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9060A - 물류 데이터 처리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물류 데이터 처리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9060A
KR20030049060A KR1020010079149A KR20010079149A KR20030049060A KR 20030049060 A KR20030049060 A KR 20030049060A KR 1020010079149 A KR1020010079149 A KR 1020010079149A KR 20010079149 A KR20010079149 A KR 20010079149A KR 20030049060 A KR20030049060 A KR 20030049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language
area
hub
transporta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남훈
Original Assignee
(주)마리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리웨어 filed Critical (주)마리웨어
Priority to KR102001007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9060A/ko
Publication of KR2003004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060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송화지로부터 수화지로의 바람직한 운송경로, 기대 수익금액 및 운송계약조건의 가부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산출하기 위하여, 송화지, 수화지, 계약금액을 포함하는 계약조건을 수신하고, 송화지로부터 상기 수화지로의 운송경로를 설정한 후, 설정된 운송경로에 대한 직접비용을 계산하고, 이를 보정하여 운송비용을 산출하며, 산출된 운송비용을 기초로 수익금액의 기대값을 계산하여 기대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계산된 수익금액의 기대값 및 이의 기준값 이상인가의 여부에 관한 신호를 전송한다.

Description

물류 데이터 처리방법 및 서버{A METHOD FOR MANIPULATING TRANSPORTATION DATA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물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화지로부터 수화지까지 화물을 운송하는 계약 조건을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계약의 성립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변수값을 계산하고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격지자 간의 매매계약 등과 같이, 계약의 이행을 위해 화물의 운송이 필요한 경우에 화주는 운송주체(shipping company)를 통해 목적지까지 화물을 운송하게 되고, 화물이 보내어지는 출발지를 송화지, 상기 목적지를 수화지라고 한다.
운송주체로서는 화주와의 계약조건을 기초로 수익성이 있는지 검토를 해야 하고, 이러한 검토 상에서는 화물을 적재할 컨테이너 등의 수화지에 도착한 후 회송하기 위한 비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빈 컨테이너는 모두 회송되는 것은 아니고 일부는 수화지에서 화물을 실은 상태로 반입되기도 한다. 따라서 송화지로부터 화물을 수화지에 운송한 후에 회송되는 빈 컨테이너에 의한 비용의 검토는 매 운송계약시마다 정밀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나, 이를 위한 계산과정이 정립되지 아니한 상태이므로 운송주체의 계약 담당자는 직관에 의존하여 수익성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그리고 보다 정확하게 운송계약의 수익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의 요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또한, 상기 운송주체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지역에 지점을 보유하고 있는데, 송화지역의 지점과 수화지역의 지점간의 손익계산에 있어, 빈 컨테이너의 회송비용이 수화지역 지점의 비용으로 계산되는 경우에는, 일예로 상기 수화지점으로부터 송화지점으로의 물류가 풍부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화지점의 정상적인 운영이 불가능할 정도로 수지가 악화될 수 있게 된다. 즉, 빈 컨테이너로 회송되는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의 화물운송은 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로 인한 비용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특정한 송화지로부터 특정한 수화지까지 화물이 운송될 수 있는 경로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하여 가장 바람직한 화물운송경로의 결정방법 또한 강구되지 못한 상태에서 계약 담당자의 직관을 기초로 판단되고 있으므로, 특정한 송화지로부터 수화지로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경로를 빠른 시간 내에 선정할 수 있는 방법 또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익성여부, 계약조건의 승인여부, 가장 바람직한 경로의 선정 등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면 더욱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화지역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물류 데이터 처리서버를 통하여 상기 송화지로부터 수화지로의 현재 시장상황에서의 가장 바람직한 운송경로, 이로 인하여 기대되는 수익금액 및 그 운송계약조건의 가부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류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류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화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류 데이터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물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송화지, 수화지, 계약금액을 포함하는 계약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화지로부터 상기 수화지로의 운송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운송경로에 대한 직접비용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직접비용을 보정하여 운송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운송비용을 기초로 수익금액의 기대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익금액의 기대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수익금액의 기대값 및 이의 기준값 이상인가의 여부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류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류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컨테이너의 개수 및 컨테이너 개당 운송금액을 포함하는 계약조건 데이터를 입력하는 송화지역 단말기(161,162,163), 상기 송화지역 단말기(161,162,163)로부터 계약조건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계약의 가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관한 신호를 상기 송화지역 단말기(161,162,163)에 전송하는 물류 데이터 처리서버(100)를 포함한다.
상기 송화지역 단말기(161,162,163)와 물류 데이터 처리서버(100)는 인터넷(internet)/인트라넷(intra-net) 등과 같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는 유무선 여부를 가리지 아니하고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네트워크로 할 수 있다.
상기 송화지역 단말기(161,162,163)는 노트북, 데트크탑 등과 같은 컴퓨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무선개인단말기(PDA; Personal Data Assistant), 휴대폰 등과 같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단말기로 할 수 있다.
상기 물류 데이터 처리서버(100)는 컴퓨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 물류 데이터처리서버(100) 내에서 데이터 흐름을 총괄하는 중앙처리유닛(120), 및 물류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30)를 포함한다.
설명되지 아니한 도면부호 171, 172, 및 173은 송화지역으로부터 화물을 수신하는 수화지점의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수화지점 단말기()는 송화지역 단말기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류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화물 흐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들은 화물(또는 빈 컨테이너)의 흐름을 의미하고, X로 시작하는 기호들은 송화지역(送貨地域; 일예로 한국)으로부터 수화지역(受貨地域; 일예로 미국)으로 배송되는 화물의 임시 집하지들을, I로 시작하는 기호들은 수화지역(受貨地域)으로부터 송화지역(送貨地域)로 배송되는 수화물의 임시 집하지들을, 그리고 최하단의 기호들은 빈 컨테이터(empty container; 이하 "EC"라 칭한다)들이 송화지로 회송되어오는 경로상의 임시 집하지들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화물의 송화지로부터 수화지까지의 배송에 관하여,
PD_n은 송화지역 내의 여러 송화지(送貨地; Pick-Up Area Depot) 중에서 n-번째의 송화지(여기서 n=1..n1)를,
XSD_n은 송화지역 내의 여러 송화선적지(送貨船積地; Loaded Container Outbound Shipper Door Area) 중에서 n-번째의 송화선적지(n=1..n2)를,
XSH_n은 송화지역 내의 여러 송화허브(送貨HUB; Loaded Container Outbound Shipper Hub Area) 중에서 n-번째의 송화허브(n=1..n3)를,
XSP_n은 송화지역 내의 여러 송화항구(送貨港口; Loaded Container Outbound Shipper Port Area) 중에서 n-번째의 송화항구(n=1..n4)를,
XST_n은 송화지역과 수화지역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다른 운송수단에 교체선적하기 위한 여러 송화환적지(送貨換積地; Loaded Container Outbound Shipper Trans-shipment Port Area) 중에서 n-번째의 송화환적지(n=1..n5)를,
XCP_n은 수화지역 내의 여러 수화항구(受貨港口; Loaded Container Outbound Consignee Port Area) 중에서 n-번째의 수화항구(n=1..n6)를,
XCH_n은 수화지역 내의 여러 수화허브(受貨HUB; Loaded Container Outbound Consignee Hub Area) 중에서 n-번째의 수화허브(n=1..n7)를,
XCD_n은 수화지역 내의 여러 수화하역지(受貨下役地; Loaded Container Outbound Consignee Door Area) 중에서 n-번째의 수화하역지(n=1..n8)를, 그리고
DD_n은 수화지역 내의 여러 수화지(受貨地; Pick-Up Area Depot) 중에서 n-번째의 수화지(여기서 n=1..n9)를 각각 의미한다.
수화지에 도착한 컨테이너가 다시 화물을 싣고 되돌아오는 과정에 관하여,
ICD_n은 송화지역 내의 여러 수화하역지(受貨下役地; Loaded Container Inbound Consignee Door Area) 중에서 n-번째의 수화하역지(n=1..n2')를,
ICH_n은 송화지역 내의 여러 수화허브(受貨HUB; Loaded Container Inbound Consignee Hub Area) 중에서 n-번째의 수화허브(n=1..n3')를,
ICP_n은 송화지역 내의 여러 수화항구(受貨港口; Loaded Container Inbound Consignee Port Area) 중에서 n-번째의 수화항구(n=1..n4')를,
IST_n은 송화지역과 수화지역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다른 운송수단에 교체선적하기 위한 여러 수화환적지(受貨換積地; Loaded Container Inbound Shipper Trans-shipment Port Area) 중에서 n-번째의 수화환적지(n=1..n5')를,
ISP_n은 수화지역 내의 여러 송화항구(送貨港口; Loaded Container Inbound Shipper Port Area) 중에서 n-번째의 송화항구(n=1..n6')를,
ISH_n은 수화지역 내의 여러 송화허브(送貨HUB; Loaded Container Inbound Shipper Hub Area) 중에서 n-번째의 송화허브(n=1..n7')를, 그리고
ISD_n은 수화지역 내의 여러 송화선적지(送貨船積地; Loaded Container Inbound Shipper Door Area) 중에서 n-번째의 송화선적지(n=1..n8')를 각각 의미한다.
화물이 송화지(PD_n)로부터 수화지(DD_n)로 배송된 후 빈 컨테이너(EC)가 회송되는 과정은. 수회지역 내의 수화지역회송허브(DEH_n)를 통해 수화지역 회송항구(DEP_n)로부터 회송되며, 회송환적지(RETn)에서 환적되어 송화지역회송항구(PEPn)로 회송되면 송화지역 내에서 회송허브(PEHn)를 거처 송화지(PDn)로 회송된다.
여기서, DEHn는 수화지역 내의 여러 수화지역회송허브(受貨地域回送HUB; Empty Container Drop-Off Hub Area) 중에서 n-번째의 수화지역회송허브(n=1..n7'')를,
DEP_n는 수화지역 내의 여러 수화지역회송항구(受貨地域回送港口; Empty Container Drop-Off Port Area) 중에서 n-번째의 수화지역회송항구(n=1..n6'')를,
RET_n는 송화지역과 수화지역 사이에서 빈 컨테이너를 다른 운송수단에 교체 선적하기 위한 여러 회송환적지(回送換積地; Empty Container Repositioning Trans-shipment Area) 중의 n-번째 회송환적지(n=1..n5'')를,
PEP_n는 송화지역 내의 여러 송화지역회송항구(送貨地域回送港口; Empty Container Pick-Up Port Area) 중의 n-번째 송화지역회송항구(n=1..n4'')를, 그리고,
PEH_n는 송화지역 내의 여러 송화지역회송허브(送貨地域回送HUB; Empty Container Pick-Up Hub Area) 중의 n-번째 송화지역회송허브(n=1..n3'')를 각각 의미한다.
이러한 화물의 흐름을 기초로 특정한 송화지(일예로 PD_1)로부터 특정한 수화지(일예로 DD_1)로 화물이 배송될 수 있는 총 가능한 경로의 수는, n2*n3*n4*n5*n6*n7*n8로서 다양한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배송된 컨테이너가 화물을 실은 상태 또는 빈 상태로 회송되는 과정에 관하여도 다양한 경로가 존재할 수 있고, 경로의 수의 연산과정은 자명하다.
상기 송화지, 수화지 및 그 사이의 임시집하지들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물류 변수들을 정의하고, 아래와 같이 정의된 물류 변수 값들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된다.
먼저, 각 송화지(즉, PD_n, n=1..n1)에 관하여, (1) 설정기간동안 상기 송화지(PD_n)로부터 각 송화허브(XSH_m; m=1..n3)로 화물이 배송된 컨테이너의 총량을 변수 "PDEX(n→m)"(송화지 유출량)로 정의하고, (2) 설정기간동안 각 수화허브(ICH_m)로부터 상기 송화지(PD_n)로 화물이 배송된 컨테이너의 총량을 변수 "PDIM(n←m)"(송화지 유입량)으로 정의한다.
상기 두 변수에 의하면 각 송화지(PD_n)의 유입/유출 량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더하여, 변수 PDEX_n은 모든 m에 대하여 PDEX(n→m)의 값을 합한 양으로, 변수 PDIM_n은 모든 변수 m에 대하여 PDIM(n←m)의 값을 합한 양으로 정의된다.
상기 설정기간은 임의의 기간으로 정할 수 있으며, 일예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물류 데이터 처리방법이 수행되기 1년 전부터 누적된 값으로, 혹은 전해의 동월 동안의 누적된 값 등으로 정의함으로써 시장의 변화를 기초로 회송되는 빈 컨테이너의 숫자를 줄일 수 있다.
-----------------
송화지역 내의 각 송화허브(XSH_n)에 관하여도 유사한 변수가 정의되는데, 이에 앞서, 송화지역 내의 각 송화허브(XSH_n)에는 동일한 영역으로 인정되는 수화허브(ICH_m)의 대응관계가 성립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영역으로 인정되는 송화허브(XSH) 및 수화허브(ICH)의 첨자를 n으로 동일하게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영역으로 인정되는 각 송화허브(XSH_n) 및 수화허브(ICH_n)에 관하여 그 동일 영역의 유입/유출에 관한 변수로서, (1) 설정기간동안 상기 송화허브(XSH_n)로부터 각 송화항구(XSP_m)로 배송된 컨테이터의 총량을 변수"PHEX(n→m)"(송화허브 유출량)로 정의하고, (2) 설정기간동안 각 수화항구(ICP_m)로부터 상기 수화허브(ICH_n)로 화물이 배송된 컨테이너의 총량을 변수 "PHIM(n←m)"(수화허브 유입량)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변수 "PHEX(n→m)"(송화지역 송화허브 유출량) 및 "PHIM(n←m)"(송화지역 수화허브 유입량)에 의하면 송화/수화허브를 통한 동일한 영역내의 적재 컨테이너의 유출/유입관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변수 PDEX_n은 모든 첨자 m에 대하여 PDEX(n→m)의 값을 합한 양으로, 변수 PHIM_n은 모든 첨저 m에 대하여 PHIM(n←m)의 값을 합한 양으로 정의된다.
-----------------
송화지역 내의 각 송화항구(XSP_n)에 관하여도 유사한 변수가 정의되는데, 이에 앞서, 송화지역 내의 각 송화항구(XSP_n)에는 동일한 영역으로 인정되는 수화항구(ICP_m)의 대응관계가 성립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영역으로 인정되는 송화항구(XSP) 및 수화항구(ICP)의 첨자를 n으로 동일하게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영역으로 인정되는 각 송화항구(XSP_n) 및 수화항구(ICP_n)에 관하여 그 동일영역의 유입/유출에 관한 변수로서, (1) 설정기간동안 상기 송화항구(XSP_n)로부터 수화지역 내의 각 수화항구(XCP_m)로 화물이 배송된 컨테이너의 총량을 변수 "RPEX(n→m)"(송화항구 유출량)로 정의하고, (2) 설정기간동안 수화지역 내의 각 수화항구(XCP_m)로부터 상기 송화항구(XSP_n)로 화물이 배송된 컨테이너의 총량을 변수 "RPIM(n←m)"(수화항구 유입량)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변수 "RPEX(n→m)"(송화지역 송화항구 유출량) 및 변수 "RPIM(n←m)"(송화지역 수화항구 유입량)에 의하면 송화지역의 송화/수화항구를 통한 동일한 영역 내의 적재 컨테이너의 유출/유입관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변수 RPEX_n은 모든 첨자 m에 대하여 RPEX(n→m)의 값을 합한 양으로, 변수 RPIM_n은 모든 첨자 m에 대하여 RPIM(n←m)의 값을 합한 양으로 정의된다.
-------------------
수화지역 내의 수화항구(XCP)로부터 수화허브(XCH)까지의 운송경로에 관하여는, 수화지역 내의 각 수화허브(XCH_n)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먼저, 수화지역 내의 각 수화허브(XCH_n)에는 동일한 영역으로 인정되는 송화허브(ISH_m)의 대응관계가 성립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영역으로 인정되는 수화허브(XCH) 및 송화허브(ISH)의 첨자를 n으로 동일하게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영역으로 인정되는 각 수화허브(XCH_n) 및 송화허브(ISH_n)에 관하여 그 동일영역의 유입/유출에 관한 변수로서, (1) 설정기간동안 수화지역 내의 각 수화항구(XCP_m)로부터 수화허브(XCH_n)로 화물이 배송된 컨테이너의 총량을 변수 "DOIM(m→n)"(수화지역 수화허브 유입량)으로 정의하고, (2) 설정기간동안 수화허브(XCH_n)로부터 각 수화항구(XCP_m)으로 화물이 배송된 컨테이너의 총량을 변수 "DOEX(m←n)"(수화지역 송화허브 유출량)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변수 "DOIM(m→n)"(수화지역 수화허브 유입량) 및 변수 "DOEX(m←n)"(수화지역 송화허브 유출량)에 의하면 수화지역의 수화/송화허브를 통한 동일한 영역 내의 적재 컨테이너의 유출/유입관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변수 DOIM_n은 모든 첨자 m에 대하여 DOIM(m→n)의 값을 합한 양으로, 변수 DOEX_n은 모든 첨자 m에 대하여 DOEX(m←n)의 값을 합한 양으로 정의된다.
------------------
수화지역 내의 수화허브(XCH_m)로부터 수화지(DD_n)로, 그리고 수화지(DD_n)로부터 수화지역 내의 송화허브(ISH_m)로 배송되는 적재 컨테이너의 유입/유출관계는 송화지역 내의 송화지에 관한 것과 유사하게 정의된다.
즉, 각 수화지(DD_n, n=1..n9)에 관하여, (1) 설정기간동안 각 수화허브(XCH_m)로부터 상기 수화지(DD_n)로 화물이 배송된 컨테이너의 총량을 변수 "DDIM(m→n)"(수화지 유입량)으로 정의하고, (1) 설정기간동안 상기 수화지(DD_n)로부터 각 송화허브(ISH_m)로 화물이 배송된 컨테이너의 총량을 변수 "DDEX(m←n)"(수화지 유출량)로 정의한다.
상기 두 변수에 의하면 각 수화지(PD_n)의 유입/유출 량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더하여, 변수 DDEX_n은 모든 m에 대하여 DDEX(m→n)의 값을 합한 양으로, 변수 DDIM_n은 모든 변수 m에 대하여 DDIM(m←n)의 값을 합한 양으로 정의된다.
-------------------
이와 같이 정의된 각 변수들 PDEX(n→m), PDIM(n←m), PDEX_n, PDIM_n, PHEX(n→m), PHIM(n←m), PDEX_n, PHIM_n, RPEX(n→m), RPIM(n←m), RPEX_n, RPIM_n, DOIM(m→n), DOEX(m←n), DOIM_n, DOEX_n, DDIM(m→n), DDEX(m←n), DDEX_n, 및 DDIM_n의 값들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물류 데이터 처리방법의 변수로 이용되게 된다.
-------------------
이하, 수화지(DD_n)에서 빈 컨테이너 상태로 송화지로 회송되는 컨테이너의 회송비용에 관한 변수를 정의한다.
먼저, 설정기간동안 상기 수화지(DD_n)로부터 수화지역 내의 각 수화지역회송허브(DEH_m)로 운반된 빈 컨테이너의 개수를 Q(m←n)이라고 정의하고, 현재 그 개당 운반비용을 P(m←n)이라고 정의하면, 수화지(DD_n)로부터 수화지역회송허브(DEH_m)로 빈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한 비용 "CDO1(m←n)"(Cost of Drop Off-1)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수화지(DD_n)로부터 발생하는 빈 컨테이너의 1차 운송비용 CDO1_n은 모든 m에 대하여 CDO1(m←n)의 값을 합한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수화지역회송허브(DEH_n)로부터 수화지역회송항구(DEH_m)로 빈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한 2차 운송비용 CDO2(m←n) 또한 CDO1(m←n)과 동일한 방식으로 정의되고, 따라서 특정한 수화지역회송허브(DEH_n)로부터 운반되는 빈컨테이너의 2차운송비용 CDO2_n은 CDO2(m←n)의 값을 모든 m에 대하여 합한 것으로 정의된다.
각 수화지역회송항구(DEH_m)로부터 송화지역회송항구(PEP_n)로 회송하기 위한 비용은 ORC(n←m)으로 정의되고, 모든 m에 대하여 ORC(n←m)을 합한 값으로 ORC_n이 정의된다.
그리고, 각 송화지역회송항구(PEP_m)로부터 송화지역회송허브(PEH_n)로 회송하기 위한 비용은 CPU1(n←m)로 정의되고, 모든 m에 대하여 CPU1(n←m)을 합한 값으로 CPU1_n이 정의된다.
마찬가지로, 각 송화지역회송허브(PEH_m)로부터 송화지(PD_n)로 회송하기 위한 비용은 CPU2(n←m)로 정의되고, 모든 m에 대하여 CPU2(n←m)을 합한 값으로 CPU2_n이 정의된다.
이와 같이 정의된 각 변수들 CDO1(m←n), CDO1_n, CDO2(m←n), CDO2_n, ORC(n←m), ORC_n, CPU1(n←m), CPU1_n, CPU2(n←m), 및 CPU2_n의 값들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물류 데이터 처리방법의 변수로 이용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물류 데이터 처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물류 데이터 처리서버(100)의 중앙처리유닛(120)는 송화지역 단말기(161,162,163)로부터 화물운송에 관한 계약조건 정보를 수신한다(S310).
상기 계약조건 정보는 화물의 양(즉, 상기 화물을 적재할 컨테이너의 개수), 송화지(PD_n; 즉, 출발지점), 수화지(DD_m; 즉, 도착지점), 그리고 송화지(PD_n)로부터 수화지(DD_m)에 화물을 운송하는 계약금액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계약조건 정보를 수신한 물류 데이터 처리서버(100)의 중앙처리유닛(120)는 송화지(PD_n) 및 수화지(DD_m)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화지(PD_n)로부터 수화지(DD_m)로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모든 경로(ROUTE_k;k=1..가능한 경우의 수)를 연산한다(S320).
그리고, 각 경로(ROUTE_k)에 대하여, 수익금액을 계산하고(S330), 계산된 수익금액의 최대값을 산출한다(S370).
각 경로에 따른 수익금액의 계산(S330)은,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구현되는데, 일예로 (PD_n → XSD_k2 → XSH_k3 → XSP_k4 → XST_k5 → XCP_k6 → XCH_k7 → XCD_k8 → DD_m)의 경로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즉, 먼저, 상기 경로를 통해 수하지에 화물이 도착할 때까지의 직접비용을 계산한다(S335). 이러한 직접비용의 계산은 각 이동경로에 관하여 기설정된 비용테이블을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0)에는 각 임시집하지 사이의 운송비용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 운송비용 데이터를 기초로 총 직접비용을 연산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송비용은,
송화지(PD_n)로부터 송화허브(XSH_k3)까지의 제1운송비용(Charge_1),
송화허브(XCH_k3)로부터 송화항구(XSP_k4)까지의 제2운송비용(Charge_2),
송화항구(XSP_k4)로부터 수화항구(XCP_k5)까지의 제3운송비용(Charge_3),
수화항구(XCP_k5)로부터 수화허브(XCH_k6)까지의 제4운송비용(Charge_4) 및
수화허브(XCH_k6)로부터 수화지(DD_m)까지의 제5운송비용(Charge_5)로 구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직접비용을 연산한 후에는 상기 직접비용을 보정한다(S340).
상기 직접비용 보정(S340)은 상기 제1 내지 제5운송비용 중 하나 이상을 보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일예로 모두 보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내지 5운송비용(Charge_1 내지 Charge_5)은 다음과 같이 보정된다.
Charge_1 = Charge_1 + (CPU1_n / PDEX_n ) * (1 + f1_n ),
Charge_2 = Charge_2 + (CPU2_k2 / PHEX_k2) * (1 + f2_k2),
Charge_3 = Charge_3 + (ORC_k3 / RPEX_k3) * (1 + f3_k3),
Charge_4 = Charge_4 + (CDO2_k4 / DOIM_k4) * (1 + f4_k4), 및
Charge_5 = Charge_5 + (CDO1_m / DDIM_m ) * (1 + f5_m ).
단 여기서 f1, f2, f3, f4, f5는 각각 n1, n3, n4, n7, n9개의 값을 갖는 열(array)로서 열의 각 항목의 값은 0에서 1 사이의 값으로 기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보정하게 되면, 송화지(PD_n)로부터 수화지(DD_m)로 화물을 운송한 후에 화물을 적재하지 못한 상태로 회송되는 빈 컨테이너의 회송비용의 기대값을 화물 운송비용에 반영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운송계약의 이행으로 인한 실제 이익금액의 기대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유닛(120)는 이익금액의 기대값을 산출한다(S345).
상기 이익금액 기대값 산출(S345)은, 입력된 계약금액으로부터 상기 보정된 제1 내지 제5운송비용의 합계를 감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이익금액 기대값을 산출한 후에는 모든 경로에 관하여 이익금액 기대값이 산출되었는가 판단하고(S350), 이익금액 기대값이 산출되지 않은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경로를 결정(S355)한 후 상기 직접비용계산단계(S335)로 진행한다.
모든 경로에 관해 이익금액 기대값이 산출된 경우에는, 산출된 이익금액 기대값의 최대값(즉, 이익금액의 최대기대값) 및 그 경로를 추출한다(S370).
그리고, 상기 최대기대값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S375),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승인신호를 송화지역 단말기(161,162,163)에 전송하고(S380), 기준값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불허신호를 송화지역 단말기(161,162,163)에 전송한다(S385).
상기 승인신호/불허신호를 전송(S380, S385)함에 있어서는, 각 경로에 대한 이익금액 기대값 정보, 이익금액의 최대기대값, 및 그 최대기대값이 기대되는 운송경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송화지역 단말기(161,162,163)에는 계약내용의 이행시 기대되는 이익금액 및 그 계약의 성립 허용여부가 실시간으로 표시(S390)되게 되고, 따라서 송화지의 거래 담당자는 이를 기초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기대이익을 산출할 수 있게 되고, 보다 안전한 거래행위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물류 데이터 처리방법 및 서버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운송경로 중에서 최대의 이익이 기대되는 경로를 실시간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그 경로를 통해 추정되는 이익금액의 최대값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운송계약을 위한 기초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그리고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송화지, 수화지, 계약금액을 포함하는 계약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화지로부터 상기 수화지로의 운송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운송경로에 대한 직접비용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직접비용을 보정하여 운송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운송비용을 기초로 수익금액의 기대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익금액의 기대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수익금액의 기대값 및 이의 기준값 이상인가의 여부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010079149A 2001-12-14 2001-12-14 물류 데이터 처리방법 및 서버 KR20030049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149A KR20030049060A (ko) 2001-12-14 2001-12-14 물류 데이터 처리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149A KR20030049060A (ko) 2001-12-14 2001-12-14 물류 데이터 처리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060A true KR20030049060A (ko) 2003-06-25

Family

ID=2957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149A KR20030049060A (ko) 2001-12-14 2001-12-14 물류 데이터 처리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90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485B1 (ko) * 2012-10-29 2014-11-26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적 화물 배송 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485B1 (ko) * 2012-10-29 2014-11-26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적 화물 배송 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10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and dynamic coordination of transportation of shipping containers
US20070214026A1 (en) Logistics system and method
US9747578B2 (en) Measuring device and system for freight rate optimization
CN106157081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国际物流电子商务平台应用系统
CN107909326B (zh) 一种国际物流的链程运输方法及其系统
US20140101059A1 (en) Leasing method for lessees to exchange their shipping containers
CN108090721A (zh) 一种物流订单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4140048A (zh) 一种供应链平台
CN115700670A (zh) 一种货运拼货方法
CN112308475B (zh) 报关系统、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3140590A1 (ko) 실시간 화물추적 api 연동 기반의 화물이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30049060A (ko) 물류 데이터 처리방법 및 서버
CN116167684A (zh) 一种提单合并竞价的处理方法
JP2018165216A (ja) 物流支援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4881560A (zh) 一种多式联运运输方法及系统
KR102276632B1 (ko) 화물 운송 중개 시스템
KR102159532B1 (ko) 기계 거래 중개 서버
CN112131793A (zh) 一种线路货量仿真方法及装置
Grancharova Challenges To The Multimodal Transport Networks Based On Sustainable Growth In The Volume Of Containerized Cargoes
CN111311163A (zh) 一种智能寄件装置及方法、物流控制系统、芯片
US11328330B2 (en) System for invoice processing for overseas vendors and carriers
KR100377779B1 (ko) 인터넷 무역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801567B (zh) 快递派件模式选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2204145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routing one or more shipments in a supply chain network
KR20240021508A (ko) 해외 수출입 물류 중개서비스 및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