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953B1 -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 - Google Patents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953B1
KR101842953B1 KR1020150128687A KR20150128687A KR101842953B1 KR 101842953 B1 KR101842953 B1 KR 101842953B1 KR 1020150128687 A KR1020150128687 A KR 1020150128687A KR 20150128687 A KR20150128687 A KR 20150128687A KR 101842953 B1 KR101842953 B1 KR 101842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main body
water
sterilizing function
sp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334A (ko
Inventor
주도연
Original Assignee
주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연 filed Critical 주도연
Priority to KR102015012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9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저통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숟가락이나 젓가락과 같은 도구를 보관함에 있어서 살균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직립형의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의 저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발생하고 본체부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수체가 저장되어 스팀이 생성되는 저수부(310)와, 수체를 가열하는 전열부(330)와, 상측으로 돌출되어 저수부로부터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삽입부(3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하측에서 삽입부가 삽입되고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배출홀(121)이 형성되는 연통부(120)를 구비하는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을 제공한다. 따라서, 살균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이동성이 극대화된다.

Description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PORTABLE SPOON AND CHOPSTICKS CASE WITH STERILIZING FUNCTION}
본 발명은 수저통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숟가락이나 젓가락과 같은 도구를 보관함에 있어서 살균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직립형의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섭취할 때 사용되는 도구인 숟가락, 젓가락, 찻숟가락, 포크 등은 입과 음식물에 직접 접하는 것이므로, 깨끗하게 세척되는 것은 물론 청결하게 보관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가정이나 식당과 같이 음식물을 취급하는 곳에서 수저는 대표적인 주방용품의 하나인 수저통에 담아 보관한다. 이러한 수저통은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을 눕혀서 보관하도록 구성된 수평형과 위에서 아래로 집어넣어 세워 보관하는 직립형으로 구분하여볼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932호는 종래기술의 기립형 수저통을 개시하고 있으며, 원통형태 본체의 내부에는 분할대가 설치되어 양측에 각각 숟가락과 젓가락 등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저통은 통상 메쉬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소정의 배수구조를 갖춤으로써 내부의 물이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직립형의 수저통은 휴대와 세척에 있어서 장점을 가지나 다수의 수저를 보관함에 있어서 잔류된 물이나 이물들로 인하여 오염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수평형의 수저통의 경우 일반적으로 덮개를 통하여 상면을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오염에 있어서 보통의 직립형 수저통보다는 장점이 있으나, 배수가 원활하지 않고 사용이나 휴대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수저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저통에 대한 요청이 증가되고 있고, 수저통에 살균램프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4160호는 자외선 살균등이 부설된 수저통을 개시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살균기능을 가지는 수저통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수저 수납실(3)에 수저 분리기(5)가 수납되는 수저통 본체(2)를 구성하는 케이스(8)와 투시창(6)이 설치된 두껑(1)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저통 본체(2) 또는 두껑(1)에 자외선 살균등(4)이 설치된 살균등이 부착된 수저통을 나타낸다.
이러한 살균 수저통은 살균등이 주로 수저의 입에 닿는 부분을 지향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보관상태에서 수저를 살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수저통의 살균구조들의 경우 이러한 자외선 살균구조를 채택하고 있고 이를 위하여 자외선의 방사를 위한 램프와 제어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들이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살균 수저통들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해져서 생산성에 문제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장치들의 부가로 인하여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야기한다. 즉,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경우 이동성이 극히 제한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전지를 채택한다고 하더라도 무게와 부피가 상당히 증가되어 휴대성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또한, 수저통의 구조로 인하여 자외선으로 인한 살균의 범위와 정도가 제한되며, 항상 수분과 밀접한 사용상태에서 전기장치의 손상 문제와 유지보수성에 있어서도 제약이 심한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와 이동성이 보장될 수 있으면서도 수저의 살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의 저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발생하고 본체부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수체가 저장되어 스팀이 생성되는 저수부(310)와, 수체를 가열하는 전열부(330)와, 상측으로 돌출되어 저수부로부터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삽입부(3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하측에서 삽입부가 삽입되고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배출홀(121)이 형성되는 연통부(120)를 구비하는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을 제공한다. 따라서, 살균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이동성이 극대화된다.
본체부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본체부의 중심측에 배치되고 수용부의 내벽에 연장되어 수용부를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스팀이 응축되어 형성되는 수분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151) 및 배수홀을 개폐하는 개폐부(152)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급부는, 배수홀에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수용부 내부의 수분을 저수부로 환원하도록 하는 유입홀부(35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은 스팀을 통하여 수저를 살균함으로써 세척 이후 보관상태에서의 위생성을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성에도 제약이 없으므로 식탁 등에서 사용시 수저통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극대화될 수 있고, 효과적인 스팀의 공급구조와 배수구조 등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상의 신뢰성과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살균기능을 가지는 수저통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에서 본체부와 덮개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수저를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저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발생하여 본체부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을 제공한다.
수저는 일반적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이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선택적으로 보관하여 살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포크, 나이프 등의 다양한 음식 취사용 도구들도 수저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의 측단면도이다.
본체부(100)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수저를 보관하고 살균할 수 있는 수용부(110)를 제공하며, 상기 수용부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중심측에 형성되는 격벽 내지는 연통부에 의하여 양측으로 공간이 분할된 형태가 나타난다. 수용부(110)는 제1수용부(111)와 제2수용부(112)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 숟가락과 젓가락을 보관할 수 있는 구분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러한 분할 형태는 반드시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부(100)의 아래에는 공급부(300)가 배치되어 살균을 위한 스팀을 수용부(1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본체부(100)의 저면이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안착면 내지는 안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그 중심측에는 본체부(100)의 저부에 형성되는 삽입구(참조번호 미표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320)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20)는 공급부(300) 내부에 형성되는 저수부(310)와 연통되며 저수부(310)에서 발생한 스팀이 외부, 즉 연통부(120)로 공급되는 통로로 기능한다.
이러한 삽입부(320)의 외주는 연통부(120)의 하측에 형성되는 삽입구의 내주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본체부(100)가 공급부(300)에 탈착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로의 안착을 가이드하며 스팀 공급과정 또는 안착상태에서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공급부(300)에서 발생하는 고열의 스팀을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급하여 수용부(110)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수저를 살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을 제공하는바, 공급부(300)는 고열의 스팀을 발생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공급부(300)의 내부에는 수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인 저수부(310)를 구비하며, 공급부(300)의 일부에는 저수부(310)로 수체를 공급할 수 있는 연통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연통구는 삽입부(320)에 형성되는 개구로써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저수부(310)에 저장되는 수체는 수돗물, 살균수, 이온화수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는 선택적이다.
저수부(310)의 저부에는 내부의 수체를 가열하여 스팀화할 수 있는 전열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열부(330)는 전기적인 저항으로 열을 발생하는 히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가열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열의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저수부(310)의 전열부(330)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플레이트(미도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전열부(330)는 저수부(310)의 저부 및 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열부(330)에의 외부 전력 공급을 위하여 전력라인의 연결 또는 인출을 위한 포트부(301)가 공급부(300)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수부(310)에는 수위의 감지를 위한 수위센서(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위센서는 저수부(310) 내부의 수체가 소정의 설정량 미만이거나 잔량이 부재하는 경우 이용자에게 경보를 발생하거나 전열부(330)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센싱신호를 소정의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체의 잔류량이 소진된 상태에서 가열이 계속됨으로써 발생되는 구성들의 손상 또는 화재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저수부(310) 또는 삽입부(320) 또는 연통부(120) 또는 수용부(110)에는 수체 내지는 스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온도센서는 살균을 위한 스팀의 온도가 적정하게 형성되었는지와 장치의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온도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송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공급부(300)에는 중량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중량센서는 본체부(100) 내부에 수용되는 수저의 총량을 무게감지신호로써 제어부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무게감지신호는 제어부에서 전열부(330)를 제어함에 있어서 스팀의 발생 및 공급시간을 수저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최적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살균기능과 에너지의 절감의 이점을 조화롭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외부전력을 변환하고 전열부(330)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수위센서나 온도센서나 중량센서와 연결되어 상태에 따라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작동명령에 의하여 작동을 개시하면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적절하게 스팀의 온도 또는 공급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120)는 본체부(100)의 저부에서 삽입부(320)로부터의 스팀을 입력받아 수용부(11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통로로써 기능할 수 있다. 사방으로의 스팀의 원활하고 균등한 배분을 위하여 연통부(120)는 최소한 평면상 본체부(100)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부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연통부(120)는 수용부(110)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부(120)에는 내외부 즉, 연통부의 내부와 수용부(110) 사이를 연통할 수 있는 복수의 배출홀(121)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상태에서는 측면상 연통부(120)가 수용부(110)의 중심측에 배치되고 높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출홀(121)이 배열되어 스팀을 제1수용부(111) 및 제2수용부(112)로 균등하게 배출시키고 있다.
상기 연통부(12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제1수용부(111)와 제2수용부(112)를 구획하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팀의 공급시 효과적인 살균을 위하여 본체부(100)는 외부와 어느 정도 밀폐될 필요성이 있다. 수저의 입출을 위하여 본체부(100)의 상측에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부(2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단측에서 힌지부(201)에 의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용자가 본체부(100)를 공급부(300)와 탈착이 용이하도록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0) 및 손잡이부(101)는 선택에 따른 위치 및 형상으로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작동의 효율성과 미관을 고려하여 덮개부와 손잡이부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본개념은 수용부(110)의 저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통부(120)가 공급부(300)로부터 발생한 스팀을 수용부(110)로 공급하는데, 연통부(120)는 스팀의 고른 공급을 위하여 선택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연통부(120)가 본체부(100)의 저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어지고, 상기 연통부(120)의 외면의 일부는 수용부(110)의 내벽까지 이어지는 격벽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130)는 수용부(110)의 내부를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네 개의 공간으로 균등하게 분할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배출홀(121)을 격벽부(130)와 인접되는 격벽부(130)의 사이에 배치하여 각각의 공간으로 스팀을 배출할 수 있다.
이의 변형예로써, 각각의 격벽부(130)는 중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연통부(120)로부터의 스팀이 격벽부(130) 내부로 유동되고 격벽부(130)의 면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의 측단면도이다.
저수부(310)에서 발생하는 스팀은 수체가 기회됨에 따른 부피의 차이에 의한 압력으로 삽입부(320)에서 배출되어 연통부(120)를 거쳐 수용부(110)로 공급된다. 그런데, 이러한 공급압력은 수용부(110) 전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수용부(110) 내부에 수저가 비교적 촘촘하게 배치되는 경우 수용부(110)의 저부 및 내주측에 배치되는 부위에는 스팀이 원활하게 공급되고 상측 및 외주측에 배치되는 부위에는 스팀이 잘 전달되지 않을 우려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연통부(120)의 상측과 하측에서 스팀의 배출압력을 비교적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한다.
연통부(120)의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측으로 갈수록 배출 압력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압력의 손실을 보상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부(120)의 외주면은 하향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 갈수록 높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배출홀(121)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이는 삽입부(320)에 인접되는 부위에서는 저수부(310)로부터의 스팀 압력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으나 상측으로 갈수록 그 압력이 저하됨을 감안하여 하측에서는 배출간격을 크게 하여 배출 유량을 상측보다 작게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된 연통부(120)의 단면적의 조정과 배출홀(121)의 간격의 조절의 개념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독립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의 측단면도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저통에서 수용부(110)로 유입된 스팀을 통하여 살균을 하는데, 스팀이 냉각되면서 응축되어 액화된 수체로써 본체부(100)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이렇게 잔류된 수분은 내부에서 유동됨에 따라 이동성에 문제를 발생할 수 있고 추가적인 오염의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부(100) 내부에서 응축된 수분을 다시 공급부(300)로 환원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체부(100)의 저부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수홀(151)을 구비하여 수용부(110) 내부에서 응축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홀(151)은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본체부(1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수용부(110) 저부에 축적된 수분을 배출하며 이를 위하여 배수홀(151)의 높이가 수용부(110)의 저부에서 가장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배수홀(151)은 수분의 저수부(310)로의 환원을 위하여 유입홀부(351)를 통하여 저수부(310)로 연통될 수 있다. 스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저수부(310)에 저장된 수체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하는데 수위센서와 관련된 설명에서 수체의 소진에 따른 손상 또는 화재의 위험이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따라서, 수용부(110) 내에서 살균기능을 제공한 스팀을 다시 저수부(310)로 환원하도록 함으로써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수분 보충의 시간 간격이 더욱 길게 확보되어 이용자의 관리 편의성도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유입홀부(351)는 본체부(100)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실시예에서 본체부(100)의 중심측에 형성되는 연통부(120)에 삽입부(320)가 삽입되는 경우 유입홀부(351)와 배수홀(151)의 위치를 정확하게 대응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유입홀부(351)는 링 형태로 공급부(30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수홀(151)에는 선택적으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부(15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본체부(100)가 공급부(300)에 안착되면 유입홀부(351)가 배수홀(151) 내부에 삽입되면서 개폐부(152)를 개방하여 수용부(110) 저부의 수분을 저수부(310)로 환원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부(152)는 배수홀(151)에 회동되거나 이격되어 개방할 수 있는 패킹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배출측으로만 유로를 개방하는 체크밸브와 같은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다. 다만 상기 개폐부(152)의 형태는 선택적이다.
본 발명은 살균의 필요시에 공급부(300)에 결합하여 수저를 살균하고, 이를 분리하여 식탁과 같은 장소에서 수저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의 수저통의 개념을 제공하는데, 배수홀(151)이 작동되지 않는 동안은 수용부(110) 저부의 수분에 의하여 수저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수용부(110)의 하측에는 응축된 수분의 저수공간과 수저가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저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40)는 예를 들어, 메시망과 같이 수분 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에서 수저의 단부측을 지지하여 아래쪽에 형성되는 수분의 저수공간인 배출공간(141)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에서 본체부와 덮개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형 수저통으로 필요한 경우 살균하고 살균이 완료되면 식탁이나 주방에서 수저를 보관하는 수저통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살균 과정에서 스팀의 바람직하지 않은 유출에 의한 살균효율저하나 인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 개구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200)를 구비하게 되는데, 수저통으로 사용되는 과정에서 덮개부(200)와 손잡이가 조작을 번거롭게 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손잡이와 덮개부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더욱 단순하고 심미감이 높은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덮개부(200)는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100)에 힌지부(201)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본체부(100) 상측을 대부분 덮는 상면부(220)와 저부에서 상측으로 함몰된 함몰부(210) 및 함몰부(210)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내측손잡이부(2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측손잡이부(211)는 살균기능의 제공시 수용부(110) 내측의 공간에서 수저와 함께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위생상 이익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내측손잡이부(211)는 덮개부(200)가 본체부(100)를 덮어 폐쇄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된다.
살균이 완료되어 본체부(100)로 수저가 입출될 필요가 있는 경우 힌지부(201)를 통하여 덮개부(200)가 회동하여 개방되되 상면부(220)는 본체부(100)의 외면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내측손잡이부(211)가 외부로 노출되어 손잡이로써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면부(220)의 상면은 개방시 이에 대응되는 본체부(10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본체부(100)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면부(220)도 같은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와 덮개부(200)의 개방상태에서의 밀착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와 덮개부(200)의 개방상태의 유지를 위하여 상면부(220) 측에는 장착부(230)를 구비하고, 본체부(100)의 이에 대응되는 외면에는 체결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30)와 체결부(160)는 개방상태를 고정하며 필요에 따라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후크와 고리로써 양측이 걸림되는 형태나 자성체로 이루어져 자기력을 통하여 밀착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은 스팀을 통하여 수저를 살균함으로써 세척 이후 보관상태에서의 위생성을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으며, 이동성에도 제약이 없으므로 식탁 등에서 사용시 수저통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스팀의 공급구조와 배수구조 등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상의 신뢰성과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본체부 101...손잡이부
110...수용부 111...제1수용부
112...제2수용부 120...연통부
121...배출홀 130...격벽부
140...저면부 141...배출공간
151...배수홀 152...개폐부
160...체결부 200...덮개부
201...힌지부 210...함몰부
211...내측손잡이부 220...상면부
230...장착부 300...공급부
301...포트부 310...저수부
320...삽입부 321...배출구
330...전열부 351...유입홀부

Claims (3)

  1. 수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의 저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발생하고 수용부로 공급하는 공급부(300);
    상기 본체부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부(200);
    수용부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수체가 저장되어 스팀이 생성되는 저수부(310)와, 수체를 가열하는 전열부(330)와, 상측으로 돌출되어 저수부로부터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삽입부(3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하측에서 삽입부의 외주에 대응되는 삽입구가 탈착되는 과정에서 안착이 가이드되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저부에서 스팀을 입력받아 격벽부 사이에서 배출하도록 높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배출홀(121)이 형성되는 연통부(120)를 구비하는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연통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짐으로써 압력의 손실을 보상하는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응축된 수분의 저수공간과 수저가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저면부(140)와, 스팀이 응축되어 형성되는 수분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151)과, 배수홀을 개폐하는 개폐부(152)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급부는, 배수홀에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수용부 내부의 수분을 저수부로 환원하도록 하는 유입홀부(35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
KR1020150128687A 2015-09-11 2015-09-11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 KR101842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87A KR101842953B1 (ko) 2015-09-11 2015-09-11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687A KR101842953B1 (ko) 2015-09-11 2015-09-11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334A KR20170031334A (ko) 2017-03-21
KR101842953B1 true KR101842953B1 (ko) 2018-03-28

Family

ID=58502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687A KR101842953B1 (ko) 2015-09-11 2015-09-11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6211A (zh) * 2017-05-24 2018-12-04 圆融医疗设备(深圳)有限公司 一种多功能筷托
KR102625317B1 (ko) * 2021-07-08 2024-01-12 강신영 테이블 살균 유닛 및 살균 테이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7Y1 (ko) * 2002-09-05 2003-01-14 김원석 위생수저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7Y1 (ko) * 2002-09-05 2003-01-14 김원석 위생수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334A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8312A (zh) 多个义齿消毒及清洁装置
KR20140080128A (ko) 전기 압력 밥솥용 증기 배출부 조립체
WO2010072151A1 (zh) 一种蒸气杀菌器
JP2014084155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1842953B1 (ko)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형 수저통
CN104784715B (zh) 一种移动式实时高温蒸汽消毒机
KR200453674Y1 (ko) 수저 살균소독기
TW201141549A (en) Process of sterilising a bottle
KR20160002642U (ko) 살균기 수저통
CN210932860U (zh) 多功能消毒器
KR101410310B1 (ko) 가정용 고무장갑 살균건조기
CN211157447U (zh) 多功能消毒器
JP2015080740A (ja) 殺菌水生成装置
CN210169738U (zh) 一种茶具
WO2011072412A1 (zh) 婴幼儿奶具消毒装置
KR20160003449U (ko) 조리도구 보관함
KR200459868Y1 (ko) 자외선 살균 수저통
KR200300477Y1 (ko) 위생수저함
CN212755325U (zh) 多功能暖奶器
WO2011015013A1 (zh) 一种餐具蒸汽消毒器
CN212880265U (zh) 一种居家旅行用无线充电消毒盒
CN215424276U (zh) 餐厨具净化装置
US20220296740A1 (en) Sanitiz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devices
CN214318648U (zh) 一种多功能消毒盒
CN216256696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即热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