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074A -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074A
KR20030046074A KR1020010076461A KR20010076461A KR20030046074A KR 20030046074 A KR20030046074 A KR 20030046074A KR 1020010076461 A KR1020010076461 A KR 1020010076461A KR 20010076461 A KR20010076461 A KR 20010076461A KR 20030046074 A KR20030046074 A KR 20030046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harging
mobile phone
battery
sid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8095B1 (ko
Inventor
김남진
Original Assignee
김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진 filed Critical 김남진
Priority to KR10-2001-0076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09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을 제공하고자 하는 휴대폰에 접속되어 상기 휴대폰에 장착된 휴대폰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제공 측 커넥터와;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폰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폰에 충전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수령 측 커넥터와; 상기 양 측 커넥터를 연결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개재되며, 상기 전원제공 측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상기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폰의 휴대폰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레벨로 승압시켜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원수령 측 커넥터로 출력하는 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휴대폰 상호간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충전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 {BATTERY CHARGING SYSTEM FOR HAND HELD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배터리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상호간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호출기로부터 시작하여 셀룰라폰(cellular phone), 개인 휴대 전화기(PCS)를 거쳐 조만간 상용화될 IMT2000기반의 이동통신까지 최근 몇 년 사이에 이동 통신 환경은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폰의 보급률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휴대전화는 최근 들어 음성통화뿐 아니라 무선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인터넷 콘텐츠를 제공하여 정보단말기의 기능까지 겸하는 등, 서비스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의 보급률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휴대폰은 니켈-카드뮴 배터리 등 충전 가능한 전지를 장착하여 구동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으며, 별도로 제공되는 충전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때마다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충전기로는 가정용 전원 콘센트로부터의 전원을 배터리에 충전하는 데스크 탑용 충전기, 차량의 시거 잭을 이용하는 차량의 시거 전원을 공급받는 시거 잭용 충전기 등이 있다. 또는, 휴대폰 자체에 충전기능을 내장함으로써,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에 가정용전원 콘센트로부터의 전원을 직접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충전기능이 지원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충전기들은 모두 AC전원이나, 자동차 전원 등의 전원공급수단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전원공급수단은 대부분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사실상 휴대가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외출 중에 배터리전원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전원공급수단을 찾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상호간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휴대폰 및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충전 시스템의 연결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충전 시스템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충전 시스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폰3a : 전원제공 측 커넥터
3b : 전원수령 측 커넥터 5 : 케이블
10 : 배터리충전시스템12 : 전원승압부
14 : 충전전원발생부16 : 마이컴
18 : 표시부20 : 발광다이오드제어회로
22 : 발광다이오드24 : 선택부
26 : 충전량선택부28 : 충전개시선택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원을 제공하고자 하는 휴대폰에 접속되어 상기 휴대폰에 장착된 휴대폰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제공 측 커넥터와;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폰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폰에 충전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수령 측 커넥터와; 상기 양 측 커넥터를 연결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개재되며, 상기 전원제공 측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상기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폰의 휴대폰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레벨로 승압시켜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원수령 측 커넥터로 출력하는 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양측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출력전압을 각각 감지하는 전압감지부와; 상기 전압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상대적으로 높은 측의 휴대폰배터리 전원이 상기 충전회로부 및 상기 케이블을 통해 출력전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측의 휴대폰배터리에 충전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자동충전이 가능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충전개시선택을 위한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선택부를 통한 충전개시선택에 따라 상기 충전회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원제공 측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상기 충전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원수령 측 커넥터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충전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마이컴은, 상기 양측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출력전압을 각각 감지하여, 상기 전원수령 측 커넥터에 접속된 휴대폰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충전전원의 공급을 중단되도록 상기 충전회로부를 제어하여 휴대폰배터리가 과충전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원수령측 커넥터에 접속된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충전완료사실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택부는 충전시키고자 하는 충전용량을 선택하기 위한 충전량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충전량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충전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제공 측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직류전원이 상기 전원수령 측 커넥터에 충전전원으로서 제공되도록 상기 충전회로부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만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을 적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의 휴대폰 및 배터리충전시스템의 연결 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터리 충전시스템(10)은 각 휴대폰(1)을 상호 연결하여 일 측에 연결된 휴대폰(1)의 배터리전원이 타 측의 휴대폰(1)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1) 상호간에 배터리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배터리 충전시스템(10)은 휴대폰(1)의 케이블접속부에 접속되어 휴대폰(1)에 장착된 배터리로 전원을 입출력하는 한 쌍의 커넥터(3)와, 각 커넥터(3)를 상호 연결하여 전원이 전달되도록 하는 케이블(5)과, 케이블(5)에 링크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측 휴대폰(1)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다른 측 휴대폰(1)의 충전을 위한 충전전원으로 변환하는 배터리 충전시스템(10)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시스템(10)의 제어블럭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폰(1)에 접속된 전원제공 측 커넥터(3a)와,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폰(1)에 접속된 전원수령 측 커넥터(3b)와, 전원제공측 커넥터(3a)로부터의 전원을 승압하는 전원승압부(12)와, 전원승압부(12)를 통해 승압된 전원을 정류하여 충전전원을 생성하는 충전전원발생부(14)를 포함한다.
전원승압부(12)는 전원제공 측 커넥터(3a)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전원의 전압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전원의 전압레벨로 승압한다. 충전가능한 핸드폰배터리는 배터리의 출력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가함으로써 배터리셀에 전원이 입력되도록 하여 전원을 충전한다. 그런데, 본 시스템은 동일한 출력전원을 갖는 배터리의전원으로 다른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일 측의 휴대폰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전압을 소정 레벨까지 승압시켜야 한다. 이러한 전원승압부(12)로서는 종래의 승압수단인 승압트랜스, DC/DC컨버터 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전전원발생부(14)는 전원승압부(12)에서 소정 레벨 승압된 전원을 배터리의 충전규격에 적합한 전압 및 전류의 충전전원으로 변환한다. 충전전원발생부(14)에서 생성된 충전전원은 전원수령 측 커넥터(3b)를 통해,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폰(1)에 제공되어 휴대폰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커넥터(3)의 종류를 전원제공 측 커넥터(3a)와 전원수령 측 커넥터(3b)로 구분하고 있지만, 사실상 양자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케이블(5) 양단의 커넥터(3)를 각각의 휴대폰(1)에 접속하면, 휴대폰배터리의 출력전압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제공되며, 이때 케이블을 통해 제공되는 휴대폰배터리 전원이 승압 및 정류되어 타 측 휴대폰배터리에 자동으로 충전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케이블(5)을 통해 제공되는 전원은 휴대폰배터리의 전압에 따라 어느 쪽으로든 이동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시스템(10)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배터리 충전시스템(10)은, 전원제공 측 커넥터(3a)로부터의 승압을 위한 DC/DC컨버터(12)와, DC/DC컨버터(12)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정류하여 충전전원을 생성하는 충전전원발생부(14)와,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선택부(24)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DC/DC컨버터(12) 및 충전전원발생부(14)를 제어하여 충전기능을 제어하는 마이컴(16)을 포함한다.
선택부(24)는 사용자가 충전개시를 선택하기 위한 충전개시 선택부(28)와, 충전량을 선택하기 위한 충전량 선택부(26)를 포함한다. 충전량 선택부(26)는 전원을 제공하는 측 휴대폰으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 충전전원량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백분율로 표시되는 복수의 버튼으로써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0%, 50%, 100%로 표시된 각각의 버튼 중 50%충전전원량을 선택하면, 전원수령 측 커넥터(3b)에 접속된 휴대폰(1)의 배터리가 만충전 용량의 50%까지만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마이컴(16)은 사용자의 충전개시 선택부(28) 선택에 따라, DC/DC컨버터(12) 및 충전전원발생부(14)를 제어하여, 전원제공 측 커넥터(3a)에 연결된 휴대폰(1)의 전원을 충전전원으로 변환하여 케이블(5)을 통해 전원수령 측 커넥터(3b)에 연결된 휴대폰(1)에 제공함으로써, 충전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마이컴(16)은 전원제공 측 전압과 전원수령 측 전압을 감지하여 충전량을 계산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량 선택부(26)를 통해 선택한 충전량 만큼만 휴대폰배터리를 충전시킨 후, DC/DC컨버터(12) 및 충전전원발생부(14)를 제어하여 충전을 중단한다.
또한, 마이컴(16)은 양쪽 커넥터(3)를 통해 각각 입력되는 휴대폰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양단에 연결된 휴대폰(1)의 전원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배터리의 잔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쪽의 휴대폰(1)이 적은 쪽의 휴대폰(1)에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시스템은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8)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충전진행상태를 표시한다. 표시부(1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 제어회로(20)와 발광다이오드(22)를 포함한다.
마이컴(16)은, 충전개시, 충전종료 및 현재충전 량에 따라, 발광다이오드(22)를 점멸시키거나 각기 다른 색상의 다이오드가 점멸되도록 발광다이오드 제어회로(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충전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다이오드의 점멸 및 색변화를 통한 충전상태의 표시방법을 예시하였지만, 표시부(18)로서 LCD를 구비하거나 음성메시지출력부 등을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 휴대폰을 상호 연결하여 하고, 한 측의 본체에 장착된 배터리전원을 충전전원으로 변환하여 다른 측의 휴대폰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상호간에 배터리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상호간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충전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6)

  1. 전원을 제공하고자 하는 휴대폰에 접속되어 상기 휴대폰에 장착된 휴대폰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제공 측 커넥터와;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폰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폰에 충전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수령 측 커넥터와;
    상기 양 측 커넥터를 연결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개재되며, 상기 전원제공 측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상기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폰의 휴대폰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레벨로 승압시켜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원수령 측 커넥터로 출력하는 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출력전압을 각각 감지하는 전압감지부와;
    상기 전압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출력전압을 상호비교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상대적으로 높은 측의 휴대폰배터리 전원이 상기 충전회로부를 및 상기 케이블을 통해 출력전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측의 휴대폰배터리에 제공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압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양측 휴대폰배터리의 출력전압을 각각 감지하여, 상기 전원수령 측 커넥터에 접속된 휴대폰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충전전원의 공급을 중단되도록 상기 충전회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충전개시선택을 위한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선택부를 통한 충전개시선택에 따라, 상기 전원제공 측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직류전원이 충전전원의 형태로 상기 전원수령 측 커넥터로 제공되도록 상기 충전회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배터리충전완료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전압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수령 측 커넥터에 접속된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충전완료사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충전시키고자 하는 충전용량을 선택하기 위한 충전량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충전량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충전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제공 측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직류전원이 상기 전원수령 측 커넥터에 충전전원으로서 제공되도록 상기 충전회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충전시스템.
KR10-2001-0076461A 2001-12-05 2001-12-05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 KR100458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461A KR100458095B1 (ko) 2001-12-05 2001-12-05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461A KR100458095B1 (ko) 2001-12-05 2001-12-05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074A true KR20030046074A (ko) 2003-06-12
KR100458095B1 KR100458095B1 (ko) 2004-11-26

Family

ID=2957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461A KR100458095B1 (ko) 2001-12-05 2001-12-05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0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080B1 (ko) * 2002-10-05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KR100817871B1 (ko) * 2005-06-04 2008-03-31 우도영 핸드폰충전기
KR20110047010A (ko) * 2009-10-29 201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3042988A3 (ko) * 2011-09-23 2013-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WO2018030619A1 (ko) * 2016-08-12 201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8554B2 (ja) * 1999-03-25 2002-08-26 ソースネクスト株式会社 USB(UniversalSerialBus)ケーブル及びUSBケーブルによる外部装置への充電方法
JP2001211252A (ja) * 2000-01-28 2001-08-03 Kddi Corp Cdma方式電話機用外部機器接続アダプタ
JP2001237953A (ja) * 2000-02-24 2001-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情報端末装置
EP1198049A1 (en) * 2000-10-12 2002-04-17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a mobile terminal through an USB interface
KR200219979Y1 (ko) * 2000-10-30 2001-04-16 주식회사코리아 아피스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기기 충전장치
KR20020074010A (ko) * 2001-03-19 2002-09-28 이상열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
KR100442360B1 (ko) * 2001-09-12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된 휴대폰을 이용한 휴대폰 충전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080B1 (ko) * 2002-10-05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KR100817871B1 (ko) * 2005-06-04 2008-03-31 우도영 핸드폰충전기
KR20110047010A (ko) * 2009-10-29 201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3042988A3 (ko) * 2011-09-23 2013-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US9937805B2 (en) 2011-09-23 2018-04-10 Lg Chem, Ltd. Battery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using same
WO2018030619A1 (ko) * 2016-08-12 201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992163B2 (en) 2016-08-12 2021-04-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8095B1 (ko) 200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1358B2 (ja) 機器に電気エネルギーを供給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119458B2 (en) A/C—D/C power system with internal fuel cell
US5254931A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in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20050225292A1 (en) Charger and recharger device
CN102055039A (zh) 电子设备和电源控制设备
CN101150327A (zh) 便携式设备借电系统及便携式设备
CN101611524A (zh) 便携式电源供应
EP1406366A3 (en)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552512B1 (en) Portable device charger based on audio energy power
KR102012999B1 (ko)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방법
KR100458095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
KR100321945B1 (ko) 충전전류의인가를제어하기위한내부충전조절기를갖는전자장치및재충전가능전원의재충전방법
US6172477B1 (en)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of a portable terminal
US20040023698A1 (en) Portable flat charger for a cell phone
CN211880144U (zh) 充电器及充电系统
US20150372521A1 (en) Portable Power Bank
KR100788595B1 (ko) 휴대용 보조 전원 장치
CN101313445B (zh) 用于电子设备的温度补偿充电控制装置
RU2263384C2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е универсальное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рядки аккумуляторов мобильных телефонов
JPH11233159A (ja) 充電式電池パック
KR200285106Y1 (ko) 무선전화기의 충전기를 구비한 컴퓨터
JP2004015932A (ja) 携帯電話機用携帯型充電器
CN218141073U (zh) 电动自行车智能充电器
CN2410804Y (zh) 复合式充电器
KR20050102015A (ko) 휴대형 범용 전력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