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974A -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974A
KR20030051974A KR1020010081657A KR20010081657A KR20030051974A KR 20030051974 A KR20030051974 A KR 20030051974A KR 1020010081657 A KR1020010081657 A KR 1020010081657A KR 20010081657 A KR20010081657 A KR 20010081657A KR 20030051974 A KR20030051974 A KR 20030051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harging
flash device
recharging
f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
이진기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1974A/ko
Publication of KR2003005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97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카메라 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인가에 따라 상기 플래시 장치를 충전시키며, 충전 이후에 상기 카메라의 다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작동 여부를 판단한다. 카메라의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플래시 장치의 충전 전압을 측정하며, 이와 같이 측정된 플래시 장치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플래시 장치의 충전 동작을 재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래시 장치가 항상 적정수준의 충전상태를 유지하여 사진 촬영 시 언제든지 즉시 발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진 촬영 기회를 항상 포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of FLASH for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장착되어 일정량의 광을 발광하는 플래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에 있어 플래시(FLASH)는 어두운 실내에서나 야간 시에 사진 촬영을 할 때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태양 광선과 거의 같은 성질을 가지는 섬광을 극히 짧은 시간동안 만들어 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플래시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게 되면 항상 일정한 밝기와 광질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두운 곳에서도 동작이 빠른 피사체를 간편하게 사진 촬영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특징의 플래시는, 어두운 피사체에 대한 주광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자연광이나 인공광에 대한 보조 광원으로 이용되며, 카메라에 설치되는 부위에 따라 외장형 또는 내장형으로 분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플래시는 피사체의 밝기가 어두운 경우, 적절한 노출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 조사시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콘덴서를 사용하는데, 그 콘덴서의 특성상, 충전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충전 전압이 점점 떨어지게 된다. 즉, 자연 방전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소비자가 플래시 장치를 사용한 사진 촬영 시,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일정시간 경과 후 촬영을 하고자 할 때에는 자연적으로 방전된 콘덴서의 재충전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시간동안 사진 촬영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플래시용 메인 콘덴서에 축적되어 있는 충전 에너지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충전 에너지는, E = 1/2×C×V2로 표시되는데, 이때의 C는 메인 콘덴서의 용량, V는 메인 콘덴서의 충전전압을 의미한다. 따라서, 충전 에너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충전전압이 크고 충전용량이 큰 메인 콘덴서를 사용하면 되는데, 이는 카메라 설계 시, 카메라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는 설계상의 문제점이 수반된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완 방법으로서 회로적으로 보완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구현되기도 하지만, 이 방법 역시, 회로가 복잡해질수록 원가 경쟁력이 낮아지며, 불량성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플래시의 충전 상태를 항상 적정 상태로 유지하여 플래시 촬영시 재충전에 따른 지연없이 즉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특히, 배터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플래시 충전 상태를 항상 적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장치의 상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장치의 충전 전압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2에 따른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내의 충전발진신호(OSC), 충전검지신호(NES) 및 메인 콘덴서와 전압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2에 따른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내 메인 콘덴서의 자연방전과 그에 따른 NES의 관련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는, 사용자의 카메라 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에 있어서, 충전부; 인가되는 발진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충전부에 충전시키는 발진부;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충전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검지부; 인가되는 발광 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부의 추전 전압을 토대로 일정량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카메라의 다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가 작동될 때까지 상기 충전검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을 판단하고,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발진 신호를 출력하여 재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아서 재충전 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 현재 수행되는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보다 작은 경우에만 발진 신호를 출력하여 재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재충전 횟수를 리세트시킨 다음에 제1 설정 시간 동안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재충전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플래시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인가 후에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제2 설정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하고, 상기 카메라의 다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고 상기 제2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에 따라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카메라의 다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카메라 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플래시장치에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전원 인가에 따라 상기 플래시 장치를 충전시키는 단계; b) 상기 충전 이후에 상기 카메라의 다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플래시 장치의 충전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측정된 플래시 장치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플래시 장치의 충전 동작을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d) 단계는 현재 수행되는 재충전 횟수와 설정 횟수를 비교하여,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보다 작은 경우에만 플래시 장치의 재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d) 단계는 상기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재충전 횟수를 리세트시키는 단계; 제1 설정 시간 동안 플래시 장치의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플래시 장치의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e) 전원 인가 후에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제2 설정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f) 상기 카메라의 다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고 상기 제2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플래시 장치의 충전 전압에 따라 플래시 장치의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g) 상기 카메라의 다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원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구조도이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는 플래시 장치 즉, 플래시부 (110), 제어부(120), 스위치부(130), 측광부(140), 측거부(150), 셔터부(160), 메모리(170),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한다.
플래시부(11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일정량의 광량을 발광하며, 플래시부(110)의 충전 수단 즉, 메인 콘덴서 내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에 따른 충전검지신호(NES)를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스위치부(130)는 릴리즈 1단 스위치 및 릴리즈 2단 스위치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광부(140)는 피사체 휘도를 측광하며, 측거부(150)는 피사체 거리를 측거하며, 이러한 측광 및 측거를 위한 동작은 이미 공지된 기술임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20)는 플래시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충전검지신호(NES)에 따라 플래시부(110)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플래시부(110)의 재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스위치부(13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셔터부(160)를 제어하여 촬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플래시부(110)의 충전전압이 기준전압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플래시부(110)로 하여금 충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콘덴서의 충전전압이 일정 기준전압(피사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전압, 약 280V 정도)이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콘덴서에 소정의 기준전압이 충전되면, 제어부(120)는 스위치부 (130)의 작동에 따라 플래시부(110)를 동작시키고 셔터부(160)를 작동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부(110)의 상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부(110)는 발진부(101), 충전검지부(102), 발광부(103), 충전부(104)를 포함한다.
발진부(101)는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충전 발진 신호(OSC)에 따라, 배터리로부터의 전압을 발진한 후, 발진된 전압을 승압시켜 출력한다.
충전 검지부(102)는 충전부(104) 내의 충전 전압을 감지하여 감지된 전압에 따른 충전검지신호(NES)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충전부(104)는 상기 발진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메인 콘덴서 내에 충전한다.
발광부(103)는 상기 충전부(104)에 충전되는 전압이 일정 기준전압(약 280V 정도)이 되면,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발광신호(TRIG)에 따라 일정량의 광을 발광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플래시부(110)의 충전 검지부(102)로부터 제공되는 충전검지신호(NES)에 따라 제어부(120)는 현재의 충전 전압과 카메라의 플래시가 동작하기 위한 일정 기준전압을 비교한다. 이때, 비교에 필요한 관련 데이터(일정 기준전압, 충전 횟수, 전원 ON/OFF 설정시간 등)들은 메모리 즉, EEPROM(170)에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20)는 비교 후, 충전부(104)내의 콘덴서의 충전전압이 일정 기준전압 미만이면, 충전발진신호(OSC)를 로우 레벨(L)로 출력하여 충전이 시작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원 제어를 위한 타이머(카메라 조작이 없는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카메라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하는 장치)를 가동시킨다.
이로 인해,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촬영을 하기 위한 예비 작동이 없는 경우(스위치 작동이 없는 경우), 제어부(120)는 카메라의 파워를 자동적으로 OFF시켜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방지한다. 한편, 내부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카메라의 경우, 제어부(120)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촬영전의 재충전 동작 회수를 소정 횟수로 제한하여소모되는 배터리의 전력을 방지한다.
플래시부(110)의 충전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로우 레베(L)의 충전발진신호(OSC)가 발진부(101)의 트랜지스터 Q2에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2이 턴 온(TURN ON)되면서 트랜지스터 Q1도 턴온되어 승압용 트랜스(TZ)(1차 승압부)로 전압이 인가되면, 트랜스(TZ)를 통하여 승압된 전압이 정류다이오드(D2)를 거쳐 반파 정류되어 충전부(104)의 메인 컨텐서(C5)에 충전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충전부(104) 내 메인 콘덴서에 충전되는 전압이 발광 가능한 전압(약 280V 정도)이 되면, 제어부(120)는 발진부(101)의 발진 작동을 정지시킨다.
즉, 충전부(1040)의 메인 컨덴서에 충전되는 전압이 280V, 즉 일정 기준전압 이상이 되면 충전검지부(102) 내의 네온 방전관(NE TUBE)이 점등된다. 이로 인해,충전검지부(102)의 트랜지스터(Q4)가 턴 온이 되면서 충전검지신호(NES)가 하이 레벨(H)에서 로우 레벨(L)로 출력된다. 제어부(120)는 충전검지신호(NES)가 하이 레벨(H)이면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고, 충전검지신호(NES)가 로우 레벨이면 충전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하며, 이러한 판단결과, 충전이 완료되었으면 충전발진제어신호(OSC)를 하이 레벨(H)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발진부(10)의 트랜지스터(Q1, O2)가 순차적으로 턴 오프(TURN OFF)되어 발진 동작이 정지된다.
충전 완료후에, 릴리즈 스위치 작동에 따라 제어부(120)로부터 발광 신호TRIG)가 출력되면, 발광부(103)는 크세논 방전관(XE TUBE)이 트랜스(T2)에 대전되어 있던 4KV 전압으로 인한 네온 가스(NE GAS) 활성으로 인해 순간적인 빛 에너지를 생성시킨다. 이 때, 발광되는 빛의 세기, 즉 카메라 플래시의 용량수치를 카메라에서는 GNo(Guide Number)로 표시하는데, 상기 GNo 수치가 높을수록 플래시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양이 많은 것이므로 보다 멀리 선명한 촬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GNo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구적, 광학적인 방법들이 있는데, 그 중, 플래시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집광, 분산하기 위해 크세논 방전관의 후면 반사장치(Reflector)의 반사각을 변경시키거나, 크세존 방전관 전면에 렌즈(Frensnel Lens)를 부착함으로써 집광 분산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 등이 있다.
한편, 상기 GNo 은 GNo = FNo ×r 에 의하여 산출되며, 이때의 거리 r은 일반적으로 상대평가를 하기 위해 3m를 기준으로 한 값이 적용되며, FNo은 조리개 수치이다.
도 3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플래시부의 충전 전압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보면, 플래시부의 메인 컨덴서 전압(A)은 충전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연 방전되다가 일정 기준전압(B) 이하로 내려가게 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재충전이 수행되어 메인 컨텐서내의 전압은 다시 원래의 상태(A)로 재충전된다.
도 4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플래시부가 충전 상태에 따라 계속적으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재충전 동작을 수행한다.
카메라의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120)는 플래시부(110)의 초기 충전을 수행한다. 즉, 플래시부(110)로 하이 레벨의 충전발진신호(OSC)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플래시부(110)는 배터리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승압시켜 충전부(104)에 충전시킨다 (S100∼S120).
이에 따라 플래시부(110)의 충전검지부(102)로부터 로우 레벨의 충전검지신호(NES)가 검지될때까지, 제어부(120)는 충전발진신호(OSC)를 계속하여 하이 레벨 상태로 출력하여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로우 레벨의 충전검지신호(NES)가 검지되면 제어부(120)는 충전발진신호(OSC)를 로우 레벨로 출력하여 충전 동작을 정지시킨다(S130∼S150).
이러한 초기 충전 이후에, 스위치부(130)의 스위치(예를 들어 릴리즈 1단 및 릴리즈 2단 스위치, 촬영모드 선택 스위치, 스트로보 선택 스위치 등)가 작동되면 제어부(120)는 스위치 작동에 해당하는 동작 예를 들어, 촬영 모드 설정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S160∼S170).
한편, 초기 충전 이후에 스위치부(130)의 스위치들이 작동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플래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검지신호(NES)의 상태를 판단하여 자연 방전에 따른 충전 전압 감소 여부를 판단한다(S180).
충전검지신호(NES)가 하이 레벨 상태로 출력되어 플래시부의 충전 전압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충전발진신호(OSC)를 하이 레벨로 출력하여 자동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플래시부(110)의 충전이 수행되어 충전 검지신호(NES)가 로우 레벨상태로 출력되면 충전발진신호(OSC)를 로우 레벨로 출력하여 충전을 중지시킨다(S190∼S22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스위치가 작동되는 등 카메라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플래시부의 충전 상태를 체크하여 충전 전압이 자연 방전에 따라 감소되면 자동 재충전을 수행하여 플래시부가 항상 적정 충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1 실시에서 계속적인 플래시부의 자동 재충전에 따른 배터리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실시예에서는 플래시부의 자동 재충전을 제한적으로 수행한다.
도 5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카메라의 전원 공급에 따라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플래시부의 초기 충전 과정이 수행된 다음(S300∼S350), 스위치부(130)의스위치가 작동되면 스위치 작동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360∼S370).
초기 충전 과정 후에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플래시부 (11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검지신호(NES)의 상태를 판단하여 자연 방전에 따른 충전 전압 감소 여부를 판단하며(S380), 판단 결과 플래시부의 충전 전압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현재 수행하게되는 플래시부의 자동 재충전이 몇번째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S390).
플래시부의 자동 재충전 횟수를 설정 횟수와 비교하여, 자동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위에 기술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충전발진신호 (OSC)를 하이 레벨로 출력하여 자동 재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400∼S430).
그러나, 자동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보다 큰 경우에는 플래시부의 자동 재충전이 너무 빈번하게 이루어져서 배터리 소모가 너무 많이 된 상태로 판단하여 자동 재충전을 수행하지 않는다(S440). 그리고, 자동 재충전 횟수를 리셋(reset)시킨 다음에, 내부 타이머를 동작시켜 설정 시간 예를 들어 10분동안에는 플래시부의 충전 상태에 상관없이 자동 재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S450∼S460). 이후, 설정 시간인 10분이 경과되면, 자동 재충전 모드를 재설정하여 플래시 충전 상태에 따라 자동 재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470∼S480).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플래시부의 자동 재충전이 설정 횟수만 이루어지도록 하여, 빈번한 플래시부의 충전 동작에 의하여 배터리 소모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 같이 플래시 재충전 횟수를 토대로 하여 빈번한 플래시의재충전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플래시의 재충전 동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이러한 내부 타이머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카메라의 전원 공급이 되면, 제어부(120)는 내부 타이머를 구동시켜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설정 시간 동안 카메라의 특정 동작 예를 들어 다수 기능 스위치 등이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 카메라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기능을 기동시킨다(S500∼S520).
다음에, 제어부(12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플래시부의 초기 충전 과정을 수행한 다음(S540∼S560), 스위치부(130)의 스위치가 작동되면 스위치 작동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570∼S580).
초기 충전 과정 후에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내부 타이머 구동에 따른 설정 시간(예를 들어 3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90).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20)는 제2 실시예와 같이 플래시부의 자동 재충전 횟수와 설정 횟수를 비교하여, 자동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위에 기술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충전발진신호(OSC)를 하이 레벨로 출력하여 자동 재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600∼S650).
그러나, 자동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보다 큰 경우에는 플래시부의 자동 재충전이 너무 빈번하게 이루어져서 배터리 소모가 너무 많이 된 상태로 판단하여 자동 재충전을 수행하지 않으며(S660). 자동 재충전 횟수를 리셋(reset)시킨 다음에 내부 타이머를 동작시켜 설정 시간(10분) 동안에는 플래시부의 충전 상태에 상관없이 자동 재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S670∼S680). 이후, 설정 시간인 10분이 경과되면, 자동 재충전 모드를 재설정하여 플래시 충전 상태에 따라 자동 재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690∼S700).
한편, 단계(S690)에서, 카메라의 특정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즉, 스위치의 작동이 없는 상태에서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제어부(120)는 전원 공급부(180)를 제어하여 바로 카메라의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180)는 카메라의 제어부를 제외한 장치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을 중지하여 불필요한 배터리 전력 소모를 방지한다(S710∼S720).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의 재충전 과정을 전원 제어 장치인 3분 타이머 사용 및 그에 따른 정해진 시간내의 자동 충전횟수를 소정의 횟수로 제한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상 적정 수준의 충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기다리는 시간 없이 언제든지 즉시 촬영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의 자동 충전시의 메인 컨덴서, 충전발진신호(OSC), 충전검지신호(NES) 및 그와 관련된 전압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상기와 같은 자동충전 과정에 따른, 충전발진신호(OSC), 충전검지신호(NES) 및 메인 콘덴서간의 전압에 따른 관련 그래프도이다.
도 7을 보면, 초기 충전(메인 콘덴서가 완전 방전상태인 0V부터 이루어지는 충전)을 해야할 경우, 제어부는 충전발진신호(OSC, 510)를 하이 레벨(H, 5V)에서 로우 레벨(L, 0V)로 전환시킴으로써,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초기 충전전압(0V)에서 일반 충전전압(50V)이 되기까지의 시간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약 0.5초 정도가 소요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메인 콘덴서(530)내의 충전 전압이 네온 방전관(NE TUBE)이 점화될 수 있을 정도의 전압인 280V 정도가 되면, 충전 검지부(102)는 충전검지신호(NES, 520)를 하이 레벨(H, 5V)에서 로우 레벨(L, 0V)로 전환함으로써, 발진을 정지(충전정지)한다.
도 8은 상기 도 3에 따른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내 메인 컨덴서의 자연방전과 그에 따른 충전검지신호(NES)의 관련도이다.
도 8을 보면,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메인 콘덴서(620)내의 충전된 전압(약 280V 정도)이 자연 방전됨으로써, 네온 방전관(NE TUBE)이 오프(OFF)되는 전압(약 267V 정도)에 이르게 되면, 충전검지신호(NES, 610)의 신호 레벨은 하이 레벨로 전환되면서 자동 발진을 하게 된다.
이때, 메인 콘덴서 내의 충전 전압이 267V에서 어느 정도 소정의 아래 전압인 경우에는 촬영 시 스트로보가 터지긴 하지만, 완전 충전 시에 비해 다소 어둡게 나오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래시용 메인 콘덴서내의 충전 발진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항상 적정수준의 충전상태를 유지하여 플래시 장치를 사용한 사진 촬영 시 언제든지 즉시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순간포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제어 장치인 타이머를 통한 파워의 온/오프 기능으로 인해, 일정 시간 동안의 카메라 조작이 없을 경우, 자동적으로 전원이 오프됨으로써,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해진 시간내의 자동 충전 횟수를 소정의 횟수로 제한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충전 과정을 정해진 소정의 시간동안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소모되는 배터리의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사용자의 카메라 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에 있어서,
    충전부;
    인가되는 발진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충전부에 충전시키는 발진부;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충전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검지부;
    인가되는 발광 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부의 추전 전압을 토대로 일정량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카메라의 다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가 작동될 때까지 상기 충전검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을 판단하고,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발진 신호를 출력하여 재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아서 재충전 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 현재 수행되는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보다 작은 경우에만 발진 신호를 출력하여 재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이상인 경우에는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재충전 횟수를 리세트시킨 다음에 제1 설정 시간 동안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인가 후에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제2 설정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하고, 상기 카메라의 다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고 상기 제2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압에 따라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카메라의 다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5. 사용자의 카메라 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에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전원 인가에 따라 상기 플래시 장치를 충전시키는 단계;
    b) 상기 충전 이후에 상기 카메라의 다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플래시 장치의 충전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측정된 플래시 장치의 충전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플래시 장치의 충전 동작을 재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메라 플래시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현재 수행되는 재충전 횟수와 설정 횟수를 비교하여,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보다 작은 경우에만 플래시 장치의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재충전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재충전 횟수를 리세트시키는 단계;
    제1 설정 시간 동안 플래시 장치의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플래시 장치의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메라 플래시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e) 전원 인가 후에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제2 설정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f) 상기 카메라의 다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고 상기 제2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플래시 장치의 충전 전압에 따라 플래시 장치의 재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g) 상기 카메라의 다수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원을 차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플래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10081657A 2001-12-20 2001-12-20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51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657A KR20030051974A (ko) 2001-12-20 2001-12-20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657A KR20030051974A (ko) 2001-12-20 2001-12-20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974A true KR20030051974A (ko) 2003-06-26

Family

ID=2957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657A KR20030051974A (ko) 2001-12-20 2001-12-20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19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222B1 (ko) * 2002-03-12 2008-06-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스트로보 광량 보상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644A (ko) * 1996-12-30 1998-10-07 이대원 다단 승압용 플래시 장치
KR19990001914A (ko) * 1997-06-18 1999-01-15 구자홍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스트로보 충전 제어 회로 및 방법
KR20000056869A (ko) * 1999-02-27 2000-09-15 이중구 스트로보충전장치및그방법
JP2001013560A (ja) * 1999-06-28 2001-01-19 Olympus Optical Co Ltd 閃光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644A (ko) * 1996-12-30 1998-10-07 이대원 다단 승압용 플래시 장치
KR19990001914A (ko) * 1997-06-18 1999-01-15 구자홍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스트로보 충전 제어 회로 및 방법
KR20000056869A (ko) * 1999-02-27 2000-09-15 이중구 스트로보충전장치및그방법
JP2001013560A (ja) * 1999-06-28 2001-01-19 Olympus Optical Co Ltd 閃光発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222B1 (ko) * 2002-03-12 2008-06-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스트로보 광량 보상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8135B2 (en) Flash photography system
EP1473588A1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start of the lamp
US6512890B2 (en) Multi-flash photography system
US20060044461A1 (en) Digital camera with photoflash controller
US6826364B2 (en) Zoom flash and flash photography system
US9891503B2 (en)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first and second power source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6498901B2 (en) Flash photography system
US5634146A (en) Camera with automatic flash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3787266B2 (ja) フラット発光制御装置
JPS6059325A (ja) ストロボ充電電圧検出回路
KR20030051974A (ko) 카메라의 플래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847646B2 (ja) フラッシュ付カメラ
US20190313004A1 (en) Light-emitting apparatus for shooting with flash,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H0850318A (ja) 閃光撮影装置
JP3050655B2 (ja) 赤目軽減機能付カメラ
KR0157519B1 (ko) 자동 충전 완료 플래시 장치
JPH0455291B2 (ko)
JP2596631Y2 (ja) 調光ストロボ装置
JPH11109452A (ja) カメラ
KR200149625Y1 (ko) 스트로보 장치
JP2002139764A (ja) カメラ
JPH09127578A (ja) ストロボ装置
JP3300414B2 (ja) ストロボ回路
JPH07287276A (ja) カメラ
JPH05341348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