12)의 성형물(10)을 가압함으로써 일정 형상을 갖는 타일을 성형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는 이러한 제2 금형(20)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형(20)은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일측면 내부공간에 충전되어 응고되는 표면가압판(22)과, 상기 본체(20)와 표면가압판(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20)와 표면가압판(22)을 박리시키고, 유압을 상기 표면가압판(22)에 전달하는 시트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가장 자리에 테두리부(26)가 형성되고, 테두리부(26)의 내측에는 일정 넓이의 바닥면(2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26)의 내측 모서리에는 경사면(30)이 형성되고, 테두리부(26)와 바닥면 (28)의 사이에는 소정 깊이의 홈(31)이 형성된다. 따라서, 표면가압판(22)을 이루는 재질이 상기 바닥면(28)과 홈(31)으로 이루어지는 본체(20)의 일측면 내부공간에 충전되어 응고될 때, 상기 본체(20)에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가능하다.
이러한 표면가압판(22)은 러버 혹은 우레탄 재질을 가지며, 이러한 재질은 본체(20)의 일측 내부공간에 액체상태로 충전된다. 충전된 재질은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응고되어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에 일체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금형(20)이 하강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제1 금형(12)의 성형물(10)을 가압함으로서 타일로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바닥면(28)에는 상기 시트부재(24)가 얹혀짐으로써 상기 표면가압판(22)의 응고시 표면가압판(22)이 본체(20)의 바닥면(28)에 흡착등에 의하여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시트부재(24)는 본체(20)로부터 전달되는 유압을 상기 표면가압판(22)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시트부재(24)는 바닥면과 표면가압판을 박리시킬수 있는 재질,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피브이씨, 종이, 스틸 등의 재질이 가능하며 얇은 박판의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시트부재(24)는 바닥면에 얹혀진 상태에서 표면가압판(22)의 소재가 제2 금형(20)의 내부공간에 충전되어 응고될 때, 바닥면(28)에 밀착적으로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면(28)에 밀착된 상태에서 오일이 바닥면(28)과 시트부재(24)의 사이에 전체적으로 공급되어 공동 오일층(38)을 형성함으로써 유압을 발생하게 된다.
오일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2 금형(20)의 본체(20) 일측면에는 오일공급부 (32)가 형성된다. 상기 오일공급부(32)는 본체(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유입구 (34)와, 상기 바닥면(28)에 형성되는 유출구(36)와, 그리고 상기 유입구(34) 및 유출구(36)를 서로 연결하는 유로(3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오일공급부(32)에 있어서, 오일이 상기 유입구(34) 및 유로(35)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바닥면(28)에 형성된 유출홀(36)을 통하여 바닥면(28)에 유출된다. 그리고, 바닥면(28)과 시트부재(24)의 사이에 주입됨으로써 공동 오일층(38)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동 오일층(38)에 의하여 유압이 발생하고, 이 유압은 시트부재(24)를 통하여 표면가압판(22)에 전달됨으로서 표면가압판(22)이 제1 금형의성형물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28)과 시트부재(24)의 사이에 오일이 주입되는 공간은 차단되지 않고 서로 연통된 상태임으로 공급된 오일은 신속하게 바닥면(28)의 각 부분으로 공급되어 등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재(24)가 바닥면(28)에 밀착된 상태임으로 공동 오일층 (38)이 얇게 형성되어 각 부분의 유압은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표면가압판(22)이 성형물(10)을 균일한 압력으로 누를 수 있음으로 타일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재(24)에는 선택적으로 관통홀(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시트부재(24)에는 관통홀(40)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5개가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40)들은 바닥면(28)상에 형성되는 수납홈(41)과 대응된다. 따라서, 표면가압판(22) 재질을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에 충전하는 경우, 충전물이 상기 시트부재(24)의 관통홀(40)을 통하여 상기 바닥면(28)의 수납홈(41)에 주입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40)들을 관통한 충전물이 응고되면, 상기 시트부재(24)는 상기 충전물들로 이루어진 기둥에 의하여 바닥면(28)상의 일정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부재(24)에 유압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시트부재(24)가 좌우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압이 표면가압판(22)에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타일 성형장치는 여러개를 배열하여 타일을 성형가공할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 타일 성형장치에 연결되는 오일주입구를 서로 연결하여 등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 성형장치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을 성형하는 경우, 먼저 제2 금형(20)에 시트부재(24)와 표면가압판(22)을 장착한다.
즉, 제2 금형(20)의 바닥면(28)에 시트부재(24)를 정렬하여 정위치에 안착하고, 제2 금형(20)의 내부공간에 액상상태의 표면가압판(22) 재질을 충전한다. 충전시, 충전물은 제2 금형(20)의 홈(31)의 저부로부터 채워지며, 점차 상부로 상승하여 시트부재(24)를 감싸도록 충전되고, 테두리부(26)까지 충전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26)에는 경사면(30)이 형성됨으로, 충전물이 테두리부(26)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착됨으로써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표면가압판(22)을 소정시간 응고시킴으로써 제2 금형(20)에 일체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트부재(24)가 상기 바닥면(28)과 표면가압판 (22)의 사이에 배치됨으로 표면가압판(22)이 바닥면(28)에 들러 붙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 금형(20)에 표면가압판(22)을 형성한 후, 오일유입홀(34)를 통하여 오일을 주입하게 된다. 주입된 오일은 유출홀(36)을 통하여 바닥면(28)과 시트부재(24)의 사이 공간에 공급됨으로서 공동 오일층(38)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간의 사이에는 차단벽이 없음으로 오일은 바닥면(28) 전체로 신속하게 공급된다. 또한, 시트부재(24)가 바닥면(28)에 밀착된 상태임으로 공동 오일층(38)이 얇게 형성됨으로 상대적으로 균일한 유압이 표면가압판(22) 전체에 작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금형(20)에 표면가압판(22)을 형성한 후, 제1 금형(12)에 성형물(10)을 충전한다. 그리고, 제2 금형(20)을 하강시킴으로서 성형물(10)을 가압하여 일정 형상을 갖는 타일을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표면가압판(22)에 작용하는 유압이 균일하고 또한 신속하게 작용하게 됨으로 효과적으로 타일을 성형가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성형장치는 바닥면에 시트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바닥면과 시트부재의 사이 공간에 공동 오일층을 형성하고, 이 공간은 차단됨이 없이 서로 연통된 상태임으로 오일이 각 부분으로 신속하게 공급됨으로써 보다 안정되게 등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재가 바닥면에 밀착적으로 배치됨으로,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 오일층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균일한 유압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타일 성형물을 균일하게 가압하여 타일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재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바닥면에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수납홈을 형성하여 표면가압판 충전물을 주입함으로써, 유압 발생시 시트부재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재가 바닥면에 얹혀짐으로써 표면가압판의 응고시 표면가압판이 바닥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5)

  1. 타일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물이 충전되는 제1 금형과;
    상기 성형물을 가압하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의 일측에 결합되어, 내부압력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로 상기 성형물을 가압하는 표면가압판과; 그리고
    상기 제2 금형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표면가압판에 의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금형으로부터 발생하는 압력을 상기 표면가압판으로 전달하여 상기 표면가압판에 압력이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공동 오일층을 포함하는 타일 성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오일층에는 시트부재가 제공되는 타일 성형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오일층은 오일 공급부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유출구와, 그리고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를 서로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함으로써, 오일이 상기 바닥면과 시트부재의 사이에 공급되어 상기 공동 오일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타일 성형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우레탄, 피브이씨(PVC) 혹은 스틸 플레이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표면가압판의 응고시 상기 표면가압판이 바닥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타일 성형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면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홈이 형성됨으로써, 표면가압판 재질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충전될 때 상기 관통홀 및 수납홈을 관통하여 충전됨으로써 상기 시트부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타일 성형장치.
KR10-2001-0083124A 2001-12-22 2001-12-22 타일 성형장치 KR10045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124A KR100450042B1 (ko) 2001-12-22 2001-12-22 타일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124A KR100450042B1 (ko) 2001-12-22 2001-12-22 타일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088A true KR20030053088A (ko) 2003-06-28
KR100450042B1 KR100450042B1 (ko) 2004-09-22

Family

ID=2957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124A KR100450042B1 (ko) 2001-12-22 2001-12-22 타일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0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385B1 (ko) * 2004-06-16 2006-06-01 조용구 개선된 강화플라스틱 성형틀의 구조
KR100720697B1 (ko) * 2005-09-07 2007-05-21 양복인 타일 성형장치
KR20200144731A (ko) * 2019-06-19 2020-12-30 돈흥실업 주식회사 타일성형장치와 타일 성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095U (ko) * 1993-10-21 1995-05-15 타일의 성형장치
KR200147929Y1 (ko) * 1997-01-10 1999-06-15 양복인 타일 성형장치
KR19990041525U (ko) * 1998-05-21 1999-12-15 양복인 타일 성형장치
JP3734974B2 (ja) * 1999-02-02 2006-01-11 株式会社Inax タイル素地の成形型
KR200219308Y1 (ko) * 2000-11-14 2001-04-02 양복인 타일 성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385B1 (ko) * 2004-06-16 2006-06-01 조용구 개선된 강화플라스틱 성형틀의 구조
KR100720697B1 (ko) * 2005-09-07 2007-05-21 양복인 타일 성형장치
KR20200144731A (ko) * 2019-06-19 2020-12-30 돈흥실업 주식회사 타일성형장치와 타일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0042B1 (ko)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0236C2 (ru) Изостатический штамп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плитки
EP0720896B1 (en) Isostatic die means
EP0894587B1 (en) Method for pressing ceramic powders, and equipment for its implementation
CA2535114A1 (en) Molding apparatus for forming food patties having top and bottom surface contours
KR100450042B1 (ko) 타일 성형장치
US20030026924A1 (en) Embossed pottery bowl
KR100720697B1 (ko) 타일 성형장치
US20030049349A1 (en) Isostatic mould die for pressing products in powder form, in particular for ceramic tiles
EP1716998B1 (en) Compa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by means of isostatic moulds
EP1714760B1 (en) Mold for making ceramic tiles
KR100565551B1 (ko) 타일 성형장치
KR102286309B1 (ko) 타일성형장치와 타일 성형방법
KR200219308Y1 (ko) 타일 성형장치
JPH08197525A (ja) タイルの成形型とその成形型の製造方法
JP2875734B2 (ja) タイル成形型
KR200211484Y1 (ko) 타일 성형장치
KR200456531Y1 (ko) 타일 성형장치
JP2729029B2 (ja) タイルの成形型及びその成形型の製造方法
GB2256386A (en) Sand mould pressing head
CN217293577U (zh) 树脂砂轮成型压力平衡浮动油缸装置
EP0931644A1 (en) Press for pressing tiles made of cement together with any aggregate such as crushed stone or the like
KR200147929Y1 (ko) 타일 성형장치
CN210100775U (zh) 一种二极管生产用模压装置
JP2904724B2 (ja) タイルの成形型
SU1281429A1 (ru) Обойма матрицы литьевой формы дл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издел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