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476A - 현악기 튜너 홀더 - Google Patents

현악기 튜너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476A
KR20030046476A KR10-2003-7004507A KR20037004507A KR20030046476A KR 20030046476 A KR20030046476 A KR 20030046476A KR 20037004507 A KR20037004507 A KR 20037004507A KR 20030046476 A KR20030046476 A KR 20030046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er
holder
hook
transduce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맥심 허위츠
Original Assignee
맥심 허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심 허위츠 filed Critical 맥심 허위츠
Publication of KR2003004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4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10G7/02Tuning forks or like devices

Abstract

현악기용 튜너 홀더(10)가 개시된다. 제 1 실시예는 스트럿(20), 스트럿의 원격 에지(21)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제 1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반부(30), 스트럿의 근접 에지(22)로부터 제 2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40), 및 튜너(500)를 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7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악기 튜너 홀더{Stringed instrument tuner holder}
일반적으로, 기타와 같은 현악기는 일반적으로 현 하나를 플러킹(plucking), 스트라이킹(striking), 또는 스트로킹(stroking)의 주법으로 탄현함으로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으며, 발생된 진동의 주파수 및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전달할 수 있는 전자 튜너를 사용하여 조율된다.
튜너의 사용시에, 발생된 진동의 주파수와 목표 주파수 사이의 차이를 전달하는 조율 표시 장치가 악기를 조율하고 있는 사람에게 보여지도록 튜너를 배치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악기로부터의 발생되는 소리를 최대로 수신하면서 외부 간섭은 최소화하기 위하여 현악기의 울림 공(sound hole)과 마주하는 트랜스듀서(즉, 마이크로폰)를 구비하는 현악기의 울림 공에 튜너를 가까이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시키며 동시에 조율자의 양 손이 현악기를 자유롭게 지지하고, 연주하며, 조율하도록 하는 튜너 홀더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 5,728,959 호는 튜너를 마이크로폰 스탠드에 탑재하기 위한 튜너용 고정 홀더를 개시한다. 상기 고정 홀더는 조율 표시 장치가 악기를 조율하고 있는 사람에게 보여지며 트랜스듀서가 악기의 울림 공과 마주하도록 튜너를 위치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인 반면에, 튜너를 악기의 울림 공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시킨다.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 4,899,636 호는 기타 본체에 튜너를 설치하기 위한 흡입 컵을 구비하는 기타용 튜너를 개시한다. 상기 기타 튜너는 울림 공과 마주하는 트랜스듀서를 구비하는 울림 공에 가까이 위치하며 조율 표시 장치가 기타를 조율하는 사람에게 보여지도록 위치할 수 있지만, 흡입 컵은 기타 본체에 그의 흔적, 상처 또는 다른 손상들을 입힐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기타의 소유자들은 이러한 장치를 자신의 기타에 설치하는 것을 꺼려한다.
미국 특허 의장 번호 제 353,826 호는 기타의 울림 공으로부터 플랫폼 (platform)이 현수되도록 배열된 기타용 튜너 홀더를 개시한다. 상기 홀더는 플랫폼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울림 공을 통하여 기타 본체의 내면과 접하는 중앙에 설치된 상부 손잡이, 및 좌우 레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울림 공 바로 아래에서 기타 본체의 외면과 접하는 가로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한 쌍의 하부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한 홀더는 기타를 조율하는 사람이 튜너의 조율 표시 장치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위치로 튜너를 울림 공 가까이에 위치시킴에 있어서는효과적이지만, 플랫폼이 울림 공으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기타 현들의 바로 정면에 튜너를 위치시켜 튜너가 기타 현들의 연주를 간섭하며 트랜스듀서가 적어도 몇몇의 기타 현들 상부에 위치하는 문제점들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현악기의 연주에 간섭을 주지 아니하면서, 악기의 울림 공과 마주하는 트랜스듀서 및 악기를 조율하는 사람에게 보여질 수 있는 조율 표시 장치를 구비하며 튜너를 악기의 울림 공에 가까이 위치시키는 튜너 홀더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출원은 2000년 10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 60/237,336 호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출원 건에 대한 출원일 소급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현악기용 튜너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타용 튜너의 홀더에 관한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양태에 따른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기타의 울림 공으로부터 현수되며 튜너를 지지하고 있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2 양태에 따른 현악기 튜너 홀더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3 양태에 따른 현악기 튜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기타의 울림 공으로부터 현수되며 트랜스듀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튜너를 지지하고 있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4 양태에 따른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5 양태에 따른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3a는 트랜스듀서를 보이기 위하여 일부가 제거된 케이스를 갖는 홀더로부터 제거 및 분리된,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트랜스듀서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6 양태에 따른 현악기 튜너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상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하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우측면도이다.
도 19a는 트랜스듀서를 보이기 위하여 일부가 제거된,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우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좌측면도이다.
도 21은 보관 위치에 있는 튜너를 지지하는,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기타의 울림 공으로부터 현수되며 보관 위치에 있는 튜너를 지지하고 있는,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상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하면도이다.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도 2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우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좌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7을 A-A선을 따라 절개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보관 위치에서 튜너를 지지하는 도 2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2는 기타의 울림 공으로부터 현수되며 보관 위치에 있는 튜너를 지지하고 있는, 도 2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 사시도이다.
제 3 실시예
도 33은 조율 위치로 선회되는 연결 요소를 갖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다른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튜너 홀더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상면도이다.
도 36은 도 3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하면도이다.
도 37은 도 3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38은 도 3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배면도이다.
도 39는 도 3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우측면도이다.
도 40은 도 3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좌측면도이다.
도 41은 도 37을 B-B선을 따라 절개한 본 발명의 연결 요소부의 단면도이다.
도 42는 보관 위치에서 튜너를 지지하는 도 3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3은 기타의 울림 공으로부터 현수되며 조율 위치에서 튜너를 지지하는 도 3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4는 표시 위치에서 튜너를 지지하는 도 3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악기 튜너 홀더의 배면 사시도이다.
제 4 실시예
도 4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제 1 양태에 따른 현악기 튜너 홀더 어셈블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상면도이다.
도 47은 도 4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하면도이다.
도 48은 도 4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49는 도 4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배면도이다.
도 50은 도 4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우측면도이다.
도 51은 도 4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좌측면도이다.
도 52는 기타의 울림 공으로부터 현수되는 도 48을 C-C선을 따라 절개한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53은 조율 위치로 활주하는 후크를 갖는 활주 후크(slidable hook)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제 2 양태에 따른 어셈블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4는 조율 위치로 활주하는 후크를 갖는 도 5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55는 보관 위치로 활주하는 후크를 갖는 도 5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56은 조율 위치로 활주하는 후크를 갖는 선회 후크(pivotable hook)를 갖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제 3 양태에 따른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7은 조율 위치로 선회되는 후크를 갖는 도 5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58은 보관 위치로 선회되는 후크를 갖는 도 5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울림 공과 마주하는 트랜스듀서를 갖는 현악기의 울림 공 가까이에 튜너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조율 표시 장치가 현악기의 현들의 연주에 간섭을 주지 아니하면서 악기를 조율하고 있는 사람에게 보여질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현악기용 튜너 홀더를 제공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튜너 홀더는 (i) 스트럿, (ii) 스트럿의 원격 에지(distal edge)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제 1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반부, (iii) 스트럿의 근접 에지(proximal edge)로부터 제 2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후크, 및 (iv) 튜너를 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홀더는 선택적으로 (v) 현악기의 현의 연주에 의해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인 트랜스듀서, 및(vi) 전기 신호를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하기 위하여 트랜스듀서를 홀더에 고정된 튜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의 조율 방법은 (i) 튜너를 홀더에 고정하는 단계, (ii)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iii)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는 단계, 및 (iv)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대비 진동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튜너에 의해서 발생되는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경우의 현악기의 조율 방법은 (i) 튜너를 홀더에 고정하는 단계, (ii) 튜너를 트랜스듀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 (iii)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iv)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여, (a) 트랜스듀서에 의해서 진동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b) 전기 신호를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시키며, 그리고 (c) 진동의 주파수와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나타내는, 인지 가능한 신호를 튜너에 의해서 발생시키는 단계, 및 (v)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튜너 홀더는 (i) 보유 챔버를 정의하는 포위벽, 및 (ii) 보유 챔버로부터 떨어진 포위벽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가로 방향으로 접근 가능한 요부를 정의하는 후크를 포함한다. 포위벽은 (a)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전방부 및 후방부, (b)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상부 및 하부, (c) 위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우측부 및 좌측부, (d) 포위벽의 상부에 보유 챔버 내로 형성된 진입 개구, 및 (e) 포위벽의 전방부에 보유 챔버 내로 형성된 진입 개구를 포함한다. 포위벽의 상부에 형성된 진입 개구는 보유 챔버가 포위벽에 대하여 보관 위치에 있는 경우, 튜너의 대 부분이 제 2 가로 방향으로 보유 챔버 내에 활주 방식으로 진입되어 맞물리도록 형성 및 배열된다. 포위벽의 전방부에 형성된 진입 개구는 보유 챔버가 조율 위치에 있는 경우, 튜너의 소 부분이 보유 챔버 내에 활주 방식으로 진입되어 맞물리도록 형성 및 배열된다.
튜너 홀더는 선택적으로 (iii) 현악기의 현의 진동을 초래함으로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인 포위벽에 부착된 트랜스듀서, 및 (iv) 전기 신호를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하기 위하여, 튜너가 조율 방위에서 보유 챔버 내부에 맞물리는 경우 트랜스듀서를 튜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의 조율 방법은 (i) 조율 방위에서 튜너를 홀더에 고정하는 단계, (ii)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iii)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는 단계, 및 (iv)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주파수 대비 진동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튜너에 의해서 발생되는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경우의 현악기의 조율 방법은 (i) 조율 방위에서 튜너를 홀더에 고정하는 단계, (ii) 튜너를 트랜스듀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 (iii)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iv)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여, (a) 트랜스듀서에 의해서 진동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b) 전기 신호를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시키며, 그리고 (c) 진동의 주파수와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나타내는, 인지 가능한 신호를 튜너에 의해서 발생시키는 단계, 및 (v)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튜너 홀더는 (i) 가로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원격 에지 및 근접 에지를 갖는 스트럿, (ii) 적어도 보관 위치와 조율 위치 사이에서와 같이 위도 방향 축 주위를 선회하기 위하여 스트럿의 원격 에지 가까이에 스트럿에 선회 가능하도록 부착된 튜너를 고정하기에 효과적이며, 보관 및 조율 위치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제 1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요소, 및 (iii) 스트럿의 근접 에지 가까이로부터 제 2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후크를 포함한다.
홀더는 선택적으로 (iv) 현악기의 현의 진동을 초래함으로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인 홀더에 부착된 트랜스듀서, 및 (v) 전기 신호를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하기 위하여, 트랜스듀서를 걸쇠에 부착된 튜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의 조율 방법은 (i) 조율 방위에서 튜너를 연결 요소에 고정하는 단계, (ii)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iii)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는 단계, 및 (iv)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대비 진동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튜너에 의해서 발생되는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경우의 현악기의 조율 방법은 (i) 조율 방위에서 튜너를 연결 요소에 고정하는 단계, (ii) 튜너를 트랜스듀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 (iii)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iv)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여, (a) 트랜스듀서에 의해서 진동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b) 전기 신호를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시키며, 그리고 (c) 진동의 주파수와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나타내는, 인지 가능한 신호를 튜너에 의해서 발생시키는 단계, 및 (v)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는 (i) (a) 하우징, (b) 트랜스듀서, 및 (c) 조율 표시 장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튜너, 및 (ii) 후크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되며, 제 1 세로 방향과 마주하는 외면을 갖는 상부벽 및 제 2 세로 방향과 마주하는 외면을 갖는 하부벽, 및 가로 방향으로 일전 간격 떨어져 형성되며, 제 1 가로 방향과 마주하는 외면을 갖는 전방벽 및 제 2 가로 방향과 마주하는 외면을 갖는 후방벽을 포함한다. 조율 표시 장치는 하우징의 전방벽에 위치한다. 후크는 하우징으로부터 제 2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가로 방향으로 진입 가능한 요부를 정의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의 조율 방법은 (i)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ii)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는 단계, 및 (iii)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대비 진동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튜너에 의해서 발생되는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명칭
제 1 실시예
10홀더
20스트럿(strut)
21스트럿의 원격 에지
22스트럿의 근접 에지
23스트럿의 제 1 주면
24스트럿의 제 2 주면
30선반부(shelf)
30y위도 방향의 선회축
31선반부의 원격 에지
32선반부의 근접 에지
33선반부의 제 1 주면
34선반부의 제 2 주면
39회전 채널
40후크
43후크의 외측 주면
44후크의 내측 주면
49후크에 의해 정의되는 요부
50돌출부
60보호용 충전재
70고정 수단
71후크 및 루프 테이프
71a후크 및 루프 테이프의 제 1 부위
71b후크 및 루프 테이프의 제 2 부위
71r후크 및 루프 테이프의 루프 부위 상의 접착 코팅부의 해제 라이너
80지지벽
81지지벽의 원격 에지
82지지벽의 근접 에지
83제 1 핑거(finger)
84제 2 핑거
89보유 채널
90트랜스듀서(transducer)
91전기 접촉부
92전기 도입선
제 2 실시예
100홀더
110포위벽
111포위벽의 전방부
112포위벽의 후방부
112a포위벽 후방부의 내측 주면
112b포위벽 후방부의 외측 주면
113포위벽의 상부
114포위벽의 하부
114a포위벽의 하부의 내측 주면
114b포위벽의 하부의 외부 측면
115포위벽의 우측부
116포위벽의 좌측부
117'포위벽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진입 개구
117"포위벽의 상부에 형성된 제 2 진입 개구
118포위벽의 전방부에 형성된 횡단 슬럿
119보유 챔버
140후크
143후크의 외측 주면
144후크의 내측 주면
149후크에 의해 정의되는 요부
150돌출부
160보호용 충전재
190트랜스듀서
191전기 접촉부
192전기 도입선
제 3 실시예
210홀더
220스트럿
220c스트럿의 중앙벽
220r스트럿의 우측벽
220s스트럿의 좌측벽
221스트럿의 원격 에지
222스트럿의 근접 에지
223스트럿 중앙벽의 제 1 주면
224스트럿 중앙벽의 제 2 주면
230연결 요소
230y위도 방향의 선회축
231연결 요소의 원격 에지
232연결 요소의 근접 에지
239홀딩 채널(holding channel)
240후크
243후크의 외측 주면
244후크의 내측 주면
249후크에 의해 정의된 요부
250돌출부
260보호용 충전재
270고정 수단
281수평 돌출 핀
282오리피스(orifice)
283리브(rib)
284슬럿
290트랜스듀서
291전기 접촉부
292전기 도입선
제 4 실시예
300튜너
301튜너 내부 장착 트랜스듀서
302조율 표시 장치
310튜너 하우징
311튜너 하우징의 전방벽
311e튜너 하우징의 전방벽의 외면
312튜너 하우징의 후방벽
312e튜너 하우징의 후방벽의 외면
313튜너 하우징의 상부벽
313e튜너 하우징의 상부벽의 외면
314튜너 하우징의 하부벽
314e튜너 하우징의 하부벽의 외면
315튜너 하우징의 우측벽
315e튜너 하우징의 우측벽의 외면
316튜너 하우징의 좌측벽
316e튜너 하우징의 좌측벽의 외면
319하우징에 형성된 트랜스듀서 울림 개구
320스트럿
321스트럿의 원격 에지
322스트럿의 근접 에지
323스트럿의 제 1 주면
324스트럿의 제 2 주면
340후크
343후크의 외측 주면
344후크의 내측 주면
349후크에 의해 정의되는 요부
350돌출부
360보호용 충전재
기타
400기타
401기타 본체
402기타의 울림 공
410a기타 현
410b기타 현
410c기타 현
410d기타 현
410e기타 현
410f기타 현
튜너
500튜너
501튜너 내부의 트랜스듀서
502조율 표시 장치
510튜너의 하우징
511튜너의 전방면
512튜너의 후방면
517입력 포트(input port)
519하우징에 형성된 트랜스듀서 울림 개구
축 및 방향
x세로축
x1제 1 세로 방향
x2제 2 세로 방향
y위도축
y1제 1 위도 방향
y2제 2 위도 방향
z가로축
z1제 1 가로 방향
z2제 2 가로 방향
정의
청구항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되는 "연주"라는 용어는 현악기의 현이 진동하도록 현을 플러크(pluck), 스트라이크(strike), 또는 스트로크(stroke)하는 것을 의미한다.
청구항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되는 "대 부분(major portions)"이라는 문구는 80% 이상을 의미한다.
청구항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되는 "소 부분(minor portions)"이라는 문구는 40% 이하를 의미한다.
청구항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수직"이라는 문구는 80° 및 100°사이의 각도 (즉, 직각으로부터 10°편차 이내)를 의미한다.
청구항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되는 "보호용 충전재"라는 문구는 현악기의 처리된 표면을 손상, 마모, 및 흠집으로부터 보호하기에 효과적인 재료를 의미한다.
청구항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되는 "트랜스듀서"라는 용어는 기계적 또는 음향 신호(즉, 압력파)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요소를 의미한다.
청구항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되는 "진동(vibration)"이라는 용어는 고체(즉, 기타 현 또는 기타 본체), 액체(즉, 물), 및 기체(즉, 공기)의 진동을 총칭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진동은 청각으로 들릴 수 있고 촉각으로 감지될 수 있는 발진(oscillation)을 포함한다.
구조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튜너 홀더가 그로부터 현수된 상태로 설치되는 울림 공을 갖는 다양한 현악기들과 관련되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현악기들은 덜시머(dulcimer), 기타(guitar), 하아프(harp), 만돌린(mandoline), 및 우쿨렐레(ukulele)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기타와 관련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기타의 조율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청구항들이 기타 튜너 또는 기타의 조율에만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타 튜너 홀더(10)는 스트럿(20), 선반부(30), 및 후크(40)를 포함한다.
스트럿(20)은 근접 에지(22)로부터 제 2 가로 방향(z2)으로 가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원격 에지(21)가 가로 방향(z)으로 연장된다. 스트럿(20)이 가로 방향(z)으로 연장되어, 선반부(30) 상에 튜너(500)를 고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마모 및 소모를 견딜 수만 있으면, 스트럿(20)은 원하는 크기, 모양,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럿(20)의 가능한 구조는 사각형, 삼각형, 이의 장식된 형태, 틀과 테들로 이루어진 틀 구조, 장식된 틀 구조, 단일 중앙 빔, Y-형으로 분리된 빔 등의 구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트럿(20)은 2 내지 5cm의 가로 방향의 높이 및 1 내지 10cm의 위도 방향의 너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럿(20)은 제 1 세로 방향(x1)과 마주하는 제 1 주면(23) 및 제 2 세로 방향(x2)과 마주하는 제 2 주면(24)을 정의한다.
선반부(30)는 원격 에지(31)로부터 제 1 세로 방향(x1)으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선반부(30)의 근접 에지(32)는 스트럿(20)의 원격 에지(2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선반부(30)의 원격 에지(31)는선반부(30)의 근접 에지(32)로부터 제 1 세로 방향(x1)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다. 선반부(30)는 스트럿(20)으로부터 제 1 세로 방향(x1)으로 연장되며, 선반부(30) 상에 튜너(500)를 고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마모 및 소모를 견디기에 충분하도록 구조적인 보존성을 소유하기만 하면, 원하는 크기, 모양,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선반부(30)의 가능한 구조는 사각형, 삼각형, 이의 장식된 형태, 틀과 테들로 이루어진 틀 구조, 장식된 틀 구조, Y-형으로 분리된 빔 등의 구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반부(30)는 1 내지 10cm의 위도 방향의 너비 및 3 내지 10cm의 세로 방향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선반부(30)는 제 1 가로 방향(z1)과 마주하는 제 1 주면(33) 및 제 2 가로 방향(z2)과 마주하는 제 2 주면(34)을 정의한다.
후크(40)는 스트럿(20)의 근접 에지(22)로부터 제 2 세로 방향(x2)으로 연장되며, 스트럿(20)의 원격 에지(21)를 향하여 열개된, 즉, 제 1 가로 방향(z1)으로 진입 가능한 개구(49)를 정의한다. 홀더(10)가 기타(400)의 울림 공(402)으로부터 현수되어 현수된 홀더(10)의 안정성을 위도 방향(y)으로 증가하면, 후크(40) 및 기타 본체(401) 사이에 적어도 두 개의 위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접촉점들을 제공하도록 후크(40)는 위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40)는 2 내지 5cm의 위도 방향의 너비 및 1 내지 2cm의 세로 방향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40)에 의해 정의되는 요부(49)의 세로 방향의 깊이는 홀더(10)를 기타 본체(401)에 간단하게 걸어 기타 본체(401)의 처리 표면에 손상을 줄 수 있는 후크(40)에 의해 기타 본체(401)에 조임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울림 공(402)에서의 표준 기타 본체(401)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요부(49)가 지나치게 크게 형성되면, 홀더(10)가 기타(400)의 울림 공(402)으로부터 현수될 때 홀더(10)는 기타 본체(401)로부터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선반부(30)가 기타 본체(401)에 대하여 약간 하방의 각도로 연장되게 된다. 즉, 선반부(30)의 제 1 주면(33)이 기타 본체(401)의 면(도면 번호 미기재)과 90°보다 약간 큰 각도 (일반적으로 100°내지 120°정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각도를 90°에 가깝게 되돌리기 위하여, 홀더(10)는 스트럿(20)의 원격 에지(21) 가까이로부터 제 2 세로 방향(x2)으로 연장된 돌출부(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홀더(10)가 기타(400)의 울림 공(402)으로부터 현수되면, 즉, 선반부(30)의 제 1 주면(33)이 기타 본체(401)의 면(도면 번호 미기재)과 90°보다 약간 작은 각도 (약 70°내지 80°정도)를 형성하면, 선반부(30)가 기타 본체(401)에 대하여 약간 상방의 각도로 연장하기에 충분하도록 돌출부(50)가 제 2 세로 방향(x2)의 일정 거리로 연장한다. 선반부(30)를 기타 본체(401)로부터 약간 상방의 각도로 연장시킴으로서, 홀더(10)에 의해서 지지되는 튜너(500) 내의 마이크로폰과같은 트랜스듀서(501) 및 트랜스듀서 울림 개구(519)가 기타(400)의 기타 현들(410a 내지 410f) 및 울림 공(402)과 직접 마주하게 되어, 트랜스듀서(501)에 의해서 기타(400)로부터 흘러나오는 소리의 수신을 향상시키며, 또한, 튜너(500)의 조율 표시 장치(502)가 기타(400)를 지니고 조율하고 있는 사람(도시되지 않음)과 더욱 가까이 마주하도록 하여, 기타(400)가 조율되는 동안 조율 표시 장치(502)를 더욱 쉽게 볼 수 있게 한다.
돌출부(50)는 스트럿(20) 중심에 위도 방향으로 위치한 단일 범프(bump), 위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한 쌍의 범프, 위도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복수 개의 범프들, 위도 방향으로 연장된 리지(ridge), 또는 선반부(30)의 원하는 각도를 얻기에 효과적인 여러 가지 다른 구조물들일 수 있다.
돌출부(50)는 0.3 내지 1cm의 세로 방향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10)는 튜너(500)를 홀더(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500)를 홀더(10)에 고정하기 위한 전형적 고정 수단(70)은 후크 및 루프 테이프(71)이다. 후크 및 루프 테이프(71)는 (i) 홀더(10)에 접착성 있게 결합된 제 1 부위 (71a; 즉, 후크 부위 또는 루프 부위 중 어느 하나), (ii) 후크 및 루프 테이프(71)의 연결성에 의해서 제 1 부위(71a)에 분리 가능토록 부착된 제 2 부위 (71b; 즉, 제 1 부위(71a)와 보완하는 후크 부위 또는 루프 부위 중 다른 어느 하나), 및 (iii) 제 2 부위(71b)의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가 코팅된 노출 주면(도면 번호 미기재)을 도포하는 해제 라이너(71r)를 포함한다. 해제 라이너(71r)는 후크 및 루프 테이프(71)의 제 2 부위(71b)의 튜너(500)로의 다음 접착을 위하여 제거될 수 있다.
후크 및 루프 테이프(71)는 선반부(30)의 제 1 주면(33) 근처의 스트럿(20)의 제 1 주면(23)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 및 루프 테이프(71)의 이러한 위치 설정은 튜너(500)에 접착되는 후크 및 루프 테이프(71)의 제 2 부위(71b)가 홀더(10)에 접착되는 후크 및 루프 테이프(71)의 제 1 부위(71a)에 접촉할 때까지 튜너(500)를 선반부(30)의 제 1 주면(33)을 따라 제 2 세로 방향(x2)으로 활주시킴으로서 튜너(500)를 홀더(10)에 접착시킨다. 한 손(도시되지 아니함)에는 튜너(500)를 다른 한 손(도시되지 아니함)에는 홀더(10)를 쥐고, 튜너(500) 및 홀더(10)를 각각 서로 반대의 세로 방향(x1및 x2)으로 당김으로서 튜너(500)가 분리될 수 있다.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0)가 기타(400) 내의 울림 공(402)에 근접한 기타 본체(401)로부터 현수되면, 보호용 충전재(60)의 층이 기타(400)의 본체(401)와 접촉하는 홀더(10) 부분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용 충전재(60)를 스트럿(20)의 제 2 주면(24)의 적어도 일부, 후크(40)의 내측 주면(44)의 적어도 일부, 및 돌출부(50)의 적어도 정점(도면 번호 미기재)을 포함하는 돌출부(50)의 적어도 일부 상부에 제공함으로서 원하는 보호 목적이 일반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보호용 충전재(60)에 의한 보호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스트럿(20)의 제 2 주면(24) 전체, 선반부(30)의 제 2 주면(34) 전체, 후크(40)의 제 2 주면(44) 전체, 및 돌출부(50)의 노출 영역 전체에 보호용충전재(60)의 층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용 충전재(60)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손상, 마모, 및 흠집으로부터 기타 몸체(401)의 처리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재료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특히, 펠트(felt), 발포 열가소성 물질, 저경도 고무, 발포 고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이에, 보호용 충전재(60)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충분히 선택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0)는 지지벽(80)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지지벽(80)은 조율하는 동안 선반부(30) 상에 튜너(500)의 체류를 향상하기에 효과적인 선반부(30) 및 스트럿(20)을 갖는 보유 채널(89)을 형성하기 위하여 선반부(30)의 원격 에지(31) 근처의 선반부(30)로부터 제 1 가로 방향(z1)으로 연장된다. 지지벽(80)의 근접 에지(82)는 지지벽(80)의 근접 에지(82)로부터 1 가로 방향(z1)으로 연장된 지지벽(80)의 원격 에지(81)를 갖는 선반부(3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홀더(10)가 지지벽(80)을 포함하는 경우, 튜너(500)가 (i) 지지벽(80)을 스트럿(20) 근처의 정상적 폐쇄 위치로부터 스트럿(20)으로부터 먼 개방 위치로 편향시키고, 튜너(500)를 개방된 보유 채널(89) 내로 낙하시킴으로서 보유 채널(80) 내에 삽입되고, (ii) 편향된 지지벽(80)을 폐쇄 위치로 복원시킴으로서 보유 채널(89) 내에 체류되며, 그리고 (iii) 지지벽(80)을 스트럿(20) 근처의 정상적 폐쇄 위치로부터 스트럿(20)으로부터 먼 개방 위치로 편향시키고, 튜너(500)를 개방된 보유 채널(89)로부터 들어올림으로서 보유 채널(89)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홀더(10)는 지지벽(80)을 스트럿(20)으로부터 탄성적으로 편향시킬 수 있는 재료로 형성, 배치, 및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보유 채널(89) 내부 또는 상부로 제 2 세로 방향(x2)으로 연장된 지지벽(80)의 원격 에지(81) 근처에 제공된 제 1 세로 연장 리지 또는 핑거(83), 및/또는 (ii) 보유 채널(89) 내부 또는 상부로 제 1 세로 방향(x1)으로 스트럿(20)으로부터 연장된 제 2 세로 연장 리지 또는 핑거(84)에 의해서 보유 채널(89) 내로의 튜너(500)의 체류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스트럿(20), 선반부(30), 후크(40), 돌출부(50), 및 지지벽(80)은 동일하거나 아니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럿(20), 선반부(30), 후크(40), 돌출부(50), 및 지지벽(80),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물들은 하나의 재료로 형성된 하나의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럿(20), 선반부(30), 후크(40), 돌출부(50), 및 지지벽(80)으로 형성되는 재료는 필요시되는 구조적 단일성을 구비하는 어떠한 재료도 포함하며, 특히, 알루미늄 및 강철과 같은 금속; 카드보드(cardboard) 및 카드스톡(cardstock)과 같은 재지; 폴리에틸렌 및 폴리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 천연 및 합성 고무; 및 목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적절한 재료는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충분히 선택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또는 압전 센서와 같은 트랜스듀서(90)는 홀더(10)에 영구적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전기접촉부(91)는 전기 도입선(92)을 통하여 트랜스듀서(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기 접촉부(91)는 홀더(10)에 의해서 체류되는 튜너(500) 상에 숫 전기 접촉부(도시되지 아니함)와 맞물리도록 형성 및 배열된다. 홀더(10) 상의 전기 접촉부(91)는 튜너(500) 상의 전기 접촉부(도시되지 아니함)와의 맞물림이 튜너(500)의 홀더(10)로의 연결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니면, 홀더(10) 상의 전기 접촉부(91)는 튜너(500) 상의 전기 접촉부(도시되지 아니함)와의 맞물림이 튜너(500)가 홀더(10)에 연결된 후에 두 전기 접촉부들 중 하나를 손으로 조작함으로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홀더(10)로부터 연장된 절연 전기 코드(도면 번호 미기재)의 단부의 숫 플러그(91)를 튜너(500) 내의 암 입력 포트(도면 번호 미기재)로 삽입한다. 트랜스듀서(90)는 선반부(30)의 제 1 주면(33)에 대하여 선호도를 갖는 홀더(10) 상에 어디라도 위치할 수 있다.
트랜스듀서(90)는 기타 현들(410a 내지 410f)의 연주에 의해서 발생되는 어떠한 진동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을 감지된 진동의 주파수의 대표값을 갖는 전기 신호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트랜스듀서(90)에 의해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는 전기 도입선(92) 및 전기 접촉부(91)를 통하여 튜너(500)로 전달된다. 튜너(500)는 트랜스듀서(90)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감지된 진동의 주파수 및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나타내는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피치 미터(pitch meter)에서의 값과 같은 인지 가능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14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0)는 스트럿(20) 및 선반부(30)의 내부 접합부를 따라 위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채널(39), 및튜너(500)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관 위치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율 위치 사이의 위도 방향 축(30y) 주위를 선회하도록 하는 홀더(10)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관 위치에서는, 튜너(500)의 전방면(511; 즉, 조율 표시 장치(502)를 갖는 면)이 스트럿(20)의 제 1 주면(23)에 마주보며 위치한다. 즉, 튜너(500)의 전방면(511)은 스트럿(20)의 제 1 주면(23)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된다. 조율 위치에서는, 튜너(500)의 후방면(512)은 선반부(30)의 제 1 주면(33)에 마주보며 위치한다. 즉, 튜너(500)의 전방면(511)은 스트럿(20)의 제 1 주면(23)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된다.
튜너(500)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여러 가지 방식으로 홀더에 주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접착될 수 있다. 도 14,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한정적인 예시 중 하나는 홀더(10)의 일 측으로부터 튜너(500) 내의 전기 입력 포트(도시되지 아니함)에 분리 가능하도록 맞물리기 위한 회전 채널(39) 내로 위도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축방향 체결 전기 접촉부(91)이다. 전기 접촉부(91)는 홀더(10)에 대한 위도 방향(y)으로의 튜너(500)의 움직임은 제한하는 반면, 위도 방향 축(30y) 주위로의 튜너(500)의 비제한적인 회전은 허용한다.
제 2 실시예
도 23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타 튜너 홀더(100)는 포위벽(110) 및 후크(140)를 포함한다.
포위벽(110)은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전방부(111) 및후방부(112),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상부(113) 및 하부(114), 및 위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우측부(115) 및 좌측부(116)를 포함한다. 포위벽(11)은 보유 챔버(119)를 정의한다. 보유 챔버(119)로의 제 1 진입 개구(117')가 포위벽(110)의 상부(113)에 형성된다. 보유 챔버(119)로의 제 2 진입 개구(117")가 포위벽(110)의 전방부(111)에 형성된다.
도 23 및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위벽(110)의 상부(113)에 형성된 제 1 진입 개구(117')는 보관 위치에서 기타 튜너(500)의 대 부분이 보유 챔버(119) 내에 활주 방식으로 진입되어 맞물리도록 형성 및 배열된다. 도 23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위벽(110)의 전방부(111)에 형성된 제 2 진입 개구(117")는 조율 위치에서 기타 튜너(500)의 소 부분이 보유 챔버(119) 내에 활주 방식으로 진입되어 맞물리도록 형성 및 배열된다. 포위벽(110)의 전방부(111)에 형성된 제 2 진입 개구(117")는 포위벽(110)의 하부(114) 근처에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슬럿(118)은 제 1 진입 개구(117')로부터 제 2 진입 개구(117")까지 포위벽(110)의 전방부(110)에 형성되어 보유 챔버(119) 내에 보관된 튜너(500)의 제거를 손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위벽(110)의 벽들은 포위벽(110)이 보관 및 조율 위치에서 소정의 기타 튜너(500)를 확고하게 체류할 수 있기만 하다면 속이 차있는 벽 구조 또는 개방된 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보유 챔버(119)의 크기 및 형상은 소정의 기타(500)와 합치하도록 선택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맞춤을 이루기 위해서는 4 내지 12cm의 가로 방향의 높이, 3 내지 12cm의 위도 방향의 너비, 1 내지 4cm의 세로 방향의 깊이를 갖는 보유 챔버(119)를 이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6 내지 10cm의 가로 방향의 높이, 4 내지 6cm의 위도 방향의 너비, 2 내지 3cm의 세로 방향의 깊이가 가장 상업적으로 이용성이 있는 튜너(500)에 적절하게 맞추어질 수 있다.
후크(140)는 보유 챔버(19)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포위벽(110)으로부터 제 2 세로 방향(x2)으로 연장되어, 포위벽(110)의 하부(114)를 향하여 개방되는, 즉, 제 1 가로 방향(z1)으로 진입 가능한, 요부(149)를 정의한다. 후크(140)는 바람직하게는 포위벽(110)의 후방부(112)로부터 포위벽(110)의 상부(113)에 근접하게 연장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위벽(110)의 상부(113) 위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제 2 세로 방향(x2) 뿐만 아니라 제 1 세로 방향(x1)으로 연장된다.
홀더(110)가 기타(400)의 울림 공(402)으로부터 현수되어 현수된 홀더(100)의 위도 방향(y)으로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경우, 후크(140) 및 기타 본체(401) 사이의 위도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적어도 두 개의 접촉점(도면 번호 미기재)을 제공하도록 후크(140)가 위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140)는 2 내지 5cm의 위도 방향의 너비 및 1 내지 2cm의 세로 방향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140)에 의해 정의되는 요부(149)의 세로 방향의 깊이는 홀더(100)를 기타 본체(401)에 간단하게 걸어 기타 본체(401)의 처리 표면에 손상을 줄 수 있는후크(40)에 의해 기타 본체(401)에 조임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울림 공(402)에서의 표준 기타 본체(401)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요부(149)가 지나치게 크게 형성되면, 홀더(100)가 기타(400)의 울림 공(402)으로부터 현수될 때 홀더(100)는 기타 본체(401)로부터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포위벽(110)의 하부(114)가 기타 본체(401)에 대하여 약간 하방의 각도로 연장되게 된다. 즉, 포위벽(110)의 하부(114)의 내측 주면(114a)이 기타 본체(401)의 면(도면 번호 미기재)과 90°보다 약간 큰 각도 (일반적으로, 약 100° 내지 120°정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각도를 90°에 가깝게 되돌리기 위하여, 홀더(100)는 포위벽(110)의 하부(114) 가까이로부터 제 2 세로 방향(x2)으로 연장된 돌출부(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홀더(100)가 기타(400)의 울림 공(402)으로부터 현수되면, 즉, 포위벽(110)의 하부(114)의 내측 주면(114a)이 기타 본체(401)의 면(도면 번호 미기재)과 90°보다 약간 작은 각도 (약 70° 내지 80°정도)를 형성하면, 포위벽(110)의 하부(114)가 기타 본체(401)에 대하여 약간 상방의 각도로 연장하기에 충분하도록 돌출부(150)가 제 2 세로 방향(x2)으로 일정 거리 연장된다. 포위벽(110)의 하부(114)를 기타 본체(401)로부터 약간 상방의 각도로 연장시킴으로서, 조율 방향으로 홀더(100) 내에 체류되는 튜너(500) 내의 마이크로폰과 같은 트랜스듀서(501) 및 트랜스듀서 울림 개구(519)가 기타(400)의 기타 현들(410a 내지 410f) 및 울림 공(402)과 더 직접적으로 마주하게 되어, 트랜스듀서(501)에 의해서 기타(400)로부터 흘러나오는 소리의 수신을 향상시키며, 또한, 튜너(500)의 조율 표시 장치(502)가 기타(400)를 지니고 조율하고 있는 사람(도시되지 않음)과 더욱 가까이 마주하도록 하여, 기타(400)가 조율되는 동안 조율 표시 장치(502)를 더욱 쉽게 볼 수 있게 한다.
돌출부(150)는 포위벽(110) 중심에 위도 방향으로 위치한 단일 범프, 위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한 쌍의 범프, 위도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복수 개의 범프들, 위도 방향으로 연장된 리지, 또는 포위벽(110)의 하부(114)의 원하는 각도를 얻기에 효과적인 여러 가지 다른 구조물들일 수 있다.
돌출부(150)는 0.3 내지 1cm의 세로 방향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00)가 기타(400) 내의 울림 공(402)에 근접하여 기타 본체(401)로부터 현수되면, 보호용 충전재(160)의 층이 기타(400)의 본체(401)와 접촉하는 홀더(100) 부분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용 충전재(160)를 포위벽(110)의 후방부(112)의 외측 주면(112b)의 적어도 일부, 후크(140)의 내측 주면(144)의 적어도 일부, 및 돌출부(150)의 적어도 정점(도면 번호 미기재)을 포함하는 돌출부(150)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제공함으로서 원하는 보호 목적이 일반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보호용 충전재(160)에 의한 보호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포위벽(110)의 후방부(112)의 외측 주면(112b) 전체, 포위벽(110)의 하부(114)의 외측 주면(114b) 전체, 후크(140)의 내측 주면(144) 전체, 및 돌출부(150)의 노출 영역 전체에 보호용 충전재(160)의 층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용 충전재(160)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손상, 마모, 및 흠집으로부터 기타 몸체(401)의 처리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재료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특히, 펠트, 발포 열가소성 물질, 저경도 고무, 발포 고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보호용 충전재(160)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충분히 선택 가능하다.
포위벽(110), 후크(140), 및 돌출부(150)는 동일하거나 아니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포위벽(110), 후크(140), 및 돌출부(150),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물들은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위벽(110), 후크(140), 및 돌출부(150)로 형성되는 재료는 필요시되는 구조적 단일성을 구비하는 어떠한 재료도 포함하며, 특히, 알루미늄 및 강철과 같은 금속; 카드보드(cardboard) 및 카드스톡(cardstock)과 같은 재지; 폴리에틸렌 및 폴리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 천연 및 합성 고무; 및 목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적절한 재료는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충분히 선택 가능하다.
도 28,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또는 압전 센서와 같은 트랜스듀서(190)는 홀더(100)에 영구적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전기 접촉부(191)는 전기 도입선(192)을 통하여 트랜스듀서(1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조율 방위에서 튜너가 보유 챔버(119) 내에 체류되는 경우, 전기 접촉부(191)는 튜너(500) 상의 해당 전기 접촉부(도시되지 아니함)와 맞물리도록 형성 및 배열된다. 홀더(100) 상의 전기 접촉부(191)는 튜너(500) 상의 전기접촉부(도시되지 아니함)와의 맞물림이 조율 방위에서의 튜너(500)를 보유 챔버(119) 내에 위치시킴으로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니면, 홀더(100) 상의 전기 접촉부(191)의 튜너(500) 상의 전기 접촉부(도시되지 아니함)와의 맞물림이 조율 방위에서의 튜너(500)를 보유 챔버(119) 내에 위치시킨 후에 전기 접촉부들(191) 중 하나 또는 양 세트를 손으로 조작함으로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홀더(100)로부터 연장된 절연 전기 코드(도면 번호 미기재)의 단부의 숫 플러그(도시되지 아니함)를 튜너(500) 내의 암 입력 포트(도시되지 아니함)로 삽입한다. 트랜스듀서(190)는 포위벽(110)의 후방부(112)의 외측 주면(112b)에 대하여 선호도를 갖는 홀더(100) 상에 어디라도 실질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트랜스듀서(190)는 기타 현들(410a 내지 410f)의 연주에 의해서 발생되는 어떠한 진동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을 감지된 진동의 주파수의 대표값을 갖는 전기 신호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트랜스듀서(190)에 의해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는 전기 도입선(192) 및 전기 접촉부(191)를 통하여 튜너(500)로 전달된다. 튜너(500)는 트랜스듀서(190)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감지된 진동의 주파수 및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나타내는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피치 미터에서의 값과 같은 인지 가능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 3 실시예
도 33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타 튜너 홀더(200)는 스트럿(220), 연결 요소(230) 및 후크(240)를 포함한다.
스트럿(220)은 근접 에지(222)로부터 제 2 가로 방향(z2)으로 가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원격 에지(221)와 가로 방향(z)으로 연장된다. 스트럿(220)이 가로 방향(z)으로 연장되어, 연결 요소(230)에 접착된 튜너(500)를 고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마모 및 소모를 견딜 수만 있으면, 스트럿(220)은 원하는 크기, 모양,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럿(220)의 가능한 구조는 사각형, 삼각형, 이의 장식된 형태, 틀과 테들로 이루어진 틀 구조, 장식된 틀 구조, 단일 중앙 빔, Y-형으로 분리된 빔 등의 구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트럿(210)은 2 내지 5cm의 가로 방향의 높이 및 1 내지 10cm의 위도 방향의 너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럿(220)은 (i) 제 1 세로 방향(x1)과 마주하는 제 1 주면(223) 및 제 2 세로 방향(x2)과 마주하는 제 2 주면(224)을 정의하는 중앙벽(200c), 및 (ii) 연결 요소(230)가 스트럿(220)에 주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접착되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하여, 중앙벽(200c)의 좌우측면들(도면 번호 미기재)로부터 제 1 세로 방향(x1)으로 연장되는 위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우측벽(220r) 및 좌측벽(220s)을 포함한다.
연결 요소(23)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관 위치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율 위치 사이의 위도 방향 축(230y) 주위를 선회하기 위하여 스트럿(220)의 원격 에지(221) 가까이에서 스트럿(220)에 선회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보관 위치에서, 튜너(500)의 전방면(511; 즉, 조율 표시 장치(502)를 갖는 면)이 스트럿(220)의 중앙벽(220c)의 제 1 주면(223)에 마주보며 위치한다. 즉, 튜너(500)의 전방면(511)은 스트럿(220)의 중앙벽(220c)의 제 1 주면(223)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된다. 조율 위치에서는, 튜너(500)의 전방면(511)은 제 1 가로 방향(z1)과 마주하는 스트럿(220)의 중앙벽(220c)으로부터 제 1 세로 방향(x1)으로 연장된다. 즉, 튜너(500)의 전방면(511)은 스트럿(20)의 중앙벽(220c)의 제 1 주면(223)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된다.
또한, 연결 요소(230)는,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도 방향 축(230y)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튜너(500)의 전방면(511)은 위도 방향 축(230y)으로부터 제 2 세로 방향(x2) 및 제 1 가로 방향(z1)으로 연장되어, 제 2 세로 방향(x2) 및 제 2 가로 방향(z2)과 일정 각도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즉, 튜너(500)의 전방면(511)으 스트럿(220)의 중앙벽(220c)의 제 2 주면(224)으로부터 약 20°내지 70°의 각도로 위치한다. 연결 요소(23)가 표시 위치로 선회하면, 조율 표시 장치(502)가 손대지 않고도 쉽게 보여질 수 있는 각도로 표면(도시되지 아니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튜너(500)의 전방면(511)을 구비하는 평탄면(도시되지 아니함) 상에 홀더(21)가 마주하며 위치할 수 있도록 스트럿(220)은 튜너(500)를 위한 스탠드의 역할을 한다.
연결 요소(230)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여러 가지 방식들로 스트럿(220)에 선회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한정적인 일례를 들자면, 원통형의 핀(281)이 연결 요소(230)의 근접 에지(233) 근처에 연결 요소(23)의 각 측(도면 번호 미기재)으로부터 위도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핀(281)은 스트럿(220)의 우측벽(220r) 및 좌측벽(220s)에 형성된 원형의 오리피스(282)에 결합된다. 위도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리브(283)가 각 핀(281)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283)는 각각의 원형 오리피스(282)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각도 보상 슬럿들(284)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원하는 회전 위치 뿐만 아니라 보관, 조율, 및 표시 위치 각각에 있어서 연결 요소(230)의 계속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요소(230)는 1 내지 10cm의 위도 방향 너비 및 3 내지 10cm의 세로 방향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210)는 튜너(500)를 연결 요소(230)에 해체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수단(27)을 포함한다.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500)를 연결 요소(230)에 고정하기 위한 전형적 수단(27)은 그의 내부에서 튜너(500)의 단부(참조 번호 없음)와 마찰을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홀딩 채널(239)이다. 튜너(500)가 홀딩 채널(239) 내부로 활주하여 진입하면, 잠금 튜너(500) 내부의 입력 포트(도시되지 아니함)와 맞물리기 위하여 연결 요소(230)로부터 홀딩 채널(239) 내부로 연장된 원통형의 축방향 체결 전기 접촉부(291)를 사용함으로서 홀딩 채널(239) 내부로의 튜너(500)의 체류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아니면, 연결 요소(230)는 튜너 하우징(5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크(240)는 스트럿(220)의 근접 에지(222)로부터 제 2 세로 방향(x2)으로 연장되며, 스트럿(220)의 원격 에지(221)를 향하여 열개된, 즉, 제 1 가로 방향(z1)으로 진입 가능한 개구(249)를 정의한다. 홀더(210)가 기타(400)의 울림 공(402)으로부터 현수되어 현수된 홀더(210)의 안정성을 위도 방향(y)으로 증가하면, 후크(240) 및 기타 본체(401) 사이에 적어도 두 개의 위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접촉점들을 제공하도록 후크(240)는 위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240)는 2 내지 5cm의 위도 방향의 너비 및 1 내지 2cm의 세로 방향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240)에 의해 정의되는 요부(249)의 세로 방향의 깊이는 홀더(210)를 기타 본체(401)에 간단하게 걸어 기타 본체(401)의 처리 표면에 손상을 줄 수 있는 후크(240)에 의해 기타 본체(401)에 조임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울림 공(402)에서의 표준 기타 본체(401)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요부(249)가 지나치게 크게 형성되면, 홀더(210)가 기타(400)의 울림 공(402)으로부터 현수될 때 홀더(210)는 기타 본체(401)로부터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조율 위치에서 연결 요소(230)의 홀딩 채널(239) 내에 체류된 튜너(500)가 기타 본체(401)에 대하여 약간 하방의 각도로 연장되게 된다. 즉, 조율 위치에서 연결 요소(230)의 홀딩 채널(239) 내에 체류된 튜너(500)의 전방부(511)가 기타 본체(401)의 면(참조 번호없음)과 90°보다 약간 큰 각도 (일반적으로 약 100° 내지 120°정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각도를 90°에 가깝게 되돌리기 위하여, 홀더(210)는 스트럿(220)의 원격 에지(221) 가까이로부터 제 2 세로 방향(x2)으로 연장된 돌출부(2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조율 위치에서 연결 요소(230)의 홀딩 채널(239) 내에 체류된 튜너(500)가 기타 본체(401)에 대하여 약간 상방의 각도로 연장하기에 충분하도록, 돌출부(50)가 제 2 세로 방향(x2)의 일정 거리로 연장한다. 즉, 조율 위치에서 연결 요소(230)의 홀딩 채널(239) 내에 체류된 튜너(500)의 전방면(511)이 기타 본체(401)의 면(도면 번호 없음)과 90°보다 약간 작은 각도 (약 70° 내지 80°정도)를 형성한다. 조율 위치에서, 연결 요소(230)의 홀딩 채널(239) 내에 체류된 튜너(500)의 전방면(511)이 기타 본체(401)로부터 약간 상방의 각도로 연장됨으로서, 튜너(500) 내의 마이크로폰과 같은 트랜스듀서(501) 및 트랜스듀서 울림 개구(519)가 기타(400)의 기타 현들(410a 내지 410f) 및 울림 공(402)과 직접 마주하게 되어, 트랜스듀서(501)에 의한 기타(400)로부터 흘러나오는 소리의 수신을 향상시키며, 또한, 튜너(500)의 조율 표시 장치(502)가 기타(400)를 지니고 조율하고 있는 사람(도시되지 않음)과 더욱 가까이 마주하도록 하여, 기타(400)가 조율되는 동안 조율 표시 장치(502)를 더욱 쉽게 볼 수 있게 한다.
돌출부(250)는 스트럿(220) 중심에 위도 방향으로 위치한 단일 범프(bump), 위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한 쌍의 범프, 위도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복수 개의 범프들, 위도 방향으로 연장된 리지(ridge), 또는 조율 방위에서 연결 요소(230)의 홀딩 채널(239) 내에 체류된 튜너(500)의 원하는 각도를 얻기에 효과적인 여러 가지 다른 구조물들일 수 있다.
돌출부(250)는 0.3 내지 1cm의 세로 방향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10)가 기타(400) 내의 울림 공(402)에 근접한 기타 본체(401)로부터 현수되면, 보호용 충전재(260)의 층이 기타 본체(401)와 접촉하는 홀더(210) 부분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용 충전재(260)를 스트럿(220)의 중앙벽(220c)의 제 2 주면(224)의 적어도 일부, 후크(240)의 내측 주면(244)의 적어도 일부, 및 돌출부(250)의 적어도 정점(도면 번호 없음)을 포함하는 돌출부(250)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제공함으로서 원하는 보호 목적이 일반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보호용 충전재(260)에 의한 보호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스트럿(220)의 중앙벽(220c)의 제 2 주면(224) 전체, 연결 요소(230)의 외부면(도면 번호 없음) 전체, 후크(240)의 내측 주면(244) 전체, 및 돌출부(250)의 노출 영역 전체에 보호용 충전재(260)의 층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용 충전재(260)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손상, 마모, 및 흠집으로부터 기타 몸체(401)의 처리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재료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특히, 펠트, 발포 열가소성 물질, 저경도 고무, 발포 고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보호용 충전재(260)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충분히 선택 가능하다.
스트럿(220), 후크(240), 및 돌출부(250)는 동일하거나 아니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럿(220), 후크(240), 및 돌출부(250),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물들은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요소(230) 뿐만 아니라 스트럿(220), 후크(240), 및 돌출부(250)로 형성되는 재료는 필요시되는 구조적 단일성을 구비하는 어떠한 재료도 포함하며, 특히, 알루미늄 및 강철과 같은 금속; 카드보드(cardboard) 및 카드스톡(cardstock)과 같은 재지; 폴리에틸렌 및 폴리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 천연 및 합성 고무; 및 목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적절한 재료는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충분히 선택 가능하다.
도 34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또는 압전 센서와 같은 트랜스듀서(290)는 홀더(210)에 영구적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전기 접촉부(291)는 전기 도입선(292)을 통하여 트랜스듀서(2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기 접촉부(291)는 튜너(500) 상의 전기 접촉부(도시되지 아니함)와 맞물리도록 형성 및 배열된다. 홀더(210) 상의 전기 접촉부(291)는 튜너(500) 상의 전기 접촉부(도시되지 아니함)와의 맞물림이 튜너(500)의 연결 요소(230)와의 결합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니면, 홀더(210) 상의 전기 접촉부(291)의 튜너(500) 상의 전기 접촉부(도시되지 아니함)와의 맞물림이 튜너(500)가 연결 요소(230)에 의해서 결합된 후에 전기 접촉부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손으로 조작함으로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홀더(210)로부터 연장된 절연 전기 코드(도면 번호 미기재)의 단부의 숫 플러그(도시되지 아니함)를 튜너(500) 내의 암 입력 포트(도시되지 아니함)로 삽입한다. 트랜스듀서(290)는 연결 요소(230)의 내부(도면 번호 미기재)에 대하여 선호도를 갖는 홀더(210) 상에 어디라도 실질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트랜스듀서(290)는 기타 현들(410a 내지 410f)의 연주에 의해서 발생되는 어떠한 진동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을 감지된 진동의 주파수의 대표값을 갖는 전기 신호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트랜스듀서(290)에 의해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는 전기 도입선(292) 및 전기 접촉부(291)를 통하여 튜너(500)로 전달된다. 튜너(500)는 트랜스듀서(290)로부터 수신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감지된 진동의 주파수 및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나타내는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피치 미터에서의 값과 같은 인지 가능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 4 실시예
도 45 내지 도 5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는 (i) 마이크로폰과 같은 트랜스듀서(301) 및 하우징(310) 내에 체류하는 조율 표시 장치(302)를 갖는 기타 튜너(300), 및 (ii) 하우징(310)으로부터 연장되는 후크(34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형성된 전방벽(311) 및 후방벽(312),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형성된 상부벽(313) 및 하부벽(314), 및 위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형성된 우측벽(315) 및 좌측벽(316)을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튜너(300)의 적절하게 기능을 위해 필요한 전자 부품들(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고 튜너(300)를 손쉽게 사용, 운송, 및 보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기만 하다면, 실질적으로 어떠한 크기 및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4 내지 12cm의 가로 방향으로의 높이, 3 내지 12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 및 1 내지 4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 하우징(310)이 상기한 필요 요건들을 만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우징(310)은 6 내지 10cm의 가로 방향으로의 높이, 4 내지 6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 및 2 내지 3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다.
튜너(300)의 트랜스듀서(301)가 음향 진동 또는 음파를 감지하도록 선택되는 경우, 트랜스듀서(301)는 기타(400)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하우징(310)에 형성되는 울림 공(319)에 배치된다. 울림 공(319)은 하우징(31)의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지만, 전방벽(31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340)는 하우징(310)으로부터 제 2 세로 방향(x2)으로 연장되며, 하우징(310)의 하부벽(314)을 향하여 열개된, 즉, 제 1 가로 방향(z1)으로 진입 가능한 개구(349)를 정의한다. 후크(34)는 하우징(310)의 후방벽(312)으로부터 하우징(310)의 상부벽(313) 가까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우징(31)의 상부벽(313) 위에서 제 1 가로 방향(z1)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튜너(300)가 기타(400)의 울림 공(402)으로부터 현수되어 현수된 튜너(300)의 위도 방향(y)으로의 안정성이 증가되면, 후크(340) 및 기타 본체(401) 사이에적어도 두 개의 위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접촉점들(도면 번호 미기재)을 제공하도록 후크(340)는 위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340)는 2 내지 5cm의 위도 방향의 너비 및 1 내지 2cm의 세로 방향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3 내지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4)는 적어도 도 54에 도시된 보관 위치와 도 54에 도시된 조율 위치 사이를 세로 방향으로 활주하기 위하여 하우징(310)에 활주 가능토록 연결될 수 있다. 도 55에 도시된 보관 위치에서는, 후크(340)에 의해서 정의되는 요부(349)가 쉽게 진입하지 못하도록 후크(340)는 하우징(310)을 향하여 다가간다. 조율 위치에서는, 후크(340)에 의해서 정의되는 요부(349)로 제 1 가로 방향(z1)으로 진입하여 튜너(300)가 울림 공(402) 가까이에서 기타 본체(401)로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340)는 하우징(310)으로부터 인출된다.
도 56 내지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40)는 도 58에 도시된 보관 위치와 도 57에 도시된 조율 위치 사이에서 위도 방향 축(도시되지 아니함) 주위를 선회하기 위하여 하우징(310)에 선회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보관 위치에서는, 후크(340)에 의해서 정의되는 요부(349)가 쉽게 진입하지 못하도록 후크(340)는 하우징(310)을 향하여 다가간다. 조율 위치에서는, 튜너(300)가 울림 공(402) 가까이에서 기타 본체(401)로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340)는 하우징(310)으로부터 인출된다.
어셈블리(도면 번호 미기재)는 하우징(310)과 후크(340) 사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럿(320)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후크(340)는 하우징(310)에 부착되는 스트럿(320)의 원격 에지(321) 및 후크(340)에 부착되는 스트럿(32)의 근접 에지(322)를 구비한다. 스트럿(320)은 후크(340)로부터 튜너(300)를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분리하는데 효과적이어서, 튜너(300)가 후크(340)에 의해서 기타(400)의 울림 공(402)으로부터 현수되는 경우 기타(400)의 기타 현들(410a 내지 410f)로부터 튜너(300)를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분리시킨다. 스트럿(320)은 가로 방향(z)으로 연장되며, 기타(400)의 울림 공(402)으로부터 튜너(300)를 고정적으로 현수시키며, 정상적인 마모 및 소모를 견딜 수 있으면, 원하는 크기, 모양,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럿(320)의 가능한 구조는 사각형, 삼각형, 이의 장식된 형태, 틀과 테들로 이루어진 틀 구조, 장식된 틀 구조, 단일 중앙 빔, Y-형으로 분리된 빔 등의 구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트럿(320)은 1 내지 5cm의 가로 방향으로의 높이 및 1 내지 10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트럿(320)은 제 1 세로 방향(x1)과 마주하는 제 1 주면(323) 및 제 2 세로 방향(x2)과 마주하는 제 2 주면(324)을 정의한다.
후크(340)에 의해 정의되는 요부(349)의 세로 방향의 깊이는 어셈블리(도면 번호 미기재)를 기타 본체(401)에 간단하게 걸어 기타 본체(401)의 처리 표면에 손상을 줄 수 있는 후크(340)에 의해 기타 본체(401)에 조임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울림 공(402)에서의 표준 기타 본체(401)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요부(349)가 지나치게 크게 형성되면, 어셈블리(도면 번호 미기재)가 기타(400)의 울림 공(402)으로부터 현수될 때 튜너(300)가 기타 본체(401)로부터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튜너 하우징(310)의 하부벽(314)이 기타 본체(401)에 대하여 약간 하방의 각도로 연장되게 된다. 즉, 하우징(310)의 하부벽(314)이 기타 본체(401)의 면(도면 번호 미기재)과 90°보다 약간 큰 각도 (일반적으로 약 100° 내지 120°정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각도를 90°에 가깝게 되돌리기 위하여, 어셈블리(도면 번호 미기재)는 하우징(310)의 하부벽(314) 가까이로부터 제 2 세로 방향(x2)으로 연장된 돌출부(3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어셈블리(도면 번호 미기재)가 기타(400)의 울림 공(402)으로부터 현수될 때 하우징(310)의 하부벽(314)이 기타 본체(401)에 대하여 약간 상방의 각도로 연장하기에 충분하도록, 돌출부(350)가 제 2 세로 방향(x2)으로 일정 거리 연장한다. 즉, 하우징(310)의 하부벽(314)이 기타 본체(401)의 면(도면 번호 미기재)과 90°보다 약간 작은 각도 (약 70° 내지 80°정도)를 형성하게 된다. 하우징(310)의 하부벽(314)이 기타 본체(401)에 대하여 약간 상방의 각도로 연장됨으로서, 튜너(500) 내의 마이크로폰과 같은 트랜스듀서(301) 및 트랜스듀서 울림 개구(319)가 기타(400)의 기타 현들(410a 내지 410f) 및 울림 공(402)과 더 가까이 마주하게 되어, 트랜스듀서(301)에 의한 기타(400)로부터 흘러나오는 소리의 수신을 향상시키며, 또한, 튜너(300)의 조율 표시 장치(302)가 기타(400)를 지니고 조율하고 있는 사람(도시되지 않음)과 더욱 가까이 마주하도록 하여, 기타(400)가 조율되는 동안 조율 표시 장치(302)를 더욱 쉽게 볼 수 있게 한다.
돌출부(350)는 하우징(310) 중심에 위도 방향으로 위치한 단일 범프(bump), 위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한 쌍의 범프, 위도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복수 개의 범프들, 위도 방향으로 연장된 리지(ridge), 튜너(300)의 원하는 각도를 얻기에 효과적인 여러 가지 다른 구조물들일 수 있다.
돌출부(350)는 0.3 내지 1cm의 세로 방향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5, 도 50, 도 51, 및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300)가 기타(400) 내의 울림 공(402)에 근접하여 기타 본체(401)로부터 현수되면, 보호용 충전재(360)의 층이 기타 본체(401)와 접촉하는 튜너(300) 부분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용 충전재(360)를 하우징(310)의 후방벽(312)의 외측 주면(312e)의 적어도 일부, 후크(340)의 내측 주면(344)의 적어도 일부, 및 돌출부(350)의 적어도 정점(도면 번호 미기재)을 포함하는 돌출부(350)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제공함으로서 원하는 보호 목적이 일반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보호용 충전재(360)에 의한 보호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하우징(310)의 후방벽(312)의 외측 주면(312e) 전체, 하우징(310)의 하부벽(314)의 외측 주면(314e) 전체, 후크(340)의 내측 주면(344)의 전체, 및 돌출부(350)의 노출 영역 전체에 보호용 충전재(360)의 층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용 충전재(360)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손상, 마모, 및 흠집으로부터 기타 몸체(401)의 처리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재료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특히, 펠트, 발포 열가소성 물질, 저경도 고무, 발포 고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보호용 충전재(360)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충분히 선택 가능하다.
하우징(310), 후크(340), 및 돌출부(350)는 동일하거나 아니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 후크(340), 및 돌출부(35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물들은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310), 후크(340), 및 돌출부(350)로 형성되는 재료는 필요시되는 구조적 단일성을 구비하는 어떠한 재료도 포함하며, 특히, 알루미늄 및 강철과 같은 금속; 카드보드(cardboard) 및 카드스톡(cardstock)과 같은 재지; 폴리에틸렌 및 폴리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 천연 및 합성 고무; 및 목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적절한 재료는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충분히 선택 가능하다.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또는 압전 센서와 같은 트랜스듀서(301)가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된다. 트랜스듀서(301)는 기타 현들(410a 내지 410f)의 연주에 의해서 발생되는 어떠한 진동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을 감지된 진동의 주파수의 대표값을 갖는 전기 신호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튜너(300)는 감지된 진동의 주파수 및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나타내는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피치 미터에서의 값과 같은 인지 가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펌웨어(firmware)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Claims (85)

  1. (a) 가로 방향으로 일정 거리 분리되어 떨어져 원격 에지 및 근접 에지를 갖는 스트럿;
    (b) 스트럿의 원격 에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제 1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반부;
    (c) 스트럿의 근접 에지로부터 제 2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후크; 및
    (d) 튜너를 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트럿의 원격 에지 가까이의 스트럿으로부터 제 2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i) 스트럿을 선반부로부터 제 1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ii) 선반부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형성되는 원격 에지 및 근접 에지를 가지며, 상기 선반부의 근접 에지는 스트럿의 근접 에지와 근접하게 형성되며; 그리고 (iii) 홀더는 선반부의 원격 에지 가까이의 선반부로부터 제 1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i) 스트럿, 선반부, 및 지지벽에 의해서 보유 채널이 형성되며, (ii) 지지벽은 스트럿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하여,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지지벽의 편향에 의해서 튜너가 보유 채널로 삽입되고, 삽입된 튜너는 편향된 지지벽의 폐쇄 위치로의 복원에 의해서 보유 채널 내에 체류되며, 그리고 삽입된 튜너는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의 지지벽의 편향에 의해서 보유 채널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5. 제 4 항에 있어서, 보유 채널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핑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핑거는 지지벽의 원격 에지 가까이에서부터 제 2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핑거는 스트럿으로부터 제 1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스트럿, 선반부, 및 후크가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7. 제 2 항에 있어서, 스트럿, 선반부, 후크, 및 돌출부가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8. 제 1 항에 있어서, 스트럿은 2 내지 5cm의 가로 방향으로의 높이 및 1 내지 10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9. 제 1 항에 있어서, 선반부는 1 내지 10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 및 3 내지 10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0. 제 1 항에 있어서, 후크는 2 내지 5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 및 1 내지 2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1. 제 2 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0.3 내지 1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2. 제 1 항에 있어서, 튜너를 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i) 홀더에 접착성 있게 부착된 제 1 부위; 및 (ii) 제 1 부위에 분리 가능토록 부착되며, 감압 접착제가 코팅되며 해제 라이너로 도포된 노출 주면을 갖는 제 2 부위를 갖는 후크 및 루프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3.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가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 본체로부터 현수되어 사용되는 경우, 현악기 본체와 접촉하는 홀더 부분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용 충전재의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4. 제 13 항에 있어서, (i) 스트럿은 제 1 세로 방향과 마주하는 제 1 주면 및 제 2 세로 방향과 마주하는 제 2 주면을 포함하며, (ii) 선반부는 제 1 가로 방향과 마주하는 제 1 주면 및 제 2 가로 방향과 마주하는 제 2 주면을 포함하며, (iii) 후크는 외측 주면 및 내측 주면을 정의하며, 그리고 (iv) 보호용 충전재의 층은 스트럿의 제 2 주면의 적어도 일부 및 후크의 내측 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5. 제 13 항에 있어서, (i) 스트럿은 제 1 세로 방향과 마주하는 제 1 주면 및 제 2 세로 방향과 마주하는 제 2 주면을 포함하며, (ii) 선반부는 제 1 가로 방향과 마주하는 제 1 주면 및 제 2 가로 방향과 마주하는 제 2 주면을 포함하며, (iii) 후크는 외측 주면 및 내측 주면을 정의하며, 그리고 (iv) 보호용 충전재의 층은 스트럿의 제 2 주면, 선반부의 제 2 주면, 및 후크의 내측 주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6. 제 1 항에 있어서,
    (i) 현악기의 현의 연주에 의해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인 트랜스듀서; 및
    (ii) 전기 신호를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하기 위하여 트랜스듀서를 홀더에 고정된 튜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7. 제 16 항에 있어서, (i) 트랜스듀서는 압전 센서이며, (ii) 압전 센서를 튜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튜너가 홀더에 고정되는 경우, 압전 센서를 튜너에 전기적으로 자동으로 연결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8. 제 16 항에 있어서, 트랜스듀서는 홀더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9. 제 1 항에 있어서, 튜너를 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보관 위치와 조율 위치 사이에서와 같이 스트럿에 대하여 튜너가 움직이도록 튜너를 홀더에 선회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20. 울림 공을 갖는 현악기를 조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현악기용 튜너를 준비하는 단계;
    (b) 제 1 항에 의한 홀더를 준비하는 단계;
    (c) 튜너를 홀더에 고정하는 단계;
    (d)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e)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는 단계; 및
    (f)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대비 진동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튜너에 의해서 발생되는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울림 공을 갖는 현악기를 조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현악기용 튜너를 준비하는 단계;
    (b) 제 16 항에 의한 홀더를 준비하는 단계;
    (c) 튜너를 홀더에 고정하는 단계;
    (d) 튜너를 트랜스듀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
    (e)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f)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여, (i) 트랜스듀서에 의해서 진동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ii) 전기 신호를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시키며, 그리고 (iii) 진동의 주파수와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나타내는, 인지 가능한 신호를 튜너에 의해서 발생시키는 단계; 및
    (g)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a)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전방부 및 후방부,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상부 및 하부, 및 위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우측부 및 좌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사이의 진입 개구들을 통하여 진입 가능한 보유 챔버를정의하며, (i) 상부에 형성된 진입 개구는 보관 위치에서 튜너의 대 부분이 제 2 가로 방향으로 보유 챔버 내에 활주 방식으로 진입되어 맞물리도록 형성 및 배열되며, (ii) 전방부에 형성된 진입 개구는 조율 위치에서 튜너의 소 부분이 보유 챔버 내에 활주 방식으로 진입되어 맞물리도록 형성 및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위벽; 및
    (b) 보유 챔버로부터 멀리 떨어진 포위벽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가로 방향으로 접근 가능한 요부를 정의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튜너 홀더.
  23. 제 22 항에 있어서, 포위벽의 전방부에 형성된 진입 개구는 포위벽의 하부에 근접하여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24. 제 23 항에 있어서, 포위벽은 포위벽의 상부에 형성된 진입 개구로부터 포위벽의 전방부에 형성된 진입 개구까지 포위벽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슬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25. 제 22 항에 있어서, 포위벽의 하부 가까이의 보유 챔버로부터 멀리 떨어진 포위벽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26. 제 22 항에 있어서, 후크는 포위벽의 상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27. 제 26 항에 있어서, 후크는 호위벽의 상부 위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28. 제 22 항에 있어서, 포위벽의 전방부, 후방부, 상부, 하부, 제 1 측부 및 제 2 측부와 후크는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29. 제 22 항에 있어서, 보유 챔버는 4 내지 12cm의 가로 방향으로의 높이, 3 내지 12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 및 1 내지 4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0. 제 24 항에 있어서, 보유 챔버는 6 내지 10cm의 가로 방향으로의 높이, 4 내지 6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 및 2 내지 3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1. 제 22 항에 있어서, 홀더가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 본체로부터 튜너를 현수하도록 사용되는 경우, 현악기 본체와 접촉하는 홀더 부분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용 충전재의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2. 제 24 항에 있어서, (i) 포위벽의 후방부는 보유 챔버를 향하고 있는 제 1 주면 및 보유 챔버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2 주면을 포함하며, (ii) 후크는 외측 주면 및 내측 주면을 정의하며, 그리고 (iii) 보호용 충전재의 층은 포위벽의 후방부의 제 2 주면의 적어도 일부 및 후크의 내측 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3. 제 22 항에 있어서,
    (i) 현악기의 현의 진동을 초래함으로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인 포위벽에 부착된 트랜스듀서; 및
    (ii) 전기 신호를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하기 위하여, 튜너가 조율 방위에서 보유 챔버 내부에 맞물리는 경우 트랜스듀서를 튜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4. 제 33 항에 있어서, (i) 트랜스듀서는 압전 센서이며, (ii) 압전 센서를 튜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튜너가 조율 방위에서 보유 챔버 내부에 맞물리는 경우, 압전 센서를 튜너에 전기적으로 자동으로 연결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5. 제 33 항에 있어서, 트랜스듀서는 포위벽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6. 울림 공을 갖는 현악기를 조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현악기용 튜너를 준비하는 단계;
    (b) 제 22 항에 의한 홀더를 준비하는 단계;
    (c) 조율 방위에서 튜너를 홀더에 고정하는 단계;
    (d)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e)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는 단계; 및
    (f)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대비 진동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튜너에 의해서 발생되는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울림 공을 갖는 현악기를 조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현악기용 튜너를 준비하는 단계;
    (b) 제 33 항에 의한 홀더를 준비하는 단계;
    (c) 조율 방위에서 튜너를 홀더에 고정하는 단계;
    (d) 튜너를 트랜스듀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
    (e)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f)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여, (i) 트랜스듀서에 의해서 진동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ii) 전기 신호를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시키며, 그리고 (iii) 진동의 주파수와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나타내는, 인지 가능한 신호를 튜너에 의해서 발생시키는 단계; 및
    (g)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a) (1) 하우징; 및
    (2) 하우징에 형성되는 진입 포트를 갖는 트랜스듀서를 적어도 포함하는 튜너; 및
    (b) (1)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전방부 및 후방부,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상부 및 하부, 및 위도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우측부 및 좌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사이의 진입 개구들을 통하여 진입 가능한 보유 챔버를 정의하며, (i) 상부에 형성된 진입 개구는 보유 챔버 내부에 후방부와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튜너의 하우징에 형성된 트랜스듀서 진입 포트를 갖는 보관 위치에서 튜너의 대 부분이 보유 챔버 내에 활주 방식으로 진입되어 맞물리도록 형성 및 배열되며, (ii) 전방부에 형성된 진입 개구는 보유 챔버 외부에 상부와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튜너의 하우징에 형성된 트랜스듀서 진입 포트를 갖는 조율 위치에서 튜너의 소 부분이 보유 챔버 내에 활주 방식으로 진입되어 맞물리도록 형성 및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위벽; 및
  39. 제 38 항에 있어서, 포위벽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진입 개구는 포위벽의 하부에 근접하여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구조물.
  40. 제 39 항에 있어서, 포위벽은 포위벽의 상부에 형성된 진입 개구로부터 포위벽의 전방부에 형성된 진입 개구까지 연장된 포위벽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슬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구조물.
  41. 제 38 항에 있어서, 포위벽의 하부 가까이의 보유 챔버로부터 멀리 떨어진 포위벽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구조물.
  42. 제 38 항에 있어서, 후크는 포위벽의 상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구조물.
  43. 제 42 항에 있어서, 후크는 호위벽의 상부 위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구조물.
  44. 제 38 항에 있어서, 포위벽의 전방부, 후방부, 상부, 하부, 제 1 측부 및 제 2 측부, 및 후크는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구조물.
  45. 제 38 항에 있어서, 보유 챔버는 4 내지 12cm의 가로 방향으로의 높이, 3 내지 12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 및 1 내지 4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구조물.
  46. 제 40 항에 있어서, 보유 챔버는 6 내지 10cm의 가로 방향으로의 높이, 4 내지 6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 및 2 내지 3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구조물.
  47. 제 38 항에 있어서, 홀더가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 본체로부터 튜너를 현수하도록 사용되는 경우, 현악기 본체와 접촉하는 홀더 부분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용 충전재의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구조물.
  48. 제 40 항에 있어서, (i) 포위벽의 후방부는 보유 챔버를 향하고 있는 제 1 주면 및 보유 챔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제 2 주면을 포함하며, (ii) 후크는 외측 주면 및 내측 주면을 정의하며, 그리고 (iii) 보호용 충전재의 층은 포위벽의 후방부의 제 2 주면의 적어도 일부 및 후크의 내측 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구조물.
  49. 제 38 항에 있어서,
    (i) 현악기의 현의 진동을 초래함으로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인 홀더에 부착된 제 2 트랜스듀서; 및
    (ii) 전기 신호를 제 2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하기 위하여, 튜너가 조율 방위에서 보유 챔버 내부에 맞물리는 경우 제 2 트랜스듀서를 튜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구조물.
  50. 제 49 항에 있어서, (i) 트랜스듀서는 압전 센서이며, (ii) 압전 센서를 튜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튜너가 조율 방위에서 보유 챔버 내부에 맞물리는 경우, 압전 센서를 튜너에 전기적으로 자동으로 연결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구조물.
  51. 제 49 항에 있어서, 트랜스듀서는 포위벽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구조물.
  52. 울림 공을 갖는 현악기를 조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38 항에 의한 조합구조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조율 방위에서 튜너를 홀더의 보유 챔버 내에 활주 방식으로 맞물리는 단;
    (c)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d)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는 단계; 및
    (e)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대비 진동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튜너에 의해서 발생되는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울림 공을 갖는 현악기를 조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49 항에 의한 조합구조물을 준비하는 단계;
    (b) 조율 방위에서 튜너를 홀더의 보유 챔버 내에 활주 방식으로 맞물리는 단;
    (c) 튜너를 제 2 트랜스듀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
    (d)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e)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여, (i) 제 2 트랜스듀서에 의해서 진동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ii) 전기 신호를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시키며, 그리고 (iii) 진동의 주파수와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나타내는, 인지 가능한 신호를 튜너에 의해서 발생시키는 단계; 및
    (f)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a) 가로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원격 에지 및 근접 에지를 갖는 스트럿;
    (b) 적어도 보관 위치와 조율 위치 사이에서와 같이 위도 방향 축 주위를 선회하기 위하여 스트럿의 원격 에지 가까이에 스트럿에 선회 가능하도록 부착된 튜너를 고정하기에 효과적이며, 보관 및 조율 위치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제 1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요소; 및
    (c) 스트럿의 근접 에지로부터 제 2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후크를 포함하는 튜너 홀더.
  55. 제 54 항에 있어서, 보관 위치는 조율 위치와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56. 제 54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는 적어도 보관 위치, 조율 위치, 및 표시 위치 사이에서 위도 방향 축 주위를 선회하기 위하여 스트럿의 가까이에 스트럿에 선회 가능하도록 부착되며, 보관 및 조율 위치에서는 스트럿으로부터 제 1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지며, 표시 위치에서는 스트럿으로부터 제 2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57. 제 54 항에 있어서, 스트럿의 원격 에지 가까이에서 스트럿으로부터 제 2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58. 제 54 항에 있어서, 스트럿 및 후크는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59. 제 55 항에 있어서, 스트럿, 후크, 및 돌출부는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0. 제 54 항에 있어서, 스트럿은 2 내지 10cm의 가로 방향으로의 높이 및 2 내지 10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1. 제 54 항에 있어서, 후크는 2 내지 5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 및 1 내지 2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2. 제 55 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0.3 내지 1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3. 제 54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는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서 내부에 튜너의 말단 부분을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 및 배치되는 채널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4. 제 54 항에 있어서, (i) 연결 요소에 접착성 있게 부착된 제 1 부위; 및 (ii) 제 1 부위에 분리 가능토록 부착되며, 감압 접착제가 코팅되며 해제 라이너로 도포된 노출 주면을 갖는 제 2 부위를 갖는 후크 및 루프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5. 제 54 항에 있어서, 홀더가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 본체로부터 튜너를 현수하도록 사용되는 경우, 현악기 본체와 접촉하는 홀더 부분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용 충전재의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6. 제 65 항에 있어서, (i) 스트럿은 제 1 세로 방향과 마주하는 제 1 주면 및 제 2 세로 방향과 마주하는 제 2 주면을 포함하며, (ii) 후크는 외측 주면 및 내측 주면을 정의하며, 그리고 (iii) 보호용 충전재의 층은 스트럿의 제 2 주면의 적어도 일부 및 후크의 내측 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7. 제 54 항에 있어서,
    (i) 현악기의 현의 진동을 초래함으로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인 홀더에 부착된 트랜스듀서; 및
    (ii) 전기 신호를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하기 위하여, 트랜스듀서를 캐치에 부착된 튜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8. 제 67 항에 있어서, (i) 트랜스듀서는 압전 센서이며, (ii) 압전 센서를 튜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튜너가 연결 요소 내에 체류하는 경우, 압전 센서를 튜너에 전기적으로 자동으로 연결시킴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9. 제 67 항에 있어서, 트랜스듀서는 홀더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70. 울림 공을 갖는 현악기를 조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현악기용 튜너를 준비하는 단계;
    (b) 제 54 항에 의한 홀더를 준비하는 단계;
    (c) 조율 방위에서 튜너를 연결 요소에 고정하는 단계;
    (d)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e)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는 단계; 및
    (f)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대비 진동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튜너에 의해서 발생되는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1. 울림 공을 갖는 현악기를 조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현악기용 튜너를 준비하는 단계;
    (b) 제 67 항에 의한 홀더를 준비하는 단계;
    (c) 조율 방위에서 튜너를 연결 요소에 고정하는 단계;
    (d) 튜너를 트랜스듀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계;
    (e)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f)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여, (i) 트랜스듀서에 의해서 진동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ii) 전기 신호를 트랜스듀서로부터 튜너로 전달시키며, 그리고 (iii) 진동의 주파수와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나타내는, 인지 가능한 신호를 튜너에 의해서 발생시키는 단계; 및
    (g)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2. (a) (1) (i)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되며, 제 1 세로 방향과 마주하는 외면을 갖는 상부벽 및 제 2 세로 방향과 마주하는 외면을 갖는 하부벽, 및 (ii) 가로 방향으로 일전 간격 떨어져 형성되며, 제 1 가로 방향과 마주하는 외면을 갖는 전방벽 및 제 2 가로 방향과 마주하는 외면을 갖는 후방벽을 포함하는하우징;
    (2) 트랜스듀서; 및
    (3) 하우징의 전방벽에 위치하는 조율 표시 장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튜너; 및
    (b) 하우징으로부터 제 2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가로 방향으로 진입 가능한 요부를 정의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73. 제 72 항에 있어서, 후크를 하우징으로부터 제 1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분리시키기 위하여, 하우징 및 후크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우징의 근접 에지 및 후크의 원격 에지를 따라 부착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74. 제 7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후방벽 가까이 하우징의 하부벽으로부터 제 2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75. 제 72 항에 있어서, 후크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76. 제 73 항에 있어서, 후크 및 스트럿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77. 제 74 항에 있어서, 후크 및 스트럿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되며, 돌출부도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단일 구조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78. 제 72 항에 있어서, 후크는 2 내지 5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 및 1 내지 2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79. 제 73 항에 있어서, (i) 후크는 2 내지 5cm의 위도 방향으로의 너비 및 1 내지 2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으며, (ii) 스트럿은 0.5 내지 5cm의 가로 방향으로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80. 제 74 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0.3 내지 1cm의 세로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81. 제 72 항에 있어서, 어셈블리가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 본체로부터 현수하는 경우, 현악기 본체와 접촉하는 어셈블리 부분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용 충전재의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82. 제 81 항에 있어서, (i) 후크는 외측 주면 및 내측 주면을 정의하며, (ii)보호용 충전재의 층은 하우징의 하부벽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 및 후크의 내측 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83. 제 73 항에 있어서, (i) 스트럿은 제 1 세로 방향과 마주하는 제 1 주면 및 제 2 세로 방향과 마주하는 제 2 주면을 포함하며, (ii) 후크는 외측 주면 및 내측 주면을 정의하며, 그리고 (iii) 보호용 충전재의 층은 하우징의 하부벽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 스트럿의 제 2 주면의 적어도 일부, 및 후크의 내측 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84. 제 72 항에 있어서, 후크는 적어도 보관 위치 및 조율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기 위하여 하우징에 활주 또는 선회가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85. 울림 공을 갖는 현악기를 조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72 항에 의한 어셈블리를 준비하는 단계;
    (b) 홀더를 울림 공 부위에서 현악기에 체결함으로서 울림 공에 근접하여 현악기로부터 튜너를 현수시키는 단계;
    (c)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현악기의 현을 연주하는 단계; 및
    (d) 표준 음계에서의 목표 주파수 대비 진동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튜너에 의해서 발생되는 인지 가능한 신호에 근거하여 연주된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7004507A 2000-10-02 2001-10-02 현악기 튜너 홀더 KR200300464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733600P 2000-10-02 2000-10-02
US60/237,336 2000-10-02
PCT/US2001/030903 WO2002029779A1 (en) 2000-10-02 2001-10-02 Stringed instrument tuner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476A true KR20030046476A (ko) 2003-06-12

Family

ID=2289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507A KR20030046476A (ko) 2000-10-02 2001-10-02 현악기 튜너 홀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074998B2 (ko)
EP (1) EP1332489A4 (ko)
JP (1) JP2004511021A (ko)
KR (1) KR20030046476A (ko)
CN (1) CN1478268A (ko)
AU (1) AU2002211381A1 (ko)
CA (1) CA2423623A1 (ko)
WO (1) WO20020297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712A1 (ko) * 2012-07-27 2014-01-30 주식회사 플러스티움 기타용 전자기기 스탠드, 마이크 스탠드, 및 스마트 보면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7872B1 (en) * 2001-10-02 2004-09-28 J. D'addario & Company, Inc. Electronic tuner for tuning a musical instrument
US20030196542A1 (en) * 2002-04-16 2003-10-23 Harrison Shelton E. Guitar effects control system, method and devices
CA2528379C (en) * 2003-06-06 2013-12-03 Daniel Shavit Multi-sound effect system including dynamic controller for an amplified guitar
JP4133615B2 (ja) * 2003-06-19 2008-08-13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小型音響素子のホルダ及びホルダの取付構造
US7265282B2 (en) * 2003-07-10 2007-09-04 Membreno Agustin J Universal tuner mount with spring-loaded link
US7247789B2 (en) * 2005-01-18 2007-07-24 Fishman Transducers, Inc. Soundhole accessible musical instrument control platform
US20060225560A1 (en) * 2005-04-12 2006-10-12 Paul Edward Sherman Training system for a musical instrument
DE112007003361T5 (de) * 2007-02-27 2010-01-14 McAlister, Warren, Sydney Stimmgurt
US7900781B2 (en) * 2007-07-26 2011-03-08 Rubbermaid Incorporated Storage system
JP5279289B2 (ja) * 2008-02-18 2013-09-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調律器の取り付け装置
JP2010048937A (ja) * 2008-08-20 2010-03-04 Seiko Instruments Inc 音楽用電子機器
WO2011090843A2 (en) 2010-01-22 2011-07-28 Si X Semiconductor Inc. Drum and drum-set tuner
WO2013040405A2 (en) 2011-09-14 2013-03-21 Purple Mangrove, Inc. Accessory attachment clamp for guitars
CN103890837A (zh) * 2011-11-30 2014-06-25 泛音实验室股份有限公司 鼓和架子鼓调谐装置
US9153221B2 (en) 2012-09-11 2015-10-06 Overtone Labs, Inc. Timpani tuning and pitch control system
US9240170B2 (en) * 2012-12-03 2016-01-19 Petar Chekardzhikov Vibration-sensing stringed instrument mountable device
US9548044B2 (en) * 2012-12-03 2017-01-17 Petar Chekardzhikov Vibration-sensing music instrument mountable device
WO2015006687A2 (en) * 2013-07-12 2015-01-15 Intelliterran Inc. Portable recording, looping, and playback system for acoustic instruments
US9905210B2 (en) 2013-12-06 2018-02-27 Intelliterran Inc.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US10741155B2 (en) 2013-12-06 2020-08-11 Intelliterran, Inc.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looping station
CN107924669A (zh) * 2015-08-19 2018-04-17 凯登乐器有限公司 用于弦乐器的打击设备和系统
US9993920B2 (en) * 2016-04-14 2018-06-12 John Hatten Guitar pick retriever
USD793471S1 (en) 2016-05-31 2017-08-01 Kyser Musical Products, Inc. Capotasto and tuner assembly
JP7193167B2 (ja) 2017-08-29 2022-12-20 インテリテラン,インク. マルチメディアを記録してレンダリング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820A (en) * 1892-12-13 Peter benson
US608438A (en) * 1898-08-02 Music-holder
DE365758C (de) * 1922-12-21 Ernst Hofmeier Notenhalter fuer Gitarren, Mandolinen u. dgl.
US407076A (en) * 1889-07-16 Soap box
US1697508A (en) * 1926-06-16 1929-01-01 Regal Musical Instr Co Device for tuning stringed instruments
GB535960A (en) * 1940-01-24 1941-04-28 Hedley Vickers Improvements in receptacles for soap
US3379088A (en) * 1965-08-19 1968-04-23 Fox Ripley Dau Visual note indicator for stringed instruments
US3437002A (en) * 1966-07-25 1969-04-08 American Plating & Mfg Co Music holder
US3704646A (en) * 1970-07-23 1972-12-05 Richard P Davis String depressor and method of using same
US3691894A (en) * 1970-10-14 1972-09-19 Laser Products & Dev Corp Inc Tuning device
GB1330411A (en) * 1971-01-15 1973-09-19 Thema Spa Wall fitting
DE7504253U (de) * 1975-02-13 1975-12-04 Lang L Elektronischer tonangeber oder stimmer
US4104947A (en) * 1977-01-31 1978-08-08 Oster Doran M Capo
US4168647A (en) * 1977-07-25 1979-09-25 Petillo Phillip J Adjustable pickup
US4165554A (en) * 1978-06-12 1979-08-28 Faget Charles J Hand-held portable calculator assembly
USD279905S (en) 1983-05-12 1985-07-30 Whited Earl B Harmonica holder
US4899636A (en) * 1988-02-03 1990-02-13 Seiko Instruments Inc. Instrument for tuning musical instruments
GB2202075B (en) * 1988-02-19 1991-07-17 Harder Reginald Bruce Tuning apparatus for stringed instruments
US4832302A (en) * 1988-03-21 1989-05-23 Yohann Anderson Guitar mounted music holder
JPH0741037Y2 (ja) * 1989-09-27 1995-09-20 株式会社コルグ 楽器用調律器
US5105711A (en) * 1990-10-31 1992-04-21 Barnard Timothy J Removably mountable effects device for an electric guitar
DE9103804U1 (ko) * 1991-03-28 1991-05-29 Helin, Christian, 8501 Schwarzenbruck, De
USD353826S (en) 1993-06-14 1994-12-27 Ron Mayo Holder for a guitar tuner
US5409107A (en) * 1993-12-21 1995-04-25 Browne; Patricia Computer mouse holder
CN1111499A (zh) * 1994-02-03 1995-11-15 欧姆龙株式会社 脉搏计和脉搏计步器
US5637820A (en) * 1995-01-06 1997-06-10 Wittman; Kenneth L. Stringed instrument with on-board tuner
US5658635A (en) * 1995-09-11 1997-08-19 Boone International, Inc. Bulletin board and accessory attaching mechanism
US5777248A (en) * 1996-07-22 1998-07-07 Campbell; James A. Tuning indicator for musical instruments
US5728959A (en) * 1996-11-06 1998-03-17 O'rorke; John D. Guitar tuner holder
US5877444A (en) * 1997-03-21 1999-03-02 Arthur H. Hine Tuner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852250A (en) * 1997-05-16 1998-12-22 Cha; Jennifer Portable instrument stand
US5872702A (en) * 1997-08-05 1999-02-16 Kopel; Philip S. Remote control holder
US6105763A (en) * 1998-05-01 2000-08-22 Saetia; Chetta Multiple-access computer and catalog carrying case
US5990403A (en) * 1998-12-11 1999-11-23 Onboard Research Corporation Lyre mounting bracket for a musical instrument tuner
US6257535B1 (en) * 1998-12-31 2001-07-10 Yoga Electronic Co., Ltd. Adjustable microphone mounting assembly
DE29901436U1 (de) * 1999-01-28 1999-04-08 Haas Michael Balkonkasten
US6482239B1 (en) * 2000-07-20 2002-11-19 Clarence G. Jones Sound post installer
US6797872B1 (en) * 2001-10-02 2004-09-28 J. D'addario & Company, Inc. Electronic tuner for tuning a musical instrument
US6576822B1 (en) * 2002-02-28 2003-06-10 Jeff Grace Stable support for stringed instru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712A1 (ko) * 2012-07-27 2014-01-30 주식회사 플러스티움 기타용 전자기기 스탠드, 마이크 스탠드, 및 스마트 보면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211381A1 (en) 2002-04-15
EP1332489A1 (en) 2003-08-06
JP2004511021A (ja) 2004-04-08
US7074998B2 (en) 2006-07-11
CA2423623A1 (en) 2002-04-11
US20060180004A1 (en) 2006-08-17
WO2002029779A1 (en) 2002-04-11
US20040123723A1 (en) 2004-07-01
CN1478268A (zh) 2004-02-25
EP1332489A4 (en)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6476A (ko) 현악기 튜너 홀더
EP3564947B1 (en) Apparatus for a reed instrument
US8841538B2 (en) Detachable electronic drum
JP5210683B2 (ja) 電子打楽器用操作装置
US6797872B1 (en) Electronic tuner for tuning a musical instrument
US7501570B2 (en) Electric wind instrument and key detection structure thereof
EP3338275B1 (en) Percussion device and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
US2725778A (en) Sound pick-up device for the amplification of banjo music
EP3385943B1 (en) Percussion instrument
US11527222B1 (en) Devices for altering sounds produced by string instruments
US20110192268A1 (en) Sound modification device for percussion instruments
US20100170811A1 (en) Safe instrument case and protection devices
CN107438880A (zh) 电子打击乐器
US3366293A (en) Guitar support
US6376755B1 (en) Guitar construction
US20030164083A1 (en) Supporting device for music instrument
US6084165A (en) Retractable tail on a stringed instrument body
US8403276B2 (en) Vertical support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US7238871B1 (en) Guitar slide pouch
TWM542840U (zh) 適用於弦樂器的拾音器
US10121460B1 (en) Humidifier and digital hygrometer/thermometer
US8536432B1 (en) Guitar rest
US20070113719A1 (en) Sound box for floor-standing string instrument
JPS6014597A (ja) 楽器用マイクロフオン装置
US20050284285A1 (en) Musical device having jingles and adapted for cooperative use with percussion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