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766A - 치과용 메스 - Google Patents

치과용 메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766A
KR20030046766A KR1020010077018A KR20010077018A KR20030046766A KR 20030046766 A KR20030046766 A KR 20030046766A KR 1020010077018 A KR1020010077018 A KR 1020010077018A KR 20010077018 A KR20010077018 A KR 20010077018A KR 20030046766 A KR20030046766 A KR 20030046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hape
scalpel
semi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4349B1 (ko
Inventor
장상건
Original Assignee
장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건 filed Critical 장상건
Priority to KR10-2001-007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349B1/ko
Priority to PCT/KR2002/002276 priority patent/WO2003047453A1/en
Priority to AU2002365854A priority patent/AU2002365854A1/en
Publication of KR2003004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6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61B17/3213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achabl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메스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블레이드의 끝단부분을 오목한 대쪽 모양으로 형성하므로 써, 원통기둥 모양으로 이루어진 치아를 따라 절개하기에 적당하며, 더 나가서 치아를 발치 하고자 할 때 이 블레이드로 잇몸을 절개하는 것만으로 치아를 발치 할 수 있도록 하며, 상처부위가 가능한 작게 남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후방으로 홀더를 연결할 수 있고, 전단 및 하단이 날 부분으로 이루어진 블레이드를 형성하되, 상기 블레이드(10)의 홀더 조립부(12)는 평판형으로 하되, 그 끝단부(13)에서는 폭 전체를 오목한 반원통형으로 하고, 그 오목한 반원통형부분의 끝단을 호형으로 형성한 후, 그 호형의 둘레에 걸쳐 모두 날을 가공하여 반원통형의 오목함에 의해 치아의 주변을 절개하기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상기한 블레이드(10)는 끝단부분의 모양을 호형으로 하되, 그 중앙부분에서 다시 반원돌기(11)부분을 형성한 후, 날을 가공하여 치아의 주변을 절개할 때, 상기의 반원돌기(11)부분이 치근까지 도달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메스{SCALPEL FOR DENTAL SURGERY}
본 발명은 치과용 메스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치과에서 구강 내의외과적 수술을 실시할 때 사용하되, 치아의 둘레를 따라 잇몸을 절개하기에 용이하도록 하여 치아를 발치 하는데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부의 외과적 수술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중 잇몸 등 조직의 절개를 위해 사용하는 기구는 치과용 메스이며, 참고로 종래의 메스 구조를 도 1을 통해 볼 수 있다.
이는 여러 종류의 블레이드(A)들과, 이들 블레이드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홀더(B)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레이드들에게는 각각 조립홈(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B)에는 돌출부(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블레이드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홀더(B)에 조립하였을 때, 돌출부(b)와 조립홈(a)이 상호 결합하여 일체화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치과용 메스는 블레이드들의 형태가 측면적인 모양에 따라 다르다. 주로, 직선형 블레이드(A1), 사선형 블레이드(A2), 곡선형 블레이드(A3)를 기본형으로 구비되며, 이들 각각의 블레이드들은 수술하고자하는 부분이 치아열의 외측으로 드러난 부분인가, 치아열의 내측부분인가에 따라 다르고, 또, 수술하고자 하는 치아의 모양 등을 감안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레이드(A)들은 측면 상에서 볼 때는 외곽형태에 따라 직선형 블레이드(A1), 사선형 블레이드(A2), 곡선형 블레이드(A3) 등으로 서로 다르지만, 평면상으로 볼 때는 모두 직선형이다.
즉, 종래의 블레이드들은 날 자체를 평판형으로 제작한 후, 상기와 같이 각각의 직선형, 사선형, 곡선형으로 만들고, 그 직선부, 사선부, 곡선부에 날을 형성한 형태인 것이다.
한편, 치아를 발치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마취를 하고 집게로 치아의 상부를 단단히 잡은 다음 힘을 주고 당겨서 뽑아 내게 되는 바, 치근이 깊이 박혀 있어 뽑기 힘든 점도 있지만, 치아 주변에 잇몸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집게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발치 한다고 하더라도 시술자는 매우 힘이 드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강제로 발치 되고 난 자리는 상처부위가 크고 피가 많이 나게 되며 회복이 느리다.
또한, 치아는 원통기둥모양을 하고 있는 바, 그 치아의 주변을 따라 잇몸을 절개하는 절개 시술을 할 경우, 종래와 같은 메스를 사용하게 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으로 잡고 있는 홀더(B)가 작용점이 되고, 치아부분이 받침점이 되므로 이미 잇몸 속으로 파고 들어간 블레이드(A) 끝부분이 절개된 부분을 벌려주는 작용을 하게 되기 때문에 상처부위가 크게 남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블레이드의 끝단부분을 오목한 대쪽 모양으로 형성하므로써, 원통기둥 모양으로 이루어진 치아를 따라 절개하기에 적당하며, 더 나가서 치아를 발치 하고자 할 때 이 블레이드로 잇몸을 절개하는 것만으로 치아를 발치 할 수 있도록 하며, 상처부위가 가능한 작게 남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후방으로 홀더를 연결할 수 있고, 전단 및 하단이 날 부분으로 이루어진 블레이드를 형성하되, 상기 블레이드(10)는 홀더 조립부(12)는 평판형으로 하되, 그 끝단부(13)에서는 폭 전체를 오목한 반원통형으로 하고, 그 오목한 반원통형부분의 끝단을 호형으로 형성한 후, 그 호형의 둘레에 걸쳐 모두 날을 가공하여 반원통형의 오목함에 의해 치아의 주변을 절개하기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더 나가서 상기한 블레이드의 끝단부분 모양을 호형으로 하되, 그 중앙부분에서 다시 호형 돌기부분을 형성한 후, 날을 가공하여 치아의 주변을 절개할 때, 상기의 호형 돌기부분이 치근까지 도달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치과용 메스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치과용 메스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치과용 메스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치과용 메스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메스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블레이드11 : 반원돌기
12 : 홀더 삽입부13 : 끝단부
B : 홀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블레이드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블레이드(10)를 형성하되, 그 후단으로 홀더(B)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성은 종래와 대동소이하게 형성하고, 반면에 날 부분은 새로운형태로 형성한다.
이 새로운 블레이드(10)는 홀더 조립부(12)는 종래와 같이 평면형으로 하되, 끝단부(13)의 날 주변 모양을 도 4의 정단면도와 평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의 전반에 걸쳐 반원통형으로 오목하게 구부려 대쪽 모양이 되도록 형성하고, 그 반원통형의 끝단부분을 호형으로 둥글게 형성하여 원통형 치아의 주변을 절개하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끝단부분의 모양을 호형으로 하되, 그 중앙부분에서 다시 호형 돌기부분(11)을 추가로 형성한 후, 날을 가공하여 치아의 주변을 절개할 때, 상기의 반원돌기(11)부분이 치근까지 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치과용 메스는 치아의 주변을 절개할 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능한 절개부를 벌리지 않고 절개할 수 있게 된다.
즉, 그 블레이드(10) 끝단부분의 전체 모양이 오목한 원통모양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워서 사용하면 오목한 부분이 원통모양의 치아 주변에 가장 밀착되는 상태가 되고, 그 상태로 좌, 우 방향으로 칼질을 하여 절개하면 가능한 치아에 밀착된 채 잇몸을 절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10)는 좌, 우 방향으로 절개 작업을 할 때마다 둥글게 형성된 칼날의 작용방향이 치아의 주변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절개부위가 작게 되는 것이다.
또한, 끝부분에 반원돌기(11)를 형성한 블레이드의 경우, 치아의 주변을 절개할 때, 반원돌기(11)부분이 치근까지 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치근까지 절개작업을 하게 되면, 그 절개작업을 충실히 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적으로 발치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치과용 메스는 직선형 블레이드에만 한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선형 블레이드 및 곡선형 블레이드에도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는 오목한 모양 때문에 치아의 주변을 따라 절개작업을 했을 때, 치아의 둘레에 가장 접근된 위치를 따라 절개되어 상처가 가장 작게 남는 것이다. 또한 호형 끝부분이 치아 주변을 깊이 절개할 수 있고, 또 반원돌기부분에 의해 치근 주위까지 절개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치아 발치에 매우 유용한 것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절개작업 더 나가서 발치작업까지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고, 환자로서는 상처가 작게 남고 피가 덜 나며, 고통이 작고 후에 회복이 빨리지는 이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후방으로 홀더를 연결할 수 있고, 전단 및 하단이 날 부분으로 이루어진 블레이드를 형성하되,
    상기 블레이드(10)는 홀더 조립부(12)는 평판형으로 하되, 그 끝단부(13)에서는 폭 전체를 오목한 반원통형으로 하고, 그 오목한 반원통형부분의 끝단을 호형으로 형성한 후, 그 호형의 둘레에 걸쳐 모두 날을 가공하여 반원통형의 오목함에 의해 치아의 주변을 절개하기가 용이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메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블레이드(10)는 끝단부분의 모양을 호형으로 하되, 그 중앙부분에서 다시 반원돌기(11)부분을 형성한 후, 날을 가공하여 치아의 주변을 절개할 때, 상기의 반원돌기(11)부분이 치근까지 도달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메스.
KR10-2001-0077018A 2001-12-06 2001-12-06 치과용 메스 KR100444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018A KR100444349B1 (ko) 2001-12-06 2001-12-06 치과용 메스
PCT/KR2002/002276 WO2003047453A1 (en) 2001-12-06 2002-12-04 Scalpel for dental surgery
AU2002365854A AU2002365854A1 (en) 2001-12-06 2002-12-04 Scalpel for dental surg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018A KR100444349B1 (ko) 2001-12-06 2001-12-06 치과용 메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713U Division KR200269048Y1 (ko) 2001-12-06 2001-12-06 치과용 메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766A true KR20030046766A (ko) 2003-06-18
KR100444349B1 KR100444349B1 (ko) 2004-08-16

Family

ID=1971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018A KR100444349B1 (ko) 2001-12-06 2001-12-06 치과용 메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44349B1 (ko)
AU (1) AU2002365854A1 (ko)
WO (1) WO20030474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4513A (zh) * 2017-06-29 2017-11-10 浙江宏泰锆业科技有限公司 一种陶瓷超簿圆弧手术刀片
KR102042542B1 (ko) 2018-09-21 2019-11-08 주식회사 구도 완충 장치를 갖는 페리오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153B2 (ko) * 1975-01-09 1978-03-25
US3990451A (en) * 1975-05-15 1976-11-09 Gibbs Stephen D Surgical instrument
US4221222A (en) * 1978-06-12 1980-09-09 Detsch Steven G Medical cutting instrument
US4365957A (en) * 1981-06-17 1982-12-28 Asha Das Dual purpose periodontal surgical instrument
KR880002494A (ko) * 1986-08-13 1988-05-09 이상호 의료용 수술칼
JP2552909Y2 (ja) * 1991-12-02 1997-11-05 日新製鋼株式会社 歯科用医療具
DE4229310A1 (de) * 1992-09-02 1994-03-10 Winter & Ibe Olympus Medizinisches Instrument zur Schaffung eines Gewebekanals
US5318009A (en) * 1993-03-03 1994-06-07 Scientific Medical Programs, Inc. Illuminated tongue depressor
KR20000030997A (ko) * 1998-11-02 2000-06-05 문천호 치과용 메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4349B1 (ko) 2004-08-16
WO2003047453A1 (en) 2003-06-12
AU2002365854A1 (en) 200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3369A (ko) 디바이스제거키트및그방법
AU2001229716A1 (en) Surgical instrument
JP4397806B2 (ja) 生体組織の正確な側部部分除去手術のための作業器具及びその使用法
EP0962192B8 (de) Medizinisches oder dentalmedizinisches Instrument zur spanabhebenden Bearbeitung von Körpergewebe und Werkzeug für ein solches Instrument
US20210259805A1 (en) Endodontic instrument
CN208799318U (zh) 一种可调节式医用耳科等离子手术刀
KR200269048Y1 (ko) 치과용 메스
KR100444349B1 (ko) 치과용 메스
EP2292177B1 (en) Gingiva incising device
WO2002043605A2 (en) Powered periotome
US20060271077A1 (en) Combination scalpel blade
KR101375066B1 (ko) 임플란트용 치은 절제 플라이어
KR101953889B1 (ko) 식별 표시가 구비된 치과용 로터리 파일
US20140023988A1 (en) Oscillating blade for cutting periodontal ligaments and luxating tooth roots
JP2008104700A (ja) 歯肉厚測定器付き回転式歯肉切除器
KR20000030997A (ko) 치과용 메스
US11957375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follicular unit extraction
CN218500902U (zh) 一种多功能医用耳科手术器械
CN2936175Y (zh) 环形手术刀
CN112386360A (zh) 具有微反射镜的牙科用牵开器
WO2001034054B1 (en) Periotome
CN214073486U (zh) 一种集剪镊两用的医用手术镊子
CN211433034U (zh) 普外科皮肤钻孔器
US20170311972A1 (en) Medical Device for Debridement of Tissue
JP3643675B2 (ja) 抜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