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77Y1 - 위생수저함 - Google Patents

위생수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7Y1
KR200300477Y1 KR20-2002-0028632U KR20020028632U KR200300477Y1 KR 200300477 Y1 KR200300477 Y1 KR 200300477Y1 KR 20020028632 U KR20020028632 U KR 20020028632U KR 200300477 Y1 KR200300477 Y1 KR 200300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utlery
heater
sanitary
stor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석
Original Assignee
김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석 filed Critical 김원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과 식탁에서 사용되는 수저, 젓가락, 요리용가위, 집게등과같은 소형 주방도구들과 우유병등을 수증기와 가열된 열을 이용하여 살균 소독 하고이어 보관하는 위생수저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물을 끓여 수증기로 살균하므로 대상물을 물로 삶는 효과로 미살균 부위없이 살균이 가능하게하고 장치를 간단하면서도 크기를 작게하여 식탁이나 주방의 싱크대 위에 비치할 수 있고, 살균한 후에는 그대로 살균건조 상태로 보관하는 위생수저함으로, 오염되기 쉬운 도구들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장치도 도구 수용부본체와 가열장치부로 분리 할 수 있어 간단히 세척과 취급이 용이하여 가정에서는 물론 음식점에서 식탁에 그대로 비치하여 고객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한 위생수저함으로, 구체적으로 보면 가열장치부 중앙에 PTC 히타가 부착 되어있는 증발컵과 내부 일측에는 관련 회로가 설치되고 그위에 증발컵 보호덮개와 또 그위에 착탈이 가능한 수용부본체와 투명한 재질의 덮개부로 구성되어 있고 수용부본체 내부에는 수용부 공간을 여러개로 구획하는 격판들로 이루어진 세퍼레이터와 세퍼레이터 중앙에, 또는 수용부본체의 외주에 물을 보관하는 저수관이 설치되어 있고 수용부본체 바닥에는 통기구를 가진 수저받침대가, 외벽하단에는 수용부본체가 분리 되었을 때 다리 역할을 하는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고, 저수관 하단에는 나사와 스프링을 이용한 물 개폐장치가 설치되어서 저수관에 물을 채운 상태로 수용부본체를 가열장치부 상단에 착지 결합 시키면 간단히 살균이 이루어지고, 이후는 가열된 열로 건조된 상태로 보관되는데 도구들이 인출되어 사용되기 직전까지 안전하게 보관되므로 가정과 영업장소에서 별도로 살균 소독하고 다시 정리하는 번거로운 과정과 시간을 생략 할 수 있어 도구의 관리가 위생적일 뿐 아니라 생활의 질과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위생수저함 {Sanitary Storage Box For Spoon}
본 고안은 주방도구를 살균 소독후 보관하는 위생수저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저, 젓가락, 계량수저, 요리용 집게, 가위, 칼, 주걱, 국자, 포크, 나이프, 티스픈등과 같은 소형주방도구들과 우유병등을 위한 위생수저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부분의 살균기에서는 살균원으로 주로 자외선이나 오존을 대부분 사용하였으나 자외선의 경우 자외선이 빛이므로 빛이 닿지않는 이면 까지는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반사판을 사용하기도 하나 한계가 있고 더군다나 도구들이 일정공간에 수용될 때 서로 겹쳐지거나 맞닿아 있는 경우나 표면에 물기가 묻어있는 상태에서는 자외선이 침투하지 못해 살균이 되지않는 문제가 있고장치 바깥으로 자외선이 새어나올 경우와 웬만한 투명 재질들은 자외선이 일부 투과 되므로 인체피부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다. 또한 잦은 온-오프로 인하여 자외선 램프가 쉽게 손상되어 자주 갈아야 하는 고 비용의 문제가 있었다.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경우에도 오존이 사람의 폐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적은양으로도 기침이나 목의 염증을 유발시킬 수 있고 호흡기 감염에 대항하는 인체능력을 손상시키고 천식과 같은 만성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음이 의학적으로 밝혀져 있는 바와같이 사용에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 종래에는 수저나 젓가락을 살균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이 각종 식기와 우유병등과 함께 살균할 수 있도록된 장치를 사용해야 했으므로, 장치 자체가 커서 그만큼 소비전력도 많고 일정 장소에 고정시켜 사용해야 하므로 편리성이 떨어지고 일반 가정에서는 구입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에 편리성을 극대화한 위생수저함으로 살균 소독원으로 인체에 무해하고자연적이며 전통적으로 오랜기간에 걸쳐 사용되어 효과와 안전성이 검증된 수단인 수증기와 가열된 열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미 살균 부위없이 효과적으로 살균 소독 할 수 있게한 장치로 주방도구중 수저, 젓가락은 물론 포크, 나이프, 계량수저, 주걱, 국자, 집게, 가위, 티 스푼등과 같은 소형 주방도구를 대상으로 하되 우유병까지도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하고, 장치크기도 최소화 하기위하여 히타장치에 PTC히타를 사용하여 장치를 간단히 하면서 부피도 작게 하여 취급을 용이하게 하였고 PTC히타의 자체특성을 이용하여 히팅상태를 자동으로 조절되게 하므로 소모 전력을 최소화 시켰다.
장치크기가 작고 살균 소독시 물 만을 공급하여 주는 것으로 간단하게 살균이 이루어지고 수저함에서 살균 뿐 아니라, 그대로 가열건조 상태로 보관되어 자체가 수저보관함의 역할을 하므로 살균후 인출하여 별도의 수저함에 따로 정리하여 보관 할 필요가 없고 주방이나 식탁위에 비치하여 필요시 주방도구를 바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안전하면서도 간단하고 취급이 편리하여 영업장소에서는 물론 가정에서도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생활에 편리성을 더하고 위생적으로 주방도구를 관리할 수 있게 한 위생수저함을 제공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품을 분리하여 예시한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품을 분리하여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횡단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가열장치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요부 횡단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증발컵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횡단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덮개 부분을 계량컵과 분리하여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외관의 전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품을 분리하여 예시한 전체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성품을 분리하여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요부 횡단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위생수저함 11. 덮개
12. 수용부본체 13, 33 지지대
14. 배출구 15. 입출구
20. 세퍼레이터 21. 저수관
22. 주입구 23, 36. 통기구
24. 격판 25. 개폐밸브
26. 수저받침대 27. 구멍
28. 수용공간 29. 통기구
30. 가열장치부 31. 증발컵
30-a. 스테인레스 스틸 31-b. 알루미늄 합금
32. PTC 히터 34, 53 보호덮개
35. 돌출부 37. 작동알림표시램프
38. 회로부 40. 계량컵
41. 손잡이 50. 저수관 수납공간
51. 저수관 52. 뚜껑
본 고안의 위생수저함은 도 1에서 보듯이 크게 덮개(11), 수용부본체(12), 가열장치부(30)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들은 필요에 따라 분리 독립될 수 있다.
수용부본체(12) 내에는 수용공간(28)을 여러 구획으로 나누는 통기구(23)가 형성되어 있는 격판(24)들로 구성된 세퍼레이터(20)와 그 중앙에는 수직 방향으로물을 보관하는 저수관(21)이 형성 되어있고, 바닥에는 도 2에서 보듯이 수저받침대(26)가 설치 되어 있다.
가열장치부(30) 중앙에는 도 3에서 보듯이 저변에 PTC히터(32)가 밀착 되어 있는 증발컵(31)이 설치되고, 내부 일측에는 이를 제어하는 회로(38)가 있고, 증발컵(31) 위로는 이를 보호하기 위해 통기구(36)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덮개(34)가 바닥으로부터 솟아 있는 지지대(33) 위에 설치되는데 도 2 및 3에서 보듯이 이 보호덮개(34)의 중앙 일부에는 분리되어 있던 수용부본체(12)가 가열장치부(30)위에 착지될 때 저수관(21)의 하단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25)의 나사와 접촉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돌출부(35)가 형성되어 있고, 가열장치부(30) 외부 표면에는 도 1 및 7에서 보듯이 작동 여부를 표시하는 작동알림표시램프(37)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본체(12) 내부의 세퍼레이터(20)는 도 2에서 보듯이 본체와 분리가 가능하고, 주방도구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수용공간(28)을 독립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중앙의 저수관(21)의 외주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격판(24)들로 구성되고, 이들로 구획된 공간(28)에 주방도구들이 수용되며 각 격판(24)의 면에는 살균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전 면에 통기구(23)가 형성되어 수증기의 원활한 소통과 세퍼레이터(20) 자체에 열을 빼앗기지 않도록 하였다.
세퍼레이터(20) 중앙에는 도 2에서 보듯이 수직 방향으로 저수관(21)이 형성결합되어 있고, 이것의 전체 길이는 보통의 수저나 젓가락의 길이보다 약간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 있는 물 주입구(22)는 저수관(21)의 단면보다 넓게 형성되어 물을 쉽게 주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저수관(21) 하단에는 저수관 내외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나사가 설치되어 있는데, 도 3에서 보듯이 나사 산이나 골이 없이 양쪽 끝에는 나사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의 나사머리를 가진 나사를 이용하여 물 개폐밸브(25)를 설치하되, 양쪽의 나사머리가 저수관(21) 내외에 걸쳐지게 하고 저수관(21)하단 외부면 으로부터 외부의 나사머리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저수관(21) 내부의 다른 나사머리와 저수관(21)의 내부면 사이에는 실리콘 고무를 두어 평상시에는 나사가 관통하는 구멍을 자연스럽게 폐쇄 시키다가 외부의 나사머리가 보호덮개(34)의 돌출부(35)와 접촉되어 눌릴 경우 나사가 저수관(21) 내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폐쇄 되었던 구멍이 개방되고 나사와 구멍사이의 틈새가 확보되면서 보관 되어 있던 물이 흘러나와 증발컵(31)으로 공급되도록 설치 되어있다. 세퍼레이터(20)와 결합되어 있는 이 저수관(21)은 세퍼레이터(20)의 격판들 보다 아래로 일정한 길이가 신장되어 보호덮개(34)의 돌출부(35)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개폐밸브의 형식은 언급된 실시 예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고 같은 역할을 하는 유사한 모든 장치가 가능하다. 이 개폐밸브(25)는 물 공급양을 자연스럽게 조절하게 되는데 즉 가열되어 있는 증발컵(31)으로 물이 일정량씩 공급 되게하여 즉시 수증기가 발생될 수 있게 하고, 이것은 한꺼번에 다량의 물이 공급될 경우 가열된 증발컵(31)을 즉시 식히게 되어 수증기 발생을 지연시킬 뿐 아니라, 금속성의 증발컵(31)에 급격한 온도 차이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반복 될 경우 균열이 발생할 수 있어 수명이 단축 되거나 누전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한다.
세퍼레이터(20) 하단에는 수용부본체(12)의 바닥 밑면을 형성하는 수저받침대(26)가 도 3에서 보듯이 수용부본체(12) 내부 하단벽에 약간의 턱을 만들어 그위에 자연스럽게 설치 되게하고 수저받침대(26)의 중앙에는 세퍼레이터(2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저수관(21)이 일정 길이만큼 신장되어 수저받침대(26)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저수관(21)의 단면적 만큼의 구멍(27)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의 전 면적에는 통기구(29)가 형성되되, 도 2 및 3과 같이 하방으로 여러개의 작은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피라미드면을 구성하는 4개의 삼각형 모양의 통기구(29)의 크기는 젓가락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작게 형성되어 있다.
수저받침대(26)에 통기구가 평면으로 형성될 경우 젓가락까지 수용하기 위해서는 통기구의 크기를 작게 만들어야 하고 수증기가 통과하는 통기구 전체면적이 적어져 일시에 통과하는 수증기의 양을 제한하게되고 살균효과도 떨어뜨릴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기구(29)들이 작은 피라미드 형상으로, 전체적으로는 굴곡진 표면에 형성되어 통기구(29)의 전체면적이 극대화 되게 하였다. 또 이 경우 예를 들어 젓가락이 수용될 때 젓가락이 피라미드 모양의 통기구(29)의 골진 부분에 놓이게 되는데 이 골진 부분에는 2개 이상의 젓가락이 수용되기 어려워 젓가락이 서로 겹쳐지는 것을 막고 서로 겹쳐진다 해도 극히 일부분 만이 맞닿게 되므로 미 살균부위 없이 속속들이 살균될 수 있다.
보호덮개(34), 세퍼레이터(20), 저수관(21), 수저받침대(26)등의 재질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는데 내열 플라스틱을 사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TC히타(32)가 저변에 밀착되어 있는 증발컵(31)은 PTC히타(32)에 의해 항시일정온도로 가열 유지되고 재질은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계 합금주조물이 사용된다. 확실한 열전도를 위해 증발컵(31)의 저변에 PTC히타(32)를 최대한 밀착 결합시키고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도 4에서 보듯이 PTC히타(32)를 증발컵(31)하부의 내부에 포함시켜 주물상태로 증발컵(31)을 제작 설치하는 것이다.
물과 직접 접촉되는 증발컵(31)의 내부는 증발컵 자체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프론 코팅이나 내열도료 같은 내열성의 부식 차단물질을 사용하여 코팅하거나 도 5에서 보듯이 내벽은 스테인레스 스틸(31-a)로 형성시키고 외부를 알루미늄계 합금재질(31-b)로 덮어 일체화된 주물로 제작 설치한다. 이로써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되거나 알루미늄계 합금재질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PTC히타(32)는 일정온도를 유지하는 자체 특성에 따라 증발컵(31)에 공급된 물로 인해 온도가 낮아질 경우 전류의 공급이 많아져 가열되고, 일정온도로 도달하면 저항이 급격히 증가 하면서 전류의 공급이 줄어들어 과열이나 과전압 으로부터 자동 보호 되는 정온 발열체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안전하고 전력 소모도 최소화할 수 있다.
수용부본체(12)의 외부의 하단에는 도 1에서 보듯이 수용부본체(12)가 분리될 때를 대비하여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3개이상의 지지대(13)가 형성되고, 이에 반하여 수용부본체(12)가 착지될 가열장치부(30) 외주 상단에는 같은 모양의 홈이 형성되어 상호 안정되게 착지 결합된다. 이 지지대(13)는 수용부본체(12)가 별도로 분리될 때 안정하게 놓일 수 있도록 수용부본체(12) 하단의 어떤것들 보다도 길게형성되어 있다.
수용부본체(12) 상단에는 위생수저함의 뚜껑 역할을 하는 덮개(11)가 설치되는데, 도 3에서 보듯이 수용부본체(12)의 내부벽면에 입출구(15)의 제일 낮은 상단을 기준으로 일정길이 하방에 턱이 형성되어 있어 덮개(11)가 자연스럽게 얹어진다. 덮개(11)의 재질은 내부상태가 잘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살균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덮개(11)의 상단 표면에는 도 1 및 6에서 보듯이 몇개의 배기구(14)가 형성되어 있어 그곳으로 살균후 수증기와 가열된 공기가 배출된다.
수용부본체(12) 상단에는 위생수저함의 뚜껑 역할을 하는 덮개(11)가 설치되는데, 도 3에서 보듯이 수용부본체(12)의 내부벽면에 입출구(15)의 제일 낮은 상단을 기준으로 일정길이 하방에 턱이 형성되어 있어 덮개(11)가 자연스럽게 얹어진다. 덮개(11)의 재질은 내부상태가 잘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살균과정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덮개(11)의 상단 표면에는 도 1 및 6에서 보듯이 몇개의 배기구(14)가 형성되어 있어 그곳으로 살균후 수증기와 가열된 공기가 배출된다.
계량컵(40)의 용량은 저수관(21)의 적정 저수량과 동일하게 하여 저수관(21)에 물 공급 시 넘치거나 필요 이상의 물이 공급 되지 않토록 하였고, 물을 쉽게 주입할 수 있도록 도 6에서 보듯이 손잡이(41)가 부착되어 있고 계량컵(40)의 하단 외주 일부분이 뾰죽하게 변형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본체(12)의 입출구(15) 둘레의 ⅔정도는 도 1 및 3에서 보듯이 사선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높이가 차이나게 형성되어 있어 작은 티 스픈이나 과일 포크같은 작은 것들도 쉽게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를 들어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수용부본체(12)가 분리 독립 되어있는 상태에서 내부에 주방도구를 수용한후 계량컵(40)을 이용하여 저수관(21)에 물을 공급하고 계량컵(40)을 덮개(11)의 중앙에 결합 시킨 후 수용부본체(12)를 덮고 가열장치부(30)위에 착지시켜 결합시킨다. 이때 도 2 및 3에 도시한 저수관(21) 하부에 있는 개폐밸브(25)의 나사가 가열장치부(30)의 보호덮개(34) 중앙의 오목한 돌출부(35)와 접촉되어 나사가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저수관(21)의 구멍이 개방되어 물이 흘러나와 증발컵(31)으로 공급되면서 살균 소독이 실시된다.
한편, 도 8, 9 및 도 10에서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앞서의 실시예와는 달리 수용부본체(12)의 외주에 별도의 저수관(51)의 수납공간(50)을 하방으로 형성시키고, 그 상단에는 뚜껑(52)을 설치하고 뚜껑의 잠금을 위해 수납공간의(50) 외주 상단 일측에 약간의 돌출부를, 뚜껑(52)의 내부 일측에는 이에 상응하는 약간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뚜껑(52)이 눌러 닫힐 때 자연스럽게 잠기게 하였고 이곳에 개폐밸브(25)를 가진 저수관(51)을 수용시킨다. 이 저수관(51)은 수납공간(50)에서 자유로이 분리가 가능한 것으로 살균 소독에 필요한 적정 물 수용용량을 가지고 있고, 이 자체가 계량컵의 역할을 동시에 하므로 물을 공급하기위한 계량컵 자체가 필요없고 연속적으로 살균할 때에도 덮개(16)나 수용부본체(12)를 그대로 둔 채로 저수관(51) 만을 분리시켜 물을 주입하여 재결합시키는 것으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장치부(30) 상단에 설치되는 보호덮개(53)에는 도 8, 9에서 보듯이 저수관(21)의 개폐밸브(25)의 나사가 접촉하기 위한 오목한 돌출부(35)가 필요없고, 개폐밸브는(25) 가열장치부(30)의 상단 일부와 접촉하게 되어 있다. 저수관(51)을 분리할 때에는 수납공간(50)의 뚜껑(52)을 열면 저수관(51)의 하단에 설치되어 눌려있던 개폐밸브(25)의 스프링이 이완되면서 그 탄력에 의하여 저수관(51)이 상향으로 이동하며 분리되고 밸브는 자동으로 닫히게된다.
또한, 이 경우 도 9 및 도 10에서 보듯이 수용부본체(12) 내의 세퍼레이터(20)는 앞서의 실시예와는 달리 저수관이 세퍼레이터(20)에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필요시 수용부본체(12)에서 세퍼레이터(20)를 분리 제거하여 수용부본체(12) 전체의 수용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우유병과 같은 다소 부피가 큰것도 살균 소독할 수 있다.
살균 소독은 먼저 수용부본체(12)에 살균할 주방도구를 수용한후 그 상단에 계량컵(40)이 없이 상단에 몇 개의 배출구(14)만을 가진 덮개(16)를 사용하여 덮은후 저수관(51)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가열장치부(30) 상단에 착지 결합시킨다. 이어 분리되어 있는 저수관(51)에 물을 주입하고 이것을 저수관 수납공간(50)에 넣고 뚜껑(52)을 닫는다. 혹은 저수관(51)이 먼저 수납된 상태로 수용부본체(12)를 가열장치부(30)상단에 착지 결합시켜도 차이가 없으므로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0에서 보듯이 저수관(51)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폐밸브(25)의 나사가 가열장치부(30)의 상단과 접촉되어 눌리면서 상향으로 이동하게되고 보관되어있던 물이 흘러나와 경사면을 따라 증발컵(31)의 내부로 공급된다.
PTC히타(32)에 의해 가열되어 있던 증발컵(31)으로 공급된 물은 즉시 끓으면서 수증기화 되어 증발 되면서 이것은 수용부본체(12) 내부에 충만하게 되고 수용되어 있는 주방도구들을 살균 소독하게된다.
공급된 물이 다 소진 될 때까지 살균은 계속 이루어지고 살균에 이용된 수증기는 덮개(11,16)의 배출구(14)를 통하여 빠져나가고 일부는 냉각되어 밑으로 흘러내려 수증기로 재 사용된다. 계속 살균하고자 할 때에는 물을 재 공급하는 것으로 연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
물이 다 소진된 후에는 증발컵(31) 저변의 PTC히타(32)가 일정온도로 유지되면서 증발컵(31)도 가열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내부공기를 가열하여 주방도구 표면의 물기와 본체내부를 완전건조 시키고 수용부본체(12) 내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가열 건조 상태로 유지시켜 오염된 외부공기의 공급을 차단시키고 주방도구는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청결한 상태로 보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인체에 무해한 수증기와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살균하므로 안전하고 주방도구를 물에 넣고 삶는 효과로 미 살균 부위가 없이 살균이 되며, PTC히타(32)를 사용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경제적이고 장치의 크기와 부피도 최소화할 수 있다. 크기가 작으면서도 주요 부위를 분리 결합할 수 있게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필요시 일부장치를 분리하여 살균 대상을 확대할수 있으며 장치자체의 세척이나 주방도구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고, 살균 소독방법도 간단하며 무엇보다 살균 소독후 장치자체 그대로를 수저보관함으로 사용할 수 있어 종전과 같이 살균후 별도의 수저함에 정리 보관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싱크대나 식탁위에 비치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요리나 식사 직전에 주방도구를 인출하여 사용하므로 가정에서는 물론 식사도구를 여러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음식점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고, 주방도구를 언제든지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청결한 상태로 유지관리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된다.

Claims (12)

  1. 내부에 PTC히타(32)를 포함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열장치부(30)와;
    상기 가열장치부(30)의 상부에 결합시켜 설치되며, 수용공간(28)이 형성되게 다수의 격판(24)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20)를 갖는 수용부본체(12)와;
    물을 보관하는 저수관(21, 51)과 ;
    상기한 격판(24)의 하부에 설치되며 통기구(29)를 갖는 수저 받침대(26)와;
    상기한 수저받침대(26) 아래에의 가열장치부(30)에 설치되는 보호덮개(34,53)와;
    상기한 수용부본체(12) 상부에 덮어 설치되며, 배출구(14)를 갖는 덮개(11, 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수저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열장치부(30) 내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증발컵(31)과, 증발컵(31)의 하부에 설치되는 PTC히터(32)와, PTC히터(32)의 가열을 제어하는 회로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수저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증발컵(31)의 내부가 내열성의 부식 방지 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수저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증발컵(31)이 내벽은 스테인레스 스틸(30-a)로 형성되고, 외부는 알루미늄 합금(30-b)으로 덮어 일체화된 주조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수저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수관(21)이 수용부본체(12) 내부의 세퍼레이터(20)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수저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수관(21)의 하부엔 개폐밸브(25)를 설치하되, 개폐밸브(25)의 하단이 상기 보호덮개(34)에 접촉하도록 설치하여, 저수관(21)을 통하여 들어온 물이 상기 증발컵(31)으로 들어가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수저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수관(21)이 수용부본체(12)의 외주에 하방으로 형성되며 뚜껑(52)을 가지고 있는 저수관 수납공간(50)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수저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수관(51)의 하부엔 개폐밸브(25)를 설치하되, 개폐밸브(25)의 하단이 상기 가열장치부(30)의 상단 일부에 접촉하도록 설치하여, 저수관(51)을 통하여 들어온 물이 상기 증발컵(31)으로 들어가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용부본체(12)의 외주엔 지지대(13)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가열장치부(30)의 외주엔 홈을 형성하여, 상기한 지지대(13)가 상기 가열장치부(30) 외주의 홈에 결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수저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열장치부(30)의 외면엔 작동알림표시램프(3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수저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저받침대(26)의 통기구(29)는 하방으로 오목한 피라미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수저함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11)의 일부분에 착탈이 가능한 계량컵(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수저함
KR20-2002-0028632U 2002-09-05 2002-09-24 위생수저함 KR20030047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660 2002-09-05
KR20020026660 2002-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7Y1 true KR200300477Y1 (ko) 2003-01-14

Family

ID=4932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632U KR200300477Y1 (ko) 2002-09-05 2002-09-24 위생수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953B1 (ko) * 2015-09-11 2018-03-28 주도연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
WO2018150402A3 (en) * 2018-05-23 2018-10-25 Action Hub Plus, Corp. Kitchen utensil hygienic cover with a window
WO2018134804A3 (en) * 2018-05-23 2018-10-25 Action Hub Plus, Corp. Kitchen utensil hygienic cov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953B1 (ko) * 2015-09-11 2018-03-28 주도연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
WO2018150402A3 (en) * 2018-05-23 2018-10-25 Action Hub Plus, Corp. Kitchen utensil hygienic cover with a window
WO2018134804A3 (en) * 2018-05-23 2018-10-25 Action Hub Plus, Corp. Kitchen utensil hygienic c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4958T3 (es) Aparato para retener y esterilizar por calor articulos.
AU756113B2 (en) Oral feeding bottle
KR200300477Y1 (ko) 위생수저함
KR200453674Y1 (ko) 수저 살균소독기
BRPI1100056B1 (pt) Metodo para desinfetar um frasco
KR101842953B1 (ko)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
CN212973600U (zh) 一种高温蒸汽消毒装置
EP2164526B1 (en) A steriliser
CN211066071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杯托
KR200388627Y1 (ko) 식사용 도구 수납함
KR200313580Y1 (ko) 필터장치가 구비된 홍삼액 제조기
KR20080055768A (ko) 식탁살균기
KR950002622Y1 (ko) 소독겸용 불고기판과 수저통
TWM550113U (zh) 多功能廚具收納架
US11911526B1 (en) Drinking straw sanitizing appliance
KR200300539Y1 (ko) 로스터 테이블용 수저소독기
CN215230590U (zh) 一种小型家用广谱杀菌消毒器
KR200309971Y1 (ko) 위생치솔함
KR200283275Y1 (ko) 다용도 조리기
CN114617405B (zh) 带有杀菌装置的餐具
CN220237382U (zh) 一种蒸汽干蒸消毒锅
KR0118678Y1 (ko) 렌지용 젖병소독 용기
JP3107488U (ja) マルチ用途歯ブラシ殺菌洗浄器
KR200291026Y1 (ko) 냄비뚜껑 받침대
KR900004081Y1 (ko) 회전 차잔 진열대를 설치한 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