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093A -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093A
KR20030046093A KR1020010076493A KR20010076493A KR20030046093A KR 20030046093 A KR20030046093 A KR 20030046093A KR 1020010076493 A KR1020010076493 A KR 1020010076493A KR 20010076493 A KR20010076493 A KR 20010076493A KR 20030046093 A KR20030046093 A KR 20030046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pointing
remote
screen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3585B1 (ko
Inventor
차순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5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25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or a plurality of detectors forming a reference frame from which to derive the orientation of the object, e.g. by triangulation or on the basis of reference deformation in the picked up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디지털 텔레비전과 같이 웹서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다양한 메뉴를 인터렉티브(interactive)하게 선택하는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레이져로 스크린의 특정 위치를 포인팅한 후 그 위치에서 키이를 입력하여 적외선으로 포인팅하는 과정, 적외선이 입력되면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적외선 발산기들 각각에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과정, 복수개의 적외선 발산기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영상 신호와 상기 포인팅 위치의 적외선 영상 신호를 취득하여 그 적외선 영상 신호와 입력 키이 정보를 발생하는 과정, 적외선 영상 신호와 입력 키이 정보를 바탕으로 적외선 포인트 위치를 계산하여 포인팅 위치점을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 및 그 장치{Remote point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 포인팅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지털 텔레비전과 같이 웹서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다양한 메뉴를 인터렉티브(interactive)하게 선택하는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젼 시스템과 같이 웹 서핑(web surfing)이 가능한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렉티브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인터렉티브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는 터치 스크린이나 리모콘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터치 스크린은 대화면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하기에는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먼 곳에 위치할 경우 직접 접근하여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존의 리모콘은 고정된 메뉴 체계에서는 입력 장치로서 가능하지만 웹 같은 동적인 메뉴 체계에서는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과제는 웹서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웹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메뉴를 원격에서 인터렉티브하게 선택할 수 있는 원격 포인팅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은,
레이져로 스크린의 특정 위치를 포인팅한 후 그 위치에서 키이를 입력하여 적외선으로 포인팅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적외선이 입력되면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적외선 발산기들 각각에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복수개의 적외선 발산기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영상 신호와 상기 포인팅 위치의 적외선 영상 신호를 취득하여 그 적외선 영상 신호와 입력 키이 정보를 발생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영상 신호와 입력 키이 정보를 바탕으로 적외선 포인트 위치를 계산하여 포인팅 위치점을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격 포인팅 시스템은,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서 기준점 인식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적외선출력부;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포인팅 레이져와 적외선을 발생하고, 상기 복수개의적외선 출력부에서 발산되는 적외선과 포인팅 위치의 적외선을 촬상하여 그 영상 신호와 키이 정보를 발생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부에서 포인팅 레이져와 적외선을 입력하면 상기 복수의 적외선출력부에게 기준점 적외선을 발생시키고,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부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영상 신호와 키이 정보를 바탕으로 포인팅 위치점을 계산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입력 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모트 콘트롤러 및 디스플레이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입력 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1의 장치는 리모트콘트롤러(110), 디스플레이부(130), 스크린의 네모서리에 배치된 적외선 다이오드들(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리모트콘트롤러(110)와 적외선 다이오드들(120)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선과 다른 주파수의 빛을 이용하기 위해 적외선을 사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리모트콘트롤러(110)는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포인팅 레이져와 적외선을 발생하고, 스크린의 네모서리에 배치된 적외선 다이오드들(120)에서 발산되는 기준점 적외선과 포인팅 위치점의 적외선을 촬상하여 그 영상 신호와 눌린 키이 정보를 발생한다.
적외선 다이오드들(120)은 스크린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30)의 제어를 받아 적외선 포인팅 지점에 대한 기준점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리모트 콘트롤러(110)에서 발생하는 레이져와 적외선을 수신하면 적외선 다이오드들(120)에게 적외선을 발생시키고, 리모트 콘트롤러(110)에서 수신되는 적외선 영상 신호와 키이 정보를 바탕으로 포인팅 위치를 계산하여 포인팅 위치를 인식한다.
도 2는 도 1의 리모트 콘트롤러(110) 및 디스플레이부(130)의 상세도이다,
도 2의 리모트 콘트롤러(110)를 참조하면, 레이져포인터(242)는 스크린의 특정 위치를 포인팅하는 레이져를 발생한다.
적외선 포인터(244)는 레이져포인트터(242)에서 포인팅된 스크린 위치에 적외선을 발생한다.
키입력부(230)는 선택된 키 예를 들면, 메뉴 키이, 드레그 키이 신호를 발생한다.
적외선 영상취득부(240)는 카메라를 내장하여 스크린의 네 개 모서리에 배치된 복수의 적외선 다이오드들(120)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과 스크린에 포인팅된 위치의 적외선 영상을 촬상한다.
제1무선통신부(220)는 적외선영상취득부(240)에서 촬상된 적외선 영상 신호와 눌린 키이 정보를 고주파 신호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20)로 전송한다.
제1제어부(210)는 적외선포인터(244) 및 레이져포인터(242)에 적외선 및 레이져 출력을 제어하며, 적외선영상취득부(240)에 적외선영상을 취득하게 하며, 키입력부(230)에서 눌려진 키이를 인식하여 그 적외선 영상신호와 해당 키이 정보를 제1무선통신부(220)로 출력시킨다. 또한 제1제어부(210)는 레이져 포인트 위치에적외선을 포인팅하면 디스플레이부(120)에 적외선을 출력하라는 명령을 전송한다.
이어서, 도 2의 디스플레이부(120)를 참조하면, 제2무선통신부(250)는 리모트 콘트롤러(110)의 제1무선통신부(220)로부터 고주파 형태의 적외선 영상신호와 키이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처리부(260)는 제2무선통신부(250)에서 변환된 적외선 영상신호를 바탕으로 포인팅 위치의 좌표를 계산한다. 이때 적외선 영상신호에는 스크린의 네 개 모서리의 기준점과 포인팅된 위치점을 포함한다.
제2제어부(270)는 영상처리부(260)에서 계산된 좌표값과 제2무선통신부(250)에서 변환된 키이정보를 바탕으로 입력 정보를 생성하고, 리모트콘트롤러(110)로부터 적외선 출력 명령을 수신하면 스크린의 네모서리에 각각 배치된 적외선 다이오드(280)에 적외선을 출력 하도록 한다.
리모트입력처리부(290)는 제2제어부(270)에서 발생되는 입력정보를 갖고 그에 해당하는 메뉴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먼저, 리모트콘트롤러(11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장착된 스크린의 특정 위치를 포인팅한다(310과정).
이어서, 리모트콘트롤러(110)는 그 특정 위치에서 키이를 입력한다(320과정). 예를 들면 메뉴를 클릭하고 드래그하는 일련의 조작을 행한다.
이어서, 리모트콘트롤러(110)는 그 레이져 포인팅 위치에 적외선으로 포인팅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적외선을 출력하도록하는 명령을 전송한다(330과정).
이어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적외선 출력 명령에 따라 스크린의 네 모서리에 배치된 적외선 다이오드(120)에 적외선을 출력하도록 한다(340과정).
이어서, 리모트콘트롤러(110)는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스크린의 네 모서리에 배치된 적외선 다이오드(120)에서 출력되는 적외선과 레이져 포인트 위치에 출력된 적외선 영상을 취득한다(350과정). 즉, 리모트콘트롤러(110)는 적외선 다이오드(120)에서 출력되는 네 개의 적외선 신호와 레이져 포인트 위치의 적외선을 촬영한다. 이때 적외선 다이오드(120)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영상은 4개의 기준 위치점이 되며, 레이져 포인트 위치에 출력된 적외선 영상은 상대적 위치점이 된다.
이어서, 리모트콘트롤러(110)는 그 적외선 영상과 눌려진 키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로 전송한다(360과정).
이어서, 디스플레이부(120)는 리모트콘트롤러(110)로부터 수신된 적외선 영상을 이용하여 포인트된 위치의 좌표를 계산한다(370과정). 예를 들면, 4개의 적외선 다이오드 출력 영상을 기준점으로 레이져 포인트 위치에 출력된 포인팅 위치위 좌표를 계산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부(120)는 계산된 포인팅 위치의 좌표값과 키이정보를 바탕으로 선택된 메뉴 기능을 수행한다(380과정).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뿐만 아니라웹 서핑이 가능한 모든 멀티미디어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텔레비젼과 같이 웹 서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웹상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메뉴를 PC에서 마우스를 통해 특정 메뉴를 선택하듯이 원격에서 인터렉티브하게 선택 가능하다.

Claims (7)

  1.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에 있어서,
    레이져에 의한 특정 위치 포인팅을 수신하여 그 위치에서 키이 입력에 의한 적외선 포인팅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적외선이 수신되면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적외선 발산기들 각각에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출력된 적외선 영상 신호와 상기 포인팅 위치의 적외선 영상 신호에 대한 카메라 영상 신호와 키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영상 신호와 키이 정보를 바탕으로 적외선 포인트 위치를 계산하여 포인팅 위치점을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적외선 발산기들은 스크린의 네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포인트 계산과정은 복수개의 적외선 발산기들에서 생성된 적외선 영상을 기준으로 포인팅된 적외선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계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
  4. 원격 포인팅 시스템에 있어서,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서 기준점 인식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적외선출력부;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포인팅 레이져와 적외선을 발생하고, 상기 복수개의 적외선 출력부에서 발산되는 적외선과 포인팅 위치의 적외선을 촬상하여 그 영상 신호와 키이 정보를 발생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부에서 포인팅 레이져와 적외선을 입력하면 상기 복수의 적외선출력부에게 기준점 적외선을 발생시키고,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부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영상 신호와 키이 정보를 바탕으로 포인팅 위치점을 계산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부는
    스크린의 특정 위치를 포인팅하는 레이져를 발생하는 레이져포인트부;
    상기 레이져포인트부에서 포인팅된 위치에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포인트부;
    상기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적외선출력부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과 스크린의 포인팅 위치의 적외선을 촬상하는 적외선 영상취득부;
    상기 적외선영상취득부에서 촬상된 영상 신호와 키이 정보를 상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취득부는 카메라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부에서 수신되는 적외선 영상신호를 바탕으로 포인팅 위치의 좌표를 계산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계산된 좌표값과 리모트 콘트롤러부에서 수신되는 키이정보를 바탕으로 포인팅된 위치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
KR1020010076493A 2001-12-05 2001-12-05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080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493A KR100803585B1 (ko) 2001-12-05 2001-12-05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493A KR100803585B1 (ko) 2001-12-05 2001-12-05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093A true KR20030046093A (ko) 2003-06-12
KR100803585B1 KR100803585B1 (ko) 2008-02-15

Family

ID=2957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493A KR100803585B1 (ko) 2001-12-05 2001-12-05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5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107A (ko) * 2002-08-17 2002-09-19 김찬수 쌍방향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62179B1 (ko) * 2006-09-25 2007-10-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줌-인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포인트 위치인식방법
KR100773905B1 (ko) * 2004-11-10 2007-11-09 주식회사 포인칩스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원격 포인팅 장치 및 방법
KR101120018B1 (ko) * 2007-05-08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8547332B2 (en) 2006-02-10 2013-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inting device user interface method, medium, and system robust against external noise
US9213440B2 (en) 2010-07-27 2015-12-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touch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365A (ja) * 1990-05-28 1992-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操作装置
KR0144191B1 (ko) * 1995-07-10 1998-08-17 구자홍 적외선을 이용한 포인트형 무선조정장치
JP3814904B2 (ja) * 1996-12-25 2006-08-30 ソニー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及び遠隔操作装置
KR20010001005A (ko) * 1999-06-01 2001-01-05 전주범 텔레비전의 메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608284B1 (ko) * 1999-06-30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포인팅시스템
GB2362236A (en) * 2000-05-12 2001-11-14 Int Computers Ltd Method of providing self-service bank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107A (ko) * 2002-08-17 2002-09-19 김찬수 쌍방향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73905B1 (ko) * 2004-11-10 2007-11-09 주식회사 포인칩스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원격 포인팅 장치 및 방법
US8547332B2 (en) 2006-02-10 2013-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inting device user interface method, medium, and system robust against external noise
KR100762179B1 (ko) * 2006-09-25 2007-10-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줌-인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포인트 위치인식방법
KR101120018B1 (ko) * 2007-05-08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213440B2 (en) 2010-07-27 2015-12-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touch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585B1 (ko) 200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6884B2 (en) Pointing input device, method, and system using image pattern
KR100464465B1 (ko) 투사디스플레이시스템
CA2378154C (en) Computer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with optical tracking of wireless pointer
US6598978B2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US6724368B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television receiver
US6798926B2 (en) System and method of pointed position detection, presentation system, and program
CA2043339C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television receiver
JPH07121293A (ja) 表示画面をアクセスす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EP0718789A2 (en) Interactive pointing device
JP2001075736A (ja) 座標入力装置
US201301137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on remote screen
KR20060132219A (ko) 광원의 신호를 사용하여 포인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7248861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受信装置
EP0485394B1 (en) Light-pen system for projected images
EP1381947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robust foreground and background image data separation for location of objects in front of a controllable display within a camera view
JP5897158B2 (ja) 表示装置の操作方法、システム及び関連装置
KR100803585B1 (ko) 원격 포인팅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95179A (ko) 영상 패턴을 이용한 포인팅 입력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03155A (ko)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US20060022942A1 (en) Control method for operating a computer cursor instinctively and the apparatus thereof
KR100980261B1 (ko) 포인팅/인터페이스 시스템
WO2018195973A1 (zh) 利用手持终端进行光标定位的方法、手持终端和电子设备
JPH05265639A (ja) 画像表示装置とそれを用いたテレビ電話機
US20110285624A1 (en) Scree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light source type
JPH0659807A (ja) カーソル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