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8442A - 동화상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는 검색장치 - Google Patents

동화상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는 검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8442A
KR20030048442A KR10-2003-7005481A KR20037005481A KR20030048442A KR 20030048442 A KR20030048442 A KR 20030048442A KR 20037005481 A KR20037005481 A KR 20037005481A KR 20030048442 A KR20030048442 A KR 20030048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search
retriev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2558B1 (ko
Inventor
슈이치 와타나베
야스아키 토쿠모
히로유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8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784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low-level visual features of the video content
    • G06F16/785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low-level visual features of the video content using colour or luminesc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검색정보해석부(101)는 검색정보(15)를,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 검색정보(152)와,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153)와,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154)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는, 주어지는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에 대응하는 정보를 구조정보(50)로서 추출하여 출력한다.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3,104)는, 주어지는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에, 주어지는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부가하여 소단위의 검색정보(153A,154A)를 형성한다. 이러한 소단위 검색정보를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정보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검색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동화상 컨텐츠 검색정보 관리장치{DYNAMIC IMAGE CONTENT SEARCH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동화상 컨텐츠는, 동화상 컨텐츠내의 모든 시간적 또는 공간(화면)적인 개소가 검색의 대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엄밀하게 검색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동화상 컨텐츠 전체를 재생하여 세밀한 부분까지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검색방법은 전혀 효율적이지 않고, 검색대상으로 되는 동화상 컨텐츠의 수가 증가하면 더욱 현실적이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 유저가 소망하는 동화상 컨텐츠, 또는 동화상 컨텐츠내의 소망하는 부분을 신속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여 부가되는 검색정보(검색정보는 검색용 메터데이터(metadata)라고도 함)를 준비하여, 검색정보에 따라서 검색을 실행하여, 소망하는 동화상 컨텐츠,또는 동화상 컨텐츠내의 소망하는 부분을 얻는 방법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도10에는 일반적인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998-108071호 또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998-257436호 등에도 개시되어 있고, 널리 알려진 것이다.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동화상 전체는, 시간적으로 몇개의 신(scene)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말하는 신이란, 주로 시간 축을 따른 의미적인 종합성(unity)으로 이루어지는 시간적인 단락을 나타내며, 영화의 제1부, 제2부와 같은 큰 단락으로부터, 「A와 B가 다투는」신이라고 하는 극히 작은 단락까지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실제의 동화상 전체로부터 신으로의 분할은,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1단계의 분할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계층에 걸쳐 점차로 세분화되는 것이다.
1개의 신은 또한, 시간적으로 몇 개의 쇼트(또는 더 세분된 신)로 분할된다. 여기서 말하는 쇼트란, 1회의 동작으로 촬영된 연속하는 복수의 프레임화상으로 구성되는 시간적인 일단락이고, 동화상 중에 있어서는 2개의 편집점(커트점) 사이의 단락을 나타낸다.
쇼트는 일종의 신이고 쇼트를 더 세분한 쇼트(서브쇼트)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쇼트는 최종적으로 1개 1개의 프레임화상으로까지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동화상 컨텐츠는, 전체로부터 세분한 부분, 더 세분한 부분으로 세분화되어 가는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각 계층마다 대응하는 검색정보가 부가된다.
도11에는 도10의 동화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정보가 나타내진다.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정보는,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나무 구조로 나타내진다. 여기서,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정보는, 구조적 검색정보,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를 포함한다.
구조적 검색정보란, 도10에 나타낸 동화상 컨텐츠의 계층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이다. 구조적 검색정보에는 나무 구조, 즉 동화상 전체에 있어서의 각 신 또는 쇼트 상호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구조화정보와, 분할하여 얻어진 신 또는 쇼트 각각의 속성을 나타내는 구조속성정보가 포함된다.
도11의 나무에서는, 뿌리(root) R가 동화상 전체를 나타내고, 각 마디(node) ND가 분할에 의해 얻어진 각 신 또는 각 쇼트를 나타낸다. 나무의 뿌리 R 또는 각 마디 ND에 부속되는 노드 ID나 각 계층의 정보 등이 구조화정보인 것에 대해, 신 또는 쇼트 각각에 부속되는 개시 시간, 종료 시간정보 등이 구조속성정보에 해당한다.
의미적 검색정보란,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상에서의 특징에 따라서 규정되는 검색정보이다. 예컨대, 동화상 컨텐츠 전체에 대한 타이틀, 제작자의 정보, 신에 대한 정경묘사의 정보 등이 의미적 검색정보에 해당한다.
신호적 검색정보란,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에 따라서 규정되는 검색정보이다. 예컨대, 각 쇼트(또는 그의 대표 프레임화상)에 대한 색 빈도정보, 움직임 강도정보 등이 신호적 검색정보에 해당한다.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는 대응하는 각 마디 ND에 연결된 잎(leaves) RF로서 주어진다.
도12에는 도11에 나타낸 나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검색정보를 기록할 때의 기록형식이 나타내진다.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11의 나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검색정보는, 나무의 뿌리 R 및 마디 ND를, 계층의 얕은 쪽으로부터 깊은 쪽으로(뿌리 R에서 마디 ND의 방향으로), 또한 좌로부터 우로(시간적으로 앞으로부터 뒤로) 향해서, 깊이 우선순(마디 ND의 더 하위에 추적될 마디 ND가 없게 된 시점에서, 추적은 우측 인접 마디 ND로 절환됨)으로 추적하다가, 뿌리 R 또는 마디 ND에 부가되어 있는 잎 RF에 대한 검색정보가 순차로 기록된다.
도10∼도12에서는, 최상위층(나무의 뿌리 R)을 1개의 동화상 컨텐츠전체라고 하고 있지만, 이것은 1개의 동화상 컨텐츠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동화상 컨텐츠의 집합으로서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최상위층을 1개의 채널에서 1일에 방송되는 영상 프로그램 전체로 한다. 1개의 채널에서 1일에 방송되는 영상 프로그램 전체는, 다음 계층에서 1개 1개의 프로그램에, 즉 1개 1개의 동화상 컨텐츠로 분할된다. 동화상 컨텐츠 각각은 복수의 신으로 분할되며, 복수 신의 각각은 복수의 쇼트로 분할된다.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에 의하면 대응하는 동화상 컨텐츠가 갖는 시간적인 구조는, 각종의 검색정보와 결부하여 유저에게 이해하기 쉬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검색정보는, 상기 검색정보에 따라서 유저가 시각적으로 확인을 하면서 대응하는 동화상 컨텐츠를 편집하거나, 또는 검색정보 그 자체를 편집하는 등의 작업에 대단히 적합하다. 단, 동화상 컨텐츠의 사이즈가 커지면 대응하는 검색정보를 나타내는 나무의 사이즈도 방대한 것으로 된다.
동화상 컨텐츠 및 검색정보가 서버장치에 축적되어, 유저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서버장치로 액세스하여 검색정보를 취득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검색을 실행하는 실행 모델을 상정한다. 이 경우에,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서버장치로부터 방대한 검색정보를 전부 취득한 후가 아니면 유저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조작하여 검색을 실행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는, 적당한 복수의 소단위의 검색정보로 분할되어, 클라이언트 단말로 송신되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는 수신된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의해서도 유저가 어느 정도의 검색이 실행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신 또는 쇼트라고 하는 시간적 단락에 따라서 분할함으로써, 도13a∼도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단위의 검색정보 11∼14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단위의 검색정보 11∼14는, 검색정보를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무의 최하단의 마디 ND 각각을 기점으로 한 마디 ND와 그 잎 RF의 집합, 또는 마디 ND를 포함시킨 상위의 마디 ND와 그의 잎 RF로 이루어지는 집합을 단위로서 분할함에 의해 얻어진다.
시간적인 단락에 따르는 분할에 의해 얻어지는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대응하는 동화상 컨텐츠의 시간적인 구조의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동화상 컨텐츠와 동기시켜 전송하여, 온라인으로 동화상 컨텐츠를 검색정보에 따라서 필터링하는 등의 사용에 적합하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996-11091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나무 구조와, 나무 구조중의 마디 ND 각각의 속성정보를 나타낸 부속정보의 테이블로 분할하여 축적하는 형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 분할 가능한 단위는 나무 구조와 부속정보 테이블의 2개이지만, 부속정보 테이블은 독립하여 취급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시간적인 단락에 따라서 분할하는 것도 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는, 분할에 의해 얻어진 상기와 같은 소단위의 검색정보를「단위검색정보」라 한다. 또한, 구조적 검색정보에 있어서의 마디 ND를 유일한 것으로 특정하기 위한 노드 ID 정보 등을 구조적 검색정보의「검색정보요소」라 하고(또는, 구조적 검색정보요소라 함), 의미적 검색정보에 있어서의 행동묘사정보 등을 의미적 검색정보의「검색정보요소」라 하고 (또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라 함), 신호적 검색정보에 있어서의 색 빈도정보 및 움직임 강도정보 등의 각각을 신호적 검색정보의「검색정보요소」라한다(또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라 함).
종래의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분할하여 얻어지는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시간적인 단락에 대응하는, 즉 신 또는 쇼트의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단위에 대응하는 단위검색정보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위검색정보 내에서는, 구조적 검색정보,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각각에 대해서의 검색정보요소가 복잡하게 존재하고 있다. 예컨대 동화상의 구조적 검색정보만을 알고 싶다는(동화상이 어떻게 신 또는 쇼트에 분할되는 가를 알고 싶다) 요구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쇼트마다의 색 빈도정보에 근거하는 검색을 행하기 위해서 각 쇼트의 색 빈도정보만을 원하거나, 또는 쇼트마다의 움직임 강도 정보에 근거하는 검색을 행하기 위해서 움직임 강도 정보만을 원한다는 요구가 있을 수 있다. 종래는, 구조적 검색정보,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각각에 대해서의 검색정보요소가 복잡하게 존재하는 단위검색정보를 얻어서, 이것을 검색자가 분해하여 이용함에 의해, 이들의 요구를 처리할 수밖에 없었다.
검색을 실행하는 측에서 본 경우, 동화상의 구성 요소인 복수의 쇼트 또는 복수의 신에 대하여, 쇼트 각각 또는 신 각각에 부가된 동종의 검색정보요소(색 빈도정보라는 종류나 움직임 강도정보라는 종류 등)를 집합하여 입수하고, 그들을 비교, 대조함으로써 검색을 실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예컨대, 신호적 검색정보요소 중의 색 빈도정보에 대해서, 쇼트 각각에 부가된 색 빈도정보 중에서 소망하는 것에 합치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쇼트검색이 행하여진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996-110912호에는, 검색정보로부터 나무 구조만을 분리하여 취급하는 것의 일단이 시사되어 있지만, 다른 부속정보를 독립하여 취급하는 것, 및 상기한 바와 같은 검색정보의 세분화된 종별에 근거하는 분할, 관리를 행하는 것은 시사되어 있지 않다.
구조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각각의 검색정보요소는, 일반적으로 고정의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의미적 검색정보의 검색정보요소는, 행동묘사의 데이터 등과 같이 길이가 정해지지 않은 프리텍스트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것이 많다.
이 때문에 복수의 검색정보요소가 복잡하게 존재하는 검색정보에서는, 길이가 고정된 구조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각각의 검색정보요소를 뽑아 내는 경우에도, 구조적 검색정보, 신호적 검색정보 및 의미적 검색정보의 각각을 해석해야 하고, 검색자의 부담이 컸다.
이에 대하여, 예컨대 신호적 검색정보요소만을 집합하여 얻어진 검색정보이면, 고정 길이 만큼의 데이터 스킵(skipping) 등에 의해 용이하게 검색정보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간적 구조에 따르는 형식에서 구조적 검색정보,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가 복잡하게 존재하는 검색정보가 얻어지는 검색의 형태보다도, 구조적 검색정보를 얻어 동화상의 구조를 파악하면서, 필요에 따라 신호적 검색정보 또는 의미적 검색정보를 추가하면서 검색을 진행시켜 가는 검색의 형태는 대단히 자연스럽다. 후자의 검색형태에 대하여 종래의 검색정보의 분할방식은 적절하지 않게 되어 있다.
종래의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분할하여 얻어진 단위검색정보는, 대응하는 동화상 컨텐츠의 시간적인 구조의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동화상 컨텐츠와 병행하여 검색정보를 전송하고, 온라인 검색으로 필터링하는 등의 검색형태에 적합하다. 그러나, 오프라인 검색에서 대량데이터의 동화상 컨텐츠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동화상 컨텐츠 전체에 부가되어 있는 색 빈도정보 등의 특정한 검색정보만을 사용하여 소망하는 쇼트를 검색하는 경우에도, 모든 검색정보를 판독하고, 해석하여 필요한 특정한 검색정보만을 뽑아낼 필요가 있어서, 쓸데없는 처리가 많았다.
오프라인 검색에 대해서는, 복수의 쇼트 등과 같이 복수의 동화상 구성요소에 부가되어 있는 동종의 검색정보만을 입수하여, 그들을 비교, 대조함으로써 검색을 실행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예컨대, 서버장치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 중의 색 빈도정보에 대해서, 복수의 쇼트 각각에 부가된 색 빈도정보만을 뽑아 내어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신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에서는, 이 색 빈도정보를 수신하여, 유저는 수신된 색 빈도정보에 따라서 소망하는 쇼트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쇼트의 데이터만을 서버장치에 요구한다.
이상과 같이,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정보의 분할형식은,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절환해야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것이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동화상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나무(tree) 구조를 갖는 정보(이하, 검색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및 검색처리를 실행하는 검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검색정보의 효율적인 기억 또는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검색정보관리장치 및 방법 및 검색정보를 사용하여 검색처리를 실행하는 검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검색정보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검색정보관리장치에 있어서의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 및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a∼도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분할에 의해 얻어진 의미적 검색정보의 단위검색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a∼도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분할에 의해 얻어진 신호적 검색정보의 단위검색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검색정보관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검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8a∼도8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형성된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각각의 단위검색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검색정보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10은 동화상 컨텐츠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1은 도10의 동화상 컨텐츠에 부가되는 검색정보를 나무 구조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도10의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정보의 기록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3a∼도13d는 종래의 나무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분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4는 종래의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관리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화상 컨텐츠에 부가된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검색정보의 관리장치 및 검색정보의 관리방법, 및 효율적인 검색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검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국면에 따른 검색정보 관리장치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소단위의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기 위해서, 분리부, 구조정보 추출부 및 단위검색정보 형성부를 구비한다.
분리부는, 검색정보를,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 검색정보와,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와,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구조정보 추출부는, 분리부에서 출력된 구조적 검색정보를 분해하여, 분해 후의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에 대응하는 정보를 구조정보로서 추출한다. 단위검색정보 형성부는, 분리부에서 출력된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에, 구조정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부가하여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한다.
따라서 검색정보로부터 분리된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에, 구조정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부가한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정보로 할 수 있음으로써, 검색정보의 량을 적게 할 수 있게된다. 그러므로,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 시에 검색자가 요구하는 소단위검색정보를 형성하여 요구대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전송해야 할 검색정보량을 적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정보관리장치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소단위의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기 위해서, 분리부, 구조정보 추출부 및 단위검색정보 형성부를 포함한다.
분리부는,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분리하여 검색정보로부터 뽑아 낸다. 구조정보 추출부는 분리부에 의해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검색정보로부터 추출한다. 단위검색정보 형성부는 분리부에 의해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와 구조정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에 따라서 배열함에 의해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한다.
따라서 소단위검색정보는, 원래의 검색정보에서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와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에 따라서 배열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소단위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검색정보요소 끼리를 특정하기 쉽고, 동화상 컨텐츠 검색실행 시에 소단위검색정보의 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검색정보 관리장치에서는, 분리부에 의해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는,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에 대응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소단위 검색정보로서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색 빈도정보만에 의한 검색을 행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색 빈도정보만을 전송하거나 또는 검색에 사용할 수가 있어서, 신호적 검색정보만을 이용한 효율적인 검색이 실현된다.
상기한 검색정보 관리장치에서는, 분리부에 의해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는,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에 대응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소단위 검색정보로서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각 신의 등장인물만에 의한 검색을 행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대응하는 등장인물정보만을 전송하거나 또는 검색에 사용할 수가 있어서 의미적 검색정보만을 이용한 효율적인 검색이 실현된다.
상기한 검색정보 관리장치에서는, 소정의 형식은, 분리부에 의해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및 구조정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각각의 출현순서에 따라서 배열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소단위 검색정보의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및 대응하는 구조정보는 검색정보요소 각각의 나무 구조중의 출현순서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검색정보요소의 전후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생략할 수 있어서, 소단위 검색정보의 신호량을 보다 적게할 수 있다.
상기한 검색정보 관리장치에서, 소단위 검색정보는,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구조정보 추출부에서는, 구조정보를, 분리부에 의해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공통하는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공통하는 나무 구조중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구조정보와, 공통구조정보 이외의 비공통 구조정보로 분리한다. 소단위 검색정보는, 분리부에 의해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배열에 더하여, 대응하는 공통 구조정보와, 대응하는 비공통 구조정보의 각각을 배열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종의 검색정보요소에 공통하는 정보로서, 예컨대 검색정보요소가 색 빈도정보를 나타내는 것인지, 등장인물정보를 나타내는 것인지의 종별정보, 또는 검색정보요소가 나무 구조의 어떤 계층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배열에 부가되어 배열된다. 그러므로, 소단위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검색정보요소에 대해서, 그의 종류, 또는 나무 구조의 대응하는 계층을 간단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정보 관리장치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여 관리하기 위해서, 기록위치정보 추출부, 구조정보 추출부 및 단위검색정보 형성부를 포함한다.
기록위치정보 추출부는,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sub-tree)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해, 상기 검색정보요소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위치정보를 추출한다. 구조정보 추출부는, 검색정보로부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추출한다. 단위검색정보 형성부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응하는 기록위치정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기록위치정보 및 구조정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에 따라서 배열함에 의해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한다.
따라서, 소단위 검색정보가 나타내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소단위 검색정보에 배열된 기록위치정보에 의해 특정할 수 있으므로,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실행 시에 검색정보요소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화상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 소단위 검색정보가 요구되는 때에, 요구대로 소단위 검색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검색정보요소 자체를 전송할 필요없이 수신된 소단위 검색정보의 기록위치정보에 의해 요구대로 소망하는 검색정보요소를 특정할 수 있고, 또한 소망하는 검색정보요소만을 그 때마다 요구대로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상기한 검색정보 관리장치에서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는,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에 대응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기록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검색정보요소로서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색 빈도정보만에 의한 검색을 행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색 빈도정보의 위치정보로 이루어지는 소단위 검색정보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색 빈도정보만을 전송하거나 또는 검색에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신호적 검색정보만을 이용한 효율적인 검색이 실현된다.
상기한 검색정보관리장치에서,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는,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에 대응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기록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검색정보요소로서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각 신의 등장인물만에 의한 검색을 행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등장인물정보의 위치정보로 이루어지는 소단위 검색정보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등장인물정보만을 전송하거나 또는 검색에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의미적 검색정보만을 이용한 효율적인 검색이 실현된다.
상기한 검색정보관리장치에서, 소정의 형식은, 기록위치정보의 각각을, 대응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각각의 나무 구조중의 출현순서에 따라서 배열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소단위 검색정보에서는 대응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각각의 전후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생략할 수 있어서, 소단위 검색정보의 정보량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검색정보 관리장치에서, 구조정보 추출부는, 또한 구조정보를, 공통 구조정보와, 공통 구조정보 이외의 비공통 구조정보로 분리한다. 공통 구조정보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공통하는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공통하는 나무 구조중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소단위 검색정보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와 대응하는 기록위치정보의 배열에 더하여, 대응하는 공통 구조정보와, 대응하는 비공통 구조정보의 각각을 배치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종의 검색정보요소에 공통하는 정보로서, 예컨대 검색정보요소가 색 빈도정보인가, 등장인물정보인가의 종별정보, 또는 검색정보요소가 나무 구조의 어떤 계층에 접속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기록위치정보의 배열에 부가되어 배치된다. 그러므로, 소단위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기록위치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검색정보요소에 대해서, 그의 종류, 또는 나무 구조의 대응하는 계층을 간단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정보 관리장치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소단위의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검색정보 분할부와, 분할 선택부를 포함한다.
제1 검색정보 분할부는, 검색정보를,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 검색정보와,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와,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분할에 의해 얻어진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구조정보로서 추출하여, 추출된 구조정보를 분할에 의해 얻어진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에 부가하여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한다.
제2 검색정보 분할부는, 검색정보를, 나무 구조에 근거하는 시간적인 단락에 따라서 분할하여, 분할 후의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한다.
분할 선택부는, 소망하는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검색정보를, 제1 검색정보 분할부 및 제2 검색정보 분할부 중 어느 것에 의해 분할하는 가를 선택한다.
따라서,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소단위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경우에는, 소망하는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하나의 형식의 소단위 검색정보 또는 다른 형식의 소단위 검색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형식은, 검색정보의 종별에 주목한 형식이다. 구체적으로는 검색정보를 구조적 검색정보,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로 각각 분할하고, 분할하여 얻어진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추출하여,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에 추출된 구조정보를 부가하는 형식이다. 다른 형식은 검색정보를 시간적인 단락으로 분할하여, 분할 후의 검색정보의 각각으로 이루어지는 형식이다. 소단위 검색정보를 하나의 형식 및 다른 형식의 어느 것으로 형성하는 가를 선택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온라인검색, 오프라인검색 등과 같은 검색의 형태에 의해서 최적의 소단위 검색정보를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효율이 양호한 검색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정보 관리장치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소단위의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형성부와 선택부를 포함한다.
제1 형성부는,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분리하여 검색정보로부터 뽑아 내고,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검색정보로부터 추출하여,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와 추출된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배열함에 의해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한다.
제2 형성부는, 검색정보를 나무 구조에 근거하는 시간적인 단락에 따라서 분할하여, 분할 후의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한다.
선택부는, 소망하는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제1 형성부 및 제2 형성부 중 어느 것에 의해 형성하는 가를 선택한다.
따라서,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소단위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할 때, 소망하는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하나의 형식 또는 다른 형식으로 형성된다. 하나의 형식은, 검색정보의 종별에 주목한 형식이고, 구체적으로는,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뽑아 내고,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추출하여,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및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배열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형성은 검색정보를 나무 구조에 근거하는 시간적인 단락에 따라서 분할하여, 분할 후의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소단위 검색정보를 하나의 형식 및 다른 형식 중 어느 것으로 형성하는 가를 선택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온라인검색, 오프라인검색 등의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최적의 소단위 검색정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효율이 양호한 검색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정보 관리방법은,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소단위의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기 위해서, 분리 공정, 구조정보 추출공정 및 단위검색정보 형성공정을 포함한다.
분리공정에서, 검색정보는,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 검색정보,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 및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로 분리하여 출력된다.
구조정보 추출공정에서는, 분리공정으로부터 출력된 구조적 검색정보가 분해되어, 분해 후의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중적어도 1개에 대응하는 정보가 구조정보로서 추출된다.
단위검색정보 형성공정에서는, 분리공정으로부터 출력된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에, 구조정보 추출공정에 의해 추출된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부가하여 소단위의 검색정보가 형성된다.
따라서 검색정보로부터 분리된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에, 구조정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부가한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정보로 할 수 있음으로써, 검색정보의 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 시에 검색자가 요구하는 소단위 검색정보를 형성하여 요구대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전송해야 할 검색정보량을 적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정보 관리방법은,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소단위의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기 위해서, 분리공정, 구조정보 추출공정 및 단위검색정보 형성공정을 포함한다.
분리공정에서는,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는 분리되어 검색정보로부터 뽑아 내어진다. 구조정보 추출공정에서는 분리공정에 의해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는 검색정보로부터 추출된다. 단위검색정보 형성공정에서는 분리공정에 의해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와 구조정보 추출공정에 의해 추출된 대응하는 구조정보가 소정의 형식에 따라서 배열됨에 의해 소단위의 검색정보가 형성된다.
따라서 소단위 검색정보는, 원래의 검색정보에서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에 따라서 배열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소단위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검색정보요소 끼리를 특정하기 쉽고, 동화상 컨텐츠 검색 실행 시에 소단위 검색정보의 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정보 관리방법은,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여 관리하기 위해서, 기록위치정보 추출공정, 구조정보 추출공정 및 단위검색정보 형성공정을 포함한다.
기록위치정보 추출공정에서는,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해, 상기 검색정보요소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위치정보가 추출된다. 구조정보 추출공정에서는, 검색정보로부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가 추출된다. 단위검색정보 형성공정에서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응하는 기록위치정보 추출공정에 의해 추출된 기록위치정보 및 구조정보 추출공정에 의해 추출된 구조정보가 소정의 형식에 따라서 배열됨에 의해 소단위의 검색정보가 형성된다.
따라서, 소단위 검색정보가 나타내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소단위검색정보에 배열된 기록위치정보에 의해 특정할 수 있음으로써,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 실행 시에 검색정보요소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화상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 소단위 검색정보가 요구될 때에, 요구대로 소단위 검색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검색정보요소 자체를 전송할 필요없이 수신된 소단위 검색정보의 기록위치정보에 의해 요구대로 소망하는 검색정보요소를 특정할 수 있고, 또한 소망하는 검색정보요소만을 그 때마다 요구대로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정보 관리방법은,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소단위의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검색정보 분할공정과 분할 선택공정을 포함한다.
제1 검색정보 분할공정에서, 검색정보는,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 검색정보,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 및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로 분할되어, 분할에 의해 얻어진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가 구조정보로서 추출되어, 추출된 구조정보를 분할에 의해 얻어진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에 부가하여 소단위의 검색정보가 형성된다.
제2 검색정보 분할공정에서, 검색정보는, 나무 구조에 근거하는 시간적인 단락에 따라서 분할되어, 분할 후의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가 형성된다.
분할 선택공정에서는, 소망하는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검색정보를, 제1 검색정보 분할공정 및 제2 검색정보 분할공정 중 어느 것으로 분할할 것인지가 선택된다.
따라서,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소단위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경우에는, 소망하는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하나의 형식의 소단위 검색정보 또는 다른 형식의 소단위 검색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형식은, 검색정보의 종별에 주목한 형식이다. 구체적으로는 검색정보를 구조적 검색정보,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로 각각 분할하고, 분할하여 얻어진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추출하고,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에 추출된 구조정보를 부가하는 형식이다. 다른 형식은 검색정보를 시간적인 단락으로 분할하여, 분할 후의 검색정보의 각각으로 이루어지는 형식이다. 소단위 검색정보를 하나의 형식 및 다른 형식 중 어느 것으로 형성하는 가를 선택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온라인검색, 오프라인검색 등과 같은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최적의 소단위 검색정보를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효율이 양호한 검색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정보 관리방법은,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소단위의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형성공정과 선택공정을 포함한다. 제1 형성공정에서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검색정보로부터 분리하여 뽑아 내고,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검색정보로부터 추출하여,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와 추출된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배열함에 의해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한다. 여기서, 부분 나무는,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나무 구조중의 잎 또는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제2 형성공정에서는, 검색정보를 나무 구조에 근거하는 시간적인 단락에 따라서 분할하여, 분할 후의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한다.
선택공정에서는, 소망하는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제1 형성공정 및 제2 형성공정 중 어느 것으로 형성하는 가를 선택한다.
따라서,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소단위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할 때, 소망하는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하나의 형식 또는 다른 형식으로 형성된다. 하나의 형식은, 검색정보의 종별에 주목한 형식이고, 구체적으로는, 1 또는 복수의 상기한 바와 같은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뽑아 내고,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추출하여,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및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배열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형식은 검색정보를 나무 구조에 근거하는 시간적인 단락에 따라서 분할하여, 분할 후의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소단위 검색정보를 하나의 형식 및 다른 형식 중 어느 것으로 형성하는 가를 선택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온라인검색, 오프라인검색 등의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최적의 소단위검색정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효율이 양호한 검색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장치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분할함에 의해 얻어진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따라서 검색을 실행하기 위해서,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사용하여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을 실행하는 검색 실행부를 포함한다.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 및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형성된 소단위의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이고, 또한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얻어지는 구조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소단위 검색정보는,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와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정보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러므로, 동화상 컨텐츠 검색 시에 의미적 검색정보 또는 신호적 검색정보의 소망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소단위 검색정보를 이용함에 의해, 효율 양호하게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장치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분할한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따라서 검색을 실행하기 위해서,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유지하는 유지부 및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사용하여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을 실행하는 검색 실행부를 포함한다. 이 소단위의 검색정보는,검색정보로부터 분리하여 뽑아 내어진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및 검색정보로부터 추출된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 형식으로 배열함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뽑아 내고, 또한 뽑아 내어진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추출하여,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및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배열함에 의해 형성된 소단위 검색정보를 사용하여 검색이 행하여짐으로써, 소단위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검색정보요소를 특정하기 쉽고, 효율 양호하게 검색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장치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로부터 형성된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따라서 검색을 실행하기 위해서,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유지하는 제1 유지부,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 및 소단위의 검색정보 및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사용하여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을 실행하는 검색 실행부를 포함한다. 이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해, 상기 검색정보요소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낸 기록위치정보와, 검색정보로부터 추출된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배열함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의 기록위치정보와 구조정보가 소정의 형식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소단위 검색정보를 사용하여 검색이 실행됨으로써, 소단위 검색정보중의 기록위치정보로 지시되는 검색정보요소를 특정하기 쉽고, 또한 상황에 따라서 필요 최소한의 검색정보요소만을 그 때마다 취득함에 의해, 효율적인 검색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정보 관리장치는, 위치산출부와 복원부를 포함한다.
위치산출부에서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분할함에 의해 얻어진 소단위의 검색정보로부터,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하기 위해서,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구조정보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의미적 검색정보 또는 신호적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중의 위치를 구한다.
복원부에서는,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의미적 검색정보 또는 신호적 검색정보와 구해진 나무 구조중의 위치로부터,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한다.
이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 및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형성되는 소단위의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이고, 또한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얻어지는 구조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소단위 검색정보는,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와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정보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러므로, 소망하는 의미적 검색정보 또는 신호적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함으로써, 소량의 검색정보만을 나무 구조의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정보관리장치는, 위치산출부와 복원부를 포함한다.
위치산출부에서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분할함에 의해 얻어진 소단위의 검색정보로부터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하기 위해서,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구조정보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중의 위치를 구한다.
복원부는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와 구해진 나무 구조중의 위치로부터,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한다.
이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및 검색정보로부터 추출된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 형식으로 배열함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부분 나무는, 검색정보로부터 분리하여 뽑아 내어진,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나무 구조중의 잎 또는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단위 검색정보는,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1 또는 복수의 상술기한 바와 같은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와,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 형식으로 배열함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소망하는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함으로써, 소량의 검색정보만을 나무 구조의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검색정보관리장치는, 위치산출부, 검색정보요소 취득부, 및 복원부를 포함한다.
위치산출부에서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로부터 형성된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따라서,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하기 위해서,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구조정보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기록위치정보로 나타내지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중의 위치를 구한다.
검색정보요소 취득부에서는,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기록위치정보에 따라서 대응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취득한다. 복원부에서는, 취득된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와 구해진 나무 구조중의 위치로부터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한다.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해, 상기 검색정보요소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낸 기록위치정보와, 검색정보로부터 추출된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 형식으로 배열함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부분 나무는,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나무 구조중의 잎 또는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단위 검색정보는,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상기한 바와 같은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각각의 기록위치정보와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 형식으로 배열함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소망하는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기록위치정보로 이루어지는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이용하여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함에 의해, 소량의 검색정보만을 나무구조의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에는, 본 실시예의 검색정보관리장치(1)의 기능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1에 있어서 검색정보관리장치(1)는 검색정보 해석부(101), 구조적 검색 정보 분해부(102),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3),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4) 및 단위검색정보 제어부(105)를 포함한다. 검색정보 해석부(101)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를 입력하고, 입력한 검색정보(15)를 구조적 검색정보의 1개 이상의 검색정보요소(152), 의미적 검색정보의 1개 이상의 검색정보요소(153) 및 신호적 검색정보의 1개 이상의 검색정보요소(154)로 분리하여 선별하여 출력한다.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는, 검색정보해석부(101)에서 출력된 1개 이상의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를 받아서, 받은 검색정보요소(152)로부터 필요 최소한의 구조정보(50)를 뽑아내어,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3)와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4)에 출력한다. 더 구체적으로,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는, 주어지는 1개 이상의 구조적 검색정보요소를 입력하여 분해하고, 분해 후의 1개 이상의 구조적 검색정보요소의 내용으로부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 중적어도 1개에 대응하는 정보를 최소한의 구조정보(50)로서 추출한다.
도2에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가 나타나 있다.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 이 검색정보(15)에서,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는 신(scene) 각각 및 쇼트 각각의 노드 ID 정보 및 시간 정보만으로 이루어지며,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는 신 각각의 정경묘사정보, 및 쇼트 각각의 등장인물정보 및 행동묘사정보만으로 이루어지며,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는 신 각각의 대표색 정보 및 쇼트 각각의 색 빈도정보 및 움직임(motion) 강도정보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실제의 검색정보(15)는, 이밖에도 다종의 검색정보요소를 갖지만, 본 발명은 그들의 다종의 검색정보요소 각각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는 필요 최소한의 구조정보(50)로서, 구조화정보(노드 ID 등)(50A) 및 구조 속성정보(시각 정보 등)(5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양쪽을 선택하여 뽑아낸다. 구조정보(50)로서 어떤 정보를 선택하는가는, 그 후에 얻어지는 각 단위검색정보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검색의 형태에 의존한다.
구조화정보(50A)가 선택된 경우에는, 동화상 컨텐츠가 갖는 계층구조나, 동화상전체에 있어서의 각 신, 쇼트 상호의 관계 등에 중점을 두고 검색을 실행할 수 있다. 구조속성정보(50B)가 선택된 경우에는, 검색결과에 대응하는 동화상 컨텐츠내의 개소를 바로 뽑아내어 표시하는 등의 검색이 실행될 수 있다.
구조화정보(50A)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조화정보(50A)는 검색정보의 나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이고, 원래의 나무 구조를 복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조화정보(50A)인 노드 ID 정보는, 마디 ND 간의 연결관계(「#1-1」, 「#1-2」는「#1」에 연결되는 자손 마디 ND를 나타내는 등)를 나타내고 있고, 이 정보를 사용하여 원래의 나무 구조를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원래의 나무 구조를 복원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검색에서는, 구조화정보(50A)가 구조정보로서 선택된다.
또한 도2에서는, 각 검색정보요소를 나타내는 잎 RF에는 ID 정보가 부가되어 있지 않지만, 각 잎 RF에 ID 정보를 부여해도 된다. 구조화정보(50A)로서는 그 외에, 나무 구조 중의 각「가지」(뿌리 R, 마디 ND, 잎 RF를 서로 연결된 봉의 부분)에 코드를 할당하여, 뿌리 R에서 마디 ND 또는 잎 RF에 이를 때까지 지나는 가지의 코드로, 그 마디 ND 또는 잎 RF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로부터 추출되는 구조정보(50)는, 필요 최소한의 정보로 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용장 정보를 삭제하여 정보의 압축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구조정보(50)로서 구조화정보(50A)인 노드 ID 정보를 이용한 경우에, 「#1-1」의 다음에 오는 「#1-2」는 상위의 마디 ND의 노드 ID 인 「#1」이 공통이기 때문에, 「#1」을 생략하고 「2」 라는 정보만을 구조정보(50)로서 제공한다, 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1」의 다음에 반드시「2」가 오는 (반드시 1증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면, 「1증가」를 나타내는 차분 정보를 생성하여 구조정보(50)로서 제공할 수 있다. 필요 최소한의 구조정보(50)를 추출하는 방법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3)는, 검색정보 해석부(101)로부터 제공된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와,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로부터 제공되는 필요 최소한의 구조정보(50)를 입력하고, 입력한 그들 정보를 배열하여 의미적 검색정보의 단위검색정보(153A)를 형성한다.
도3에는, 도1의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3)의 내부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3에 있어서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3)는 요소종별 판정부(201), 검색정보 배열부(202) 및 공통정보 추출부(203)를 갖는다. 여기서는, 검색정보(15)의 나무 구조 중의 동종의 마디 ND (또는 뿌리 R)에 접속된 동종의 검색정보요소(153)(잎 RF)를, 검색정보요소(153)의 종별마다, 그들의 나무 구조에 있어서의 출현 순서관계를 유지하면서 배열하여 단위검색정보 (153A)를 형성한다. 즉, 요소종별 판정부(201)는 검색정보 해석부(101)로부터 제공되는 의미적 검색정보의 검색정보요소(153)를 수신하면, 수신한 검색정보요소(153) 각각을, 그의 종별(종별은 등장인물정보, 행동묘사정보 등과 같은 다른 정보의 종류를 나타냄)을 판정하면서 검색정보 배열부(202) 및 공통정보 추출부(203)에 판정결과와 함께 출력한다. 검색정보 배열부(202)는 요소종별 판정부(201)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서 종별마다,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에서 뽑아 내어진 대응하는 필요 최소한의 구조정보(50)와 함께 검색정보요소(153)를 배열하여 단위검색정보(153A)를 형성한다. 이 때, 검색정보 배열부(202)에 의해 형성된 종별 마다의 단위검색정보(153A) 각각에 포함되는 검색정보요소(153)에 공통하는 정보(예컨대, 검색정보요소(153)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 등)(153B)는 공통정보 추출부(203)에서 추출되어, 검색정보 배열부(202)에 제공되기 때문에, 검색정보 배열부(202)는 형성된 단위검색정보(153A)의 선두에 공통정보 추출부(203)로부터 제공된 공통정보(153B)를 배치한다. 공통정보(153B)로서 그 외에,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의 포맷이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등도 사용할 수 있으며, 공통정보(153B)로서 사용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조적 검색정보분해부(102)에서 뽑아 내어진 구조정보(50) 또는 원래의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로부터, 각 검색정보요소가 동일 계층의 마디에 접속되어 있던 경우의 계층정보 등과 같은 공통화 가능한 정보를 공통정보 추출부(203)에서 추출하여, 부속의 공통정보(153B)로서 단위검색정보의 선두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정보(50) 또는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로부터 얻어지는 마디 ND의 계층정보에 따르면, 요소 종별로서는 동일하지만 부가되는 마디 ND의 계층이 서로 다른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끼리를 구별하여, 각각 같은 계층에 부가된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위검색정보(153A)를 따로따로 형성할 수 있다.
공통정보(153B)를 배치하는 위치에 대해서도, 단위검색정보(153A)의 선두로 한정되지 않고, 단위검색정보(153A)의 최후미에 배치될 수도 있고, 단위검색정보(153A) 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공통정보(153B)는 별도의 기록장소에 단위검색정보(153A)와 상기 공통정보(153B)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기록될 수도 있다. 공통정보(153B) 및 공통정보 추출부(203)에 의한 처리는 생략될 수 있다.
도4a∼도4c는 도2의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로부터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인 정경묘사정보, 등장인물정보 및 행동묘사정보를 뽑아 내어, 뽑아낸 이들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와 대응하는 구조정보(50)를 공통정보(153B)와 함께 배열하여 형성된 단위검색정보(153A)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4a∼도4c의 단위검색정보(153A)에서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와 대응하는 구조정보(50)를, 쌍으로 된 형태로 교대로 배열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와 대응하는 구조정보(50)의 배열의 형식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먼저 구조정보(50)만을 집합하여 배열하고, 그 후에 대응하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를 연속하여 배열하는 형식을 취할 수도 있고, 또한 그 반대라도 된다. 나무 구조 중의 출현순서관계를 유지하여 배열하는 이외에, 배열의 형식에 관한 제한은 없다.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에서 뽑아 내어진 구조정보(50) 또는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로부터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에 대한 공통정보(153B)가 추출되는 경우에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의 각각에 대응하는 구조정보(50)로서, 공통정보(153B)에서의 차분을 나타내는 차분 정보(공통화 불가능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구조정보(50)로서 구조화정보(50A)의 노드 ID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단위검색정보(153A)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1-1」의 노드 ID를 갖는 마디 ND와「#1-2」의 노드 ID를 가진 마디 ND에 대하여, 공통되는 상위 마디 ND의 노드 ID에 상당하는 정보「#1」을 공통정보(153B)로서 뽑아 내어, 단위검색정보(153A) 중에 1개만 부가하고, 공통정보「#1」을 공제한 노드 ID의 차분 정보「1」 및 「2」의 각각을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각각에 대응하는 구조정보(50)로서 배열하면 된다.
또는 1개의 계층에 주목하여 그의 마디 ND의 계층정보를 공통정보로서 부가하고, 그 계층에서의 차분을 나타내는 정보(1개 위의 계층 또는 1 개 아래의 계층을 나타내는 정보 등)를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마다 부가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차분이 없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에서는 계층정보에 관한 부가정보를 생략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밖에도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마다 부가하는 정보로서, 그의 신 또는 그의 쇼트에 대응하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가 있는지 없는지를 나타낸 플래그로 될 수 있고, 또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를 사용할 때의 중요도 등을 나타내는 정보라도 되며,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마다 부가되는 정보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4)는, 검색정보 해석부(101)로부터 신호적 검색정보의 1개 이상의 검색정보요소(154)를 받고, 구조적검색정보 분해부(102)로부터 제공되는 필요 최소한의 구조정보(50)를 받아서, 받은 검색정보요소(154)와 구조정보(50)를 배열하여 신호적 검색정보의 1개 이상의 단위검색정보(154A)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4)의 내부 구성도 도3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여기서는, 검색정보(15)의 나무 구조 중의 동종의 마디 ND(또는 뿌리 R)에 접속된 동종의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잎 RF)를,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의 종별마다, 그들의 나무 구조에 있어서의 출현순서관계를 유지하면서 배열함으로써 1개 이상의 단위검색정보(154A)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즉,도4의 요소종별 판정부(201)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를 수신하면 수신한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 각각의 종별(색빈도정보 또는 움직임 강도정보 등과 같은 다른 정보의 종별)을 판정하여, 판정결과와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를 검색정보 배열부(202) 및 공통정보 추출부(203)에 출력한다. 검색정보 배열부(202)는 주어진 정보에 따라서 종별마다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를,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로부터 제공된 대응하는 필요 최소한의 구조정보(50)와 함께 배열하여 1개 이상의 단위검색정보(154A)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이 때, 공통정보 추출부(203F)는, 주어진 정보에 따라서, 검색정보 배열부(202)에 의해 형성된 단위검색정보(154A) 각각에 포함되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에 공통하는 정보(예컨대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 등)(154B)를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로부터 추출하여 검색정보 배열부(202)에 제공함으로써, 검색정보 배열부(202)는 공통정보 추출부(203)로부터 제공된 공통정보(154B)를 단위검색정보(154A)의 선두에 배치한다. 공통정보(154B)로서 이외에,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의 데이터 포맷, 색 빈도정보의 샘플 수나 데이터 길이 등도 사용할 수 있으며, 공통정보(154B)로서 사용되는 정보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에서 뽑아 내어진 구조정보(50) 또는 원래의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로부터, 각 검색정보요소가 동일 계층의 마디에 접속되어 있던 경우의 계층정보 등과 같은 공통 가능한 정보를 공통정보 추출부(203)에서 추출하여, 부속의 공통정보(154B)로서 신호적 단위검색정보(154A)의 선두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정보(50) 또는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로부터 얻어지는 마디 ND의 계층정보에 근거하면, 요소종별로서는 동일하지만 부가되는 마디 ND의 계층이 서로 다른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끼리를 구별하여, 각각 동일 계층에 부가된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위검색정보(154A)를 따로따로 형성할 수 있다.
공통정보(154B)를 배치하는 위치에 있어서도 제한은 없다. 예컨대, 공통정보(154B)는 단위검색정보(154A)의 최후미에 배치될 수 있고, 단위검색정보(154A)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공통정보(154B)를 별도의 기록장소에 상기 공통정보(154B)와 단위검색정보(154A)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기록해도 된다. 공통정보(154B) 및 공통정보 추출부(203)에 의한 처리는 생략될 수 있다.
도5a∼도5c의 단위검색정보(154A)는, 도2의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로부터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인 대표색 정보, 색 빈도정보 및 움직임 강도정보를 각각 뽑아내어, 뽑아 내어진 이들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와 대응하는 구조정보(50)를 공통정보(154B)와 함께 배열하여 형성된 것이다.
또한, 도5a∼도5c의 단위검색정보(154A)에서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와 대응하는 구조정보(50)를, 쌍으로 되는 형태로 교대로 배열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와 대응하는 구조정보(50)의 배열의 형식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먼저 구조정보(50)만을 집합하여 배열하고, 그 후에 대응하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를 연속하여 배열하는 형식을 취할 수도 있고, 또한그 반대라도 된다. 나무 구조 중의 출현순서관계를 유지하여 배열하는 이외에, 배열의 형식에 관한 제한은 없다.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에서 뽑아 내어진 구조정보(50) 또는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로부터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에 대한 공통정보(154B)가 추출되는 경우에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의 각각에 대응하는 구조정보(50)로서, 공통정보(154B)에서의 차분을 나타내는 차분 정보(공통화 불가능한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조정보(50)로서 구조화정보(50A)의 노드 ID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단위검색정보(154A)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1-1」의 노드 ID를 갖는 마디 ND 및「#1-2」의 노드 ID를 갖는 마디 ND에 대하여, 공통되는 상위 마디 ND의 노드 ID에 상당하는 정보「#1」을 공통정보(154B)로서 뽑아내어, 단위검색정보(154A) 중에 1개만 부가하고, 공통정보「#1」를 공제한 노드 ID의 차분 정보「1」및「2」의 각각을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 각각에 대응하는 구조정보(50)로서 배열한다.
또는, 1개의 계층에 주목하여 그의 마디 ND의 계층정보는 공통정보(154B)로서 단위검색정보(154A)에 부가하고, 그 계층에서의 차분을 나타내는 정보(1개 위의 계층 또는 1개 아래의 계층을 나타내는 정보 등)를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마다 부가해도 된다. 그 경우에 차분이 없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에서는 차분 정보의 부가를 생략할 수 있다.
이밖에도,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마다의 부가정보로서, 그의 신 또는 쇼트에 대응하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가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로 될수 있고,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를 사용할 때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정보라도 되며,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마다의 부가정보에 특히 제한은 없다.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3) 및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4)에서 생성된 구조정보(50)를 포함하는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의 단위검색정보(153A,154A)는, 단위검색 정보제어부(105)에 제공된다.
단위검색 정보제어부(105)는, 검색정보 관리장치(1) 이외의 처리부(16)에 접속된다. 처리부(16)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나 정보를 어떠한 미디어에 기록하여 축적하기 위한 축적부나 정보의 검색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부분 등에 상당한다. 처리부(16)가 전송부인 경우, 검색정보관리장치(1)는 전송부에서의 요구 등에 따라 1개 이상의 단위검색정보를 단위검색정보(153A,154A) 중에서 선택하여, 처리부(16)(전송부)에 제공한다.
도6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정보의 관리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분할해야 할 검색정보(15)가 지정됨으로써, 검색정보 해석부(101)는 지정된 검색정보(15)를 입력하고(공정 S1. 이하, 공정 S는 간단히 S라 함), 입력한 검색정보(15)를 검색정보요소 등으로 분리하여, 분리하여 얻어진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및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의 각각을 순차 출력한다(S2). 순차 얻어진 검색정보요소는 구조적 검색정보에 상당하는 것인지, 의미적 검색정보에 상당하는 것인지, 또는 신호적 검색정보에 상당하는 것인지가 판정되고, 판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검색정보요소는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3) 및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4) 중 어느 것에 제공된다(S3).
검색정보요소가 구조적 검색정보이면, 그의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로부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의 단위검색정보(153A,154A)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구조정보(50)를 추출하여(S4), 다시 검색정보요소의 분리, 판독을 계속한다(S2).
검색정보요소가 의미적 검색정보이면, 또한 그의 종별을 판정하고 (S5), 그의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를, 그것과 동일의 종별의 그때까지 배열된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의 배열의 최후미에, 이미 추출되어 있는 구조정보(50)와 함께 배치한다(S6).
검색정보요소가 신호적 검색정보이면, 또한 그의 종별을 판정하고 (S7), 그의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를, 그것과 동일의 종별의 그때까지 배열된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의 배열의 최후미에, 이미 추출되어 있는 구조정보(50)와 함께 배치한다(S8).
공정 S4∼S8의 단위검색정보(153A,154A)를 형성하기 위한 처리 각각을 끝낸 시점에서, 검색정보(15)의 끝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9), 판정결과 끝이면, 형성된 단위검색정보(153A,154A)는 단위검색 정보제어부(105)에 제공되어, 그곳에서 유지되며(S10), 끝이 아니면, 다시 검색정보요소의 분리, 판독이 계속된다(S2).
이상과 같은 구성 및 플로우챠트에 따른 처리를 행함에 의해,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 시에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검색정보를 전송가능 또는 이용 가능하게 하여, 효율적인 검색을 실행할 수 있다.
도7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장치(2)의 개략적인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색자(18)에 의해 조작되는 검색장치(2)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실행하기 위한 검색 실행부(701),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3) 및 검색정보 제어부(704)를 갖는다. 검색 실행부(701)는, 검색자(18)로부터 입력되는 검색요구에 따라서,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에 유지(기록)되어 있는 의미적 단위검색정보(153A) 및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3)에 유지(기록)되어 있는 신호적 단위검색정보(154A) 중의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임의의 조합을 선택하여, 선택된 조합에 의한 단위검색정보를 취득하여, 취득한 단위검색정보를 사용하여 검색을 실행한다. 선택해야 할 단위검색정보가 대응하는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O2,703) 중 어느 것에도 유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검색 실행부(701)에서 검색정보 제어부(704)에 대응하는 단위검색정보의 취득요구가 출력된다.
검색정보 제어부(704)는 전송부 또는 축적부(19)에 접속된다. 전송부 또는 축적부(19)는, 복수 종류의 단위검색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 또는 복수 종류의 단위검색정보를 미리 소정 미디어에 기록하여 축적하고 있는 축적부를 갖는다. 검색정보 제어부(704)는, 검색실행부(701)로부터 단위검색정보의 취득요구를 입력하면, 이 취득요구에 따라서 전송부 또는 축적부(19)로부터 취득 요구에 대응하는 단위검색정보를 전송 또는 독출함에 의해 취득하여, 취득한 단위검색정보를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703) 중의 어느 것의 대응하는 것에 저장한다. 검색 실행부(7O1)는,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된 단위검색정보를 사용하여 검색을 실행한다.
예컨대, 동화상 컨텐츠의 색 특징에 기초를 둔 검색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된 경우에, 검색자(18)는 색 빈도정보를 요구한다. 또는, 검색자(18)는 단지「색에 관한 정보를 원한다」는 것과 같은 광범위한 요구를 입력하고, 이 요구에 대하여 검색 실행부(701)가 판단하여, 적절하게 「색 빈도정보의 취득요구를 함」이라고 해도 된다. 이 요구에 대하여, 색 빈도정보 및 최소한의 구조정보(50)로 형성된 단위검색정보(154A)를 전송부 또는 축적부(19)로부터 취득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구조정보 및 색 빈도정보로 형성된 단위검색정보(154A)에 따라서 검색 실행부(701)는 검색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검색 시에 전송하는 검색정보량을, 종래에 비하여 적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나타내는 검색의 순서는 일례이고,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취득된 단위검색정보가 유지되는 기간에 대해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검색을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휴대형 정보단말과 같은 기억 용량이 작은 것인 경우, 취득되는 단위검색정보는 1회의 검색실행마다 파기된다고 해도 되고, 충분한 기억 용량을 가지는 단말의 경우에는, 검색의 실행기간에 걸쳐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어떤 일정기간, 단위검색정보를 유지하는 것으로 하고, 이 일정 기간 내에 액세스가 없으면 그 단위검색정보를 파기하는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검색장치에서는, 형성된 단위검색정보에 따라 검색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는, 얻어진 단위검색정보로부터 원래의 나무 구조의 검색정보(그의 일부분)를 복원하여, 그 복원된 나무 구조의 검색정보에 따라서 검색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검색정보관리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검색정보 각각은, 구조정보를 포함함으로써, 구조정보(구조화정보)를 이용하여 원래의 나무 구조를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단위검색정보에 포함되는 구조정보로부터 나무 구조중의 위치정보를 구하여, 구해진 위치정보에서 나타내진 나무 구조중의 위치에 단위검색정보중의 대응하는 검색정보요소를 잎 RF로서 접속함에 의해, 나무 구조가 복원된다. 이 단위검색정보로부터 나무 구조로의 복원은 검색에 이용하는 것 이외에, 전송로가 좁은 네트워크 등에서 검색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때에 나무를 작은 피스들로 분해하여, 분해한 각각을 전송지로 보내어, 수신한 측에서 나무를 복원하여 검색정보로서 관리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도4a∼도4c 및 도5a∼도5c에 나타낸 단위검색정보(153A,154A)는, 검색정보요소(153,154) 각각을 순차로 배열한 것으로, 검색정보요소 각각은 결합될 수도 있고, 검색정보요소 각각이 독립된 형식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요구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의 검색정보요소(153,154)를 부분적인 단위검색정보(153A,154A)로서 출력할 수 있다.
도4a∼도4c 및 도5a∼도5c에서는, 도2의 검색정보(15)에 포함되는 동종의 검색정보요소(153,154) 전부를 사용하여 단위검색정보(153A,154A)를 형성하고 있지만, 일부의 검색정보요소만을 사용하여 단위검색정보를 형성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일부란,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인접하게 된 검색정보요소의 부분집합(전체에서 본 부분집합), 또는 일정 간격으로 픽업한 서브샘플집합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검색정보(15) 및 검색정보요소(152,153,154) 각각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검색정보 및 검색정보요소는 그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검색정보(15)의 나무 구조는 더 많은 수의 계층을 갖는 것이더라도, 반대로 2계층(뿌리 R과 1계층 번째의 1개 이상의 마디 ND만)으로 된 것이라도 된다. 어떠한 형태의 나무 구조라도 좋다. 검색정보요소는 어떤 종류의 것이더라도, 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검색정보로서 수집된 검색정보요소를, 색 빈도정보 등과 같이 나무 구조중의 1개 1개의「잎」에 상당하는 각각의 정보에 대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색 빈도정보 및 대표색 정보 등의 복수의「색」에 관련된 정보를 집합시킨 「색 정보」를 1개의 요소로 하여, 이것을 검색정보요소로 파악하여 단위검색정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색 빈도정보의 각각 또는 대표색 정보의 각각은 나무 구조중의「잎 RF」에 상당하며, 「색 정보」는 그들의 잎 RF를 하위에 가지는 「마디 ND」에 상당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단위검색정보를 형성하는 검색정보요소 각각은, 나무 구조중의「잎 RF」에 대응하는 검색정보의 각각의 세분화된 피스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룹으로 간주될 수 있는 「마디 ND」이하의 세분화된 검색정보의 피스들에 의한 임의의 집합으로 될 수 있다.
이 때, 어떤 마디 ND 이하에 연결된 잎 RF 또는 마디 ND의 임의의 집합(각 마디 ND는 또한 하위의 잎 RF 또는 마디 ND에 연결됨)은, 처음의 마디 ND를 뿌리 R로 파악하여 나무를 형성하고 있고, 이 나무는 원래의 나무에 대하여「부분나무(sub-tree)」라 한다. 즉, 검색정보를 나타내는 나무 구조중의 상기한 「부분 나무」에 대응하는 검색정보의 부분을 검색정보요소로 파악하여 본 실시예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정보관리장치(1) 및 검색정보관리방법에서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에 포함되는 모든 검색정보요소(153,154)를 동일하게 뽑아 내어, 뽑아 내어진 검색정보요소 각각에 대응하는 단위검색정보(153A,154A)의 전부를 병행하여 형성하고, 형성된 모든 단위검색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또는 축적하기 위해, 또는 검색처리에 공급하기 위해서 관리하는 것이지만, 특정 종류의 검색정보요소 만을 뽑아 내어, 뽑아 내어진 특정 종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단위검색정보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검색정보요소 중 색 빈도정보만을 뽑아 내어, 뽑아 내어진 색 빈도정보에 대응하는 단위검색정보만을 형성하여, 단위검색정보 제어부(105)에서 관리한다. 이 경우에는, 도1에 나타낸 검색정보관리장치(1)에 있어서 검색정보 해석부(101),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4) 및 단위검색정보 제어부(105)만이 기능하는 것이므로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3)는 생략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장치(2)에서도 동일하다. 신호적 검색정보 중 특히 색 빈도정보만에 근거하여 검색이 실행되며, 또한 의미적 검색정보가 불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도7의 검색장치(2)의 검색실행부(701),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3) 및 검색정보 제어부(704)만이 기능하는 것이므로, 의미적 단위검색정보유지부(702)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검색정보(15)중의 일부의 의미적 검색정보 요소(153) 또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를 뽑아 내어, 뽑아 내어진 검색정보요소(153) 또는 (154)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단위검색정보(153A) 또는 (154A)를 형성하는 경우, 이들 검색정보요소(153) 또는 (154)가 뽑아 내어진 나머지의 검색정보(15)는, 나무구조를 유지한 채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원래의 검색정보(15)를 나타내고 있는 나무는, 원래의 나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부분적인 나무와 복수의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로 이루어지는 1개 또는 복수의 단위검색정보(153A) 또는 복수의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로 이루어지는 1개 또는 복수의 단위검색정보(154A)로 분해된다. 본 발명에서는, 뽑아 내어진 검색정보요소에서 무엇이 선택되는 가에 따라, 나무 구조를 갖는 원래의 검색정보(15)를 여러 가지의 형태로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검색정보중의 구조정보, 즉 마디 ND 또는 잎 RF의 나무 구조중의 위치정보 등과 검색정보요소의 종별정보, 즉 행동묘사정보(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또는 색 빈도정보(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등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각각 독립된 정보로서 설명하였다. 한편, 검색정보를 구성하는 검색정보요소가 미리 정해져 있고, 나무의 구조가 고정된 것과 같은 검색정보의 경우에는, 검색정보요소 각각의 나무 구조중의 위치가 특정되기 때문에, 구조정보만에 의해서 검색정보요소의 종별을 나타낼 수 있다. 즉, 구조정보와 종별정보는 등가로 된다. 이 경우,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검색정보요소(153,154)에 대응하는공통정보(153B,154B)로서 종별정보를 부가하는 처리는, 대응하는 공통의 구조정보를 부가함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로부터 각종의 검색정보요소를, 즉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및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 각각을 분리하여 뽑아 내어, 뽑아 내어진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로부터는 구조정보(50)를 추출하고, 추출된 구조정보(50)와 동종의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자체 또는 동종의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 자체를 순차로 배열함으로써, 의미적 단위검색정보(153A) 또는 신호적 단위검색정보(154A)를 형성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및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 각각이 미리 검색정보(15)로부터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및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 각각에 대해 그 자체가 아니라 그의 기록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여, 취득된 기록위치정보를 구조정보와 함께 순차로 배열함에 의해 의미적 단위검색정보(153E) 및 신호적 단위검색정보(154E)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정보관리장치(1A) 및 검색장치(2A)에 대해서 제1 실시예와의 다른 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지만, 그들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검색정보관리장치(1) 및 방법, 및 검색장치(2)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정보관리장치(1A)의 개략적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1을 참조하여 나타낸다. 검색정보관리장치(1A)의 기능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는 약간 다르다.
도1을 참조하면 검색정보관리장치(1A)는 검색정보 해석부(101A), 구조적 검색정보분해부(102),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3A),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4A) 및 단위검색정보 제어부(105A)를 포함한다. 검색정보해석부(101A)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를 조사하여 검색정보(15)에 포함되는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는 구조적 검색정보분해부(102)로 출력하고,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및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 각각을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된 검색정보요소(153,154)에 대해서 기록위치정보(153D,154D) 각각을 추출한다. 기록위치정보(153D,154 D) 각각은, 대응하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및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 각각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위치를 나타낸다. 그 후, 단위검색정보(153E,154E) 각각의 형성에 필요한 정보와 함께, 예컨대 검색정보요소의 종별이나 나무 구조중의 계층정보 등과 같은 정보와 함께,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및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의 기록위치정보(153D,154D)를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3A) 및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4A) 각각에 출력한다.
기록위치정보(153D,154D)는, 검색정보(15)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기록 미디어상의 섹터 위치나 비트 부호열중의 비트위치라 하는 물리적인 위치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 파일명이나 데이터 전송시의 채널, 패킷이라고 하는 논리적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기록위치정보(153D,154D)에 의해서 나타내지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및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는, 동화상 컨텐츠 검색 시 등에 필요에 따라 각각 독출되어 이용된다. 이 때문에,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및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 각각은 미리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이 편리하다. 많은 실질적인 서버장치에 있어서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의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및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 각각은 어떠한 형태로 분리되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된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및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 각각에 대한 기록위치를 기록위치정보(153D,154D)로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가 그대로 기록되어 있고, 미리 검색정보요소(152,153,154) 각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검색정보 해석부(101A)에서 검색정보요소(152,153,154)를 분리하여 검색정보요소(1 53,154)를 기록함과 동시에, 그의 기록위치정보(153D,154D)를 생성한다.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에서는, 검색정보 해석부(101A)로부터 구조적 단위검색정보요소(152)를 입력하고, 입력한 검색정보요소(152)로부터 필요 최소한의 구조정보(50)를 뽑아 내어,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3A) 및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4A)에 각각 제공한다.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3A)에서는,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로부터 필요 최소한의 구조정보(50)와 검색정보 해석부(101A)로부터 동종의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각각의 기록위치정보(153D)를 입력하고, 입력한 그들 정보를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의 종별마다, 대응하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의 나무구조에 있어서의 출현순서관계를 유지하면서 배열 함에 의해,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의 기록위치정보(153D)로 이루어지는 의미적 검색정보의 단위검색정보(153E)를 형성한다.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형성부(104A)에서는, 구조적 검색정보 분해부(102)로부터 필요 최소한의 구조정보(50)와 검색정보 해석부(101A)로부터 동종의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 각각의 기록위치정보(154D)를 입력하고, 입력한 그들 정보를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의 종별마다, 대응하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의 나무구조에 있어서의 출현순서관계를 유지하면서 배열 함에 의해,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의 기록위치정보(154D)로 이루어지는 신호적 검색정보의 단위검색정보(154E)를 형성한다.
도8a∼도8d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미적 단위검색정보(153E)와 신호적 단위검색정보(154E)가 예시된다. 도8a와 도8b에서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로서 신 각각의 정경묘사정보와 쇼트 각각의 등장인물정보를 예시하고, 도8c와 도8d에서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로서 신 각각의 대표 색정보와 쇼트 각각의 움직임 강도정보를 예시하고 있다.
도8a∼도8d와 도4a∼도4c 및 도5a∼도5c를 비교하여도 분명한 바와 같이, 단위검색정보를 구성하는 요소가 검색정보요소(153,154) 자체로부터기록위치정보(153D,154D)로 대체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본 실시예에서 형성되는 단위검색정보(153E,154E)와 제1 실시예에서 형성된 단위검색정보(153A,154A)는 동일하다.
따라서, 취급하는 공통정보의 종별, 추출방법 등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것이 본 실시예에서도 적용된다. 이렇게 하여, 제1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본 실시예에서도 얻어진다.
단위검색정보 제어부(105A)는, 처리부(16)에 접속되어, 예컨대 처리부(16)가 전송부인 경우, 전송지로부터의 요구 등에 따라 대응하는 단위검색정보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단위검색정보 제어부(105A)에서는, 이미 전송된 단위검색정보에 포함되는 의미적 또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3) 또는 (154)의 기록위치정보(153D) 또는 (154D)에 기초한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기록위치정보(153D) 또는 (154D)에서 나타내는 의미적 또는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3) 또는 (154)를 뽑아 내어 요구대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구조적 검색정보요소(152)로부터 뽑아 내어져 사용되는 각종의 구조정보(50)에 대해서도, 구조정보(50)의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상기한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 및 신호적 검색정보요소(154)와 같이 기록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기록위치정보를 사용하여 단위검색정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이 경우, 구조정보(50)의 기록위치정보 및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의 기록위치정보(153D)에서 의미적 단위검색정보가 형성되어, 구조정보(50)의 기록위치정보 및 신호적 검색정보요소의 기록위치정보(154D)에서 신호적 단위검색정보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장치(2A)의 개략적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7을 이용하여 나타내진다. 단, 검색장치(2A)의 기능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것과는 약간 다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장치(2A)는 검색실행부(701A),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A),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3A) 및 검색정보제어부(704A)를 구비한다.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A) 및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3A)는 각각, 단위검색정보(153E,154E) 각각을 유지하는 것에 더하여, 이미 얻어진 단위검색정보(153E,154E) 각각에 포함되는 기록위치정보(153D,154D) 각각에 근거하여 취득되는 검색정보요소(153,154) 각각을, 1회의 검색 실행마다 일시적으로, 또는 검색의 실행기간에 걸쳐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검색실행부(701A)는, 검색자(18)로부터 입력되는 검색 요구에 따라서,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A) 및 신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3A)에 유지되어 있는 각종의 검색정보요소의 1개 또는 복수의 임의의 조합을 선택하여, 선택된 조합에 따른 검색정보요소를 취득하여, 취득한 1개 이상의 검색정보요소를 사용하여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을 실행한다.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A,703A) 각각에서의 검색정보요소의 유지가 1회의 검색실행마다 파기된다고 하는 일시적인 것인 경우에는, 검색실행부(701A)는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A,703A)에 대하여, 검색정보요소의 요구가 아니라,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검색정보의 요구에 의해 검색을 개시한다.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의미적 단위검색정보(153E)를 요구하는 것으로서 개시되는 검색을 예로 하고 있지만, 신호적 단위검색정보(154E)를 요구한 경우에도, 의미적 단위검색정보(153E)와 신호적 단위검색정보(154E)를 요구한 경우에도 동일하다.
선택된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가 대응하는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A)에 유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검색실행부(701A)는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A)에 대하여, 대응하는 단위검색정보(153E)를 요구한다.
요구한 단위검색정보(153E)를, 대응하는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A)에서 취득할 수 있는 경우에, 검색실행부(701A)는, 검색정보제어부(704A)에 검색정보요소의 취득요구와 함께 취득한 단위검색정보(153E)를 제공한다. 검색정보제어부(704A)는, 제공된 단위검색정보(153E)에 포함되는 기록위치정보(153D)에 따라서, 전송부 또는 축적부(19)로부터 대응하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를 취득하고, 취득된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를 대응하는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A)에 저장한다. 검색실행부(701A)는, 이렇게 하여 얻어진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를 사용하여 검색을 실행한다.
요구한 단위검색정보(153E)가 대응하는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A)에 유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 검색실행부(701A)는, 먼저 검색정보제어부(704A)에 그의 단위검색정보(153E)의 취득요구를 보낸다. 검색정보제어부(704A)는 이 취득요구를 입력하면, 입력한 취득요구에 따라 전송부 또는 축적부(19)로부터 대응하는 단위검색정보(153E)를 취득하고, 취득한단위검색정보(153E)를 대응하는 의미적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A)에 저장한다. 다음에, 검색실행부(701A)는, 검색정보제어부(704A)에 검색정보요소의 취득요구와 함께 취득된 단위검색정보(153E)를 제공한다. 검색정보제어부(704A)는, 제공된 단위검색정보(153E)에 포함되는 기록위치정보(153D)에 따라서, 전송부 또는 축적부(19)로부터 대응하는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를 취득하여, 취득한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를 대응하는 단위검색정보 유지부(702A)에 저장한다. 검색실행부(701A)는, 이렇게 하여 얻어진 의미적 검색정보요소(153)를 사용하여 동화상 컨텐츠(전송부 또는 축적부(19)에 의해 준비되어 있는 동화상 컨텐츠의 데이터)의 검색을 실행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검색장치(2A)와 제1 실시예의 검색장치(2)를 비교하여 다른 점은, 검색정보의 취득에 대해서, 단위검색정보로부터 검색정보요소의 기록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기록위치정보로부터 대응하는 검색정보요소를 취득하는 2단계의 취득을 행하는 점에 있다. 그 이외의 처리는 양자에 있어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본 실시예에서도 얻어진다.
각종의 검색정보요소 자체로 이루어지는 단위검색정보에 비교하여, 기록위치정보만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검색정보에 의하면, 기록해야 할 신호량이 적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기억 용량이 작은 휴대형 정보단말등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사용하여 검색자가 검색을 실행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단위검색정보만을 클라이언트 단말에 계속적으로 유지하여, 검색실행 시에 필요한검색정보요소만을 단위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장치(도7의 전송부 또는 축적부(19)에 상당함)로부터 취득하는 검색방식이 효과적이다. 이 서버장치에는 동화상 컨텐츠의 데이터 및 미리 검색정보요소로 분리되어 있는 검색정보(15)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외부에서의 요구에 따라서, 동화상 컨텐츠의 데이터 또는 검색정보(15)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요구대로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어떠한 검색정보가 서버장치 상에 존재하는 가를 단위검색정보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어서, 필요한 검색정보만을 전송하게 됨으로써 검색의 실행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단위검색정보가 전송부 또는 축적부(19)를 통해 취득되는 타이밍은 검색자(18)의 요구에 의한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검색의 개시 시에, 각종의 단위검색정보만을 클라이언트 단말이 자동적으로 취득하는 등으로 할 수 있다. 단위검색정보의 취득 또는 파기의 타이밍에 관한 제한은 없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단위검색정보 및 단위검색정보중의 기록위치정보에 따라서 취득되는 검색정보요소의 유지기간을, 1회의 검색실행마다 파기하는 일시적인 것인가, 또는 검색의 실행기간에 걸쳐 계속적인 것인가로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어떤 일정기간 유지하여, 일정기간 내에 액세스가 없으면 파기한다고 하는 관리를 행할 수도 있다. 검색정보요소의 유지기간에 관한 제한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검색장치에서는, 형성된 단위검색정보에 따라서검색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는, 얻어진 단위검색정보로부터 원래의 나무 구조의 검색정보(그의 일부분)를 복원하고, 그 복원된 나무 구조의 검색정보에 따라서 검색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검색정보관리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검색정보의 각각은, 구조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부터, 구조정보(구조화정보)를 이용하여 원래의 나무 구조를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단위검색정보에 포함되는 구조정보로부터 나무 구조중의 위치정보를 구하여, 이 위치정보에 나타내진 나무 구조중의 위치에 단위검색정보중의 대응하는 기록위치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검색정보요소를 취득하여 잎 RF로서 접속함으로써, 나무 구조가 복원된다. 이 단위검색정보로부터 나무 구조로의 복원은, 검색에 이용하는 것 이외에, 전송로가 좁은 네트워크등으로 검색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전송하는 경우에 나무를 작은 피스들로 분해하여 분해한 각각을 전송지(다른 사람)에 보내어, 수신한 측(다른 사람)에서 나무를 복원하여 검색정보로서 관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제3 실시예)
도9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정보관리장치(1B)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검색정보관리장치(1B)는 분할선택부(901), 제1 검색정보 분할부(902), 제2 검색정보 분할부(903) 및 단위검색정보 제어부(904)를 포함한다. 분할선택부(901)에서는, 동화상 컨텐츠에 대해서 소망하는 검색의 실행형태가, 온라인 검색인지, 또는 오프라인 검색인지 등의 검색의 실행형태가 지정된다. 지정된 검색의 실행형태에 따라서 검색정보(15)의 분할방식, 즉 분할에 의해 얻어지는 단위검색정보의 형식이 선택된다. 검색정보(15)는, 예컨대 도2에 예시한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로 한다.
오프라인 검색이 지정되어, 검색정보(15)의 분할방식으로서 검색정보요소의 종별에 주목한 단위검색정보가 선택되면, 분할선택부(901)는, 제1 검색정보 분할부(902)에 검색정보(15)의 분할을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온라인 검색이 지정되어, 검색정보(15)의 분할방식으로서 시간적인 단락으로 이루어지는 단위검색정보가 선택되면, 분할선택부(901)는, 제2 검색정보 분할부(903)에 검색정보(15)의 분할을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오프라인 검색과 온라인 검색이 동시에 행하여지는 것과 같은 특수한 케이스에서는, 분할선택부(901)는 제1 및 제2 검색정보 분할부(902,903)에 검색정보(15)의 분할(단위검색정보의 형성)을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제1 검색정보 분할부(902)에서는, 검색정보(15)를 입력하고,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검색정보요소의 종별에 주목한 검색정보(15)의 분할을 실행하여, 도4a∼도4c, 도5a∼도5c 및 도8a∼도8d에 나타낸 검색정보의 종별에 주목한 단위검색정보(153A,153E) 및 (154A,154E)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제2 검색정보 분할부(903)에서는, 검색정보(15)를 입력하여, 도13a∼도13d 또는 도14에 나타낸 시간적인 단락을 단위로 한 분할을 실행하여, 시간적인 단락에 따르는 단위검색정보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단위검색정보 제어부(904)는, 처리부(16)에 접속되어, 제1 검색정보분할부(902)에 의해 형성된 검색정보요소의 종별에 주목한 단위검색정보 및 제2 검색정보 분할부(903)에 의해 형성된 시간적 단락 단위의 단위검색정보 중어느 하나, 또는 양쪽을, 처리부(16)의 요구에 따라 선택하여, 선택된 정보를 요구대로 출력한다.
분할선택부(901)를 제공함에 의해,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의 실행형태에 따른 적절한 검색정보의 제어(단위검색정보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Claims (24)

  1.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를 소단위의 검색정보(153A,154A)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1)로서,
    상기 검색정보를,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 검색정보(l52),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153), 및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154)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분리수단(101),
    상기 분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구조적 검색정보를 분해하여, 분해 후의 상기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상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상기 신호적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에 대응하는 정보를 구조정보(50)로서 추출하는 구조정보 추출수단(102), 및
    상기 분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상기 신호적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에, 상기 구조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대응하는 상기 구조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단위검색정보 형성수단(103,104)을 포함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2.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를 소단위의 검색정보(153A,154A)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1)로서,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상기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RF) 또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가지(ND) 및 상기 가지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가지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분리하여 뽑아 내는 분리수단(101),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뽑아 내어진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50)를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추출하는 구조정보 추출수단(102), 및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뽑아 내어진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와 상기 구조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대응하는 상기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에 따라 배열함에 의해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단위검색정보 형성수단(103,104)을 포함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뽑아 내어진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는,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154)에 대응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뽑아 내어진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는,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153)에 대응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형식은,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뽑아 내어진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및 상기 구조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대응하는 상기 구조정보를, 상기 나무 구조중의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각각의 출현순서에 따라서 배열하는 것을 나타내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구조정보를,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뽑아 내어진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공통하는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공통하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구조정보와, 상기 공통구조 이외의 비공통 구조정보로 분리하고,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뽑아 내어진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배열에 더하여, 대응하는 상기 공통 구조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비공통 구조정보의 각각을 배열함에 의해 형성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7.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153E,154E)를 형성하여 관리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1A)로서,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상기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RF) 또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마디(ND)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검색정보요소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위치정보(153D,154D)를 추출하는 기록위치정보 추출수단(101A),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50)를 추출하는 구조정보 추출수단(102), 및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기록위치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기록위치정보 및 상기 구조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에 따라서 배열함에 의해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단위검색정보 형성수단(103A,104A)을 포함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는,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154)에 대응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는,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153)에 대응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형식은, 상기 기록위치정보의 각각을, 대응하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각각의 상기 나무 구조중의 출현순서에 따라서 배열하는 것을 나타내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구조정보를, 상기 1 또는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공통하는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공통하는 상기 구조중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구조정보와, 상기 공통 구조정보 이외의 비공통 구조정보로 분리하고,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기록위치정보의 배열에 더하여, 대응하는 상기 공통 구조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비공통 구조정보의 각각을 배열함에 의해 형성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12.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를 소단위의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1B)로서,
    상기 검색정보를,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 검색정보,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 및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분할에 의해 얻어진 상기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상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상기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구조정보로서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구조정보를 분할에 의해 얻어진 상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상기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에 부가하여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제1 검색정보 분할수단(902),
    상기 검색정보를, 상기 나무 구조에 근거하는 시간적인 단락에 따라서 분할하여, 분할 후의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제2 검색정보 분할수단(903), 및
    소망하는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검색정보를, 상기 제1 검색정보 분할수단 및 상기 제2 검색정보 분할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해 분할하는 가를 선택하는 분할선택수단(901)을 포함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13.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를 소단위의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1B)로서,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상기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RF) 또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가지(ND) 및 상기 가지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가지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분리하여 뽑아 내어, 뽑아 내어진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추출하여, 뽑아 내어진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와 추출된 대응하는 상기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에 따라서 배열함에 의해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제1 형성수단(902),
    상기 검색정보를 상기 나무 구조에 근거하는 시간적인 단락에 따라서 분할하여, 분할 후의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제2 형성수단(9O3), 및
    소망하는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상기 제 1 형성수단 및 상기 제2 형성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해 형성하는 가를 선택하는 선택수단(9O1)을 포함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14.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를 소단위의 검색정보(153A,154A)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검색정보 관리방법으로서,
    상기 검색정보를,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 검색정보(152),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153), 및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154)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분리공정,
    상기 분리공정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구조적 검색정보를 분해하여, 분해 후의 상기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상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상기 신호적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에 대응하는 정보를 구조정보(50)로서 추출하는 구조정보 추출공정, 및
    상기 분리공정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상기 신호적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에, 상기 구조정보 추출공정에 의해 추출된 대응하는 상기 구조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단위검색정보 형성공정을 포함하는 검색정보 관리방법.
  15.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를 소단위의 검색정보(153A,154A)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검색정보 관리방법으로서,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상기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RF) 또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가지(ND) 및 상기 가지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가지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분리하여 뽑아내는 분리공정,
    상기 분리공정에 의해 뽑아 내어진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50)를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추출하는 구조정보 추출공정, 및
    상기 분리공정에 의해 뽑아 내어진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와 상기 구조정보 추출공정에 의해 추출된 대응하는 상기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에 따라 배열함에 의해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단위검색정보 형성공정을 포함하는 검색정보 관리방법.
  16.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153E,154E)를 형성하여 관리하는 검색정보 관리방법으로서,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상기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RF) 또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가지(ND) 및 상기 가지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가지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검색정보요소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낸 기록위치정보(153D,154D)를 추출하는 기록위치정보 추출공정,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50)를 추출하는 구조정보 추출공정, 및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기록위치정보 추출공정에 의해 추출된 상기 기록위치정보 및 상기 구조정보 추출공정에 의해 추출된 상기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에 따라서 배열함에 의해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단위검색정보 형성공정을 포함하는 검색정보 관리방법.
  17.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를 소단위의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검색정보 관리방법으로서,
    상기 검색정보를,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 검색정보,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 및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분할에 의해 얻어진 상기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상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상기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구조정보로서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구조정보를 분할에 의해 얻어진 상기 의미적 검색정보 및 상기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에 부가하여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제1 검색정보 분할공정,
    상기 검색정보를, 상기 나무 구조에 근거하는 시간적인 단락에 따라서 분할하여, 분할 후의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제2 검색정보 분할공정, 및
    소망하는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검색정보를, 상기 제1 검색정보 분할공정 및 상기 제2 검색정보 분할공정 중 어느 것에 의해 분할하는 가를 선택하는 분할선택공정을 포함하는 검색정보 관리방법.
  18.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를 소단위의 검색정보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검색정보 관리방법으로서,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상기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RF) 또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가지(ND) 및 상기 가지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가지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분리하여 뽑아내어, 뽑아 내어진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추출하여, 뽑아 내어진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와 추출된 대응하는 상기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에 따라서 배열함에 의해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제1 형성공정,
    상기 검색정보를 상기 나무 구조에 근거하는 시간적인 단락에 따라서 분할하여, 분할 후의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형성하는 제2 형성공정, 및
    소망하는 검색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상기 제1 형성공정 및 상기 제2 형성공정 중 어느 것에 의해 형성하는 가를 선택하는 선택공정을 포함하는 검색정보 관리방법.
  19.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분할함에 의해 얻어진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따라서 검색을 실행하는 검색장치(2)로서,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 및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형성된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이고, 또한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얻어지는 구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수단, 및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을 실행하는 검색실행수단을 포함하는 검색장치.
  20.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를 분할한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따라서 검색을 실행하는 검색장치(2)로서,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분리하여 뽑아 내어진,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상기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가지 및 상기 가지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가지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및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 형식으로 배열함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수단, 및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을 실행하는 검색실행수단을 포함하는 검색장치.
  21.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15)로 형성된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따라서 검색을 실행하는 검색장치(2)로서,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상기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검색정보요소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위치정보와,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추출된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배열함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유지하는 제1 유지수단,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유지하는 제2 유지수단, 및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 및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검색을 실행하는 검색실행수단을 포함하는 검색장치.
  22.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분할함에 의해 얻어진 소단위의 검색정보로부터 상기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로서,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의미 내용에 있어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의미적 검색정보, 및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신호상의 물리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으로부터 형성된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 중 적어도 1개이며,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 검색정보로부터 얻어지는 구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구조정보로부터,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의미적 검색정보 또는 상기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위치를 구하는 위치산출수단, 및
    상기 위치산출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나무 구조중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의미적 검색정보 또는 상기 신호적 검색정보의 각각을 접속함에 의해, 상기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하는 복원수단을 포함하는 검색정보관리장치.
  23.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를 분할한 소단위의 검색정보로부터 상기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로서,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분리하여 뽑아 내어진,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상기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 및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에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 형식으로 배열함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구조정보로부터,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위치를 구하는 위치산출수단, 및
    상기 위치산출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나무 구조중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을 잎 또는 부분 나무로서 접속함에 의해, 상기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하는 복원수단을 포함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24. 동화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로부터 형성된 소단위의 검색정보에서 상기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로서,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는,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동종의 요소이고, 상기 나무 구조중의 1 또는 복수의 잎 또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마디 및 상기 마디 이하에 연결된 잎 또는 마디의 임의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1 또는 복수의 부분 나무에 의해 제공되는,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해, 상기 검색정보요소가 기록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기록위치정보와, 상기 검색정보로부터 추출된 대응하는 구조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배열함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구조정보로부터,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기록위치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나무 구조중의 위치를 구하는 위치산출수단,
    상기 소단위의 검색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기록위치정보에 따라서 대응하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취득하는 검색정보요소 취득수단, 및
    상기 위치산출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나무 구조중의 위치에, 상기 검색정보요소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대응하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검색정보요소를 접속함에 의해, 상기 나무 구조를 갖는 검색정보의 일부를 복원하는 복원수단을 포함하는 검색정보 관리장치.
KR10-2003-7005481A 2000-10-20 2001-10-18 동화상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는 검색장치 KR100532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20185 2000-10-20
JPJP-P-2000-00320185 2000-10-20
JP2001104010 2001-04-03
JPJP-P-2001-00104010 2001-04-03
PCT/JP2001/009161 WO2002033589A1 (fr) 2000-10-20 2001-10-18 Appareil de gestion d'informations de recherche de contenu d'image dynam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442A true KR20030048442A (ko) 2003-06-19
KR100532558B1 KR100532558B1 (ko) 2005-12-01

Family

ID=2660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481A KR100532558B1 (ko) 2000-10-20 2001-10-18 동화상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는 검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31773B2 (ko)
EP (3) EP1619596A3 (ko)
JP (1) JP4309127B2 (ko)
KR (1) KR100532558B1 (ko)
CN (1) CN1312616C (ko)
WO (1) WO2002033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3341A1 (ja) * 2002-09-03 2004-03-18 Fujitsu Limited 検索処理システム、その検索サーバ、クライアント、検索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065627B2 (en) * 2003-09-30 2011-1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ingle pass automatic photo album page layout
JPWO2006035813A1 (ja) * 2004-09-30 2008-07-31 シャープ株式会社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復号装置、復号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644356B2 (en) * 2005-06-10 2010-01-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straint-based albuming of graphic elements
JP2007156893A (ja) * 2005-12-06 2007-06-2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メタデータ管理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メタデータ管理方法
JP5121146B2 (ja) * 2006-02-22 2013-01-16 株式会社東芝 構造化文書管理装置、構造化文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構造化文書管理方法
GB0607763D0 (en) * 2006-04-20 2006-05-31 Ibm Capturing image data
US9077949B2 (en) * 2008-11-07 2015-07-07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Hokkaido University Content search device and program that computes correlations among different features
US8880468B2 (en) * 2010-07-06 2014-11-04 Nicira, Inc. Secondary storage architecture for a network control system that utilizes a primary network information base
US9680750B2 (en) 2010-07-06 2017-06-13 Nicira, Inc. Use of tunnels to hide network address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7129A (ja) 1985-05-22 1986-11-26 Hitachi Ltd 階層木構造型デ−タの蓄積・検索方式
JPH08110912A (ja) * 1994-10-07 1996-04-30 Canon Inc 動画検索装置および動画検索方法
JP3426876B2 (ja) 1996-09-27 2003-07-14 三洋電機株式会社 映像関連情報生成装置
US5963203A (en) * 1997-07-03 1999-10-05 Obvious Technology, Inc. Interactive video icon with designated viewing position
JPH10257436A (ja) 1997-03-10 1998-09-25 Atsushi Matsushita 動画像の自動階層構造化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ブラウジング方法
JP3208116B2 (ja) * 1998-02-03 2001-09-10 株式会社次世代情報放送システム研究所 映像インデックス情報を記録した記録媒体、映像インデックス情報を用いた映像情報管理方法、音声インデックス情報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音声インデックス情報を用いた音声情報管理方法
JP3307613B2 (ja) * 1998-09-03 2002-07-24 株式会社次世代情報放送システム研究所 映像検索システム
JP2000224257A (ja) 1999-01-29 2000-08-11 Jisedai Joho Hoso System Kenkyusho:Kk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31773B2 (en) 2012-03-06
CN1312616C (zh) 2007-04-25
WO2002033589A1 (fr) 2002-04-25
EP2273388A1 (en) 2011-01-12
CN1470027A (zh) 2004-01-21
EP1335302A4 (en) 2005-02-02
KR100532558B1 (ko) 2005-12-01
EP1619596A2 (en) 2006-01-25
EP1335302A1 (en) 2003-08-13
JP4309127B2 (ja) 2009-08-05
EP1619596A3 (en) 2006-05-24
US20040054668A1 (en) 2004-03-18
JPWO2002033589A1 (ja)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4764B2 (ja) 内容ベースで映像を検索する検索システム及び検索方法
KR100918725B1 (ko) 메타데이터 재생성 조건 설정 장치
US7181757B1 (en) Video summary description scheme and method and system of video summary description data generation for efficient overview and browsing
CN1682217B (zh) 媒体资料合成
JP2001028722A (ja) 動画像管理装置及び動画像管理システム
KR100532558B1 (ko) 동화상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및 검색정보를 이용하는 검색장치
EP1222634A4 (en) DESCRIPTION OF A VIDEO ABSTRACT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DATA DESCRIBED ABOVE FOR A DETAILED AND GENERAL OVERVIEW
JP4592171B2 (ja) 検索情報生成装置
KR100771055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704755A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景点推荐方法
JP2008086030A (ja) ヒント情報記述方法
CN101132528A (zh) 元数据再生、分发、检索装置、元数据再生成条件设定装置
KR100690945B1 (ko) 동화상 콘텐츠 검색 정보 관리 장치
KR102281266B1 (ko) 영상 내 자막 키워드 추출 및 순위 산정 시스템 및 방법
JP2011041164A (ja) 映像要約方法および映像要約プログラム
CN107544963A (zh) 多媒体文件存储方法及装置
JPH11134361A (ja) 情報提示装置および情報提示方法
KR100362380B1 (ko) 엑스엠엘 기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작 및 검색 장치와 그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생성 방법
JP3690313B2 (ja) 動画像管理装置、情報入力方法および動画像検索方法
JPH09288679A (ja) 木構造コンテンツ検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