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0580A - 폐타이어 분쇄기 - Google Patents

폐타이어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0580A
KR20030050580A KR1020010081059A KR20010081059A KR20030050580A KR 20030050580 A KR20030050580 A KR 20030050580A KR 1020010081059 A KR1020010081059 A KR 1020010081059A KR 20010081059 A KR20010081059 A KR 20010081059A KR 20030050580 A KR20030050580 A KR 2003005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hopper
cutter
pulverized product
crushed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325B1 (ko
Inventor
백충남
Original Assignee
백충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충남 filed Critical 백충남
Priority to KR10-2001-008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32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수령하여 분쇄부에 의해 소정의 입자로 분쇄하는 폐타이어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폐타이어를 수령하여 소정 크기의 분쇄물로 순차적으로 분쇄하는 적어도 한 대 이상이 마련된 제 1 분쇄부와; 상기 제 1 분쇄부에 의해 분쇄되어 낙하되는 분쇄물을 받아 이송시키는 제 1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 1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분쇄된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1 수령호퍼와, 상기 제 1 수령호퍼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수령호퍼에 의해 이송된 분쇄물을 2차 분쇄하며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 분쇄부와; 일측에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분쇄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분쇄부로부터 분쇄 이송되는 분쇄물을 수령함과 아울러 상기 송풍기에 의해 강선과 폐타이어 분쇄물을 가려내는 각각의 제 2 및 제 3 수령호퍼가 형성된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로부터 낙하된 폐타이어 분쇄물을 받아 이송시키는 제 2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 2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4 수령호퍼를 가지며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축설된 제 1 회전커터를 갖는 제 3 분쇄부와; 상기 제 3 분쇄부로부터 낙하된 분쇄물을 받아 이송시키는 제 3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 3 분쇄부로부터 낙하된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5 수령호퍼를 가지며 내부에 제 2 회전커터가 축설된 적어도 한 대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 4 분쇄부와; 상기 제 4 분쇄부로부터 낙하되는 분쇄물을 이송시키는 제 4 이송컨베이어와; 제 4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분쇄물을 이송 받아 진동상태에서 걸러내는 스크린을 가지며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6 수령호퍼와; 상기 제 6 수령호퍼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6 수령호퍼로부터 수령되는 분쇄물을 상기 포장라인으로 이송시키는 제 5 이송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대용량의 폐타이어를 빠른 시간내에 소망하는 크기의 분쇄입자로 분쇄할 수 있는 동시에 폐타이어에 포함된 강선을 제거할 수 있는 폐타이어 분쇄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폐타이어 분쇄기{waste tire pulverisor}
본 발명은, 폐타이어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조의 대형 타이어 분쇄기에서 빠른 시간내에 폐타이어를 수 차례 분쇄 반복하는 과정을 거쳐 소망하는 입자의 분쇄물로 분쇄함으로써 보도블럭, 건축자재 등의 재활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폐타이어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퀴에 장착되는 타이어는 일정기간 사용함에 따라 둘레면이 마모되어 제동력이 저하되는 등 타이어로서의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새로운 타이어로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이러한 폐타이어는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약 1000만개가 넘게 발생하고 있지만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폐기되는 폐타이어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폐타이어는 야적장에 방치해 두거나 소각함에 따라 환경을 오염시키고 공해를 유발시키게 되므로 수년 전부터 이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여 재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도 폐타이어 분쇄기는 다수 제안된바 있으나, 이들 대부분의 폐타이어 분쇄기는 폐타이어를 수령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 영역에 설치한 회전커터, 상기 회전커터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호퍼에 타이어를 공급하면 폐타이어가 회전커터에 의해 작은 입자의 분쇄물로 절단된다.
특히, 종래에는 폐타이어에 포함된 강선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폐타이어를 부서지기 쉬운 상태에서 냉각시키고, 이어서 다이 및 펀치로 보이는 2개의 분쇄기를 별도로 구비한 장치를 사용하여 폐타이어를 절단하고 분쇄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타이어 분쇄기는 분쇄과정에서 폐타이어를 단순히 분쇄하는 등의 미비점이 많아 분쇄가 효율적이지 못했으며 대용량의 폐타이어를 빠른 시간내에 분쇄할 수 없어 효율성 및 경제성이 떨어져 부가가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폐타이어 분쇄기는 폐타이어 분쇄시 폐타이어에 포함된 강선을 폐타이어와 별도로 분리시킬 때 강선이 엉키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고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선 회전방식으로 강선을 분리시키는 별도의 기계를 사용하나 이때 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분쇄물(고무)의 품질이 떨어지고 고열로 인해 분쇄물이 소량만 토출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용량의 폐타이어를 빠른 시간내에 소망하는 크기의 분쇄입자로 분쇄할 수 있는 폐타이어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타이어 분쇄시 강선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강선과 폐타이어 분쇄물로 각각 분리하여 재활용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는 폐타이어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기의 전체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분쇄부를 확대시킨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제 1 분쇄부의 커터부만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 1 수령호퍼 2 : 제 2 수령호퍼
3 : 제 3 수령호퍼 4 : 제 4 수령호퍼
5 : 제 5 수령호퍼 6 : 제 6 수령호퍼
7 : 제 7 수령호퍼 8 : 제 8 수령호퍼
9 : 제 9 수령호퍼 20 : 제 1 분쇄부
21 : 제 3 회전커터 21a : 절삭부
21b : 고정볼트 22 : 고정커터
22a : 절삭부 22b : 고정볼트
23 : 메인모터 24 : 구동풀리
25 : 회전축 26 : 기어
27 : 고정축 28 : 절곡커터
28a : 절삭부 28b : 고정볼트
29 : 고정부재 30 : 제 2 분쇄부
31 : 절삭부 32 : 커터
33 : 회전축 34 : 모터
40 : 분리부 41 : 송풍기
42 : 덕트 50 : 제 3 분쇄부
51 : 모터 52 : 회전축
53 : 제 1 회전커터 60 : 제 4 분쇄부
61 : 통공 62 : 스크린
63 : 모터 64 : 회전축
65 : 제 2 회전커터 70 : 스크린부
71 : 스크린 101 : 제 1 이송컨베이어
102 : 제 2 이송컨베이어 103 : 제 3 이송컨베이어
104 : 제 4 이송컨베이어 105 : 제 5 이송컨베이어
106 : 제 6 이송컨베이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폐타이어를 수령하여 분쇄부에 의해 소정의 입자로 분쇄하는 폐타이어 분쇄기에 있어서, 폐타이어를 수령하여 소정 크기의 분쇄물로 순차적으로 분쇄하는 적어도 한 대 이상이 마련된 제 1 분쇄부와; 상기 제 1 분쇄부에 의해 분쇄되어 낙하되는 분쇄물을 받아 이송시키는 제 1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 1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분쇄된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1 수령호퍼와, 상기 제 1 수령호퍼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수령호퍼에 의해 이송된 분쇄물을 2차 분쇄하며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 분쇄부와; 일측에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분쇄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분쇄부로부터 분쇄 이송되는 분쇄물을 수령함과 아울러 상기 송풍기에 의해 강선과 폐타이어 분쇄물을 가려내는 각각의 제 2 및 제 3 수령호퍼가 형성된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로부터 낙하된 폐타이어 분쇄물을 받아 이송시키는 제 2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 2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4 수령호퍼를 가지며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축설된 제 1 회전커터를 갖는 제 3 분쇄부와; 상기 제 3 분쇄부로부터 낙하된 분쇄물을 받아 이송시키는 제 3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 3 분쇄부로부터 낙하된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5 수령호퍼를 가지며 내부에 제 2 회전커터가 축설된 적어도 한 대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 4 분쇄부와; 상기 제 4 분쇄부로부터 낙하되는 분쇄물을 이송시키는 제 4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 4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분쇄물을 이송 받아 진동상태에서 걸러내는 스크린을 가지며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6 수령호퍼와; 상기 제 6 수령호퍼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6 수령호퍼로부터 수령되는 분쇄물을 상기 포장라인으로 이송시키는 제 5 이송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분쇄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분쇄부는 상부에 이물질이 제거된 폐타이어를 수령하는 제 7 수령호퍼를 갖고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의 내부 길이방향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축설되며 일단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와타단에 각각의 기어가 장착되고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제 3 회전커터가 고착된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사이에서 축설되며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3 회전커터 사이에서 각각 다수개가 개재 고착되는 고정커터를 갖는 고정축과; 상기 한 쌍의 제 3 회전축의 각 외측에서 상기 제 3 회전축과 기밀하게 다수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통의 내부에서 고정 설치된 절곡커터와; 상기 한 쌍의 회전축 하부 영역에는 상기 제 3 회전커터와 일측의 또 다른 제 3 회전커터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8 수령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3 회전커터는 하나의 회전커터에 절삭부가 3개로 나뉘어 형성되며, 상기 절삭부는 상기 제 3 회전커터에 고정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과, 상기 고정커터는 절삭부가 2개로 나뉘어 형성되며 상기 절삭부는 고정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절곡커터는 하나의 절곡커터의 상면에 "U"형 절삭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삭부는 고정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의 내부에서 고정부재에 의해 다수 고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제 2 분쇄부는 내부가 관통된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모터가 장착된 회전축에는 스크류 형상의 커터가 형성되어 일측의 분쇄물을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4 분쇄부는 상기 제 5 수령호퍼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제 2 회전커터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걸러내어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을 갖는 통 형상의 스크린이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제 5 수령호퍼의 일측에서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을 통과 못한 굵은 입자의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9 수령호퍼와; 상기 제 9 수령호퍼로부터 낙하되는 분쇄물을 이송하여 상기 제 4 분쇄부로 재투입하는 제 6 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분쇄기의 전체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분쇄기는, 제 1 분쇄부(20), 제 2 분쇄부(30), 분리부(40), 제 3 분쇄부(50), 제 4 분쇄부(60)와 스크린부(70)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각처에서 수집 운반된 폐타이어를 초음파나 물의 구심력 등을 이용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널리 알려진 이물질제거기(도시치 않음)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폐타이어를 각종 이송기(도시치 않음)를 이용하여 강제 이송시켜 제 1 분쇄부(20)의 상부에 설치된 제 7 수령호퍼(7)에 넣는다.
제 1 분쇄부(20)는 적어도 한 대 이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4대의 제 1 분쇄부(20)를 설치한다. 여기서, 4대로 이루어지는 제 1 분쇄부(20)의 제 3 회전커터(21) 및 고정커터(22)의 설치 간격 차를 각각 다르게 설치함으로써 폐타이어를 제 2 분쇄부(30)로 보내기 전에 그 입자를 순차적으로 작게 분쇄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분쇄부(20)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폐타이어를 수령하는 제 7 수령호퍼(7)가 마련되며 그 하부 영역에는 메인모터(23)에 의해 구동하며 일단에 구동풀리(24)가 장착된 회전축(25) 한 쌍이 소정 간격을 두고축설되며 한 쌍의 회전축(25)의 타단에는 각각의 기어(26)가 설치됨으로써 한 쌍의 회전축(25)은 그 회전방향을 달리하여 회전한다. 한 쌍의 회전축(25)에는 제 3 회전커터(21) 다수 개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한 쌍의 회전축(25) 사이에는 고정축(27)이 설치되고 고정축(27)에는 고정커터(22)가 다수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5)에 설치된 제 3 회전커터(21)는 절삭부(21a)가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3개로 나뉘어 각각 고정볼트(21b)에 의해 고정되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축(27)에 설치된 고정커터(22)에는 절삭부(22a)가 양측으로 각각 나뉘어 고정볼트(22b)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절삭부(21a)(22a)가 마모되면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고정축(27)을 가운데 두고 양측에서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축(25)의 외측에는 상기 제 3 회전커터(21)와 기밀하게 다수 설치된 "U" 자형으로 절곡된 절곡커터(28)를 고정부재(29)를 이용하여 통의 내부에 고정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절삭부(28a)는 고정볼트(28b)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5) 및 고정축(27)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제 3회전커터(21)와 고정커터(22)에 의해 분쇄된 폐타이어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8 수령호퍼(8)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 1 분쇄부(20)는 4대로 이루어져 수령한 폐타이어를 그 분쇄크기가 각각 다르도록 소정 크기의 분쇄물로 분쇄하게 되는데, 폐타이어가 제 7 수령호퍼(7)에 수용되면 한 쌍의 회전축(25)에 설치된 제 3 회전커터(21)가 고정축(27)을 중심으로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절삭부(21a)가 절곡커터(28)와 고정커터(22)의 절삭부(28a)(22a)와 상호 기밀하게 회전하여 절곡커터(28)와 접하여 폐타이어를 분쇄함과 동시에 폐타이어에 포함된 강선을 제거하여 제 8 수령호퍼(8)와 제 1 이송컨베이어(101)를 통해 제 2 분쇄부(30)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폐타이어에 포함된 강선은 회동되는 제 3 회전커터(21)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늘어지면 폐타이어 속에 삽입된 강선은 절곡커터(28)와 고정커터(22)에 걸려 인출되면서 절단이 반복되는 것이다.
제 2 분쇄부(30)로 이송된 분쇄물은 제 1 수령호퍼(1)에 수용되며 수용된 분쇄물은 2차 분쇄부(30)에서 재 분쇄된다. 제 2차 분쇄부(30)는 제 1 수령호퍼(1)의 일측에서 설치되는데 그 형상은 내부가 관통된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의 내부에서 외주연에 절삭부(31) 형성된 스크류 형상의 커터(32)를 회전축(33)에 설치하며 모터(34)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2차 분쇄시킨 분쇄물을 분리부(40)로 이송시킨다.
분리부(40)로 이송된 분쇄물은 분리부(40)로 낙하되는 순간 분리부(40)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41)에 의해 강선과 폐타이어 분쇄물로 각각 분리되며 분리된 강선은 제 2 수령호퍼(2)를 통해 분리 보관되고 폐타이어 분쇄물은 제 3 수령호퍼(3)를 통하여 제 2 이송컨베이어(102)에 의해 제 3 분쇄부(50)로 이송된다.
상기 폐타이어에 포함되는 강선과 폐타이어 분쇄물이 각각 분리 가능한 것은 강선의 분쇄물과 폐타이어의 분쇄물의 중량이 각각 다르고 따라서 송풍기(41)로 강제 송풍하여도 강선은 자중에 의해 제 2 수령호퍼(2)로 먼저 낙하되는 것이고, 폐타이어 분쇄물은 강선보다 가벼워 풍향의 진행에 따라 이송 중 제 3 수령호퍼(3)에낙하되는 것이며 이들에 포함된 먼지는 덕트(42)와 집진기(도시치 않음)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분리부(40)를 통해 분리된 분쇄물이 제 2 이송컨베이어(102)에 의해 이송되어 제 4 수령호퍼(4)로 낙하되고 낙하된 분쇄물은 3차 분쇄된다. 제 3 분쇄부(50)도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모터(5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2)과 상기 회전축(52)에 설치된 제 1 회전커터(53)에 의해 재 분쇄되어 제 3 이송컨베이어(103)로 낙하됨에 따라 분쇄물은 제 4 분쇄부(60)로 낙하된다.
제 4 분쇄부(60)에 설치된 제 5 수령호퍼(5)는 낙하되는 분쇄물을 수령하여 다수의 통공(61)을 갖는 통 형상의 스크린(62)으로 낙하시키면 통 형상의 스크린(62)의 내부에서 모터(6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64)과 이에 설치된 제 2 회전커터(65)에 의해 분쇄물은 재 분쇄된다. 이어서 분쇄된 분쇄물은 스크린(62)에 형성된 통공(61)을 통하여 걸러져 제 4 이송컨베이어(104)를 따라 스크린부(70)에 이송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4 분쇄부(60)를 3대를 설치하되 통 형상의 스크린(62)에 형성된 통공(61)의 크기가 각기 다른 스크린(62)을 갖는 제 4 분쇄부 3대를 설치하여 소망하는 분쇄입자를 얻을 수 있다.
스크린부(70)로 이송된 분쇄물은 진동형 스크린(71) 위에 올려지고 올려진 분쇄물의 작은 입자는 상기 제 4 분쇄부(60)에 마련된 통 형상의 스크린(62) 보다 미세한 통공으로 이루어진 스크린(71)을 통과하여 제 6 수령호퍼(6)로 낙하되어 제 5 이송컨베이어(105)에 의해 포장실로 보내어진다. 한편, 분쇄물의 입자가 커서 스크린(71)을 통과 못한 분쇄물은 제 9 수령호퍼(9)를 통해 제 6 이송컨베이어(106)에 의해 다시 제 4 분쇄부(60)의 제 2 회전커터(65) 측으로 낙하되어 재 분쇄됨으로서 이후 스크린(71)과 제 5 이송컨베이어(105)를 통해 포장실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분쇄부(20)에서 순차적으로 분쇄된 폐타이어 분쇄물은 제 2 분쇄부(30)를 통과하면서 분쇄물의 입자가 작아지고 분리부(40)에 의해 폐타이어에 포함된 강선과 먼지 등을 분리시킨 후 제 3 분쇄부(50)에서 재차 작은 입자의 분쇄물로 분쇄시켜 제 4 분쇄부(60)에 의해 더 작은 입자의 분쇄물로 분쇄되고 이어서, 통 형상의 스크린(62)과 진동형 스크린(71)을 통하여 포장실로 이송됨으로서 포장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용량의 폐타이어를 빠른 시간내에 소망하는 크기의 분쇄입자로 분쇄할 수 있는 동시에 폐타이어에 포함된 강선을 제거할 수 있어서 효율성은 물론 경제성이 높아 부가가치가 높은 폐타이어 분쇄기가 제공된다.

Claims (6)

  1. 폐타이어를 수령하여 분쇄부에 의해 소정의 입자로 분쇄하는 폐타이어 분쇄기에 있어서,
    폐타이어를 수령하여 소정 크기의 분쇄물로 순차적으로 분쇄하는 적어도 한 대 이상이 마련된 제 1 분쇄부와;
    상기 제 1 분쇄부에 의해 분쇄되어 낙하되는 분쇄물을 받아 이송시키는 제 1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 1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1 수령호퍼와, 상기 제 1 수령호퍼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수령호퍼에 의해 이송된 분쇄물을 2차 분쇄하며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 분쇄부와;
    일측에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분쇄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분쇄부로부터 분쇄 이송되는 분쇄물을 수령함과 아울러 상기 송풍기에 의해 강선과 폐타이어 분쇄물을 가려내는 각각의 제 2 및 제 3 호퍼가 형성된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로부터 낙하된 폐타이어 분쇄물을 받아 이송시키는 제 2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 2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4 수령호퍼를 가지며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축설된 제 1 회전커터를 갖는 제 3 분쇄부와;
    상기 제 3 분쇄부로부터 낙하된 분쇄물을 받아 이송시키는 제 3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 3 분쇄부로부터 낙하된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5 수령호퍼를 가지며 내부에 제 2 회전커터가 축설된 적어도 한 대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 4 분쇄부와;
    상기 제 4 분쇄부로부터 낙하되는 분쇄물을 이송시키는 제 4 이송컨베이어와;
    제 4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분쇄물을 이송 받아 진동상태에서 걸러내는 스크린을 가지며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6 수령호퍼와;
    상기 제 6 수령호퍼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6 수령호퍼로부터 수령되는 분쇄물을 상기 포장라인으로 이송시키는 제 5 이송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분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쇄부는 상부에 이물질이 제거된 폐타이어를 수령하는 제 7 수령호퍼를 갖고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의 내부 길이방향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축설되며 일단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타단에 각각의 기어가 장착되고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제 3 회전커터가 고착된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사이에서 축설되며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3 회전커터 사이에서 각각 다수개가 개재 고착되는 고정커터를 갖는 고정축과;
    상기 한 쌍의 제 3 회전축의 각 외측에서 상기 제 3 회전축과 기밀하게 다수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통의 내부에서 고정 설치된 절곡커터와;
    상기 한 쌍의 회전축 하부 영역에는 상기 제 3 회전커터와 일측의 또 다른 제 3 회전커터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8 수령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분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회전커터는 하나의 회전커터에 절삭부가 3개로 나뉘어 형성되며, 상기 절삭부는 상기 제 3 회전커터에 고정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과, 상기 고정커터는 절삭부가 2개로 나뉘어 형성되며 상기 절삭부는 고정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절곡커터는 하나의 절곡커터의 상면에 "U"형 절삭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삭부는 고정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통의 내부에서 고정부재에 의해 다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분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쇄부는 내부가 관통된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모터가 장착된 회전축에는 스크류 형상의 커터가 형성되어 일측의 분쇄물을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분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분쇄부는 상기 제 5 수령호퍼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제 2 회전커터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걸러내어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을 갖는 통형상의 스크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분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수령호퍼의 일측에서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을 통과 못한 굵은 입자의 분쇄물을 수령하는 제 9 수령호퍼와;
    상기 제 9 수령호퍼로부터 낙하되는 분쇄물을 이송하여 상기 제 4 분쇄부로 재투입하는 제 6 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분쇄기.
KR10-2001-0081059A 2001-12-19 2001-12-19 폐타이어 분쇄기 KR100437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059A KR100437325B1 (ko) 2001-12-19 2001-12-19 폐타이어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059A KR100437325B1 (ko) 2001-12-19 2001-12-19 폐타이어 분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253U Division KR200269356Y1 (ko) 2001-12-19 2001-12-19 폐타이어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580A true KR20030050580A (ko) 2003-06-25
KR100437325B1 KR100437325B1 (ko) 2004-06-30

Family

ID=2957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059A KR100437325B1 (ko) 2001-12-19 2001-12-19 폐타이어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637B1 (ko) * 2006-12-18 2008-02-28 한국기계연구원 진동호크를 이용한 폐비닐 전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61Y1 (ko) 2007-07-19 2009-08-14 원용 이 폐 고무용 분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637B1 (ko) * 2006-12-18 2008-02-28 한국기계연구원 진동호크를 이용한 폐비닐 전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7325B1 (ko)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4239A (en) Material shredding apparatus
JP3642733B2 (ja) 合わせガラスをガラス片と中間膜片とに分離して回収する装置
FI87741C (fi) Anordning foer hantering av material
EP10118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inuting glass
KR101464647B1 (ko)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JPS592538B2 (ja) 粉砕装置
KR20200069794A (ko) 폐전선 재활용을 위한 자원선별 회수장치
US6988683B2 (en) Apparatus for crushing glass or ceramic material
CN211865275U (zh) 一种环保用工业垃圾粉碎设备
KR100437325B1 (ko) 폐타이어 분쇄기
CN117046568A (zh) 一种报废汽车分解用圆筛分选机
JP3583374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リサイクル設備
KR200269356Y1 (ko) 폐타이어 분쇄기
JPH09122523A (ja) 茶葉の粉砕加工装置
JPH048998Y2 (ko)
KR20030051484A (ko) 공기분급기를 이용한 건식 모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JPH068241A (ja) ゴム破片の破砕方法とその装置
KR19980033677A (ko) 폐 타이어의 분쇄장치
JP2000037663A (ja) ダスト分離装置
KR20020045640A (ko) 폐타이어 분쇄처리장치
RU2283226C1 (ru) Линия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изношенных покрышек
JP2000084424A (ja) 石膏ボード廃材の破砕処理装置
KR200254467Y1 (ko) 재활용 캔 분쇄장치
US5002232A (en) Apparatus for shredding cans
KR100458286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