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8069A - 역청 가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역청 가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8069A
KR20030048069A KR10-2003-7005615A KR20037005615A KR20030048069A KR 20030048069 A KR20030048069 A KR 20030048069A KR 20037005615 A KR20037005615 A KR 20037005615A KR 20030048069 A KR20030048069 A KR 20030048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ulcanizing agent
bitumen
weight
sulfur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480B1 (ko
Inventor
안드리올로파트리지오
Original Assignee
아토피나 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토피나 리서치 filed Critical 아토피나 리서치
Publication of KR20030048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9/00Compositions of rub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7/00 - C08L1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08Homopolymers or copolymers according to C08L7/00 - C08L21/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Working-Up Tar And Pitch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 물질 및 결합제를 포함하며 펠릿 형태로 존재하는, 역청을 가황하기 위한 가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역청과 탄성중합체 및 본 발명의 가황제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역청 가황 조성물{BITUMEN VULCANISING COMPOSITION}
탄성중합체를 역청에 첨가하여 유용한 도로 포장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오랫동안 공지되어 있었다. 탄성중합체는 가압 하에(예컨대, 차량이 지나갈 경우) 조성물이 변형되도록 한 다음 그 원상태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도로 표면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상기 조성물에 황 또는 황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여 가교가 일어나게 함으로써 추가로 강화시키는 방법 역시 오랫동안 공지되어 있었다. 이러한 가교를 가황이라 부른다.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두 단계, 즉 탄성중합체를 역청에 첨가하여 완전히 분산시키는 단계, 그 후 가황제를 첨가하여 가교가 일어나도록 하는 단계로 수행된다. WO 98/47966, WO 92/11321, WO 90/02776, WO 93/18092 및 WO 96/15193을 비롯하여 다수의 특허 출원공개 공보에 이러한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 공개 공보 EP 424 420에는 상기 유형의 특정한 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두 단계로 수행되는 역청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140∼180℃ 정도의 온도에서 탄성중합체(SBS)를 역청에 분산시킨다. SBS가 역청에 완전히 분산되면 황, 황 공여체 및 기타 첨가제를 비롯한 가황제를 첨가한다. 이 혼합물을 140∼180℃의 온도에서 100∼150분간 진탕시켜서 최종 조성물을 형성한다.
보다 최근에는,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공보 FR 2 737 216에 역청으로부터 포장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대안의 1 단계 방법이 소개되었다. 이 방법은 즉시 사용 가능한 예비 혼합물을 이용하는데, 이 예비 혼합물은 분말 형태의 SBS 및 분말 형태의 가교제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예비 혼합물 자체는 분말 상태이다.
상기한 모든 방법에는 여러 가지의 단점이 있다. 상기 2 단계 방법은 시간 소모가 많고 다수의 상이한 성분들을 개별적으로 보관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탄성중합체와 가교제는 분말 형태이며, 개별적으로 첨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들의 비율은 포장용 조성물의 제조시에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은 실수하기가 쉬워서, 낭비되는 양이 발생하여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1 단계 방법은 상기 문제점 중 일부를 극복하지만 그 자체가 다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예비 혼합물은 분말 형태로 존재하며, 1 이상의 성분으로 구성되므로 혼합이 필요하다. 분말은 화재와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는 특히 황 및 황 함유 화합물의 경우 심각하다. 뿐만 아니라 분말은 보관이 까다롭고, 덩어리지고 뭉치기 쉬워서 가공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역청을 가황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역청은, 예컨대 도로 포장시 포장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역청및 탄성중합체와 혼합될 경우 안정성과 노화 특성이 개선된 조성물을 산출하는 가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가황 조성물 및 도로 포장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포장용 조성물 그 자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선행 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선된 안정성, 보관성 및 노화 특성을 지니고,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성물의 양의 조절이 보다 양호한 최종 포장용 조성물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사용이 보다 안전하고 쉬운 가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황 물질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역청을 가황하기 위한 가황제를 제공하는데, 상기 가황제는 펠릿 형태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황 물질은 결합제를 사용하여 분산시킨다. 펠릿이란 함께 모여서 더 큰 응집체를 형성하는 미립질을 포함하는 생성물을 말한다. 이러한 응집체는, 유독한 분말 형태가 아니라면 형태 또는 크기에 의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가황제의 압출 또는 압축에 의해 형성된 압출물, 태블릿(tablet) 또는 필(pil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말이 가지고 있는 위험요인을 피하면서, 탄성중합체 및 역청을 함유하는 도로 포장제를 제조하는 1 단계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펠릿화된 가황제를 제공한다. 1 단계 방법이란 원한다면 탄성중합체와 가황제를 함께 역청에 첨가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한다. 2 단계 방법은 가황제를 첨가하기 전에 탄성중합체와 역청을 완전히 분산시킬 것을 요한다. 본 발명의 가황제는 놀랍게도 상기한 이점 외에도 포장용 조성물의 노화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여러 양태에 대해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가황제는 결합제 및 황 물질을 포함하며, 그 비율은, 결합제가 펠릿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구체예에서, 가황제는 20 중량% 이상의 결합제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황제는 20∼90 중량%의 결합제 및 10∼80 중량%의 황 물질을 포함한다. 가황제는 또한 0∼30 중량%의 추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황 물질은 10∼100 중량%의 황 원소와 0∼90 중량%의 황 함유 화합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황 물질은 황 공여체, 예컨대 아연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ZDBC) 또는 아연 머캡토벤조티아졸(ZMBT) 또는 설핀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황 함유 화합물 및 황 공여체는 스웨덴의 고무 기술 협회에서 발행한 [Rubber Handbook]에서 찾아볼 수 있다.
결합제는 황 물질을 펠릿화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결합제는 가공 용이성을 위하여 융점(및/또는 연화점)이 황의 융점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결합제는 왁스, 탄화수소 수지, 에틸렌과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결합제로는 폴리에틸렌(PE),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GMS), 에틸 비닐 알코올(EVA) 및 에틸렌과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가황제는 황 원소이며, 특히 바람직한 결합제는 EVA이다.
가황제는 추가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혼합을 개선시키고/개선시키거나 가공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들은 표면의 질, 특히 도로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첨가제로는 점착성 부여제, 탄성중합체, 역청, 산화아연 및/또는 스테아르산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가황제의 펠릿을 형성하기 위하여 황 물질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a) 결합제를 사용하여 황 물질을 압출시키는 단계; 또는 (b) 결합제를 사용하여 황 물질을 압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황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표준 압축 또는 압출 방법으로서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표준 가공 기법 및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황은 119℃ 부근에서 용융되기 때문에 이 방법은 110℃ 이하의 온도에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황 물질의 융점이 대체적으로 상기한 온도보다 더 높다면 더 높은 온도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역청을 탄성중합체 및 상기한 바와 같은 가황제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이 방법은 100℃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120∼20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탄성중합체와 가황제를 거의 동시에 역청에 첨가하는 1 단계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1∼15 중량부의 탄성중합체와 85∼99 중량부의 역청을 함께 사용한다. 역청과 탄성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의 가황제를 사용한다.
탄성 중합체는 포장용 조성물에 요구되는 특질을 보유하고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탄성중합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무계 중합체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탄성중합체는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SBS), 수소화된 SBS, 스티렌 이소프렌 스티렌(SIS),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SEBS) 및/또는 폴리이소부타디엔(PI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포장용 조성물은 개선된 노화 특성 및 안정성을 지니며, 도로, 포장도로 또는 트랙, 또는 기타 차량용 표면을 제조 및/또는 복구하는 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포장용 조성물은 이들이 사용될 곳으로 운송하기 직전에 제조된다. 일단 제조되면, 이들은 역청이 응고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180℃ 부근의 온도에서 최대 3일간 보관된다. 따라서, 고온에서의 안정성은 이러한 조성물에 있어서 중요한 점이며, 조성물이 가능한 한 상 분리가 적게 일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포장용 조성물은 링 및 볼 테스트(ring and ball test)(후술함)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의 조성물에 비해 특히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을 하기 특정 구체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들 구체예는 단지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 사용된 역청은 25℃에서의 침투성이 87인 베네수엘라산 역청(역청 A) 및 25℃에서의 침투성이 74인 중동산 역청(역청 B)이었다. 그 밖에도 5종의 중국산 역청을 테스트하였다. 이들의 25℃에서의 침투성 값은 SH1, SH2, SH3 및 SH4에 대하여 각각 75, 58, 78, 83이다. 침투성 테스트는 산업 현장에서 이용되는 널리 공지된 표준 테스트이며, 이 테스트에서는 역청에 바늘이 관통되는 깊이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표준 테스트 ASTM D-5-73의 수정법 95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상기한 모든 역청은 실험실 테스트용으로 사용하였다.
실험실 테스트에 사용된 탄성중합체는 Finaprene(등록상표명)503 (SBS -31/69 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중합체)이었다. 산업용 도로 조성물에 사용된 탄성중합체는 Finaprene(등록상표명)503 (SBS - 선형의 31/69 중량% 스티렌/부타디엔 중합체), Finaprene(등록상표명)401 (방사형의 저분자량의 20/80 중량% 스티렌/부타디엔 중합체) 및 Finaprene(등록상표명)411X (방사형의 고분자량의 30/70 중량%스티렌/부타디엔 중합체)였다.
가황제는
(a) 황 분말,
(b) 압출에 의해 제조된 70/30 중량%의 황/EVA 펠릿; 또는
(c) 압축에 의에 제조된 70/30 중량%의 (80/20 중량% 황/ZDBC)/EVA 펠릿;
(d) 압출에 의에 제조된 30/62/3/3/2 중량%의 EVA/황/ZDBC/ZMBT/PIB 펠릿;
중 하나로 구성된 것이었다.
실시예 1
이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이다.
역청 A를 180℃로 가열하고, 역청과 탄성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Finaprene(등록상표명) 503 3 중량%를 펠릿 형태로 첨가하고, 동시에 펠릿 형태의 가황제 0.1 중량%를 첨가하였다. 20분 후 혼합물은 균질해졌다. 보관 안정성은 우수하였으며(상 분리가 없었음), 가황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이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이다.
역청 B를 180℃로 가열하고, 역청과 탄성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Finaprene(등록상표명) 503 5 중량%를 펠릿 형태로 첨가하고, 동시에 펠릿 형태의 가황제(b) 0.1 중량%를 첨가하였다. 120분 후 혼합물은 균질해졌다. 보관 안정성은 우수하였으며(상 분리가 없었음), 가황화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이는 FR 2 737 216의 방법을 이용한 비교예이다.
역청 B를 180℃로 가열하고, 역청과 탄성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Finaprene(등록상표명) 503 5 중량%를 분말 형태로 첨가하고, 동시에 펠릿 형태의 가황제(a) 0.1 중량%를 첨가하였다. 120분 후 혼합물은 균질해졌다. 보관 안정성은 실시예 1 및 2보다 좋지 않았다.
링 및 볼 방법을 이용하는 안정성과 노화 테스트
실시예 2와 비교예 3의 생성물을 안정성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링 및 볼 방법(ASTM-D36)으로부터 개발한 내부 표준 방법을 이용하였다. 포장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링 위에 코팅한 다음, 링를 고온의 오일에 침지시킨다. 조성물이 링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온도를 기록한다. 이 조성물을 고온에서 3일간 보관한 후에 상기 방법을 반복한다. 안정성이 우수하다면 이 조성물은 점착성을 유지할 것이며, 온도는 이상적으로는 가능한 한 처음 측정된 온도와 가깝게 유지될 것이다. 온도 감소 정도가 클수록 조성물의 안정성은 떨어지며 노화 특성은 불량해진다.
실시예 2 및 3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제시한다.
혼합 시간/분 온도 감소 정도/℃
실시예 2 실시예 3
120 7 10
180 5 10
상기 표 1은, 혼합 시간이 2시간 및 3시간인 경우, 가장 유사한 선행 기술 조성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의 온도 감소 정도가 더 적음을 나타낸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노화 특성 및 안정성이 개선되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실시예 4∼7
이들 실시예에서는, 중국산 역청 SH1, SH2, SH3 및 SH4, 상이한 양의 다양한 탄성중합체와, 선택적으로 다양한 양의 비중이 큰(heavy) 푸르푸롤 추출물로부터 몇종의 포장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펠릿 형태의 가황제(d) 0.1 중량%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비교예는 가황제 없이 제조하였다. 이들 조성물 및 결과에 대해서는 표 2∼5에 기재하였다. 이들 실시예에서는 표준 테스트 IP 32/55의 방법에 따라 신도를 측정하였고, 표준 테스트 ASTM D 2170의 방법에 따라 아스팔트의 운동학적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 테스트 DIN V 52021-1의 방법에 따라 탄성 회복률을 측정하였다.
역청 SH1
조성물 중량% 중량% 중량%
역청 SH1 96.5 96.4 95.5
Finaprene(등록상표명) 503 - - -
Finaprene(등록상표명) 401 3.5 3.5 4.5
가황제 - 0.1 -
비중이 큰 푸르푸롤 추출물 - - -
특성
링 및 볼 온도 - ℃ 68 70 80
침투성 5℃ - 1/10 mm15℃ - 1/10 mm25℃ - 1/10 mm 101851 112055 131854
점도 135℃ - Pa.s150℃ - Pa.s 1.220.72 1.470.84 1.540.89
신도 5℃ - cm13℃ - cm25℃ - cm 136062 148087 206058
탄성 회복률 - % 92 95 97
보관 안정성(163℃에서48시간) 없음 있음 없음
역청 SH2
조성물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역청 SH2 97.5 97.4 96.5 96.4 95.5
Finaprene(등록상표명) 503 - - - - -
Finaprene(등록상표명) 401 2.5 2.5 3.5 3.5 4.5
가황제 - 0.1 - 0.1 -
비중이 큰 푸르푸롤 추출물 - - - - -
특성
링 및 볼 온도 - ℃ 53 55 67 69 74
침투성 5℃ - 1/10 mm15℃ - 1/10 mm25℃ - 1/10 mm 91647 101044 91543 101751 91644
점도 135℃ - Pa.s150℃ - Pa.s 1.160.63 1.160.70 1.310.79 1.520.85 1.760.98
신도 5℃ - cm13℃ - cm25℃ - cm 62497 141>130 85254 85882 146053
탄성 회복률 - % 35 58 93 93 98
보관 안정성(163℃에서48시간)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역청 SH3
조성물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역청 SH3 96.5 96.4 95.5 97.5 97.4 97.5
Finaprene(등록상표명)503 3.5 3.5 4.5 - - -
Finaprene(등록상표명)401 - - - 2.5 2.5 2.5
가황제 - 0.1 - - 0.1 -
비중이 큰 푸르푸롤추출물 - - - - - 5%
특성
링 및 볼 온도 - ℃ 52 54 93 50 52 48
침투성 5℃ - 1/10 mm15℃ - 1/10 mm25℃ - 1/10 mm 132257 122360 112253 112166 102060 --88
점도 135℃ - Pa.s150℃ - Pa.s 1.030.63 1.120.66 1.280.79 0.890.55 0.990.59 0.86-
신도 5℃ - cm13℃ - cm25℃ - cm 2071>140 3273>140 39102103 1137110 1154>130 22--
탄성 회복률 - % 68 68 98 28 60 65
보관 안정성(163℃에서48시간)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있음 있음
역청 SH3
조성물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역청 SH3 97.5 96.5 96.4 96.5 96.5 95.5
Finaprene(등록상표명)503 - - - - - -
Finaprene(등록상표명)401 2.5 3.5 3.5 3.5 3.5 4.5
가황제 - - 0.1 - - -
비중이 큰 푸르푸롤추출물 10% - - 5% 10% -
특성
링 및 볼 온도 - ℃ 45 70 72 65 58 76
침투성 5℃ - 1/10 mm15℃ - 1/10 mm25℃ - 1/10 mm --124 102158 122157 --74 --110 102153
점도 135℃ - Pa.s150℃ - Pa.s 0.67- 1.180.67 1.300.78 0.95- 0.79- 1.510.82
신도 5℃ - cm13℃ - cm25℃ - cm 57-- 224952 197465 46-- 77-- 266652
탄성 회복률 - % 58 98 95 95 95 100
보관 안정성(163℃에서48시간) 있음 없음 있음 있음 있음 없음
역청 SH4
조성물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역청 SH4 97 96.9 96.5 96.4 96 95.9
Finaprene(등록상표명)503 - - - - - -
Finaprene(등록상표명)401 3 3 3.5 3.5 4 4
가황제 - 0.1 - 0.1 - 0.1
특성
링 및 볼 온도 - ℃ 57 59 73 74 80 82
침투성 5℃ - 1/10 mm15℃ - 1/10 mm25℃ - 1/10 mm 102368 122057 142243 11236 111958 111955
점도 135℃ - Pa.s150℃ - Pa.s 1.000.61 1.160.65 1.090.72 1.100.77 1.20.74 1.470.86
신도 5℃ - cm13℃ - cm25℃ - cm 154654 2151109 167055 41967 257556 278470
탄성 회복률 - % 78 73 95 98 98 98
보관 안정성(163℃에서48시간) 있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상기 표 2∼5에 표시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모든 역청 조성물이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지닌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또한, 목적하는 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링 및 볼 온도가 더욱 높았다. 본 발명의 가황제를 사용한 조성물의 경우 점도 역시 더 높아서 더 양호한 응집력을 갖게 되며, 신도 역시 높았다. 상기 표 4에서는, 5∼10 중량%의 비중이 큰 푸르푸롤 추출물을 첨가하면 더 높은 신도를 얻을 수 있으나, 그로 인해 링 및 볼 온도가 낮아지고 침투성 값이 더 높아진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산업적 실시예
중국산 역청 SH2, 탄성중합체 Finaprene(등록상표명) 503 및 가황 조성물(d)를 각각 펠릿 형태와 분말 형태로 사용하여 2종의 도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2의 실험실 테스트에서 관찰된 적은 온도 감소가 산업적 실시예에서 확인되었다. 이는 펠릿 형태와 분말 형태의 동일한 가황제에 대하여 노화 함수로서 나타낸 링 및 볼 온도의 감소 정도를 보여주는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다.
노화 후의 링 및 볼 온도의 차이
가황제 펠릿 분말
△T℃
180℃에서 1일 2.3 5.6
180℃에서 2일 3.3 6.0
180℃에서 3일 3.3 5.7

Claims (22)

  1. 황 물질 및 결합제를 포함하며 펠릿 형태로 존재하는, 역청을 가황하기 위한 가황제.
  2. 제1항에 있어서,
    (i) 20∼90 중량%의 결합제;
    (ii) 10∼80 중량%의 황 물질; 및
    (iii) 0∼30 중량%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인 가황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황 물질은 10∼100 중량%의 황 원소 및 0∼90 중량%의 황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가황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황 물질은 황 공여체를 포함하는 것인 가황제.
  5. 제4항에 있어서, 황 공여체는 아연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ZDBC)를 포함하는 것인 가황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결합제는 왁스, 탄화수소 수지, 에틸렌과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PE),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GMS) 및/또는 에틸 비닐 알코올(EVA)을 포함하는 것인 가황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점착성 부여제, 탄성중합체, 역청, 산화아연 및/또는 스테아르산을 포함하는 것인 가황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펠릿은 가황제의 압출 또는 압축에 의해 형성된 압출물, 태블릿(tablet) 또는 필(pill)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가황제.
  9. 가황제의 펠릿을 형성하기 위하여, 황 물질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a) 결합제를 사용하여 황 물질을 압출시키는 단계; 또는
    (b) 결합제를 사용하여 황 물질을 압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황제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온도는 110℃ 이하인 것인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가황제는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정의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정의된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가황제.
  13. 역청과 탄성중합체 및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정의된 가황제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접촉은 100℃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접촉은 120∼2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1∼10 중량부의 탄성중합체가 90∼99 중량부의 역청과 함께 사용되는 것인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역청과 탄성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10 중량%의 가황제가 사용되는 것인 방법.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는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SBS), 수소화된 SBS, 스티렌 이소프렌 스티렌(SIS),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SEBS) 및/또는 폴리이소부타디엔(PIB)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정의된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포장용 조성물.
  20. 본 발명의 펠릿 형태의 가황제를 건강 위험요인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용도.
  21. 도로, 포장도로 또는 트랙, 또는 기타 차량용 표면을 제조 및/또는 복구하기 위한 제19항에 정의된 포장용 조성물의 용도.
  22. 루핑(roofing) 조성물 및 멤브레인, 방수 역청 조성물 멤브레인 또는 매스틱(mastic), 조인트 실런트(joint sealant), 또는 감음 또는 방음 조성물 또는 멤브레인에 사용되는 제19항에 정의된 포장용 조성물의 용도.
KR1020037005615A 2000-10-24 2001-10-24 역청 가황 조성물 KR100582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309342.4 2000-10-24
EP00309342A EP1201717A1 (en) 2000-10-24 2000-10-24 Bitumen vulcanising composition
PCT/EP2001/012341 WO2002034835A1 (en) 2000-10-24 2001-10-24 Bitumen vulcanising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069A true KR20030048069A (ko) 2003-06-18
KR100582480B1 KR100582480B1 (ko) 2006-05-23

Family

ID=817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615A KR100582480B1 (ko) 2000-10-24 2001-10-24 역청 가황 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872763B2 (ko)
EP (2) EP1201717A1 (ko)
JP (1) JP4129392B2 (ko)
KR (1) KR100582480B1 (ko)
CN (1) CN1238429C (ko)
AT (1) ATE515536T1 (ko)
AU (1) AU2002214026A1 (ko)
CA (1) CA2425978C (ko)
CZ (1) CZ307780B6 (ko)
DK (1) DK1345991T3 (ko)
ES (1) ES2368993T3 (ko)
HU (1) HU229094B1 (ko)
PL (1) PL194555B1 (ko)
PT (1) PT1345991E (ko)
SK (1) SK288142B6 (ko)
WO (1) WO2002034835A1 (ko)
ZA (1) ZA2003026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7934B2 (en) 2003-07-31 2009-04-14 Basf Corporation Modified anionically polymerized polymers
US7202290B2 (en) * 2003-11-12 2007-04-10 Eastman Chemical Company Modified asphalt compositions
US7144933B2 (en) 2003-11-12 2006-12-05 Eastman Chemical Company Modified asphalt compositions
US7402619B2 (en) 2005-03-31 2008-07-22 Kraton Polymers U.S. Llc Cross-linking compositions for polymer-modified asphalt compositions
WO2007002104A1 (en) * 2005-06-23 2007-01-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asphalt, ethylene copolymer, and sulfur
US7781503B2 (en) * 2005-12-29 2010-08-24 Firestone Polymers, Llc Modified asphalt binders and asphalt paving compositions
US7642302B2 (en) * 2005-12-29 2010-01-05 Firestone Polymers, Llc Modified asphalt binders and asphalt paving compositions
JP2011510110A (ja) * 2008-01-04 2011-03-31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合成ポリイソプレンのフォリィ・カテーテル
CN102015859A (zh) 2008-04-02 2011-04-13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制备柏油的方法
CA2720397A1 (en) * 2008-04-02 2009-10-08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for manufacturing asphalt
WO2010002914A1 (en) * 2008-06-30 2010-01-07 C.R. Bard, Inc. Polyurethane/polysoprene blend catheter
WO2010120482A1 (en) * 2009-04-01 2010-10-21 Saudi Arabian Oil Company Sulfur extended polymer for use in asphalt binder and road maintenance
KR101171338B1 (ko) * 2011-11-23 2012-08-09 주식회사 리드캡 친환경 중온 아스팔트 포장방법 및, 이를 위한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와 그 제조방법
EP2812388A1 (en) * 2012-02-07 2014-12-17 Saudi Arabian Oil Company Asphalt compositions with sulfur modified polyvinyl acetate (pvac)
US9637635B2 (en) 2013-11-01 2017-05-02 Saudi Arabian Oil Company Sulfur asphalt in roofing, damp-proofing and water proofing
US9309441B2 (en) * 2013-11-01 2016-04-12 Saudi Arabian Oil Company Sulfur asphalt in roofing, damp-proofing and water proofing
US20160201271A1 (en) * 2015-01-08 2016-07-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urface treated pavement and methods for treating pavement surfaces to improve chip retention
CN104710338B (zh) * 2015-03-25 2017-11-03 合肥工业大学 一种用于高折射率涂层的表面处理剂及其制备方法
EP3440130A1 (fr) 2016-04-14 2019-02-13 Total Marketing Services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bitume / polymere presentant des proprietes ameliorees
CN108795071B (zh) * 2018-06-08 2020-12-22 太原理工大学 一种替代部分沥青的硫基胶结料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0088A (en) * 1950-01-06 1953-05-26 Us Rubber Co Vulcanization accelerators
US2933464A (en) * 1954-11-23 1960-04-19 Vanderbilt Co R T Pelletized acceleration containing polyisobutylene
US2912388A (en) * 1956-09-07 1959-11-10 United Shoe Machinery Corp Rubber-resin cutting pads and methods of mixing and milling rubber-resin compositions
BE1001202A5 (fr) * 1988-06-10 1989-08-16 Labofina Sa Procede de preparation de compositions de bitume-caoutchouc.
US4933550A (en) 1988-07-15 1990-06-12 Hegyi Dennis J Photodetector system with controllable position-dependent sensitivity
FR2636340B1 (fr) * 1988-09-09 1992-04-17 Elf France Procede de preparation de compositions bitume-polymere, application des compositions obtenues a la realisation de revetements et solution mere de polymere utilisable pour l'obtention desdites compositions
US5508112A (en) * 1988-09-09 1996-04-16 Elf Franc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itumen-polymer composition
EP0384254A3 (en) * 1989-02-21 1992-04-01 BASF Aktiengesellschaft Latex compounds for asphalt modifications
GB2270318A (en) * 1992-08-26 1994-03-09 Basf Corp Latex compounds and sulfur containing additives for asphalt
FR2737216B1 (fr) * 1995-07-28 1997-09-19 Gerland Routes Procede simplifie pour la preparation d'un liant bitumineux modifie par un elastomere
US5795929A (en) * 1997-04-22 1998-08-18 Koch Enterprises, Inc. Polymer enhanced asphalt emul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72763B2 (en) 2005-03-29
CN1238429C (zh) 2006-01-25
EP1201717A1 (en) 2002-05-02
KR100582480B1 (ko) 2006-05-23
JP4129392B2 (ja) 2008-08-06
DK1345991T3 (da) 2011-10-24
EP1345991B1 (en) 2011-07-06
ES2368993T3 (es) 2011-11-24
HU229094B1 (en) 2013-07-29
JP2004512413A (ja) 2004-04-22
ZA200302604B (en) 2004-03-08
US20040054038A1 (en) 2004-03-18
CZ20031376A3 (cs) 2003-08-13
HUP0302749A2 (hu) 2003-11-28
PT1345991E (pt) 2011-10-04
EP1345991A1 (en) 2003-09-24
ATE515536T1 (de) 2011-07-15
SK6052003A3 (en) 2003-11-04
PL194555B1 (pl) 2007-06-29
AU2002214026A1 (en) 2002-05-06
SK288142B6 (sk) 2013-11-04
CZ307780B6 (cs) 2019-05-02
CA2425978C (en) 2010-01-12
WO2002034835A1 (en) 2002-05-02
PL360782A1 (en) 2004-09-20
CN1471560A (zh) 2004-01-28
CA2425978A1 (en)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8069A (ko) 역청 가황 조성물
RU2544546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перечно-сшитых композиций полимера и битума без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шивающего агента
US4485201A (en) Method of modifying asphalt with thermoplastic polymers, ground rubber and composition produced
AU2005222033B2 (en) Improved polymer modified bituminous binder with low emissions
KR101890837B1 (ko) 자유-유동성 펠릿 형태의 합성 미가공 탄성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56562B1 (ko)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개질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CN108409926A (zh) 递变三嵌段共聚物
EP0618274A1 (en) Polymer modified asphalt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GB2164344A (en) Bituminous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thereof
KR101428660B1 (ko) 플랜트믹스 타입 아스팔트용 개질제 조성물
CA2745098A1 (en) Cross-linking composition in pellet form for preparing cross-linked bitumen/elastomer compositions
KR20000071224A (ko) 중합체 안정된 역청입자
EP1699876B1 (en) Using excess levels of metal salts to improve properties when incorporating polymers in asphalt
KR101672888B1 (ko) 과립형 저점도 중온 아스팔트용 개질제 조성물 및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사용한 중온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CN115305037B (zh) 一种热熔压敏胶、其制备方法及防水卷材
CA2317630A1 (en) Zinc oxide dispersion
KR102133192B1 (ko)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